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연속에 나타난 연속성? - 1800년경의 바이마르-예나의 문화전체론과 1900년경 문화적 현대에 나타난 문화철학적 관점에 대하여

        조우호 ( Woo Ho Cho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03 독일현대문학 Vol.20 No.-

        독일문학에서 독자적 영역으로서의 문화의 개념에 대한 천착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최초의 시기는 18세기 후반 계몽주의 시대이다. 이때 문화에 대한 이론적 성찰은 우선 문화사의 형태로 등장한다. 문헌학자이자 문화사가인 아델룽은 `문화사`란 개념을 독일에 최초로 도입하였다. 그의 개념 정의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독일에서 문화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담론은 개별 인간의 정신과 육체의 총체적 능력을 사회와 국가의 총체적 성격과 연결시키려는 시도에 기초하고 있다. 이런 시도는 특히 독일문학사상 1800년경의 바이마르와 예나라는 특수 공간을 통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괴테는 문화의 성격을 집합체 Aggregat적인 것으로 이해했고, 빌란트 역시 자신의 소설, 특히 『아리스팁과 그의 동시대인들』에서 문화의 성격에 내재된 본질적인 다양성을 개인 아리스팁과 그의 동시대인들의 다면적 인물 특성들과 다양한 사회, 정치적 모델들을 매개로 하여 묘사하고 있다. 헤르더가 인류 문화에서 가장 핵심적 성격을 휴머니즘으로 파악한 것도 당대 유럽 문화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본질적 성격을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역사를 통해서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1800년경 바이마르와 예나 공간에서 두드러지는 또 하나의 그룹인 낭만주의자들도 이러한 문화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들은 시문학을 자연과학과 역사, 국가 정치와도 연결시키고 있다. 이를테면 노발리스와 아힘 폰 아르님, 장 파울의 작품에서 묘사되고 있는 낭만적 전체성도 바로 이런 맥락에 놓여 있다. 18세기 후반의 이런 노력들은 이후 19세기를 거치면서 역사학의 언저리로 밀려나지만 세기말에 다시 니체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철학적 성찰을 통해 광범위하게 부활된다. 당대의 문화철학적 성찰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19세기에 이룩한 과학과 기술, 산업의 발전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사회의 진보의 결과에 대한 비판과 회의에서 출발한다. 시대와 전통, 과학에 대한 이런 회의는 독일문학에서 보면 예컨대 호프만스탈과 릴케, 되블린, 무질, 토마스 만등의 다양한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문학적 현대의 모습들이다. 이런 문학적 현대에서는 1800년경 독일 낭만주의자들의 신앙고백의 대상이었던 시인들 역시 학자와 마찬가지로 비판을 받는다. 이런 불연속에서도 문화에 대한 구상과 성찰에 나타난 두 시대 사이의 시각을 연결해주는 기본적인 공통 요소를 찾을 수 있는데, 다름 아닌 작가의 작품 활동이란 끊임없이 탐구하는 창조적인 작업이라는 인식이다. 두 시대의 작가들은 그들의 작업을 단순한 예술적 글쓰기가 아닌, 항상 창조적이며 사회와 학문, 과학, 예술의 잃어버린 통일성을 시대의 비판을 통해 추구하기 위한 시도로 인식했다. 호프만스탈, 되블린, 무질 등의 작품에서 연구자와 예술가가 자주 동일 인물로 등장하는 것도 바로 이런 맥락을 구체화하기 위해서이다.

      • KCI등재

        1989년 이후 한국 독어독문학의 변화에 대한 고찰

        배기정 ( Bae Ki-chung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18 독일현대문학 Vol.0 No.50

        이 연구에서는 1980년대에 양적 성장을 거듭해 온 한국의 독어독문학이 1990년대에 맞이한 외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자기변화의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같은 시기에 ‘문화학적 독일연구’의 틀에서 수행된 한국 독문학자들의 독일통일 연구가 어떤 특성을 보여주는지 살펴보았다. 최근 30년간 독어독문학은 ‘문화를 텍스트’로 읽는 문화학적 방법론을 통해 다른 분과학문과의 다학제적이고 통합적인 방법을 지향하는 독일학, 문화학, 매체학과의 공존을 꾀하였다. 언어교육을 비롯한 전공 및 교양교육에 폭넓게 활용되기 시작한 인문학 기반의 ‘문화학적 독일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통일 연구가 주종을 이루며, 그 가운데에서도 급격한 체재의 변화를 겪은 구동독인들의 문화적, 심리적 갈등양상에 관한 연구의 성과는 정치학, 경제학 차원의 통일 논의와 차별되는 국내 독일통일 논의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 외에도 통일공간에서 새롭게 등장한 신세대작가군과 구동독 출신 작가들의 활동 및 이주자문학에 관한 연구는 새로운 비평을 실험하는 도전의 성격을 보여주며, 독일학의 범위가 유럽학으로 확대된 최근 10년 사이에는 그 어느 때보다 글로벌한 변화에 대한 인식과 안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류-아시아의 문화적 다양성의 새로운 형태

        정진성 ( Ch. S. Dury Chung ),최은순 ( Eun Soon Choi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09 독일현대문학 Vol.0 No.33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광범하게 유행하게 된 현상을 말하는 것인데, 이는 한국에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중국의 매스컴이 만들어낸 유행어이다. 이렇게 시작된 한류가 최근 들어 다시 유행함으로써 한류라는 현상과 명칭이 동시에 상승효과를 일으키며 주목할 만한 문화적 이슈로 부각되었다. 이제 한류는 아시아 국가들이 한국문화를 높이 평가하며 이를 수용하고 있는 현상을 일컫는다. 그렇다면 아시아 문화권에서 왜 다른 국가의 문화가 아닌 한국의 문화가 수용되고 있으며, 또 그 문화적 토대는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한류라는 문화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계화라는 일반적인 조건과 지역화라는 특수한 조건을 동시에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런데 세계화와 지역화가 서로 독립된 별개의 현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두 요소가 상호 영향을 미치면서 독자적 형태를 찾아가는 것인데, 이를 문화적 다양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한류를 다양한 문화의 공존과 번성을 위한 새로운 시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중국과 일본에서 불고 있는 한국 드라마 열풍은 한편으로는 한국적인 정서와 가치관의 보편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 나라에서 새로운 문화적 욕구에 대한 기대가 팽배했기 때문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결국 지역성이라는 것을 단순히 세계화의 하위 범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과 차이의 인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한류가 이런 가능성을 보여준 하나의 희망 모델이 된 셈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한국의 대중문화가 광범위하게 소비되게 된 원인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한류라는 것이 통일성 있는 일률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 일어나는 한류라는 현상은 각각 다른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들의 원인에 대한 설명 역시 다르게 주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류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발견되는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한국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사람들을 하나의 동질적인 집단인 것처럼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아시아 지역 내에서 한국 대중문화가 왜 인기 있는지를 설명하면서, 간단하게 한국의 댄스뮤직과 가수들이 가진 독특한 매력을 강조하거나, 아시아적 정서와 서구적 현대성을 결합시킨 한국 드라마의 장점을 지적하는 식의 해석은 일반론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한국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사람들의 다양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의 댄스뮤직과 음악을 소비하는 층과 한국의 드라마에 열광하는 층은 같은 집단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일본에서의 한류를 주도하는 집단은 거의가 30대 이후의 여성들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젊은 남성들의 집단은 거의 흥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처럼 한류는 동질적인 문화적 소비라고 하기 보다는 다양한 형태를 통해서 나타나는 차별적인 소비의 양상들이기 때문에 그것들의 원인도 다르게 파악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점을 전제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에 따른 한류라는 현상이 왜 거의 동시에 나타났고 또 그것이 한국의 대중문화였느냐 하는 것에 대해 답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한류 현상 전체를 아우르는 일반적이 논의가 주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러한 일반적 현상에 대한 설명을 기본적인 틀로 제시해 보고, 그에 이어서 한류의 개별적인 현상에 대해서 그것이 갖는 다양성을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의 열풍과 일본에서 한류스타의 열풍을 사례로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일본에서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지식인들에 전달되는 험한류 현상을 통하여 문화다양성과 타문화권의 문화수용과 공존하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저항적 문화수용현상에 대해서도 분석할 것이다.

      • KCI등재

        언어위기와 현대 독일문학

        양우탁 ( U Tag Yang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03 독일현대문학 Vol.20 No.-

        Die Reflexion u¨ber die Sprache, die in der Literatur als ein Thema behandelt wird, kommt zwar bereits in der altgriechischen Literatur vor. Seit der Fru¨hromantik aber interessiert man sich intensiver fu¨r das Wesen der Sprache. In Novalis` <Monolog> spricht die Sprache nicht mehr um der Dinge willen. Sie verselbsta¨ndigt sich aus ihrem Dingbezug. Diese Befreiung der Sprache ist gerade die Voraussetzung der modernen Literatur des 20. Jahrhunderts. Die Skepsis u¨ber die Sprache kulminiert in der Janrhundertwende und Hofmannsthais <Chandos-Brief> gilt als die bedeutendste Formulierung der modernen Sprachkrise. Es geht darin um die wachsende Erkenntinis, daB Wort und Wirklichkeit einander nicht decken, daB die traditionelle Sprache nicht mehr kongruent ist mit neuen Erfahrungszusammenha¨ngen. In diesem Sinne versteht sich die Krise der Sprache auch als BewuBtseins-, Erkenntnis- und Kulturkrise der Jahrhundertwende. Diese kritische Reflexion u¨ber die Sprache spiegelt sich weiter also in der modernen deutschen Literatur seit dem zweiten Weltkrieg wider. Bei Paul Celan wird z. B. die Verselbsta¨ndigung der Sprache zum Thema des Gedichts selbst gemach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합 문학치료의 한국적 수용 및 적용 -정신 병리적 사례를 통한 한국과 독일의 문화

        채연숙 ( Yon Suk Chae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11 독일현대문학 Vol.0 No.36

        Dass und wie die Integrative Poesie- und Bibliotherapie in Korea seit 2004 durch einige Germanisten eingefuhrt wurde, hangt damit zusammen, dass in den 90er Jahren an fast allen Universitaten in Korea Studienreformen durchgesetzt wurden und dadurch die meisten Germanisten sich den Kulturwissenschaften, der Theorie der Erinnerungsraume, der Medienwissenschaft und den Gender Studies und dann schließlich der Integrativen Poesie- und Bibliotherapie zuwandten. Am Anfang beschaftigte sich letztere mit den Heilkraften der Literatur, dann gab es neue Forschungen, die sich darauf spezialisierten, deutsche Literatur aus therapeutischer Sicht anzuwenden und daraus etwas Kreatives zu machen. Nachdem sich die Erkenntnis verbreitet hat, dass die deutsche Literatur traditioneller Weise schon literaturpsychologische oder literaturpathologische Elemente innehat, machten einige sich mit der Integrativen Poesie- und Bibliotherapie befassenden koreanischen Germanisten eine Ausbildung als Trainer fur Poesie- und Bibliotherapie am Fritz-Perls-Institut (NRW). Seitdem bleibt ihnen die Aufgabe, wie sie poesie- und bibliotherapeutische Ansatze in Korea entwicklen konnen.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von der Rezeptions-geschichte und den Anwendungsmoglichkeiten der Integrativen Poesie- und Bibliotherapie in Korea zusammenfassend zu berichten und dabei die psychopathologischen Phanomene zwischen koreanischer und deutscher Kultur zu vergleichen. Denn eine Therapie heißt meiner Ansicht nach eine Therapie der Kultur.Ohne kulturelle Betrachtungen kann man sich nicht den Menschen heranziehen. Deutschland hat im Vergleich zu Korea viel fruher angefangen, sich mit Poesie- und Bibliotherapie zu beschaftigen. Anfang der 70er Jahre siedelte Hilarion Petzold, Professor fur Psychiatrie und Psychologie, von Amerika nach Huckeswagen um und gegrundete dort mit Ilse Orth das Fritz-Perls-Institut (FPI). 1982 erhielt das Institut die staatliche Anerkennung Nordrhein-Westfalens, unter dem Namen Europaische Akademie fur psychosoziale Gesundheit (EAG). Blickt man aus dieser Perspektive auf Poesie- und Bibliotherapie in Deutschland, so rucken neue, vor allem komparatistische Fragen in den Vordergrund: Wie unterscheidet sich die deutsche Umgangsmethode der Therapie von der koreanischen? Gibt es Ahnlichkeiten in Symptomen und Methoden zwischen deutschen und koreanischen Therapiegebieten? Poesie- und Bibliotherapie als Fach musste jetzt versuchen, Zusammenhange zwischen interkultureller Psychopathologie und psychischen Erkrankungen beider Kulturen herzustellen. Die psychopathologischen Phanomene begegnen den beiden Kulturen in vielerlei Formen. Diese Fulle unter pathologischen Gesichtspunkten zu ordnen, ware eine interessante Aufgabe fur alle, die sich fur solche Themen interessieren.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lebt man mit vielerlei Problemen. In Deutschland hat man eher Schwierigkeiten mit den alter werdenden Menschen, wie z.B. der Suizidhaufigkeit alterer Menschen oder demenzerkrankten alteren Menschen. Es kommen Depressionen und Angststorungen an nachster Stelle. Dagegen ist in Korea die Suizidquote der jungeren Menschen hoch; am hochsten unter den OECD-Landern. An der nachsten Stelle kommt dann wiederum auch Depression. In der Regel sind die psychischen Erkrankungen nicht eindimensional, sondern multidimensional, so dass man sie nicht leicht diagnostizieren kann. Außerdem sind die psychischen Erkrankungen, die in der deutschen und koreanischen Kultur vorkommen, meistens generalisierte Angststorungen, die durch alltaglichen Stress entstehen. Aus diesen interkulturellen Betrachtungen kann man zusammenfassend feststellen, dass man von der Poesie- und Bibliotherapie ausgehend derzeitige psychopathologischeProbleme in beiden Kulturen verarbeiten kann. Hier arbeitet man nicht mit den Medikamenten, die fur eine Seite positiv und fur eine andere Seite negativ wirken, sondern mit gestalteter Sprache, die in literarischen Formen formuliert wird (Lyrik, Prosa, Marchen, Erzahlungen, Dramen usw). Es sind entweder eigene oder vorgefundene Texte. Außerdem regen Poesietherapeuten an, selbst Texte zu schreiben und dem Therapeuten oder in der Gruppe vorzutragen. In der Poesie- und Bibliotherapie wird gerne empfohlen, den geschriebenen Text selber vorzutragen und ihn mit der Gruppe zu bearbeiten, weil man dadurch ein positives Feedback bekommen kann. Auch hier wird das Material zur Auslosung von Gefuhlen und zur Vermittlung von Einsichten im Gruppengesprach verwandt. Die weitere Entwicklung voranzutreiben, ist Aufgabe der Therapeuten beider Lander.

      • KCI등재

        주체의 위기와 개성적 형성

        최신한 ( Shin Hann Choi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04 독일현대문학 Vol.23 No.-

        이 논문은 이른바 `주체의 위기`라는 현대적 상황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의 위기`로도 불리는 현대의 정신적 상황은 체계화된 공적 삶의 조건 가운데서 의미를 상실한 개인적 삶의 허무주의적 상황을 지시한다. 개인의 삶을 위협하는 현실의 허무주의적 공간은 애당초 근대적 사유와 의지의 확실성에 의해 마련된 충일한 의미의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현대는 주체의 위기의 시대로 규정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현대의 정신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개성적 형성` 개념에 주목하며 이를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해석함으로써 사고 중심의 `이론적 형성`과 의지 중심의 `실천적 형성`이 성취하지 못한 새로움의 의미를 개성적 형성을 통해 창출하려고 한다. 이론적 형성과 실천적 형성은 현실 가운데 마련되어 있는 삶의 보편적 의미를 중시하는 반면,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은 아직까지 드러나지 않은 새로운 의미의 생기(生起)를 지향한다. 개성적 형성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논문은 먼저 이것과 대비되는 헤겔의 보편적 형성 개념을 주체화한 다음, 슐라이어마허의 개성적 형성 개념을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구체화한다. 더 나아가 개성적 형성은 `창 없는 개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개성의 전달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공동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문화의 이념을 새로운 틀에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개성적 형성을 내면성의 근본적인 활동성으로 규정함으로써 그때마다 새롭게 일어나는 개성을 통해 주체의 위기가 극복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통일 이후 동서독 간 갈등의 재조명 -2000년대 오스탈기 붐과 동독 이상화 현상을 보는 독일사회의 시각변화

        김재상 ( Jae Sang Kim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11 독일현대문학 Vol.0 No.36

        Die Ostalgie-Welle, die 2003 mit den DDR-Shows im deutschen Fernsehen ihren vorlaufigen Hohepunkt erreichte, hat sich im Lauf der letzten Jahre zu einem breiten Phanomen der DDR-Verklarung entwickelt. Immer mehr Ostdeutsche vertreten die Auffassung, dass der untergegangene SED-Staat mehr gute als schlechte Seiten hatte. Somit hat die Verklarung der DDR die Mitte der Gesellschaft erfasst. Angesicht dieser neuen Form der Ostalgie, die vor allem von Jungeren und Bessergestellten getragen wird, werden in Deutschland die Stimmen lauter, sich dem Phanomen nicht mehr aus der den Westdeutschen vertrauten Perspektive der pauschalen Freiheits- und Demokratierhetorik zu nahern, sondern aus einer ostdeutschen, um den Nachwende-Erfahrungen der Ostdeutschen, die den Umbruchsprozess mit gewaltigen Herausforderungen durchzustehen hatten, Rechnung zu tragen und dadurch statt des bisherigen Schwarz-Weiß-Bildes die Aufbauarbeit und Krisenbewaltigung im Osten anzuerkennen. Diese neue Sicht auf die Ostalgie im Osten artikuliert sich besonders deutlich in den jungsten Studien zu Ostdeutschen, die deren enorme seelische Transferleistung nach der Wende anerkannt haben und dadurch eine offentliche Debatte uber die drastischen Veranderungen innerhalb der deutschen Gesellschaft anstoßen wollen.

      • KCI등재

        독일 현대시와 영화에 사용되는 몽타주와 의미귀납

        채연숙 ( Chae Yeon Sug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03 독일현대문학 Vol.21 No.-

        Diese Arbeit versucht weniger, die literarischen Erkenntnisse uber deutsche Lynk und die Filme zu verschaffen, als die Bildstrategien mit Interesse zum lyrischen Text zu analysieren, die sich so in den modemen deutschen Gedichten wie auch in den Filmen zeigen. Das Konzept diem Arbeit beschreibt, wie die Bildstrategien durch Montage wie Sinninduktion der Lyrik und den Filmen eine neue Moglichkeit verschaffen. Daher wird in dieser Arbeit versucht, die Bildershategien der Gedichte mit der Technik des Films und der Lyrik, deren Struktur auch in den modemen deutschen Gedichten ofiers vorkommt, zu vergleichen. Die Bilder in den modemen deutschen Gedichten und in den Filmen sind ziemlich eng rnit der Montagetechnik verknupfi. Dabei weiD man natiirlich, daD es modeme Gedichte ohne irgendeine Bedeutung unter den Verszeilen gibt und daD ein Gedicht nur verschiedene Moglichkeiten aufweist, es zu interpretieren. Dennoch bietet die moderne Literaturwissenschafi nicht einmal aus der Sicht der Sinninduktion eine Moglichkeit der Interpretation an und damit auch die wichtige lyrische Erfahrung. Womm es dabei geht, d. h. was die Bildstrategien eigentlich sind und leisten, ist ja eben die Sinnkonstruktion aus verschiedenen Bildfragmenten. Besonders wirksam wird es dann, wenn Gedichte eine Anzahl von Bildem bzw. Verszeilen haben, die keine formalen Konnektoren aufweisen. so daa das Sinnverstehen der modemenen Gedichte von Beckers NanU-Gedcb6 Enzensbergers schIakmg und Bachmanns Rekfme auf Sinninduktionen angewiesen ist. Denn die einzelnen Bilder eines Gedichts und eines Filmes werden sich nach den erlebten Gedachtnissen und dem vorgegebenen Vonvissen des Lesers oder des Publikums gegenseitig anstecken. Die Bedeutung einer einzelnen Einstellung wird auf die nachste abfarben. Diese automatische Verschmelzung bzw. inhaltliche Ansteckung nennt man Induktionseffekt. Dadurch kann eine Sinninduktion herausgestellt werden, damit diese Ansteckung verschiedene Inhalte als sinnvolle Einheit erscheinen IaBt. In dieser Hinsicht wird beispielsweise die Bildervostellung eines priisentiert: das Gedicht von Eichendorff Der Abend wird zeilenweise auseinandergelegt. Es liegt daran, d d es in den Puzzle-Zeilen keine Satzzeichen und kein Metrum und Reim vorhanden sind. Es lie$ vor allem daran, daB die Verszeilen meist in sich geschlossen sind und so in vielfache Verbindungen miteinander treten konnen. Damit ist eine syntaktisch ziemlich geschlossene und sinnmaBig schliissige Zuordnung der Verszeilen hergestellt. Nun beobachten wir, wie man die Zeilen des Gedichts zusammenstellt, was schliealich die Sinninduktion festgestellt wird. Nach Assoziationen, Symbolen, Metaphem usw. werden die Verszeilen rekonstruiert. Der textuelle Sinneffekt eines Gedichts oder eines Filmes wird nicht allein durch formale Konnektoren hergestellt, sondem stellt sich vor allem durch Sinninduktionen der einzelnen Verszeilen oder der einzelnen Szenen her, die jeweils auf die folgende und gegebenenfalls auf alle folgenden abf~ben, auch umgekehrt. Das gilt in geringerem oder starkerem Grade fir jedes Gedicht und jeden Film in der modemen Zeit. Was die Sinninduktionen und der Sinneffekt der Gedichte oder der Filme textuell konkret sind, sind sie erst im produktiven Vollzug der Sinnbeziehungen und Sinnverbindungen der einzelnen Gedichte und Filme durch die vielfaltigen Vorstellungen und die Erfahrungsgedachtnisse des Lesers oder des Publikums. Damit ist folgendermaaen zu schlieaen, dass die Bildstrategien der modemen Medien eigentlich mit den der Gedichte im engeren Zusammenhang ste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