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이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박정혜(Park, Jeong-Hye),박미향(Park, Mi-Hyang),김영아(Kim, Yeong-Ah),배진현(Bae, Jin-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문제해결과정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D광역시 소재 간호대학의 교내실습 교과목 이수 경험이 있는 2, 3, 4학년 간호대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25일부터 11월 29일까지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Scheffé test, Pearson’s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은 평균 3.64점이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3.70점, 간호과정 수행능력은 평균 3.55점이었다. 그리고 문제해결과정은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문제해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비판적 사고성향(β=.54, p<.001), 간호과정 수행능력(β=.38,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의 설명력은 65.0%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을 높이기 위하여 간호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cess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25 to November 29, 2019 from 289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 taking in-school practical courses at a nursing college located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problem solving process in nursing students was 3.64 points, the mean score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70 points and the mean score for nursing process competence was 3.55 points. Problem solving proces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multiple regression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β=.54, p<.001)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β=.38, p<.001). These factors explained 65.0% of the variance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curriculum.

      • KCI등재

        성과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적용 및 내용 분석

        임지영(Ji Young Lim),고국진(Gug Jin K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간호관리과정의 5요소에 기반을 둔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구성틀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간호 대학생의 간호관리실습에 적용한 후 내용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간호관리실습 교육에서의 성과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105명 학생이 간호관리실습 과제로 제출한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보고서이다. 연구도구는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구성틀로 본 연구자가 간호관리과정의 기획, 조직, 인적자원관리, 지휘, 통제의 5요소에 기반하여 기존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활용된 브레인스토밍과 디브리핑 과정을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32개의 임상 간호 사례에 대해 간호 대학생은 간호관리과정 5요소별 간호관리 문제해결에 있어 1차 브레인스토밍과 디브리핑 과정에서는 79.6%의 적절률과 11.6%의 개념 오류율, 5.6%의 분류 오류율을 보인 반면, 재추론 과정인 2차 브레인스토밍과 디브리핑 과정에서는 94.6%의 적절률 상승과 0.0 % 의 개념 오류율, 4.4%의 분류 오류율 감소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구성틀이 간호 대학생의 간호관리과정 적용에 필요한 사고력과 논리적 추론 역량을 증진하는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간호관리실습과 간호관리 이론 교과목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임상간호사의 간호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직무교육 또는 보수교육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 다양한 간호관리 임상 현장에서의 후속 연구와 간호 대학생의 졸업 후 간호관리 직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적 코호트 연구도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management case simulation (NMCS) framework based on the five components of nursing management process and to apply it to clinical nursing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MCS reports submitted by the 4th grade 105 nursing students of an university. The research tool is a simulation framework for nursing management practice. It reflects the brainstorming and debriefing process used in the previous simulation exercise based on the five elements of planning, organiz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directing and control of the nursing management proces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32 nursing management cases were found to have 79.6% correct rate, 11.6% concept error rate, and 5.6% classification error rate in the first brainstorming and debriefing process for the five components of nursing management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brainstorming and debriefing process, 94.6% correct rate, 0.0% concept error rate, and 4.4% classification error ra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NMCS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nursing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cours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s well as simulation based job training and maintenance educations for clinical nurses. Therefore, we propose follow-up studies in various clinical nursing settings and a longitudinal cohor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ing management job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fter graduation.

      • 간호과정 임상적용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김정애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1 간호학탐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적용하여 환자특성, 관련요인, NANDA 간호진단, 간호중재분류, 간호결과분류 및 간호전문가의 지식 등을 이용한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의 임상적용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스템 접속빈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입력한 자료를 분석하여 시스템의 실용성을 평가함으로써 임상에서의 간호과정 적용과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전문가,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자를 연계한 지식생성, 지식저장, 지식고유/사용 등의 지식관리 기능을 적용하여 도출하였다.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와 스프트웨어 공학의 전통적인 수명주기를 근거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식요건 상세화 단계에서는 지식분류체계, 지식지도, 지식베이스 설계 및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및 간호진단 전문가 지식에 대한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2000년 6월 15일부터 8월 14일까지 2달 동안 조사지를 이용한 297명의 실제 환자의 임상사례로 간호진단 규칙을 도출하여 간호진단 전문가 지식을 수출하였다. 기술구조확정 단계에서는 Windows NT2000, MS-SQL, Web Server, Compaq Proliant 5500을 이용하여 A.S.P.로 Web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구조를 확정하였다. 지식베이스 개발 단계에서는 지식베이스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UI 개발 단계에서는 사용자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이 연구목적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 29일부터 11월 11일까지 2주동안 가상의 자료로 시스템 구축환경하에서 시스템을 검증하였으며, 11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는 인터넷상에서 검증하였다. 개발된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의 임상적용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시스템을 홈페이지에 개설하고(http://www.nursingprocess.com) 2000년 11월 17일부터 12월 7일까지 3주동안 Web상에서 설문조사를 하여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책임간호사, 수간호사로써 본 시스템을 사용한 51명의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5점 척도의 Likert scale에 의한 평가에서 정확성/신뢰성이 3.8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웹사이트(3.78), 편의성(3.74), 기준문항(3.72), 능률성(3.61), 시스템 개선(3.32) 및 형식/충분성(3.23) 순이었다. 사용자들이 시스템 사용에 대해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저장한 110예의 임상사례에 대한 간호진단·간호중재 ·간호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간호진단 규칙이 있는 34개 간호진단에서 총 416건의 자료 중 단 6건만이 간호진단 규칙에 해당되지 않는 자료로 나타나는 등 간호과정 지식관리시스템이 간호과정에 대한 지식관리를 잘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nursing process has been emphasized, teaching methods for clinical application of the nursing process are very limited. In order to increas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nursing proces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the Nursing Process was developed It includes patient characteristics, 'related' factors, NANDA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NIC),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NOC) and knowledge of experts in nursing.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validity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system, frequency of the system access, and end-user satisfaction was ascertained. The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llowed the existing steps of software engineering. In the first stage, content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ystem, knowledge map, knowledge-base design,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s, nursing outcomes and the expert's knowledge of nursing diagnoses were developed. In the stage for decisions on technical structure, a knowledge repository was built up with MS-SQL under the operating system of Windows NT 2000. Decisions on technical structure were made so as to provide a system to end-users with Web Server, Compao Proliant 5500 using the web program A.S.P.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base, the Knowledge-base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and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User Interface, the environment for end-user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f Nursing Process a homepage at http://www.nursingprocess.com was opened and the developed system was installed. Fifty-one users of this system participated in analysis of end-user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curacy/trustworthiness of the system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at 3.82. Website(3.78), user friendly(3.78), standard inquiry item(3.72), and efficiency(3.61)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scores. Finally, in the analysis of data on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s and nursing outcomes of 110 cases used by the system users, only 6 cases were found to have violated the rules of nursing diagno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f Nursing Process met the teaching objectiv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자기효능감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의 관계

        양선희(Sun-Hee Yang),심인옥(In-Ok S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자기효능감, 간호과정 수행능력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간호대학에서 간호과정 교과목을 수강한 2학년 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0일부터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자기효능감, 간호과정 수행능력과의 차이는 t-test, ANOVA, Kruskal-wallis 검정으로,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창의성, 자기효능감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연구결과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은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 간호과정 수행능력은 전공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자기효능감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및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간호과정 수행능력은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및 자기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증진 및 간호과정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지지 및 교육적 기반을 갖춘 프로그램 모색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eativity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46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2nd year of a BSN program in S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0 to June 20, 201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eativity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 was analyzed by t-test, ANOVA and Kruskal-wallis. Correlation among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eativity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with the reason for application, major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eativity and self efficacy. Nursing process competence was‘t a significant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eativity and self efficacy. Thes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self efficacy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e for student nurses.

      • KCI등재

        사례기반 적용 플립러닝이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비판적사고성향, 자기주도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임정혜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4

        본 연구는 사례기반 적용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간호과정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수행능력과 비판적사고성향,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과정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도 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의 간호과정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 34명이었고, 자료는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URL 온라인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사례기반 적용 플립러닝은 총 5회기로 진행하였고, In-class에서사례기반 간호과정 적용 활동을 하였고, 마지막 회기에 집담회를 진행하였다. 사례기반 적용 플립러닝 전후 차이 검정은 IBM SPSS 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기반 적용 플립러닝 후 간호과정 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효능감이 교육 전보다 유의하게 높아졌다. 또한 교육 후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비판적사고성향,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효능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비판적사고성향과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사례기반 적용 플립러닝 간호과정 교육이 간호과정 수행능력 향상과 비판적사고성향,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효능감 향상에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간호과정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비교연구 : 원격교육 및 웹 기반 간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영숙(Park, Young Suk),전명희(Jun, Myunghee),이준아(Lee, J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간호학사편입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의 원격간호교육제도 및 교과과정 현황과 경험사례를 연구하여 원격간호교육 및 웹 기반 고등교육의 발전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고찰, 문서자료의 수집과 교수자 심층 인터뷰에 기반하여 국립 원격대학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 미국의 위스콘신 주립대학교 그린베이 원격간호학사과정의 역사 및 조직, 입학제도 및 성과, 교육목적 및 학사 운영, 교과과정,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를 파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교육기관은 교과과정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에서는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정체성과 실무 역량, 이론과 연구, 근거 기반 간호 실무, 리더십, 간호 이슈 등에서 유사성을 보였으며, 문화기반간호, 간호 실무에서의 통합성, 자율적·치료적 간호 중재, 변화 주도자로서의 간호사 역할, 평생 학습자의 책임, 현장실습 운영, 해외지역사회간호실습 등을 강조하는 측면은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를 위한 국내 원격 및 웹 기반 고등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간호 실무현장과 밀레니얼 간호사의 요구와 변화를 반영한 특성화된 차세대 원격 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둘째, 졸업 소요 학점 축소, 등록금의 자율화 등 전문직 성인학습자의 특수성·자율성을 존중한 융통성 있는 학사운영정책, 교수 및 학습지원전략과 정보전산운영시스템 지원의 동반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 환경 변화에 대비한 효과적인 원격간호교육의 교수학습 모델과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istance higher nursing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N-BSN program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Wisconsin-Green Bay. The data of literature review, collected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tilized. The two univers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students, faculties, tuition fee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But in aspects of the purpose,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the identity and competency of professional nurses, theories, research,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leadership, and nursing issues were simila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emphasis on community practicum or field trip courses, culture-based nursing, integration in nursing practice, autonomous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s, change leader and lifelong learner’s responsibilities. In conclusion, the future of distance higher nursing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es in Korea requires first, development of specialized next-generation distanc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and changes of clinical nursing field and millennial nurses, second, flexible academic policies,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trategies that respect the specificity, diversity, flexibility, and autonomy for life long learner accompanied by support of information computing systems. Thir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effective distant nursing education to prepare for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are needed.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윤인경,장명희,이현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e Nurs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researching on operation,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of the program of Nurs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Nursing-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is study has analyzed previous existing studies, Link of School info, Educational Statistics and data indicating establishment, operation and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which have been collected from web sites of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relevant to Nurse Educ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2016, out of a total of thirty eigh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in the country, 6.4% of the schools have nursing educational programs. These schools have established the programs under various names, such as Health Nursing, Dental Health Nursing, Nursing, Nursing and Medical Tourism, Accounting in Nursing and Nursing Management, etc. Since 2012, enrollment rates have increased while post-graduation employment rates have decreased, with the average employment r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ving reached up to 46% by 2015. 2) The Nursing-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ims to create skilled Nurses Assistant such as Nurse Aide and Care giver. The program is successful in providing necessary courses to acquire required certification and proficient field experience but requires revisional changes in order to create a long-term program of sufficient qualification. The official requirement of 780 hours of field practice was completed during the three educational breaks from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o the second year, while the curriculum was conducted separately in the field hospitals. 3) An average of two laboratory classrooms were available based on the facility requirement standard of Cities and Provinces Educational Policies. In order to secure proficient instructors of Nursi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specific indicated subjects, regional placement, in-service education, research and supervision are essential for establishing excellence and continual impro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육의 운영 현황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육환경 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간호과 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학교알리미, 교육통계연보 등 간호관련 학과 개설 및 운영 현황 자료, 학교 교육과정, 각 기관 및 협회의 홈페이지에 소개된 공시 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 1학기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중에 간호과를 개설·운영하는 학교는 총 38개교로 전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약 6.4% 정도이다. 이들 학교는 주로 보건간호과, 치의보건간호과, 간호과, 의료간호관광과. 간호회계 및 간호경영과 등의 명칭으로 개설하였다. 간호과 졸업생은 2012년 이후 취업률과 진학률간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으며 2015년에는 특성화고등학교 전체 평균 취업률인 46% 수준이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는 인력양성 목표를 간호조무사 양성에 두고 관련 취득 자격으로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 등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간호과 교육과정은 자격 취득 요건, 현장 직무 수행에서 필요한 역량과 관련한 과목들을 편성하고 있었으나 간호과 교육과정의 충분성, 자격과 교육과정 편성과의 정합성 등을 검토해야 한다. 법적 요건인 780시간의 현장실습은 주로 1학년부터 2학년까지 3번의 방학을 통해 병의원 현장에서 별도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간호과 교육의 물적 환경은 전공별로 2개 정도의 실습실과 학생 규모를 고려한 시도교육청의 시설설비 기준을 적용하여 비교적 기본 환경을 구축 활용하고 있었다. 인적 환경인 교사 확보는 간호 표시과목이 없음에 따라 표시과목의 개설, 지역별 배치 기준의 검토,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수 및 연구, 장학의 지원을 위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임상실습에서 적용된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진단 진술문 분석

        김수연(Soo Yeon Kim),신용순(Yong Soo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적용한 간호과정 진단 진술문을 분석하여 질 평가 및 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간호과정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2017년 2학기, 2018년 1학기에 작성된 간호대학생의 사례연구보고서 99례에 나타난 간호과정 전 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진단 빈도는 ‘급성통증’, ‘불안’, ‘비효과적 기도청결’, ‘피부통합성장애’, ‘비효과적 호흡양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진단 진술문의 질은 대체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특성을 반영하는 적합도에서는 ‘비효과적 기도청결’과 ‘급성통증’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효과적 호흡 양상’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습 교육자는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들이 사정을 면밀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간호과정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diagnosis statements of nursing processes applied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quality evaluation and suitability and providing educational directions for nursing processes. This is a retrospective and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e nursing processes presented in the case study were obtained from 99 nursing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s of 2017 and first semesters of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1.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nursing diagnosis was shown in the order of “acute pain,” ”anxiety,”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impaired skin integrity,” and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s,” where the quality of the diagnosis statements was generally good. With regard to accuracy that reflect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and acute pain ranked highest, while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s ranked lowest. Nursing educators need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and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so that nursing students can closely carry out assessm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apply nursing processes correctly.

      • KCI등재후보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팀워크 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임미혜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들의 팀워크 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에 의한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47명으로, 자료수집은 2020년 9월 1일부터 2020년 12월 1일까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수업 운영 후 간호대학생들의 팀워크 역량 (t=-3.040, p=0.004), 비판적 사고성향(t=-2.847 p=0.007) 및 간호과정 자신감(t=-4.187 p=0.001)이 모두 사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교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들의 팀워크 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자신감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according to teamwork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conducted on 43 nursing students in C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st to December, 2020. After the cours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eamwork competency (t=-3.040, p=0.00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2.847 p=0.007)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t=-4.187 p=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various subjects in order to improve the teamwork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객체지향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기반한 간호과정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활용

        박현상,조훈,홍성정,김화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과정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객체지향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기반한 간호과정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는 NANDA 2015-2017, NOC 5th edition, NIC 6th edition의 자료를 코딩하고 객체지향적 관점에서 자료 구조를 설계한 클래스 다이어그램에 기반하여 적합한 엔티티를 생성하였다. 간호과정 데이터베이스는 분류체계, 환자 정보 및 간호과정, 사용자 정보 엔티티로 구성되었고, 모든 정보가 사용자 및 환자 정보 엔티티에 종속되는 독립된 구조를 가진다. 즉, 개발한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과정 없이 핵심 엔티티와 그 관계만 재설정하여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 및 통합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지향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와 Java Swing, JDBC Connector를 이용하여 간호과정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를 개발하였다. 향후 연구는 간호실무의 표준화와 간호과정 매크로 기능과 타 정보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표준 프로토콜 전송 기능을 추가한 완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nursing process database based on the object-oriented databas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computerization program. The database coded the data of 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 2015-2017,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5th edition and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6th edition, and it produced the appropriate entities based on the class diagram to design data structure in an object-oriented perspective. The nursing process database is composed of classification systems, patient information and nursing process, user information entities, and it has the separate structure that all of the information is dependent on user and patient information entity. That is, the database developed can integrate and develop the computerized program without a separate process by resetting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entitie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se object-oriented database model, this study developed a part of the nursing process education program by using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Java Swing, JDBC Connector. The further studies are scheduled to develop the complete program which includes standard protocol transfer function for the standardization of nursing practice,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other information systems, and the nursing process macro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