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우수등재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정덕유,이민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3

        Purpos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and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with no family or family paid auxiliary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488 items: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of nursing task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21.0. Results: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tasks were patient nur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task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ere medication and transfusion and nursing tasks with the highest knowledge were also medication and transfusion. Nursing task (subcategory)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oral medication. Nursing task (subcategory)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as mental status observation and nursing task (subcategory) with the highest knowledge was vital sign check. Nurs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for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low.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perform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often than previously, and nurses need to be prepared to do these tasks. 연구 목적: 입원환자의 간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해 간병서비스의 제도화를 추진하여 추후 전국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그러나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가 명확히 분류, 명시되지 않아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는 포괄간호서비스병원 1차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5개 의료기관의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9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간호업무별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총 486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와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12개 간호업무영역(대분류) 수행도는 ‘환자간호관리 및 정보관리’,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 지식정도는 ‘투약 및 수혈’이 가장 높았고 간호업무영역별 149개 간호업무(소분류) 수행도는 ‘경구약 투약’, 중요도는 ‘의식상태 관찰’, 지식정도는 ‘활력징후 측정’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42±8.67점, 직무만족은 문항 평균 점수 2.78±0.793점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서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r=-.60, p<.001). 대상자가 수행하는 간호업무 중 직무만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0,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관 기능 관찰’(r=.25, p=.006),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8, p=.002), ‘침상 홑이불 부분 교환’(r=-.22, p=.017) 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업무는 ‘가습기 적용’(r=.29, p=.001),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9, p=.002),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자살예방을 위한 관찰’(r=-.39, p<.001),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2,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기능 관찰’(r=-.30, p=.001), ‘각종 감시기를 통한 관찰’(r=-.28, p=.002) 이었다. 결론: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중 일상생활 보조업무의 수행이 증가하였으며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낮고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 일상생활보조업무 수행은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만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 KCI등재

        간호업무성과의 예측인자로서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자기효능감

        김영희,조규영,김명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specify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3 nursing students in RN-BSN course work.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a clinical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used to collect data in one university in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canonical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Clinical decision making was related to nursing performance with single significant canonical variables while self-efficacy was related to nursing performance with two significant canonical variables. The first variate showed the higher two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showed the better nursing performance. The second variate indicated that nurses felt higher social self-efficacy showed lower independent nursing performance an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h analysis showed that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self efficacy. The selection of variables for identifying the effect on nursing performance should be considered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 among clinical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업무성과간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의 RN-BSN 과정생 93명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자기효능감, 간호업무성과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술적 통계, 다중회귀와 정준상관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성과 간에는 한 개의 정준상관이 확인되었으며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두 개의 정준상관이 존재하였다. 첫 번째 변량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은 독자적, 비독자적, 대인관계적 간호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과 정적인 상관성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두 번째 변량은 사회적 효능감이 높은 것과 독자적 간호업무를 잘 수행하지 못하며 대인관계적 간호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과 상관성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련성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총 설명변량은 =.32(F=43.14, p<.001)이었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은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성과간의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었고, 간호업무성과를 설명하는 데는 두 가지의 경로(임상적 의사결정->자기효능감->간호업무성과 vs. 임상적 의사결정->간호업무성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임상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 KCI등재

        일본법상 요양간호업무의 법적 책임

        김상찬(Kim Sang-Chan) 한국법학회 2006 법학연구 Vol.23 No.-

        오늘날 의료에서 간호가 차지하는 영역이 넓고 역할 또한 커서 간호의 질이 곧 의료의 질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으며, 간호업무의 작은 실수가 큰 의료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간호업무상 주의의무를 다하도록 하고, 그 방지책을 강구하는 것은 물론 사고가 일어난 경우에는 정의와 형평의 원칙에 따라 법률적으로 타당한 해결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간호사고를 둘러싼 법률문제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 문제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아직 적으며, 특히 간호사고 판례를 종합적으로 연구한 문헌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법제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간호사고 판례를 분석하여 이에 관한 법률문제를 명확하게 하려고 한다. 간호업무는 크게 '요양상의 간호'와 '진료의 보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간호사고 에 대한 법률문제를 분석ㆍ정리하려면 이 두 가지를 모두 살펴보아야 하지만, 본고에서는 우선 요양간호 업무Ub 한정하여 살펴보려 한다. 본고의 내용을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요양간호의 의의를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에서의 간호업무의 법제화 및 그 연혁을 개관하고, 간호업무의 내용이 어떻게 규정되고,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핀다. 둘째로, 의사의 지휘감독 아래서 행하는 진료보조 업무에 비하여, 간호사의 주체성 내지 독자성을 가지고 있는 요양간호 업무에서, 의사의 지시와 간호사의 업무행위와의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일본의 학설과 판례의 입장을 살펴보려 한다. 셋째로, 일본에서의 요양간호에 관한 판례를 요양지도, 경과관찰, 의사와의 연락, 환경관리, 환자관리 등의 제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마다 그 업무에 요구되는 주된 주의의무를 구체적 사안에 따라 분석하여 요양간호업무에 요구되는 주의의무와 법적 책임을 규명 하고자 한다. 본고는 향후 우리나라의 간호업무, 특히 요양간호 업무에서의 주의의무의 기준 마련과 간호사고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In today's medical care, the area occupied by nursing is so far-reaching and its role so expansive which could make it possible for us to say that nursing directly controls the quality of medical care. Subsequent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are major medical incidents due to minor mistakes made under the name of nursing. Not only should people responsible for nursing be attentive to their duties as well as coming up with measures to prevent such happenings, they should promote an appropriate legal resolution based on principles of justice and fairness in the event of any medical incidents. Viewed in this perspective, there is a need to make it perfectly clear all legal issues surrounding this field. Nursing duties can mainly be classified into two large categories which are 'nursing for convalescence' and 'assistance in medical treatments', In order to analyze and organize the legal issues related to nursing incidents, both areas need to be looked into but in this paper, in the interest of time and scope of the paper, it first tries to look into the area of convalescence nursing duties. The outline of the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convalescence nursing is looked into. In order to do this, the history as well as the legalization of nursing duties in Japan is enumerated, then how the contents of the nursing duties were stipulated, and how it has been changed. Secondly, in the convalescence nursing which has a certain amount of autonomy on the part of the nurse compared to the medical treatment assistance duties carried out under the doctor's supervision, it attempts to organize the stance of the hypotheses and cases regarding on what to d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tor's direction and the independent actions taken by the nurses during their work. Thirdly, the case studies regarding convalescence nursing are classified into convalescence guidance, observation of the progress, communicating with the doctor, environment management and patient management. Each case studies are categorized into their own unique type so that they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specific nature which is required by each job specification. At the same time, while considering its relationship with Liabilities in other types of duties, i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egal Liabilities and special duties required in the convalescence nursing,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ould assist in legal matters concerning nursing duties in Korea especially in the preparation of the standards in the special duties in convalescence nursing and clarifying the legal liabilities in nursing incidents in the future.

      • 간호업무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일부병원을 중심으로

        류규수,홍수환 慶山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1

        1. 연구의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업무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대구·서울지역 종합병원(400병상이상) 8곳에서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간호업무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 190명·병동간호업무종사자 251명·외래간호업무종사자 59명으로 총 500명이었다. 스트레스는 그 요인으로 업무량·간호기술·동료와의 역할분담·타의료요원과의 관계·상위직과의 관계로 나누었으며, 직무만족요인으로는 의사결정요인·집단갈등 요인·역할수행요인·개인사회문화요인으로 나누었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교육정도·근무처·종교·결혼여부·간호경력·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 간호직을 택한 동기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분석, 회귀분석, 상관분석.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업무종사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2.9177점으로 보통이다(3)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대상자의 전체 스트레스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본 바, 20세에서 24세군과 교육정도가 전문대졸군과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서는 기혼군에서, 간호직을 택한 동기에 있어서는 경제적 면을 고려한 군에서, 그리고 빨리 간호직을 그만두고 싶다군이 비교되는 군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더 심하였다. 셋째, 연령은 간호기술과 상위직과의 관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 경력에서도 업무량·동료와의 역할분담·상위직과의 관계에서 매우 유의했다. 넷째, 근무처에 따른 전체 스트레스정도는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가 병동간호업무종사자에 비해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했으나, 환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병동간호업무종사자의 스트레스가 더 높았다,(p<0.01) 다섯째, 대상자의 전체직무만족정도는 2.8668점이였으며(p<0.01), 특히 집단갈등 요인과 역할수행요인에서 더 높은 만족정도를 보였다. 여섯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경력·결혼여부·간호직을 택한 동기·간호직에 종사할 예정 기간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모든 스트레스요인과 직무 만족요인 중 의사결정요인과는 역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상관계수는 약하게 나타났고, 그 외의 관계에서는 (+)상관이었으나, 역시 상관성은 아주 약했다. 특이점은 업무량과 의사결정만족요인. 업무량과 역할수행만족요인은 상관계수가 다른 요인보다 다소 강하였으나, 그 관계는 보통의 관계를 가졌다. 2.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본 연구의 한계점은 표본선정의 대표성 문제였다. 즉 조사대상을 부산·대구·서울 지역 8곳 병원을 한정하였으므로 연구대상이 전체 병원의 간호업무종사자를 대변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개인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나. 스트레스정도 및 그 관계에 있어서는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를 스트레스와 관련한 연구들이 많지 않음을 감안하여, 연구를 시도하였지만. 표본대상자의 문제 및 연구서술상 스트레스에 더 치중하여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을 더 심도 있게 다루지 않았음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스트레스정도와 직무만족정도가 높은 정도는 아니였지만 대체로 상위직과의 관계와 업무량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다는 점에서 병원 경영자들은 간호업무종사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업무량을 적정화하는데 더욱 힘을 기울려야 할 것이고. 병원조직 중 간호조직이 타 조직보다 경직되어 있음이 본 연구의 결과와 기타 일반적 소견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 KCI등재

        간호사의 전문적 업무에 대한 국가 간 비교법적 연구 : 법적 근거와 업무 범위 표준화를 중심으로

        유자영,박지용 대한의료법학회 2024 의료법학 Vol.25 No.1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적 업무에 대한 범규범과 임상 현실의 실제적 차이에서 오는 법적 혼란 문제를 외국의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 으로 한다. 간호사의 업무 확대의 역사적 배경을 비교하고, 주요 국가의 전문간호사 등의 자격 및 업무에 대한 법적 근거 등을 살펴본 후, 이를 기초로 우리 법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비교 제도론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OECD 국가 중 미국, 호주, 일본을 선정하여 그 전문간호사 등에 관한 법제를 비교하였다. 미국, 호주, 일본 등에서 간호사의 전문적인 업무는 고령화 사회, 만성 질환, 의사 부족 등으로 인한 의료환경의 변화에 의해 출현하였다. 이들의 전문적인 업무에 관한 법적 근거, 자격인정 및 자격인정제도의 발전과 그 업무 범위 등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미국 등 외국 과 비교하여 아직 법적 근거가 부재하며, 전문간호사 등의 업무 범위에 관한 법원의 입장 과 실제 업무 간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전문간호사 등에 관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법안 마련과 업무 범위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mbiguity of work from the legal, social perspective, and actual performance differences in domestic nursing work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We compar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nurses’ expanded work through overseas situations, compare and analyze the legal basis for nurses’ qualifications and work in each country, and what changes they have undergone to clarify their work.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the absence of a legal basis for professional work of domestic nurses and seek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edical care. This study applied the case study method as one of the comparative institutional research methods. Among OECD countries,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Japan were selected and compared among developed countries that are solving medical gaps using nurse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Japan, and Korea, nurses’ professional work has been created by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due to an aging society, chronic diseases, and lack of doctors. We looked at the start of their professional work, the establishment of legal grounds, the timing of qualification recognition, the development of the credential system and scope of work. Foreign countries have legal grounds for their roles and tasks, but domestic countries are before legislation. The country still has not narrowed the ga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legislative and judicial branches and actual work,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healthcare system has been measured through overseas development cases.

      • KCI등재

        2015년 「의료법」 개정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언 - 간호사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차유경(Cha, Yu-Kyung)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1 No.-

        2015년 「의료법」 개정은 간호사 업무와 관련된 ‘모호성’들이 해소된 중요한 기점으로 볼 수 있다. 법 개정 이전 「의료법」은 간호사의 업무를 추상적으로 ‘간호’ 혹은 ‘진료보조’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여기에, ‘진료보조’를 간호사의 고유업무로 규정하면서도, 하위규칙에는 이를 간호조무사의 업무로 정하고 있어 법률의 정합성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 외에도, 의료기관의 간호조무사 대체 문제, 간호보조인력 양성 기관의 관리체계 부재 및 감염병에 취약한 병원 간호 환경 등이 주요 문제점들로 부각되었다. 2015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상기한 주요 문제들이 해소되었다. 간호사의 핵심 업무인 ‘간호과정’을 명확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간호사의 업무에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 기획과 수행 등을 신설 하였다. 또한, 하위 규칙에 간호조무사의 업무로 규정된 ‘진료보조’를 삭제하였으며, 간호사에게 간호조무사 지도권을 부여하였다. 간호보조인력 양성 및 관리와 관련해서는, 간호조무사 양성기관 관리체계를 확립하여 간호보조인력의 질을 관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간호인력들의 수급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도록 취업교육센터를 설치하고 지원하게 되었다. 한편,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하여 전세계가 팬데믹 사태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여느 때보다 사태의 중심에 서 있는 간호사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2015년 개정 「의료법」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하여 신종호흡기감염병으로 인한 병원 내 감염 문제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도입 이후 입법 취지에 맞는 순기능도 있었지만, 서비스 체계 미비, 간호사의 업무 과중, 스트레스 증가 및 불합리한 보상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간호사들의 감염병 실무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더 나아가, 간호사들에게 희생적 역할은 강요되고 있지만, 그들의 처우 및 업무 환경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개정 「의료법」의 주요내용 중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간호사와 관련된 부분을 제도, 교육 및 처우 부분으로 나누어 개선방향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첫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내실화하여야 한다. 의료기관별·질환별·중증도별로 병동을 세분화하고, 체계화 된 시스템 내에서 간호사를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본 서비스 운영의 방식인 ‘팀 간호체계 방식’을 간호사가 적극 주도 할 수 있도록 하여 2015년 개정 「의료법」에서 신설된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 활동 기획·수행 업무’ 규정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팀 간호체계 방식을 표준운영절차(SOPs)화 하여야 한다. 그리고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보호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서비스를 안정화 시킬 필요가 있으며, 서비스 병동을 환자질환별, 중증도별로 구분하여 이에 필요한 처치의 종류, 난이도, 방법 및 횟수 등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간호사들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간호사의 감염병 실무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코로나19와 같은 신종호흡기감염병이 대유행하게 되면, 간호사의 감염병에 대한 지식이나 실무 대응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들의 실무교육은 현재 보수교육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신종호흡기감염병과 유관한 교육들이 이론 위주로 소수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코로나19 사태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또 다른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신종호흡기감염병과 관련한 교육과정을 필수과목으로 증설하여야 하며, 특히 중증환자를 위한 기기사용법 등과 같은 실습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간호사 최저 임금제를 도입하고 의료인 법정 인력기준 준수를 강화하여야 한다. 코로나19 발생으로 간호사들에게 희생적 역할과 책임감 등을 강요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이들에 대한 처우와 업무 환경이 열악한 점에 대해서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는 간호사 배출 수에 비해 임상 간호사 수가 매우 적다. 그러한 이유는 ‘낮은 연봉 수준’과 ‘과중한 업무량’ 및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이 주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호사를 위한 최저 임금제를 도입하여 보건 전문직인 간호사들의 활동을 유인할 필요가 있으며, 낮은 연봉 수준으로 인해 저하된 동기를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 더불어, 간호사 법정 인력기준 준수를 강화하여야 한다. 현행 「의료법」과 「의료법 시행규칙」에 인력기준이 있지만, 대부분의 의료기관들이 이를 준수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간호사들의 업무가 과중하게 부과되고 근무환경이 더욱 열악해져서 간호사들이 이직을 하게 되는 등 많은 부작용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해 의료기관의 간호사 법정 인력기준 준수 여부를 철저히 감시하고, 위반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행정처분을 부과함으로써 해당 문제를 개선하여야 한다. 한편, 의료기관들이 간호사 법정 인력기준 미준수의 이유로 ‘낮은 의료수가에서 비롯된 병원 경영상 재정난’을 이야기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의무화’를 ‘의원급’까지 확대 할 필요가 있다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Law」 in 2015 can be seen a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where the ambiguity related to nurse work is resolved. Prior to the revision of the law, the 「Medical Service Law」 stipulated that nurses' duties were abstractly included only 'care' or 'assistance in medical treatment'.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istency of the law did not coincide with that, which is 'assistance in medical treatment' was defined as the unique work of the nurse and the subordinate rules set it as the work of the nursing assistant. Furthermore, problems such as the replacement of nursing assistants in medical institutions, the absence of management system of nursing assistant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hospital nursing condition vulnerable to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highlighted as major problem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Law」 in 2015, the above problems have been solved. The 'nursing process', which is the core task of nurses, was possible to clearly reflect. Furthermore, the work of the nurse was created to establish activities planning and performance for education and consultation to a person in need of nursing, planning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assistance in medical treatment', which is defined as a nursing assistant's job in the sub-rules, was deleted, and the nurse was given the right to supervise the nursing assistant. In relation to the training and management of nursing assistant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manage the quality of nursing assistants by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for nursing assistant training institutions, and established and supported 'Employment Training Centers for Nursing Work Force' to solve the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of nursing personnel.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the world faced the crisis of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 nurse who stands at the center of the situation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vised 「Medical Service Law」 in 2015 introduced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opening the possibility of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problem of infection in hospitals caused by new respiratory infection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through the re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Act」 in 2015, it has had a net function that fits the legislative purpose,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service system, overload of the nurse's work, increased stress of nurses and unreasonable salary. In addition, nurses' practical training on infectious diseases is being emphasized. Furthermore, although the sacrificial role of nurses is being compelled, their treatment and work condition are not being improv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im is to review that the major contents of the 「Medical Service Act」 revised in 2015 by dividing the part related to nurses into the system, education and treatment in context of so-called the post-corona world. First,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should be improved. The wards should be subdivided by medical institution, disease, and severity, and nurses should be assigned within a systematic system. In addition, the 'team-based nursing system', which is the method of operating this service, should be actively led by nurses so that the regulations of 'activities planning and performance for education and consultation to a person in need of nursing, planning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implementation' newly established in the revised Medical Law of 2015 should be utilized. To achieve this, the team-based nursing system should be standardized operating procedures (SOP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service by providing a protection system to relieve the stress of nurses, and the service ward is divided by patient disease and severity, and salary for the nurses correspondi

      • KCI등재

        교대 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최경란,허성은,문덕환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적으로 규명하여 간호 업무수행 성과를 제고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5년 3월 2일부터 2015년 3월15일까지 B광역시에 소재하는 모대학병원에서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 244부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는 3.57점, 간호업무성과 평균점수는 3.69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업무성과의 하위영역인 대인관계 업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간호업무성과의 지속적인 향상을 위하여 실제적 인 직무스트레스관리 중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교대근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효과적으로 관리된다면 질 높은 간호업무성과를 통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way of effectively managing job stress of shift work nurses,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shift work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through convergence research. A total of 244 questionnaires obtained by a survey targeting nurses, who were doing shift work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B city, in the period from March 2 to 15, 2015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3.57 points, and the mean score of nursing performance was 3.69 points. Job stress mad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dimensions of interpersonal duty.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more accurately identify shift work nurses' job stress and efficiently manage the nursing personnel. Moreover, if shift work nurses' job stress is effectively managed by preparing practical job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nursing performanc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will be provided through high quality nursing practice.

      • KCI등재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간호업무 인식, 수행도, 중요도에 대한 조사연구

        이수정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4

        2016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인식과 제공되는 간호업무에 대한 수행도와 중요도를 파악하고자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과 간호사들이며,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114개 업무분류, 235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연구대상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인식정도는 ‘알고 있다’가 가장 높았고,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도입 시간호의 질과 업무의 양과 간호사 책임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도는 ‘환자 간호 관리 및 정보관리’, ‘투약 및 수혈’ 등의 순이었으며,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간병통 합서비스사업의 확대 실시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간호업무의 양적 확대와 책임에 대한 부담을 높게 인식하 고 있으며, 직접 간호시간의 확대가 예상되므로 앞으로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효과적인 간호업무 관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urvey on total care services, to verify the perception,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nursing practice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nurses. The sample of the study were 93 nursing students and 38 nurses, A structured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mposed of 235 ite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0.0 to calculate frequencie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mount and responsibility of nursing practices in total service showed that ‘very much increase’was the mo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total care service by nutritional care and elimination ca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of total care service by respiratory Care.

      • KCI등재

        간호업무 관련 의료법 개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

        이유리,최성경,김인숙 한국의료법학회 2017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5 No.2

        On 29 December 2015, the Medical Service Act regarding nursing services was amended and enforced from 30 December 2016. Provision on nurse's task was vague under previous Medical Service Act, which had a gap with actual nursing field. Nurses' roles may be replaced by nurse assistants so that boundaries between two professions were blurred. Also, nurse assistants were in the blind spot of supervision and audit which needs to quality control mechan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revision of nursing services related Medical Services Act and reviewed significance and policy implication on revision. Firstly, nurse's mission and duties were specified. It recognized nurses role on health management professional which implies improved professionalism. Secondly, qualification management for nurse assistant was enforced. Nurse assistants are obtained accreditation of qualifications from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after completing the curricula prescribed and passing the national examination. An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for nurse assistants are assessed and accredited. Registered nurse assistants should declare their qualification as well as get refresher training. Thirdly, nurses give guidance on the assistance performed by nurse assistants which leads to division of mission and duties among nursing staffs. Future tasks of revised Medical Service Act are accumulating cases after amendment, developing supporting policy for management of nurse assistants, managing supply and demand on nursing staffs, and discussion of whole nursing professions including midwife, nurse practitioner, physician assistant, and others. 2015년 12월 29일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와 관련된 의료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최종공포 되었다. 기존의 의료법에는 간호사의 업무가 추상적으로 명시되어 있어 실제 간호현장에 부합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고 간호사 수급불균형에 대한 대책으로 간호사의 역할을 간호조무사가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호사-간호조무사간의 업무 경계가 모호해진 상황이었다. 또한 간호조무사의 질 관리 및 감독이 사각지대에 있어 질적 수준의 제고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업무와 관련된 의료법 개정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법 개정의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한 내용으로는 첫째, 간호사에 대한 업무는 의료법 제정 이후 64년 만의 첫 개정으로 개정된 의료법에서 간호의 전문성을 살리고 건강관리전문가로서의 간호사의 역할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간호사의 업무규정이 구체화되었다. 둘째, 간호조무사에 대한 자격관리가 강화되었다. 간호조무사에게 보건복지부 장관 자격을 부여하였으며, 간호조무사 교육훈련기관의 지정·평가제도, 간호조무사의 자격신고 및 보수교육제도가 도입되었다. 셋째, 간호조무사의 업무에 대한 지도권이 간호사에게 있음을 법률에 명시함으로써 간호인력 별 역할분담 및 적정 간호인력 공급의 틀을 마련하였다. 간호업무와 관련된 의료법 개정의 향후 과제로서 간호인력 간 업무범위 구분에 따른 사례축적, 간호조무사 관리체계 세부지침 마련, 간호인력 수급관리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내원유형별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개발

        김민선,김문실,김정아,정은주,허은화,홍화정,신혜선,정여원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원유형에 따른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간호업무 표준은 4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혈액투석 간호업무 예비표준안이 도출되었으며, 이후 간호학과 교수와 한국혈액투석간호사회 이사진의 검토를 거쳐 확정하였다. 2단계: 혈액투석실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인 간호사 3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이 시행되었고, 그 결과에 따라 수정보완이 이루어졌다. 3단계: 18개 의료기관 혈액투석실의 간호관리자 및 일반간호사 중 혈액투석실 근무 경력 2년 이상의 간호사 212명에 의해 혈액투석 간호업무 예비표준 수정안의 임상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이후 그 결과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4단계: 이전 단계를 통해 도출된 내원유형별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을 최종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4단계를 통해 외래환자의 경우 5개 표준, 9개 영역, 43개 간호행위를, 입원환자의 경우 6개 표준, 10개 영역, 50개 간호행위를, 중환자의 경우 4개 표준, 10개 영역, 43개 간호행위로 이루어진 내원유형별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내원유형별로 그 구성에 차이가 있었다. 또, 내원유형별로 제안된 간호업무 표준에 포함된 간호행위를 모두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서로 달라서 입원환자의 경우가 가장 길고, 그 다음은 중환자, 외래환자 간호업무 표준의 순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내원유형에 따라 혈액투석 간호업무의 수행시간이 다르다는 것과 따라서 적절한 혈액투석 간호사의 수 역시 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 간호인력 배치와 혈액투석 정적성 평가 등에서 혈액투석환자의 내원유형에 따른 간호사 업무량의 차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nursing practice standards of hemodialysis care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Methods: The standards were developed in four phases. Phase 1: The preliminary standards of hemodialysis care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 experts. Phase 2: Cont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34 professional experts and the standards were modified and revised. Phase 3: Clinical validity was evaluated by 212 hemodialysis nurses. Expert group validated and verified the final outcome. Phase 4: Final standards of hemodialysis care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were developed. Results: The standard of hemodialysis care for out-patients included 5 standards, 9 contents, 43 nursing activities. The standard for in-patients included 6 standards, 10 contents, 50 nursing activities. The standards for critical patients included 4 standards, 10 contents, 43 nursing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nursing activities according to admission type. Time required to meet the standard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time required for hemodialysis care and appropriate number of nurse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Different nursing workload according to admission type of hemodialysis patients need to be considered in allocating nursing man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