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의 생태지향적 자연관 : 인간과 자연에 대한 환경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준웅(Park, JunWoong)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0 인간과자연 Vol.1 No.2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제시된 생태지향적 자연사상은 고대로부터 중세를 거쳐 근대의 낭만주의사상에 이르기까지 기계론적 및 수학적 자연사상에 기반 한 이성중심주의에 대비되는 사상으로서의 전통을 형성하며, 근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전개되어 온 이 사상들은 세부적으로는 다양한 내용들을 가지나, 목적론적 자연관과 생물윤리적 사상 및 생태-총체론적 사고를 공통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사상들은 자연에도 인간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영성(정신)과 생명을 인정하며, 자연을 합리적인, 선한 목적을 지향하여 변화, 발전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념에 근거하여 자연을 인간의 효용적, 쾌락적 대상이 아니라, 그 고유성에 따른 생명권을 인정하는 생명윤리적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나아가 이 사상들은 자연을 인간의 삶의 환경으로서 파악하고, 인간과 자연을 주체와 객체로 분리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가 아니라, 조화와 협동관계 안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Ecologically oriented natural ideas presented as alternatives to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developed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romantic ideas, and from mechanical and mathematical natural ideas to modern postmodernism. These ideas, which have been developed historically, have various details, but they are characterized by a teleological view of nature, bioethical ideas, and ecological-totalistic thinking. These ideas are similar to humans in nature, or they recognize the same spirituality (spirit) and life, and they regard nature as changing and developing for a reasonable and good purpose. Based on this idea, nature is not a useful and hedonistic object, but a bioethical idea that recognizes the right to life through its inherent nature. Furthermore, these ideas try to see nature as a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humans and nature as subjects and objects, no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lers and rulers, but in harmony and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자연환경의 에너지론적 이해과 엔트로피 법칙이 갖는 의미 : 인간과 자연에 대한 환경론적 이해를 중심으로

        김국태(Kim KookTae)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0 인간과자연 Vol.1 No.2

        인간은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문화생활을 하는 인간의 삶은 어느 생명체보다도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한다. 에너지 없이는 어떤 생명도 어떤 문명도 존재할 수 없으며, 특히 고도의 기술과 산업생산을 바탕으로 하는 현대 문명은 거의 절대적이라 할 만큼 에너지 의존적이다. 하지만 엔트로피법칙(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에너지는 오직 농축된 상태로부터 분산된 상태로, 질서로부터 무질서의 상태로 일어나며 그 역으로의 진행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경론의 관점에서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는 이미 정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글의 목적은 엔트로피법칙이 갖는 의미를 인간, 환경, 생명 등과 연결지어 분석해보고 이 법칙을 통해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려는데 있다. Human beings need energy to live. Life in culture consumes more energy than any other organism. Without energy, no life, no civilization, especially modern civilization based on advanced technology and industrial production, is almost absolutely energy-dependent. However, according to the entropy law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energy occurs mainly in concentrated to dispersed states, from order to disorder, and cannot proceed the other way, so from an environmental point of view, we have already decided what to d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entropy laws by combining them with humans, the environment, and life, and to predict the future of mankind through these laws.

      • KCI등재후보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 방향성에 관한 기초논의

        김대욱(Daewook Kim)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3 인간과자연 Vol.4 No.2

        한국에서 AI 기술의 발전은 이세돌이 바둑에서 알파고에게 패배하면서 관심이증폭되었다. 2022년 Chat-GPT의 등장으로 인해 자연어, 즉 인간의 언어로 물어보고 그것을 답하는 형식의 AI가 등장했다. 이것은 AI가 일정하게 멀티모달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텍스트기반의 프롬프트를 작성하면, 그것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형 AI의 등장은 창의적 영역이라 생각했던, 사진, 이미지, 디자인, 웹툰과 같은 이미지 예술 분야에 큰 충격을 일으키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디지털화, 자동화, 인터넷 기술의 융합과 발전은 인공지능 분야, 로봇 기술,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가상현실, 3D프린팅 등을 핵심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중 AI 분야는 그 성장 속도와 관심이 매우 높다. 초기에 혼란의 과정이 있겠지만, 이미지 생성형 AI는 사진, 미술, 디자인과 공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에 이미지 분야 중 일정 부분은 AI에 대체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사진+AI이미지, 디자인+AI디자인 등 기존 이미지와 AI의 결합으로 변모할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사진, 새로운 미술,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며 새로운 변화를 이끌게 될것이다. 다만 이러한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빨라 현재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않다. 다만, 효율성, 융합이라는 키워드는 이 시장과 함께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미지 생성형 AI에 따른 실사 이미지 세계에서의 변화에 대해 5가지 논의 점을 논의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의 지점들은 천천히 우리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 가게 될 것이다. AI 의 등장으로 인해 이미지 세계는 새로운 변화의 앞에 있다. 이에 관한 다양한 관심과 논의는 지속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하는 이미지 시장에대한 일정한 기초적 논의로 그 의미가 있다 하겠다. The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in South Korea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following the defeat of Lee Sedol, a Go grandmaster, by AlphaGo. The emergence of Chat-GPT in 2022 marked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nabling AI to understand and respond in human language. This capability signifies the advent of multimodal AI technologies. Additionally, the introduction of image-generating AI, which creates images from text-based prompts, has been impactful in traditionally creative fields such as photography, graphic design, webtoons, and other image-based arts. Alongsid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us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ization, automation, and internet technologies are foundational to advancements in AI, robotics, IoT, blockchain, virtual reality, and 3D printing, with AI being a particularly rapidly growing and highly focused area. While initial disruptions are anticipated, image-generating AI is expected to coexist with and eventually become integrated into photography, art, and design. Certain aspects of the image field are anticipated to be replaced by AI, and a new fusion of traditional imagery with AI-generated content is expected to evolve. This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new forms of photography, art, and design, driving transformative changes. However, the speed of these changes makes predicting the future challenging. Efficiency and integration will be key themes in this evolving market. This study has explored five discussion points regarding the impact of image-generating AI on the world of realistic images, indicating a gradual shift in our perception. The advent of AI heralds a new era of change in the image world,warranting ongoing interest and discussion.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al discussion on the evolving image market and its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중·한 양국어에서 나타나는 호랑이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 비교 연구

        후박문(Hou bowen)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1 인간과자연 Vol.2 No.1

        호랑이는 인류의 생존 및 발전과 밀접한 연관을 지은 동물 중 하나로, 중·한 양국 문화 속에 깊은 문화적 의미를 갖고 있다. 본고는 문화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중·한 양국어에서 호랑이와 관련된 고사성어, 속담을 분석함으로써, 양국어에서 나타나는 호랑이에 대한 상징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한 다음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생긴 원인에 대해서 논의했다. 본고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호랑이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의 공통점에 있어서, 양국어에서 모두 “용맹과 정의”, “사나움과 악의 세력”, “권세와 위엄” 등의 상징적 의미가 존재한다. 차이점에 있어서, 중국어에는 호랑이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표현하고 한국어에는 호랑이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표현한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생긴 원인은 중·한 양국의 호랑이 문화의 기원과 역사적 발전 등과 관련된다고 밝혔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중·한 양국의 상호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을뿐더러,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e tiger is one of the animals closely related to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mankind, and has a deep cultural significance in the cultures of China and Korea. This paper compar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ymbolic meaning of tigers in both languages by analyzing the ancient idioms and proverbs related to tigers in both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from a cultural linguistic point of view. discussed about The main achieve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As for the common symbolic meaning of the tiger, there are symbolic meanings such as “valor and justice”, “the power of ferocity and evil”, and “power and dignity” in both languages. In terms of differences, Chinese express more negative images of tigers and Koreans express more positive images of tigers. The reasons for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related to the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iger culture in China and Korea.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not only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hina and Korea, but also help deepen the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의 발전이 환경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 과학기술문명에서 친환경적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허현숙(Hur HyunSook),홍병선(Hong ByungSun)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0 인간과자연 Vol.1 No.1

        환경은 자연이라는 객관적 조건과 인간 지성이 지향하는 페러다임에 의해 선택되고,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 때문에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는 이상적 환경이란 더 조화로운 삶을 위한 ‘문화적 전략’이며, 미래를 위한 실천적 전략이다. 이러한 실천적 기획에서 우리는 무엇보다 먼저 자연이라는 보편적 조건에 주목하여 자연과의 생태적인 공존가능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기술의 실천적인 문제는 기술에 대한 의미, 즉 기술은 무엇이며, 어떻게 주어지며, 인간에 대해 어떤 관계에 있는가? 하는 질문을 통하여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기술의 본질과 의미를 인식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에 근거하여 기술의 환경 윤리적 함의를 정합적으로 음미해보고자 한다 The environment is chosen and created by the objective conditions of nature and the paradigm of human intelligence. Therefore, the ideal environment we pursue today is a “cultural strategy” for a more harmonious life and a practical strategy for the future. In this practical project, we must first focus on the universal conditions of nature and pursue ecological coexistence with nature. The practical problems of technology are what technology means, how it is given, and how it relates to humans. It will be discussed through the question tha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echnology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and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ethical implications of technology accordingly.

      • KCI등재후보

        음성분석 기반 표준중국어 ‘마찰음’ 교육방안

        권영실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3 인간과자연 Vol.4 No.1

        Based on speech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pronunciation status of standard Chinese fricative for front-line and prospective Korean Chinese teachers, and examined the fricative education measures proposed by them. The pronunciation and practice reports of front-line or prospective Chinese teachers attending H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tudi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friction sections of Koreans, including fricative sounds f[f], h[x], x[ɕ], sh[ʂ], s[s], affricative sounds j[tɕ], zh[tʂ], z[ts], aspirated sounds p[ph], t[th], k[kh], q[tɕh], ch[tʂh], and c[tsh], were shorter than that of Chinese. Second, since the correction plan mainly relied on the explanation of the textbook, technical terms and theoretical guidance were the main. Of course, there was also a lively correction plan that said, “Be careful not to completely open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ps too quickly,” but overall, there was a regret that it lacked operability to use it directly in the field. In this study, I also felt the need to melt technical terms related to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field, and I felt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to establish an automatic pronunciation evaluation system in the future. And although it has not secured a wide range of research subjects, I think this experiment and its results are worthwhile because all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high-quality Chinese speakers and teachers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Chinese education or will be in charge of Chinese education in the future. 이번 연구에서는 H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일선 혹은 예비 중국어교사의 발음과 실습보고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표준중국어 마찰음 발음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이 제시한 마찰음 교육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마찰구간을 포함하는 마찰음 f[f], h[x], x[ɕ], sh[ʂ], s[s], 폐찰음 j[tɕ], zh[tʂ], z[ts], 유기폐쇄음 p[ph], t[th], k[kh], 유기폐찰음 q[tɕh], ch[tʂh], c[tsh] 모두에서 한국인의 마찰구간이 중국인보다 짧게 나타났다. 둘째, 교정방안이 주로 교재의 설명에 의존한 탓에 전문용어와 이론적인 안내가 주를 이루었다. 물론 '윗니와 아랫입술이 사이가 너무 빨리 완전히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해라'는 생동감 넘치는 교수방안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현장에서 바로 사용하기에는 구체성과 조작성이 부족했다. 이번 연구에서도 발음 관련 전문용어를 현장에 맞게 녹여낼 필요성을 느꼈으며, 향후 자동 발음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해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리고 비록 폭넓은 연구 대상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이번 연구 대상이 모두 고급중국어 구사자이며, 현재 중국어 교육에 몸담고 있거나 향후 중국어 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이기 때문에 이번 실험과 그 결과는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융합과학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대안 모색

        김지현(Jihyun Kim),홍병선(Byungsun Hong)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2 인간과자연 Vol.3 No.1

        생명과학 융합기술의 발전이 지금까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왔다는 점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의 방향 예측과 그에 따른 윤리적 성찰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생명공학 및 의료과학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되어왔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미래 웰빙사회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수단 중 하나인 인공지능기술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정보와 데이터 활용의 능력을 잘 보여주는 인공지능기술이 의료시스템에서 진단, 모니터링 및 관리, 예측, 임상적 의사결정까지 다양한 의료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최근 COVID-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예측 불가능한 현상에 대한 과학기술의 한계점과 유토피아의 현실화에 대한 문제점을 마주하기도 하였으며,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윤리적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도 깨닫게 되었다. 게다가 사실의 문제에 속하는 생명공학 융합기술과 가치의 영역에 속하는 삶의 질 문제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철학적 근거를 토대로 과학기술의 윤리적 가치 확보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Since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convergence technology has extended human lifespan and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so far, it is essential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reflect on ethics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look at how modern biotechnology and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have developed in general, and especially the applic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me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well-being societ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shows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and data well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pplied to various medical fields from medical systems to diagnosis, monitoring and management, prediction, and clinical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while going through the recent COVID-19 pandemic, we have faced the limit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unpredictable phenomena and the problem of the realization of utopias. In addition, based on the philosophical basi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iotechnology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belongs to the matter of fact, and the quality of life issue, which belongs to the value domain, alternatives to new possibilities for securing the ethical value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ought.

      • KCI등재후보

        항주(杭州) 서호(西湖)와 지역문학 교육

        윤혜지(Hyeji Yun)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3 인간과자연 Vol.4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be into the cultur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the Chinese people through one of China’s most emblematic humanistic landscapes, Hangzhou’s West Lake. Additionally, it aims to broaden the scope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by introducing cultural content-based educational approaches centered around the poetry of West Lake. The main text initially presents a variety of literary works associated with West Lake, serving as valuable textual resources. These include poetry depicting the Ten Scenes of West Lake, compositions by renowned poets, and literary creations by female writers. Furthermore, the paper proposes two educational approaches for teaching regional culture and literary texts related to West Lake: employing storytelling as an educational method and incorporating cultural content creation into the curriculum.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인문경관 중 항주 서호와 관련된 시사작품을 통해 중국인들의 문화적 자의식과 정체성의 근원을 생각해보고, 서호시사의 문화콘텐츠화교육과정을 소개함으로써 중국고전문학 학습과 교육을 연계하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우선 텍스트로 삼을 수 있는 서호 관련 시사작품을 서호의 자연경관을 묘사한 西湖十景의 시사작품, 백거이 소식 등의 유명 문인의 시사작품, 여성작가들의시사작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서호의 지역문화와 시사문학 텍스트를 교육할 방안을 크게 스토리텔링 활용 교육방안과 문화콘텐츠 창작 교육방안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박람회에 나타난 권번 기생 연구

        신현규(Shin HyunGyu)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1 인간과자연 Vol.2 No.2

        일제강점기 조선에서는 대·소형 박람회와 공진회가 173개나 열렸다. 조선총독부가 1910~40년에 일본에서 열린 박람회·공진회에 참여한 것도 104차례에 이른다. 박람회는 일본이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수단이었으나, 동시에 산업발전을 이끌고 유행과 소비를 창출했으며 민중에게 유흥을 제공했다. 일제는 병합 후의 조선의 진보를 전시하고 과시함으로써 이른바 일선융화를 강조하고 일선동화를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수단으로서 조선물산공진회를 열었던 것이다. 1929년 경복궁에서 조선박람회가 열렸고 평양의 기생들이 총동원되어 서울에 원정을 온다는 광고를 하였다. 이처럼 기생 이미지는 국내외의 사람들에게 기생을 조선의 대표적 이미지로 각인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공진회를 찾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박람회의 꽃이 기생이라는 암시를 주게 되었다. 여기서 기생의 이미지는 중요한 의미를 차지한다. 조선박람회는 관민일치의 노력으로 성공리에 끝났다고 자체평가하고 있지만 어용행사였다. 그러나 서구 선진과학기술문명의 소개 를 통해 우리민족에게 준 ‘문화충격’은 간과할 수 없다. 공진회 및 박람회는 조선총독부 지배 이전과 이후의 조선에 대한 백과전서적 지식을 관람객의 눈앞에 분류·배열·진열해 놓고 상호·비교·대조하여 일본(문명)과 조선(야만, 전근대)의 이항대립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73 large and small expositions and symposiums were hel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articipated in expositions and symposiums held in Japan 104 times between 1910 and 1940. Expositions were a means of justifying Japan s colonial rule, but at the same time led industrial development, created fashion and consumption, and provided entertainment for the people. By displaying and showing off the progress of Joseon after annexation, the Japanese imperialism held the Joseon Trade Fair as a concrete practical means to emphasize the so-called front-line fusion and promote front-line assimilation. In 1929, the Joseon Expo was held at Gyeongbokgung Palace, and an advertisement was advertised saying that all gisaengs from Pyongyang were mobilized to go on an expedition to Seoul. As such, the image of gisaeng became a decisive opportunity to imprint gisaeng as a representative image of Joseon to people at home and abroad, and gave a hint to those who did not visit the Gongjinhoe as the flower of the fair as a gisaeng. Here, the image of parasitism occupies an important meaning. The Chosun Expo was self-evaluating that it was successfully completed through the effort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but it was a misleading event. However, the ‘culture shock’ given to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advanc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cannot be overlooked. The Gongjinhoe and the exposition classify, arrange, and display encyclopedic knowledge of Joseon before and after the rul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front of the viewer, and compare, contrast, and contrast each other, and thus the binary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Japan (civilization) and Joseon (barbarism, pre-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발로와 위로의 가치, 팝(pop)으로써의 송대(宋代) 유영(柳永) 사(詞)

        홍병혜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2 인간과자연 Vol.3 No.2

        Why do humans live? What do humans live for? How should humans live? This is the beginning for humanities and the task of humanities. Human being must be in harmony to live together. But integration and cooperation are slogans that politicians only demand from the public. Human being are selfish and biased, and humans are always struggling between reality and ideals. Because of this agony and conflict, mankind has always been a history of conflict and war. And even if it’s not war, there are a lot of emotion boiling up on a fictional day for human. Strangely, human being have a greater sense of remorse for what they do not have than gratitude for what they have. After all, there is a feeling of remorse for many. So what is the most touching remorse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It is the most universal remorse. And it has been told through popular songs so far-as has China. Liu Yong’Ci was influential in that era. Its value is also: expression and comfort. The forms of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Ci form is the literary form that expresses the human sensibility well. This study tried to identity the value of expression and comfort in his Ci’works by matching his Ci’works with modern pop. ‘인간은 왜 사는가?’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과 이에 대한 해결은 인문의 시작이자 인문학의 최대과제이다. 아니, 인문학 그 자체이자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더불어 살아야 하기에 반드시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지만, 정작 인간은 통합과 협력에는 관심이 없다. 통합과 협력은 정치인이 거버넌스를 발휘할 때, 각자의 진영에서 선택적이고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대중들에게 요구하는 구호에 불과하다. 이데아가 전개되면 낙원이겠지만 인간 자체가 이기적이고 편향적이기 때문에, 늘 인류는 자신만의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갈등하고 번민한다. 이러한 갈등과 번민은 국가 대 국가, 지역 대 지역으로 확대된 양상을 보였고 이에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였다. 그리고 반드시 전쟁까지는 치르지 않더라도 인간의 내면에는 허구한 날 수많은 정서가 끓어오른다. 희한하게도 인간에게는 가진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보다도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회한의 마음이 더 우세하다. 결국 많은 이들에게는 회한의 정서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수십 년을 살아가야 하는 인간의 입장에서 볼 때, 가장 와닿는 회한은 무엇일까? 바로 가장 보편성을 갖는 회한이다. 아무리 이기적이고 편향적인 인간일지라도 인간에게는 보편적 회한, 즉 개괄적으로 보편심리가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편심리를 자극하는 대중의 가요들은 역사적으로 불후하게 유전되고 있다. 중국의 역사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은 비일비재하게 탐색할 수 있지만, 송대 때 유영의 가요는 그 영향력이 대단히 두드러진다. 또한 그것의 가치는 곧 발로와 위로이다. 중국문학에는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에 이루어진 중국문학 형식에 대한 소개는 다소 경직성을 가지고 있어, 그 바탕이 그리고 그 실체가 무엇인지를 간과할 수 있는 허점이 존재한다. 본고는 이러한 간극을 메우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여, 중국문학 중 사라는 문학형식이 사실상 인간이 발로하고자 하는 가장 기본적인 보편심리를 위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이 때문에 당시 이것에 열광하였음을 확인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영 사의 가치는 세속성을 확보함으로써 가능하였고, 이는 그의 가사를 특수성이 아닌 범용성으로 접근하고자 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