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에게서 삶의 긍정 및 구원Erlösung과 위버멘쉬Übermensch

        김주휘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1 No.-

        It is well known that Nietzsche insists on the affirmation of life, and the subject of ‘affirmation of life’ is a familiar one in Nietzsche literature. We want to throw an unfamiliar light on this familiar subject, connecting the theme of affirmation with that of redemption, and insisting on the centrality of the theme of redemption in Zarathustra’s teaching of Übermensch. For Nietzsche, the redemption of human life means that its life is endowed with some meaning and its existence is positively justified. With this redemption, an active affirmation of life is possible, which means that we not only endure this life once but also request it for indefinite times. According to Nietzsche, for this kind of redemption and active affirmation we need an ultimate ground of meaning and only the excellence of life, that is, of ‘will to power’ can serve as this ultimate ground. Accepting the Greek way of identifying virtue with excellence, Nietzsche thought that life can justify itself at the ultimate form of life in Übermensch. Then, through Übermensch the way is opened for man to endow meanings on and justify its life. That is, Übermensch is not only the one who affirms its life, but also the very condition in which humanity can justify its life in general. With the goal and ideal of Übermensch accepted, the affirmation and redemption of an individual life depends on how it manages to create its own life in relation to this goal and ideal. According to Nietzsche, though we cannot go back to the past, we still can recreate it and change its meanings through working on the future. Only those who try to create a meaningful future and thus recreate the past could redeem and affirm their own lives. That is, for Nietzsche, to affirm and redeem one’s life means not just to change one’s attitude to life but to create and recreate it with the eye for Übermensch. 니체의 철학이 삶의 긍정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고 니체에 관한 문헌들에게서도 긍정은 매우 익숙한 주제이지만, 본고에서는 이 주제를 조금 다른 각도에서 비추어 볼 것이다. 우리는 니체에게서 삶의 ‘긍정’이 갖는 능동적 성격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구원Erlösung’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의 삶의 구원을 위해 ‘위버멘쉬Übermensch’가 제안되는 배경을 검토한다. 니체는 초기부터 삶이 어떻게 구원될 수 있는가의 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였지만, 이 주제는 중요성에 상응하는 만큼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아왔다. 니체에게서 인간의 삶이 구원된다는 것은, 그 삶의 존재가 적극적으로 정당화되고 의미를 부여받는다는 것을 뜻하는데, 이를 통해 삶의 능동적 긍정, 단지 한 번의 삶을 감내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삶을 요청하고 무한히 반복할 것을 희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니체는 이러한 긍정과 구원을 위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의미의 궁극적 원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그 궁극적 의미의 원천은 바로 삶에 내재적인 이상으로서 탁월한 삶 자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스인들에게 빚을 지고 있는 이러한 사유는 ‘위버멘쉬’의 제안으로 나타났다. 실존의 궁극적 형태인 위버멘쉬에게서 삶은 스스로를 정당화한다. 인간은 바로 이러한 위버멘쉬를 통해 삶 일반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정당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버멘쉬는 스스로 삶을 긍정하는 자일뿐만 아니라, 보다 중요하게는 인간이 삶을 긍정할 수 있게 하는 조건이기도 하다. 이러한 삶의 긍정의 길을 받아들이게 되면, 개개인의 삶의 구원과 긍정은 저 탁월한 삶과의 관계 하에서 각자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창조해 나가는가에 달려 있게 된다. 니체는 시간의 불가역성에도 불구하고 미래적인 창조가 지나가버린 과거를 구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시간 자체를 돌이킬 수는 없지만 과거를 재창조하고 그것의 의미를 바꿀 수 있다. 그리하여 오직 창조하는 자에게만 자신의 삶을 구원하고 능동적으로 긍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 KCI등재

        니체와 하이데거의 존재론 고찰 - 니힐리즘을 중심으로

        김경배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1 No.-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existence in Nietzsche’s and Heidegger’s thought of Being for the overcoming of Nihilism. In this purpose, I am going to take a thing apart Nietzsche's Übermensch and Heidegger's Dasein in turn. But I don't mean to put Heidegger's interpretation to Nietzsche’s thought of Being on the main end of my study. I am going to clear each of their thinking's the meaning of Being and elucidate Heidegger's the distinct question of Being which is overcoming the question of beings. Nietzsche and Heidegger inquire about the question of the meaning of Being distinct from a traditional metaphysics. Nietzsche thinks of 'Nihilism' as the historical movement and lay it down on the idea of value. He demands a new value for life up against a feeling of nothingness that the best value is worthless. Nietzsche denies a entire metaphysical tradition and claims that the whole of man have to become the world itself in order to set themselves as a builder of value. Because he thinks that all man must become Übermensch, that is, the answer for overcoming Nihilism. Nietzsche seeking Übermensch desires self-conquest through Will to power and that is the essence of his life. Heidegger considers Nietzsche's thought of Being as a typical nihilism. Because in Heidegger's view, the new values for human life made by Nietzsche are the radical re-presentation of a metaphysical value. Heidegger evaluates his idea about Being dually-in order words Nietzsche's Übermensch is the beings who enter primally into the truth of existence, although he was involved in the metaphysics's principle of beings; even so, Heidegger's the basic tone of argument takes that Nietzsche couldn't think the essential relation of 'Will to power' to 'Übermensch', the truth of Being itself. Heidegger, thus, asks about the fundamental meaning of Being for ‘an-wesen’ 이 글은 니체와 하이데거의 니힐리즘의 극복에 있는 존재사유에서 실존의 의미를 탐구한다. 이 목적에서 논자는 위버멘쉬(Übermensch)를 중심으로 니체와 하이데거를 교차 분석하고 각자의 ‘존재의 의미’를 밝히면서 존재자 물음을 극복한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을 해명한다. 니체는 니힐리즘을 역사적 운동으로 간주하고 가치사상에 입각해 해명한다. 종래의 가치가 무가치해진 허무한 감정에 직면하여 니체는 삶에 새로운 가치를 요청한다. 그리고 니힐리즘의 한 가운데로 뛰어든다. 니체는 새로운 가치 정립자로서 인간존재를 상정하기 위해 전통의 일체를 거절하고 인간존재의 모든 것이 세계 자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니체는 인간존재가 ‘위버멘쉬’로서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위버멘쉬’를 추구한 니체는 끊임없는 자기극복의 의지를 의욕한다. 니체에게서 자기극복의 의지가 삶의 본질이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니체를 전형적인 니힐리즘으로 간주한다. 니체가 제시한 가치는 근본적으로 형이상학적인 가치의 극한적인 재현이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니체가 형이상학의 원리에 휘말려있지만, ‘위버멘쉬’는 실존의 진리에 최초로 진입한 존재라고 이중적으로 평가한다. 우리는 니체와 하이데거를 추적함에 있어서 이러한 이중적 평가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데거의 기본적인 논조는 니체가 ‘힘에의 의지’와 ‘위버멘쉬’의 연관성을 본질적으로 사유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에게서 그 연관성의 물음은 존재 자체이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니체가 간과했던 존재의 본질적인 의미를 묻고, 존재의 자체의 현성을 위해 ‘무’와 연관지어 탐구한다.

      • KCI등재

        황순원의 「곡예사」로 읽는 근대 성찰과 휴머니즘

        김원희 ( Kim Won-he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9 No.-

        이 논문은 황순원 소설을 근대 성찰의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황순원의 단편소설 「곡예사」에 집중하여 휴머니즘을 탐구하였다. 「곡예사」의 독창성을 니체의 ‘위버멘쉬’에 이르는 세 단계 정신으로 들여다보면, 현실 초극의 휴머니즘이 새롭게 도출된다. 현대소설에서 근대 성찰의 의미는 한국 사회가 당면한 이분법적 갈등과 인간성 상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다. 본 논문의 의의는 황순원의 「곡예사」에서 천착된 피난살이 몸의 사유를 ‘위버멘쉬’의 현실 초극 의지로 논구함으로써, 작가 황순원의 실제 역사적 경험이 문학성을 어떻게 성취하며 독자의 공감대를 확장하는가를 구명한 과정에 있다. 니체는 ‘위버멘쉬’의 정신으로 근대 철학의 혁신을 설파하였다면, 황순원은 「곡예사」의 독창성으로 한국 문학을 통한 근대 성찰의 창조성을 성취한 셈이다. 「곡예사」를 “‘위버멘쉬’에 이르는 정신의 세 단계변화”로 분석하면, ‘가족부대’에서 ‘곡예단’으로 천착된 ‘몸’의 사유는 ‘낙타’의 인고와 같은 타자의식의 수용을 거쳐, ‘사자’의 분노와 같은 자기부정의 현실 저항을 넘어, 마침내 ‘아이’의 순수한 유희와 같은 자유의지를 발현하는 ‘위버멘쉬’의 혁신적 휴머니즘을 보여준다. ‘위버멘쉬’의 현실 초극과 맞닿는 황순원의 실천적이며 창조적인 휴머니즘을 통해 한국 현대 소설이 직면한 근대 성찰의 답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론적 접근으로 「곡예사」를 논구한 논문은 없다. 본 논문의 학술적 가치가 기대되는 이유다. This paper explored humanism by concentrating on Hwang Sun-won's short story "The Acrobat" in order to take a fresh look at Hwang Sun-won's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reflection. If you look at the originality of "The Acrobat" in the three stages of Nietzsche's ‘Übermensch’ the meaning of the creative and practical humanism in the real world is analyzed. In modern Korean novels, the meaning of modern reflection is an important valu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dichotomous conflict and loss of humanity that our society fac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n exploratory process to trace back how Hwang Soon-won's actual historical experience could expand the consensus with literary originality by analyzing the reason of his body based on Hwang Soon-won's "The Acrobat" in the spirit of ‘Übermensch’. While Nietzsche advocated the innovation of modern philosophy in the spirit of ‘Übermensch’, By analyzing the narrative of "The Acrobat" as a "three-step change of spirit" leading to ‘Übermensch’ Hwang Soon-won's practical and innovative humanism, which touches the creation of ‘Übermensch’ was able to find answers to modern reflections facing Korean modern novels. There are no academic papers that have studied "The Acrobat" such a methodological approach. This is why academic value of this paper is expected.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스트로서의 니체?- 몇 가지 쟁점에 대한 니체적 대응

        임건태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연구 Vol.- No.65

        First of all, althought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distinct in their orientation, they are common in that they regard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technology as a important focus. Next, we will deal with Sloterdijk’s critique of Heidegger’s posthumanism which plays a role as background of the relation between Niezshche and tranhumanism. Third, we will respond to three issues in the view point of Nietzsche. First, it is impossible that Nietzsche would support the program of enhancement of human being by means of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 while Nietzsche thought that the death and suffering could be made the fertile soil for continuous immanent self-overcoming, transhumanism regard them as conditions which we must avoid to acquire happiness. Third, Nietzsche’s Übermensch isn’t a particular target or ideal that we can achieve via technology but a concept that is emblematic of the open-ended self-overcoming. Finally, Nietzsche’ thought of eternal recurrence can’t be separate from Übermensch and isn’t inconsistent with it but the possible condition of Übermensch’s self-overcoming. 우선,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그 지향성에 있어 분명히 구분되지만, 인간과 기술공학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공통점을 보인다. 다음으로, 니체와 트랜스휴머니즘 관계를 다루기 위한 전사(前史)로 하이데거의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슬로터다익의 비판이 갖는 두 가지 함축을 밝힌다. 셋째, 네 가지 쟁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니체적으로 대응해 본다. 과학기술을 수단으로 삼은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향상 프로그램을 니체가 무조건 지지했을 가능성은 없다. 둘째, 트랜스휴머니즘의 경우에 니체가 계속적 자기 극복의 내재적 과정을 위한 비옥한 토양이 된다고 간주한 죽음과 고통 등 모든 것은 피해야 할 조건으로 취급되는 반면, 니체에게 죽음과 고통은 기술을 통한 극복 대상이라기보다는 반드시 긍정하고 포용해야 할 차원에 속한다. 셋째, 니체의 위버멘쉬란 기술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특정한 목표, 내지 이상이 아니라, 인간의 계속적인 자기 극복을 상징하는 개념이다. 넷째,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은 위버멘쉬와 논리적으로 분리 불가능하며, 그것과 모순되거나 비일관적인 형이상학적 요소가 아니라, 위버멘쉬가 수행하는 지속적 자기 극복의 가능 조건이다.

      • KCI등재후보

        철학상담으로서 실천가능한 철학교육 ‘모든 가치의 전도’

        허현숙(Hyunsook Hur)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4 인간과자연 Vol.5 No.1

        철학의 진정한 가치는 철학이 이론적 진리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고통에 참여하여 이를 도와주는 역할도 해야 한다. 이에 철학상담으로서 실천가능성은 철학교에서 찾을 수 있다. 우선 니체는 그의 『비극의 탄생』(1876) 에서 삶의 본질과 맞닿아 있는 그리스 비극을 통해 ‘그리스적 명랑성’을 회복하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883-5)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실존적 인간상, 위버멘쉬(Übermensch)에 도달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위버멘쉬는 진리를 탐구하거나 자유를 얻으려 하는 사람이 겪어야 할 정신의 세 단계 변화과정을 통해 무의미한 삶 속에서 그 의미를 찾아내고 달성해내는 사람으로 인류의 자기-극복의 모범인 교육자이며, 자유교육의 실천가능성을 보여주는 새로운 인간상이다. 서구 철학계에서는 1980년대부터 철학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독일 아헨바하(Gerd B. Achenbach)의 철학실천(Philosophische Praxis), 철학상담(Philosophical Counseling)이라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났다. 니체의 ‘모든 가치의 전도’는 철학교육이 철학상담으로 이어지는 실천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니체철학의 이상과 목표는 스스로를 교육하는 인간으로 자기 해방의 이르기 위한 진정한 교육에 있었다. 이제 인간 개개인이 자신이 삶을 이해하고 행동하는데 도움이 되는 철학상담과 관련하여 철학교육이 극복하고 해방자로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니체의 교육의 핵심 가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true value of philosophy is that philosophy should not only pursue theoretical truth but should also play a role in participating in and helping with the pain of life. Therefore, the practical possibilities of philosophy can be found in philosophical counseling. In his early The Birth of Tragedy(1876), Nietzsche recovered ‘Heiterkeit’through Greek tragedy that touches the essence of life, and in Thus Spoke Zarathustra(1883-5), he explored the truth or gained freedom. It shows how to reach Übermensch,’an existential human being who creates new values, through the three stages of mental change that a person must go through. For Nietzsche, the ‘Übermensch’ is a person who finds and achieves meaning in a meaningless life, is an educator who is an example of humanity's self-overcoming and is a new human image that shows the practicability of liberal education. In the Western philosophy world, since the 1980s, a new movement has emerged under the names of Philosophische Praxis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by Gerd B. Achenbach, Germany, to overcome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philosophy. Nietzsche’s ‘conversion of all values’can show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education leading to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ideal and goal of Nietzsche's philosophy was true education to achieve self-liberation as a human being who educates himself. Now,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core values of Nietzsche's education, which overcomes God and realizes the value as a liberator, in relation to philosophical counseling that helps each human being understand and act in life.

      • KCI등재

        이상의 「날개」- 니체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문학적 반영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5

        이상의 「날개」는 1936년 잡지 <조광>에 발표된 이후, 1950년대부터 꾸준하게 연구되어 왔다. 아이러니와 은유 등의 작품 기법은 물론 심리주의 및 정신분석학적 연구를 비롯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까지 다각적으로 시도된 이 연구들이 다양한 성과를 이룬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이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라는 「날개」의 첫 문장의 의미를 간과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현상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 본고에서는 ‘천재’의 의미를 니체의 핵심 철학이 집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작가 이상이 「날개」에서 서술하고 있는 은유들인 천재, 놀이, 정오 이미지, 날개 등을 통해 미루어 보면, 소설 「날개」는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들의 문학적 반영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날개」의 첫 문장에서 언급하고 있는 ‘천재’와 ‘박제’를 많은 연구자들이 의미 없는 것으로 혹은 알 수 없는 언어들의 조합으로 보고, 그런 기괴한 조합들로부터 아이러니 또는 패러독스가 파생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천재’의 의미를, 아이러니스트인 니체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핵심어라고 할 수 있는, 독일어 ‘위버멘쉬(Übermensch)’의 한국어 번역으로 파악한다. 위버멘쉬는 나를 극복하며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는 자유 정신(der freie Geist) 또는 그 정신을 가진 자를 뜻한다. 그런 위버멘쉬가 박제되어 있다는 것은 아무 것도 할 수 없이 갇힌, 희망이 사라진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니체는 희망을 잃은 고귀한 자들을 날개가 찢긴 자들로 보는데, “박제된 천재”라는 언술은 소설의 마지막에서 다시금 날아보고 싶은 ‘나’의 소망과 절묘하게 닿아 있다. 즉 이 첫 문장이 「날개」의 전체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품 내적인 구조 분석과 더불어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날개」를 재조명하고, 이상의 아이러니스트로서의 면모를 발굴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이상의 작품연구에 있어서 독창적인 시도가 될 것이며, 이상의 작품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Lee, Sang’s “Wings” has been steadily researched since the 1950s, after it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Jokwang in 1936. These studies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from psychological and psychoanalytic studies, to techniques of works such as irony and metaphors, and from modernism to the postmodern perspective. It is true that these researches have achieved various results. It is surprising, however, that many researches to date have overlooked the meaning of the first sentence of "wings": "Do you know the stuffed genius?" This paper starts at this point.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genius” through Nietzsche’s Also sprach Zarathustra where Nietzsche wrote the core of his philosophy. Considering the metaphors of genius, play, noon image, and wings described in “Wings”, the short story “Wings” can be a literary reflection of what Nietzsche emphasizes in his philosophist text, Also sprach Zarathustra. Many researchers regard "genius" and "stuff" as mentioned in the first sentence of "wings" as ironic or paradox from bizarreness caused by a combination of meaningless or unknown languages. However,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genius” is understood as the Korean translation of German “Übermensch,” which is the key word of Also sprach Zarathustra that the ironist Nietzsche's ideas are well implied. ‘Übermensch’ means a free spirit (der freie Geist) that constantly moves forward and overcomes self. or someone with that spirit. What such a ‘Übermensch’ is stuffed means the situation that one is locked in nothing and his or her hope is lost. While Nietzsche sees the nobles who have lost hope as those whose wings are torn, the phrase "genius stuffed" is exquisitely touched with the wish of "I" to fly again at the end of the short story. In other words, this first sentence provide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structure of “Wings”.

      • KCI등재

        「몽실 언니」의 반이념적 주제 지향과 비극 정신

        김창현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3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3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theme of <Mongsil Eonni> with a focus on its aesthetic values. How did young Mongsil manage to live a pessimistic life filled with recurring suffering?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essay delves into <Mongsil Eonni> through Nietzsche’s tragic spirit and the philosophy of the Übermensch(Overman). Thus, this essay understands <Mongsil Eonni> as the journey of a young girl becoming an Übermensch. The girl first confronts the painful reality head–on, perceiving it as tragic. However, young Mongsil does not succumb to frail pessimism. She progresses through the stages of the camel, the lion, and the child, approaching the status of the Übermensch. Initially, she carries the burden of the painful reality without giving in or shirking responsibility. But she doesn’t stop there. she clearly recognizes the violence of the hidden ideology behind reality and resists it like a lion. In order to save herself from the absurdity, she constantly recreates her value and renews herself. To do so, She affirms the value of others and even painful realities and uses them as energy for self–enhancement. In this way, Mongsil becomes a great woman.

      • KCI등재

        Nietzsches Philosophischer Humor

        Michael Skowron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6 No.-

        Nietzsches philosophischer Humor wird in diesem Aufsatz als eine Art des Aufmerksam‐machens auf Missstände verstanden, die sich schon früh zeigt und bis in Nietzsches späte Werke hinein nachweisen lässt. „Ridendo dicere severum“ (lachend das Schwere sagen) steht zwar als Motto nur über dem „Fall Wagner“, könnte aber auch andere Schriften Nietzsches charakterisieren. Dies wird sowohl an den Titel der Schriften wie an deren Inhalten und Hauptbegriffen wie „Übermensch“, „ewige Wiederkunft“, „Wille zur Macht“, „Antichrist“ und „Ecce homo“ gezeigt. Sofern das Lachen selbst schon durch einen Umschlag von einer gespannten Erwartung in ihr entspannendes Gegenteil ausgelöst wird, kann Nietzsche es als einen „Beweis“ seiner Philosophie der Umwertung aller Werte betrachten und Zarathustra das Lachen heilig sprechen.

      • KCI등재

        헤세의 <황야의 이리>에 나타난 니체의 철학적 사유

        권혁준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21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 No.56

        In Hermann Hesses Roman Der Steppenwolf(1927), der einen der Höhepunkte seines literarischen Schaffens darstellt und als ‘Dokument der Zeit’ eingestuft wird, kommen die Probleme seiner Zeit zum Ausdruck. Auffallend ist dabei nicht nur die Tatsache, dass im Text der Name des Philisophen Nietzsche insgesamt fünfmal direkt erwähnt wird, sondern auch, dass die Gedanken des Philosophen eine außerordentlich reiche Inspirationsquelle für den ganzen Roman bilden.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Nietzsches philosophische Gedanken in Der Steppenwolf näher zu beleuchten. Der Protagonist Harry Haller sieht seine Persönlichkeit in Mensch und Wolf geteilt und versucht sich diese Zweiteilung verständlich zu machen. Die dualistische Auffassung der menschlichen Existenz wird jedoch bald aufgegeben zugusten der Vielfalt der menschlichen Seele, wobei Nietzsches anthropologisches Verständnis eine wichtige Rolle spielt, dass der Mensch keine feste und dauernde Gestalt, vielmehr ein Versuch und Übergang sei. Harry Haller, der sich in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nicht zurechtfinden kann, wird vor zwei Möglichkeiten gestellt: einen Selbstmord aus Verzweiflung und Überdruss am Leben zu begehen oder sich mittels des Humors dem Heilungsprozess zu öffnen. Das Lachen, der Humor als Versöhnungsmittel der Gegensätze und dazu der Tanz als dionysisches Element sind gerade die Qalitäten, die Nietzsche zur Bejahung des Lebens in Richtung auf den Typ ‘Übermensch’ gefordert hat. Bei Hermine lernt Harry Haller zunächst den Tanz, der als Vorschule des Humors zu betrachten ist und ihm ermöglicht, die ‘Unio mystica’ im Sinne Nietzsches zum ersten Mal in seinem Leben zu erleben. Durch die andere Schlüsselfigur Pablo wird der Protagonist in eine Art von Scheinwelt (‘Magisches Theater’) eingeführt, um dort das richtige Lachen lernen und die Widersprüche des Lebens lachend ertragen zu können. Obwohl die höchste Form des befreienden Lachens für ihn noch unerreichbar ist, gibt es Anzeichen, dass Harry Haller sich am Ende dieses Ziels bewusst wird. Dadurch zeigt sich, dass der Roman von den Impulsen der Gedanken Nietzsches stark geprägt ist.

      • KCI등재후보

        무대 위 배우의 현존과 시간 -니체의 초인(?bermensch)개념을 중심으로-

        서나영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3 모드니 예술 Vol.9 No.-

        20세기 이후 배우의 연기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계속되어 왔다.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심리적 내면연기로부터 메이어 홀드와 그로토프스키의 신체 중심 연기, 브레히트의 서사극 연기에 이르 기까지 배우 훈련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해 왔고 수많은 연구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 다. 하지만 연기, 혹은 연기 현상에 대해 근본적으로 해명하고 철학적, 미학적으로 자리매김 하 는 시도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배우는 누구인가?’, ‘배우는 어떻게 무대 위에 실존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명확하게 답하지 못한 채 이뤄지는 방법론적인 연구들 은 단기간의 훈련 효과는 급하게 가져올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배우상(想)은 물론이고 연기 훈련 의 지향점, 더 나아가 예술 교육의 미래를 제시 할 수 없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