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실의 환경변화 효과 검증 사례연구- 집과 같은 보육환경 디자인 개념을 중심으로 -

        최목화,박정아 한국주거학회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9 No.6

        In this study, four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nvironmental needs, placeness, activity areas configuration, and classroom atmosphere were set as key elements for configuring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environmental changes to the 2 years old children class of child care centers. The comparison of the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with the assessment tool resulted in a noticeable difference. Children's environmental demands show increased mobility and sense of control. In addition, the integrated activity area was shown to be more functional and generally improved in terms of home atmosphere and placenes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sufficient space was available to promote movement and the need for rest areas that could be provided as private areas was important. Second,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class should be emphasized so that it can be more like home than other age groups. Third, rather than segmenting activity areas, they should be able to flexibly adjus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ace, and space should be provided to secure the entrance area so that parents, teachers and infants can meet and break up as social spaces. 본 연구는 어린이집이 집과 같은 환경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환경개선을 위한 사례 연구로서 집과 같은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인 Olds(2009)의 아동의 환경적 요구, 장소성, 흥미영역의 구성, 분위기의 4가지 특성을 주요 이론적 개념을 적용하여 선행 연구에서 유아반 보육실을 대상으로 환경변화를 시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여 영아반 보육실을 대상으로 환경변화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어린이집 영아반 환경구성의 함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보육실 환경 개선 전후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개선전후 환경을 평가도구에 의해 비교해 본 결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동의 환경요구측면에서는 움직임과 조절감이 상승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통합된 흥미영역구성은 기능성을 높인 효과로 나타났으며 분위기와 장소성 측면에서도 전반적으로 개선되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사례연구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시도한 영아반 보유실 환경변화 효과검증결과 움직임을 촉진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와 사적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는 휴식영역의 요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와의 시각적 연계성과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한 테라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시사된다. 영아반 구성은 유아반과는 달리 다양한 흥미영역보다는 움직임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구성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제한된 공간내에서 여유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흥미영역을 통합하거나 공간을 수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고안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아반 보육실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다른 연령대보다 더 집과 같은 분위기가 될 수 있도록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영아들은 양육자와 떨어져 최초로 집이 아닌 공간을 경험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어린이집의 적응의 문제를 위해서는 집과 같은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인 보육실의 분위기를 집과 같은 친밀감을 주기 위하여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구와 교구장 같은 획일적인 높이의 가구만을 배치하기보다 높낮이의 변화를 주면서 바닥차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라이져가 추천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영역을 세분화하기 보다는 통합영역을 구성하여 공간의 크기에 따라 융통성있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입구영역을 확보하여 사회적 공간으로서 부모, 교사, 영아들간의 만남과 헤어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이 제공되어야 함을 본 연구의 환경변화 결과 검증되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과 같이 지금까지 영아에 관한 연구와 영아발달에 적합한 보육환경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저연령의 영아기부터 어린이집에서 보내야 하는 영아의 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서 영아연구와 함께 영아발달에 적합한 환경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염상섭 소설의 장소성과 여성인물형 연구: ‘하숙집’과 ‘하숙집 여주인’을 중심으로

        이선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9

        In Yeom Sang-seop’s novels, love is not psychological but always connected with the specific life of reality, and money and love are inextricably linked. The typical space and figure that reveals the love view and novel composition of Yeom Sang-seop’s novel is the boarding house and landlady. The landlady can easily meet men compared to other housewives, but even if she goes out of the order of patriarchy, she should use ‘body’ instead of ‘house’ as material. It is a borderline female type. ‘Borderline’ is a property that shows the sence of place of the boarding house. The boarding house, which appeared with the modern individual who left the house, is a place where public and private spaces, economic and intimate areas, modern values and pre-modern values are mixed together without being completely integrated. It also plays a role in visualizing the sence of place and gender bias. This hybrid and borderline character of the landlady and the boarding house also reads this character and place as a representation of the chaos and rift of the liberation perio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lthough the authority of men generally fell due to war, unemployment, and poverty, the idea of the feudal patriarchal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Even if the husband dies, the wife must remain in the patriarchal order so that the wife can only benefit from the patriarchal inheritance. The heritage of husband means not only the house on the physical basis but also the values and order of the men who purchase and own such a house. However, these novels do not end with Kee Hyun’s mother being taken the house by her husband’s brother, but they even suggest that the house will disappear with business funds. This reveals the power and logic of capitalism, which is rising more powerfully than the feudal patriarchal inheritance. Thus, the fall of Ki-hyun’s mother can be seen not only as her ethical corruption or its social punishment, but also as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the order of the feudal patriarch, symbolized by her husband. This does not mean that Ki hyun’s mother is completely free from the ideology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In addition to Ki-hyun’s mother, it is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no one can easily escape, and the logic of capital and patriarchal, which was somewhat secretly confined in the pre-modern period, acts as a more explicit “patriarchal capitalism” after liberation, managing and commercializing women’s sexuality. Outdoor women, now unprotected from patriarchy, must face naked with the more wicked and bloody realities of reality. The affection of the landlady, who is not a new woman and unstable in her material foundation, is horribly insulted and trampled under secular realities. However, Yeom Sang-seop’s depiction of this world cannot be seen as “supporting the greatness of patriarchy from the beginning” or “to accept and totalize patriarchal capitalist ideology”. This is because female characters as ‘modern individuals’ appear behind the narrative of failure. 염상섭 소설에서 사랑은 현실의 구체적 생활과 결부되어 있으며, 돈과 사랑은 분리불가능한 관계로 얽혀있다. 염상섭 소설의 이러한 애정관과 소설적 구도를 전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공간과 인물이 바로 돈으로 거래되는 사적 공간인 ‘하숙집’이며, ‘하숙집 여주인’이라는 인물형이다. 이 장소성과 인물형을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속성은 ‘경계성’이다. 하숙집 여주인은 신여성은 아니지만 경제활동을 하는 일종의 직업여성으로, 일반 가정부인들보다는 쉽게 남자들을 접할 수 있으나 조금만 가부장제의 질서 바깥으로 나가도 집 대신 몸을 물적 토대로 삼아야 하는 경계적 여성형이다. ‘하숙집’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경제활동 영역과 친밀성의 영역, 근대적 가치와 전근대적 가치가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채 혼재하고 있는 곳으로, 그동안 은폐되어 있던 집의 중층적인 장소성과 젠더 편향성을 가시화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하숙집 여주인’과 ‘하숙집’의 혼종적이고 경계적인 성격은 이 인물형과 장소성을 해방기의 혼란과 균열을 드러내는 표상으로도 읽게 한다. 「일대의 유업」은 기현 모가 남편의 동생에게 집을 빼앗기는 것으로만 끝내지 않고 집이 장사 밑천으로 사라지게 될 것까지 암시함으로써, 봉건적 가부장의 유업보다 막강하게 부상하고 있는 자본의 힘과 논리를 함께 드러낸다. 따라서 기현 모가 지주부 동생에게 집을 빼앗기고 몰락하는 과정은 단순히 기현 모의 윤리적 타락이나 그에 따른 사회적 처벌만이 아니라 지주부로 상징되는 봉건적 가부장의 질서 자체가 붕괴되는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그렇다고 기현 모가 자본과 가부장의 논리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전근대 시기에는 다소 은밀하게 결탁되어 있던 자본과 가부장의 논리는 해방 후 훨씬 노골적인 ‘가부장적 자본주의’로 작동하며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관리하고 상품화한다. 신여성도 아니고 물적 토대도 불안한 ‘하숙집 여주인’의 애정은 이 세속적인 현실 속에서 처참하게 모욕당하고 짓밟힌다. 그러나 염상섭이 이러한 세계를 그려낸 것이 “가부장적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고 이를 전면화”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는 없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실패의 서사 이면에는 이 완강한 사회-장에 균열을 내는 ‘근대적 개인’으로서의 여성인물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 분포의 공간적 불균형과 그 대책에 대한 고찰

        설선미(Seol, Seonmi),이태수(Lee, Taesoo),심미승(Shim, Miseung),장건춘(Jang, Guhn-Ch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는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어린이집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재정지원을 확충하고 있지만 지역의 어린이집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의 도시지역과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집의 분포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어린이집 분포의 공간적 불균형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어린이집 정책의 문제점을 전라남도의 도시지역(5개 시)과 농어촌지역(17개 군) 간의 차이를 중 심으로 분석한 결과, 영유아 1,000명당 어린이집 수는 도시지역은 10.9개소인 반면 농어촌지역은 6.2개소로 큰 차이를 보였다. 각 시・군별 평균 어린이집 수 또한 도시지역(147.8개소)과 농어촌지역(15.4개소)의 격차가 매우 컸다. 어린이 집의 사각지대라 볼 수 있는 보육시설이 전혀 없는 동이나 면은 총 78곳으로 이 중 도시지역은 8개 면이며 이곳에 거주하는 영유아는 560명으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전체 영유아의 0.7%로 나타났다. 반면 농어촌지역에서 보육시설 이 전혀 없는 면은 70개로 이곳에 거주하는 영유아는 5,269명이며 이는 전체 농어촌지역 거주 영유아의 11%에 이르 는 수치이다. 상대적으로 부모들이 선호하는 국・공립 어린이집의 수도 도시지역(87개소)과 농어촌지역(28개소)간의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향후 보육정책은 이러한 도・농간의 차별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보육수요조사와 수요자의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daycare centers do not reflect local daycare demand enough although government has increased facilities and financial supports to solve the low birthrate as a social problem. This study tried to examine spatial inequality of daycare center distribution by comparing the number of daycare facilities between city and rural communities in Jeollanam-Do.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city (5 Cities) and rural area (17 Guns) in Jeollanam-Do,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vailable facilities per 1,000 children between Cities (10.9 facilities) and Guns as rural area (6.2 facilities). The average number of facilities in each City and Gun also showed a large discrepancy as a City has 147.8 facilities and a Gun has 15.4 facilities, respectively. There were total 78 Dong or Myeon with no facility at all as a dead zone of daycare, and 8 of them were Myeons in cities with 560 children, which accounted for 0.7% of total population of children in cities. On the other hand, 70 Myeons in Guns with 5,269 children have no facilities at all, which accounted for 11% of total population of children in Guns. Public facilities that parents prefer were more in cities (87) than Guns (28).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childcare policies with minimizing discrepancies between city and rural area and investigating more accurate local demands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집-나무-산’의 공간기호체계 연구

        정유화(Jeong Yu-hwa)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5

        정지용의 시 텍스트는 ‘上/下’의 대립적 코드를 변환해 가며 ‘집-나무-산’이라는 수직상의 공간기호체계를 건축하고 있다. 먼저 ‘상/하’의 대립적 코드로 건축된 ‘집’의 기호체계를 보면, 오로지 自我(지상)와 神(천상)의 교섭만을 중심으로 수직 운동을 한다. 그의 집은 그 수직 운동에 의해 집의 내부와 천상의 세계가 소통ㆍ융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의 집은 세속적, 육신적인 집에서 정신적, 종교적인 집으로 전환한다. 하지만 ‘집’의 기호체계는 그 특성상 안팎의 운동을 하기는 쉬워도 상하의 운동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집’의 변환코드로써 ‘나무’의 기호체계를 창조하게 된다. ‘나무’의 기호체계는 ‘집’처럼 천상으로만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땅속으로도 동시에 운동하는 수직성을 보여준다. 천상으로의 운동은 神의 성령을 수육하려는 운동이고, 땅속으로의 운동은 원죄의 땅인 ‘검은 흙’을 정화하려는 운동이다. 그리고 이 ‘나무’의 기호체계는 신적인 삶의 원리를 매개해주는 것으로서 육체적 자아를 영혼의 자아로 재생시켜주는 의미작용을 한다. 하지만 문제는 자아와 神이 이미 완전한 합일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텍스트를 지속적으로 산출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그는 ‘나무’의 변환코드로써 ‘산’의 기호체계를 창조하게 된다. 지상과 천상을 매개하는 ‘산’의 기호체계는 ‘나무’의 범주를 벗어나 인간적 삶의 원리와 자연적 삶의 원리를 보여준다. 그래서 ‘산’의 기호체계는 두 층위의 의미작용을 한다. 그중의 하나는 산정을 향한 그의 등정이 다름 아니라 곧 인간적 기표를 해체하고 사물로서의 기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이와 달리 인간적 가치를 지닌 ‘산장(방)’을 수직상승하게 하여 그 속에서 산정과 천상의 세계를 향유한다는 층위이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집-나무-산’의 수직적 공간기호체계를 수평으로 눕힌다면, ‘집-기차-배’의 수평적 공간기호체계와 대응하게 될 것이다. The texts of Jeong's poems switch the codes of 'up' and 'down', and thereby construct a symbolic system of space: 'house-tree-mountain'. The symbolic system of 'house' constructed from these two opposite codes first shows a vertical extension centered on the sole connection between God and the Self. This extension permits the house described by Jeong to connect and unify its interior space and the Heaven. The house is converted accordingly from its physical and secular nature to a spiritual and religious charac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is symbolic system represents an upward-downward extension though susceptible to the inward-outward counterpart.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Jeong creates another symbolic system of 'tree' instead as a switching code. The symbolic system of 'tree' does not merely indicate an upward extension to the Heaven, as does that of 'house', but also reveals its simultaneous vertical nature of downward extension underneath the Earth. The upward extension is a motion of embodying the spirit of God, and the downward counterpart a motion of purifying the 'black soil' of the Earth of the Sin. The symbolic system of 'tree' also signifies the reproduction of the spiritual Self from the physical as a mediator of the principles of divine life. The problem is however that, because God and the Self have already been unified here,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such texts constantly. Accordingly, Jeong devises another symbolic system of 'mountain' as a switching code for that of 'tree'. The symbolic system of 'mountain' mediating between the Earth and the Heaven while freeing itself from the bounds of the category of 'tree' shows the principles of human and natural life. Therefore, this symbolic system has two layers of signification. One of these two layers signifies that Jeong's climb towards the summit of a mountain deconstructs the signifier of being human and becomes a true signifier as being a thing. Unlike this layer, the other signifies that the vertical rise of the mountain hut or cabin bearing a human value alludes to the enjoyment of the Heaven's world and the mountain's summit both in that shelter. The horizontal layout of the vertical symbolic system of 'house-tree-mountain' in this structure enables it to correspond to a horizontal symbolic system of 'house-train-boat'.

      • KCI등재

        초등학생 그림에 나타난 이상적인 집과 거주환경의 특성 - 2014년 전라북도 건축문화제 ‘내가 살고 싶은 집’ 그리기대회를 대상으로 -

        박성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2014년 제2회 전북건축문화제 ‘내가 살고 싶은 집’ 그리기대회에 전북지역 초등학생의 그림을 분석해서, 현 재 초등학생이 지닌 이상적인 집과 거주환경의 특성을 도출했다. 208명의 대회 참가자는 여자 72.6%, 저학년 69.8%, 현재 아파트 거주자가 75.0%로 구성되어 있다. 고학년의 그림에서 현실을 주제로 한 집이 다수였고,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효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북지 역 초등학생들이 지닌 이상적인 집과 거주환경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물리적 속성인 주택으로서 이상적인 집은 전통적인 박공지붕 형태의 단독주택이다. 둘째, 나무, 산, 물 등 자연을 대표하는 요소가 자리잡은 마당과 그 중심에서 선호하는 놀이를 통한 즐거움, 기능을 충족시키는 생활기구들의 배치 가 보여주는 편리함 등이 집의 이상적인 거주환경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그림에서 집은 나를 포함한 가족과 친구, 애완동물들이 그려져서 집이 지닌 가족의 의미가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역설적으로 전북지역 초등학생에게 이상적인 집과 거주환경은 현실과 상반된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 동주택 계획 시 아동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집과 거주환경을 반영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초등학생 자 녀를 둔 부모는 도시의 아파트를 벗어나 아동들이 지닌 집에 대한 공간체험으로 현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 다. Analysing the drawings of ‘My Desirable House to Live’ Drawing Competition in 2014 Jeonlabuk-do Architectural Festival,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ideal house and dwelling environment ar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survey, a total of 208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competition, they were composed of 72.6% of female students, 69.8% of lower grades and 75.0% of apartment residents. The gap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s is very effective and higher grades picked frequently the real theme. Firstly, The form of ideal house is a gabled single house located in the rural areas. Secondly, ideal dwellings are completed by a natural court, play ground and equipment. The court filled with the representative elements such as trees, greens and water space has a main role in the drawings. Childre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ir play. They express the sense of convenience through the equipments such as furniture, fabric, mechanical electrical system. Lastly, family or friends, pets including me means also the house. Paradoxically, the analysis produces a result exactly opposite to its reality. Although children are very keen to be influenced by environment, they can’t take the lead in decision of dwelling. So, specialists have to design a space on the basis of this conclusion. If parents have an elementary school child, it is necessary to let him experience an ideal space.

      • KCI등재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 의 상상력

        심재휘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2 No.-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Especially,an imagination of a house is applied for the reading texts. As a literary motif,a house connotes a space of happiness and protection. In some cases, it means even a hometown or a motherland. But, Hwang didn't make use of a house as a space of happiness and protection. An imagination of a house on Hwang's early poetry was a just symbol for representing tragedy of life. And it was symbolized for showing despair of a person who face a tragic world. As a result of that, all doors and windoors were closed in a text. This appearance was closely connected with an imagination of incarceration. On the other hand, an imagination of a house got change into another one. Hwang was getting realize that his country was just a weak and small nation,just a divided country after his studying abroad. So, trying to open the door was expressed many times on the poetry. Moreover, he knew that watching the other's house wa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e poet Hwang strived to reveal a significant of a community. He realized that a worry about a real world comes after everything else. 이 글은 황동규의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의 상상력을 통해 당대 그가 보여주었던 시 쓰기의 방법론을 해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문학적 주제어로서집 은 비호성(庇護性)의 행복한 공간이다. 대체로 집 은 가옥과 가족, 그리고가정의 의미를 내포하는 공간으로서 우리 시문학사에서는 마음의 본향인 고향과 조국의 의미로 외연을 넓히기도 한다. 그러나 황동규의 시에 등장하는 집 은 화자가 거처하는 공간 이상의 의미를지니지 않을뿐더러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나를 보호하는 구조물로 기능하지 않는다. 초기 시의 특징인 비극적 인간 혹은 쓰러지려는 의지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는 도구로써 집은 상징화된다. 그러한 연유로 시에 등장하는 집은 외부와내부를 구분하고 나아가 집안과 집밖의 소통을 불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나타난다. 집안과 집밖의 통로인 문 이 대부분 닫혀 있어서 그러한 느낌은 더욱 강하다. 이와같은 현상은 첫 시집 『어떤 개인날』과 두 번째 시집 『비가』에 만연한 유폐적 상상력의 소산이다. 한편, 세 번째 시집 『태평가』와 네 번째 시집 『열하일기』에서는 집의 상상력 이 변모한다. 젊은 시인의 열정이 생활인의 감각으로 바뀐 탓도 있지만 두번의 외국 생활에서 얻은 구체적 현실 경험이 변화를 이끈다. 우리나라가 분단국가이자 약소국가라는 뼈저린 체험은 그의 시적 인식을 좀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영역으로 밀고 간다. 집안과 집밖을 소통하려고 하는 태도는 문엶의 의지로 연결된다. 집 밖의 엄혹한 세계를 있는 그대로의 현실로 그려내는 경우가늘어난다. 자신의 집안밖에 머물러 있던 화자의 시선은 곤궁한 타인들의 집으로 향한다. 황동규의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은 대체로 시적 화자의 내면을 상징한다. 앞 선 두 시집에서 황동규는 닫힌 문 안쪽의 상황, 그러니까 유폐된 자의식을드러내는 데 주력하였다면 이후의 두 시집에서는 집안과 집밖의 소통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인 집의 소중함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표현을 할애한다.

      • KCI등재

        『退溪集』의 體裁와 그 意味

        鄭錫胎(Jung Suk-Tae)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3

        『退溪集』은 우리나라 古文集의 표본이 된 문집이다. 이『退溪集』은 그 이전까지의 문집과는 달리 書簡이 중심이 된 문집이다. 『退溪集』 이전까지의 문집에서 書簡은 散文의 한 종류로, 작품성이 높은 일부 것들만 수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退溪集』에서는 書簡이 양적으로 문집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비중 있는 것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書簡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退溪集』에서는 그것을 對方人物을 기준으로 ‘時賢.知舊.門人.家人’의 네 부류로 분류해서 편집하였다. 時賢은 당시의 名士들이며, 知舊는 실제 벗을 포함한 친분을 갖고 교류한 인물들이며, 門人은 당시 退溪學團을 형성한 제자들이며, 家人은 집안사람들이다. 이 네 부류에는 退溪가 활동하던 당대의 주요인물들이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보낸 書簡 내용에는 학문적인 것에서부터 정치ㆍ사회ㆍ문화 전반에 걸친 그 시대의 주요한 관심사가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한 마디로 退溪는 書簡을 매개로 당대 조선의 전 지성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정치.사회.문화.학술 전반에 걸친 주요 관심사를 화두로 소통한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전면에 부각시켜 편집된 문집, 다시 말하면 書簡이 중심이 된 문집은 작품과 그 창작활동이 중심이 된 전래의 문집이 아닌, 인간과 인간관계가 중심이 된 문집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退溪集』의 경우, 書簡의 경우에만 書簡 왕래가 있는 인물들과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詩文 작품에서도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 있다. 『退溪集』이 간행된 이후 그 체재를 따른 우리나라 古文集에서는 이러한 면이 더욱 두드러진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문집이 그 문집의 저자와 그 저자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힌 채 역동적으로 움직여가는 인간관계의 망을 보여주는 하나의 작품으로 읽히는 경우도 흔하게 발견하게 된다. 우리나라 고문집의 상황이 이와 같다면, 앞으로 古文集을 읽을 때 그와 같은 측면에 특히 초점을 맞추어서 읽어야 할 것이다. 『T'oegye Work Collection』 is a literary collection mainly consisting of letters. The literary collections prior to 『T'oegye Work Collection』 generally treated letters as a kind of prose and included those with high literary values. But the letters not only account quantitatively for two thirds of the entire 『T'oegye Work Collection』, but the vast majority of them are qualitatively outstanding. Likewise, as the letters outweighed the other forms of literary works in 『T'oegye Work Collection』, it compiled them on the basis of who received his letters by dividing them into the four categories of ‘sages, close acquaintances, pupils, and family members.’ Sages were celebrated individuals at that time; close acquaintances were those with whom T'oegye had a friendly contact, including his friends; pupils were those who had been taught by T'oegye and formed the T'oegye academic circle; and family members were literally his family members. Most of the influential figures at a time when T'oegye was active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were contained in the four categories. And the letters which T'oegye sent them dealt with almost all the significant concerns at that time as to the whole aspect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not to speak of academic issues. In short, T'oegy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intelligent community of then Chosun by using letters as a medium and communicating with them by treating major concerns as prime topics regarding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academy. His work collection, which was compiled with those aspects emerging at the front, has no choice but to be described as a collec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not a traditional collection focusing on works and creative activities. In particular, in case of 『T'oegye Work Collection』, his relationship with those who got in touch with him was handled as a supreme matter not only in the field of letters but in the fields of other poetry and prose works. After the publication of 『T'oegye Work Collection』, the ancient work collections in Korea, following its system, became more famous for those characteristic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it is frequently found that a work collection was read as a kind of work to show the complicated and entangled human network, which was dynamically moving ahead while focusing on its author. If it is all about what Korea’s ancient work collections genuinely are, we have to read them, giving special focus on every aspect as soon as when we start doing so from now on.

      • KCI등재

        1940년대 ‘집’의 서사화에 대한 일고찰

        김주리(Kim Jue-le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본고는 1940년대 채만식의 ‘집’ 연작(〈근일〉, 〈집〉, 〈삽화〉)과 박태원의 ‘자화상’ 연작(〈淫雨〉,〈투도〉,〈채가〉)을 대상으로 ‘집’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한 자기 서사(사소설)가 가진 의미를, 공간에 대한 특정한 개발과 점유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특정한 주체의 구성이란 측면에서 돌아보고자 한다. 파시즘의 억압이라는 외부 현실 앞에서 자화상 연작과 〈집〉 연작은 물리적이며 기하학적인 건축물로서의 ‘집’과 거주공간으로서의 ‘집’간의 대립을 다루고 있다. 건축물로서의 집이 공간에 대한 파괴와 개발, 건설과 점유 과정을 내포하는 것이라면, 거주 공간으로서의 집은 일체의 합리성을 넘어서 그 거주자의 일상과 꿈이 투영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근대적 주체의 형성과 결부된 핵심적인 공간으로서 ‘집’과 ‘방’, ‘도시거리’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개화기 이래 근대적 주체는 봉건적인 ‘집’을 벗어남으로써 기숙사의 ‘방’이나 하숙‘방’을 매개로 탄생했으나, 30년대 도시거리를 거쳐 40년대의 현실에서 집을 선택하고 귀환한 주체들은 어떤 식으로 당대 현실과 소통하고 있는가를 묻고자 한다. 또한 당대 상황에서 집 연작이 가진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40년대 초에 씌어진 일련의 건축열을 드러내는 장편소설들과 집 연작을 대비하고자 한다. 이태준의 〈별은 창마다〉나 이효석의 〈벽공무한〉 등이 파시즘의 개발과 건설, 건축이 가진 막연한 지향성과 결부되어 특정한 목적에 맞추어 공간을 파괴하고 개발하는 서사를 보여준다면, 〈집〉 연작과 자화상 연작은 실제로 경험한 건축물과 거주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파괴에 입각한 개발과 건설의 허구성을 고발한다. 1940년대 집에 대한 사소설이란 건축물의 문제를 넘어서는 거주의 미학이 ‘집’에 발현됨을 서술함으로써, 이상향의 건설이라는 명분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현실적인 파괴와 개발, 건축의 욕망에 저항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self-narrative('I' novel) on the house, specially in the series of 'the house' by Chae, Man-sik and the series of the self-portrait by Park, Tae-won at 1940s, from the aspects that a special subject is constructed with a special exploit and occupation on space. These novels deals with the opposition between the house as a physical and geometrical architecture and the house as a place for dwelling at the present situation of coercive Fascism. While the house as an architecture connotes the process of destruction, exploiting, construction and occupation of a space, the house as a dwelling place gets over all rationality and projects the dweller's everyday life and dream. At first, we will analyze the meaning of 'house', 'room' and 'urban street' as the core space in which a modern subject was constructed. The modern subject was born in a room like a dormitory room or a boardinghouse room with escape from a feudal house, but he returns to house in 1940s. How he communicated his present age. At next, we will contrast the house series with a successive long novels in which the desire for construction is revealed at 1940s. While these long novels like Yi, Tae-joon's 〈Stars in all window〉 and Yi, Hyo-seok's 〈No limits blue sky〉 etc. show the narrative destroying and exploiting a space for a special ideal object which connected to obscure aims of Fascist's exploiting, establishing, constructing, the series on the house and the series of the self-portrait report the fabrication of exploitation and construction by destruction through discussion writer's real experiences on a architecture and dwelling. The narrative on the bose in 1940s opposes to the desire for real destruction, exploitation and construction which was justified for the construction of Utopia, with narrating the thing that the aesthetics on dwelling beyond an architecture is revealed in a house.

      • KCI등재

        신석기시대 움집의 복원과 의미

        구자진 한국문화유산협회 2011 야외고고학 Vol.0 No.10

        신석기시대 연구의 주된 핵심은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있다. 신석기인들 에게 의식주는 가장 중요하고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그 중에서 집자리는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한 기본토대를 마련하는 중요한 일이었을 것이다. 이에 신석기시대 집자리를 대상으로 하여 움집의 가구방식을 추론해 보고, 복원사례 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의 지역별ㆍ시기별 대표적인 유적의 집자리를 선정하여 복원을 시도해 보았다. 복원작업은 Rhinoceros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은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3D를 통한 입체적인 표현과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해 낼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신석기시대 움집의 상부구조는 무주식-뿔형에서 보강기둥식-뿔형, 그리고 기둥식-뿔형 (용마루형)으로의 변천과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이중도리식-뿔형은 집자리의 평면을 방형으로 유지하면서 두 방향으로 평면을 확장할 수 있는 구조로 방형에서 장방형 평면의 구조로 넘어가는 과도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기둥과 도리의 사용에 따른 구조의 발달은 평면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여 장방형 움집을 짓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지붕의 형태도 맞배나 우진각 등으로 다양해졌다. 결국 신석기시대 움집은 이른 시기에는 원추형 혹은 사각추형의 지붕구조를 보이다가 중기에 이르면 지붕의 서까래가 지표에서 떨어지는 구조로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는 집자리의 입지 변화와 함께 대형 장방형 집자리의 본격적인 등장(대천리식, 송죽리식 집자리 등) 혹은 방형의 정형화된 4주식 집자리의 등장과 맞물려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는 집자리의 입지에 따른 생계방식의 변화와도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re aim of Neolithic studies has been to restore the lifestyle of people at that time. For Neolithic people, obtain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were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issues, and establishing dwellings was an important task which provided the basic conditions for life. Targeting dwellings of the Neolithic period, we examined the layout of furniture in these pit houses, and attempted restoration. We selected dwelling structures which were typical of the different regions and periods of the Korean Neolithic in undertaking restoration. The restoration work was done using the Rhinoceros program. This program has features that can give three-dimensional effects, which have recently been used intensively, and can give a variety of visual effects. The roof structure of the Neolithic pit dwellings was conical or shaped like a quadrangular pyramid in the early period. In the middle period, the rafters of the roof came to be raised above ground. This coincided with a locational change in dwelling sites, which was also accompanied by the emergence of large rectangular houses or typical square houses with four posts. This change appears to be related to a change in the way of living which was influenced by the location of the dwelling sites.

      • KCI등재

        러시아어 집(ДОМ)의 개념 연구

        박현지 한국슬라브어학회 2017 슬라브어연구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 of ‘Home’ in Russian idioms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conceptual components and shaped compon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we found tha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Russians the greatest feature of ‘Home’ is the binary opposition ‘own – others’. At home, people can feel comfortable and free. The house protects people from the attacks of the outside world. In conceptual components, the concept of ‘Home’ was used in a metonymical sense. 'House' is replaced with the separate spaces of the house (the roof, wall, door, threshold, courtyard, stove, etc.) and family members such as a husband and a wife. In the components, the concept of ‘Home’ was used in a metaphorical sense of own space, society (social organization, homeland, etc.), and man (appearance, cognitive ability, etc.).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Home’ as an integral part of man, which is endowed with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is through metonymy and metaphor. 본 연구에서는 인지언어학적 측면에서 러시아 관용어에 나타난 ‘집’의 개념을 인식적 구성요소와 형상적구성요소(은유)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러시아인들의 인식 속에서 내재되어 있는 ‘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자신의 – 타인의’라는 이항적 대립구조를 이루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더 세부적으로 ‘집 – 집이 아닌 외부세계’라는 공간적 대립을 의미하였다. ‘자신의’ 공간인 ‘집’에서는 인간이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안락함’, 어떤 것에도 구애받지 않는 ‘자유’를느낄 수 있으며, ‘집’은 외부 세계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방어’할 수 있는 안전한 자기만의 장소였다. 인식적 구성요소에서 나타난 ‘집’의 개념은 환유적인 의미로 전환되어 사용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집’은 집에 속한 개별 공간 (지붕, 벽, 문, 문지방, 마당, 페치카)으로 대체되기도 하고, 가족 구성원 (남편, 아내)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었다. 이런 환유적 표현들이 형상적 구성요소에서는 외부세계로부터 격리되고 구분되는 ‘자신만의 공간’, 가족의 개념이 확대된 ‘사회’(사회 단체, 조국)의 형태, 그리고 집과 ‘사람’을 동일하게 생각하여, 집의 개별 공간이 사람의 신체(외형)와 인지기능이라는 은유적 의미로 확대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은유적 기제의 바탕에는 세계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전통적 사상이 깃들어 있었다. 예를 들어, ‘문’의 경우는 타인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배척하기도 하는 ‘인간‘관계’로 의미가 전이되었으며, ‘문지방’은 자신의 영역과 외부와의 ‘경계’를 나타내었다. ‘집’에 자신의 영혼이 깃든 것으로 여긴 러시아인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집’의 내부 공간이 사람의 모습으로 의인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물질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가 부여되어 있으며, 인간의 생존에 꼭 필요한 ‘집’에 대한 이해는 환유적 표현들과 다양한 은유적 형상들을 통해 실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관용어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러시아인들이 인식하는 전통적인 ‘집’ 에 대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