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형 교육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지식베이스 객체 모형 개발

        김용범,김영식,Kim Yong-Beom,Kim Yung-S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4

        Intelligent Tutoring System(ITS)이 다양한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개별화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영역 전문가를 대신할 효율적인 대안으로 인식되어짐에 따라, Learning Companion System(LCS)에 대한 연구도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LCS에서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동일한 역할을 하는 복수 LC의 결합이 필요하고, 이는 개별적 지식베이스의 확보를 선행 조건으로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구조의 연결주의적 관점을 근거로, 지식베이스 자체의 자기 학습(self learning)이 가능하고, 지식베이스 객체의 소유자에 의해 적응적으로 성장 가능한 지식베이스 객체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 지식베이스 객체 모형은 개별적 지식베이스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여, 지식베이스 객체를 이용한 적응적 ITS 개발의 기회를 제공한다. Intelligent Tutoring System(ITS), which offers individualized learning environment that consider many learners' variable, is realized by the effective alternative to take the place of domain expert. Accordingly, research on Learning Companion System(LC) is currently noticing. However, to develop LCS which applies effective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combine several LCs, and personalized knowledge base have to be made firs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Knowledge Base Object Medel', which is based on connectionist' in cognition structure, represents learner's knowledge to self-learnig object, and grows adaptive object by proprietor, verify the validity. This model lays the groundwork for design of personalized knowledge base, offers clue to development of adaptive ITS using knowledge base object.

      • KCI등재

        당뇨병성 족부 골수염 치료에서 보존적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용범,이은정,조재호,권민수,강승구,천동일,Kim, Yong-Beom,Lee, Eun Jung,Cho, Jaeho,Kwon, Min-Soo,Kang, Seung-Gu,Chun, Dong-Il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 No.2

        Purpose: The question of surgical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for diabetic foot osteomyelitis remains subject to debat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e the outcome of conservative treatment (antibiotic treatment and conservative surgery) for diabetic foot osteomyelitis and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of remission in conservative treatment of diabetic foot osteomyeliti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seven patients with diabetic foot osteomyelitis who initially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from January 2004 to July 2013 were identified, and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Diabetic foot osteomyelitis was defined by imaging studies or histological evidence. Remission was defined as the absence of any sign of infection at the initial or contiguous site assessed at least 12 months after the end of treatment.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therapeutic factors were analys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2.7{\pm}12.2$ years, and 47 patients (61.0%) were male. The median diabetes duration was $15.7{\pm}11.2$ years and mean HbA1c was $8.7%{\pm}2.4%$. Forty-eight patients (62.3%) heal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ntibiotic treatment and conservative surgery). Twenty-five patients (32.5%) underwent amputation.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concomitant peripheral artery disease and inadequate antibiotic therapy were associated with failure of conservative treatment. Conclusion: Antibiotics alone, or with conservative surgery, were successful in treatment of diabetic foot osteomyelitis in 62.3% of the patients. Concomitant peripheral artery disease and inadequate antimicrobial therapy were risk factors for remission in conservatively treated diabetic foot osteomyelitis.

      • KCI등재

        가상 교수자를 이용한 지능형 u-러닝 시스템의 개발

        김용범,정복문,김영식,Kim, Yong-Beom,Jung, Bok-Moon,Kim, Yung-S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3

        u-러닝(u-learning) 체제의 도입은, 원격교육을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u-러닝 시스템 및 모형을 요구하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u-러닝 환경의 원격교육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원격교육시스템은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지속적인 쌍방향 상호작용 유지의 어려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제적 부담, 시스템 운영에 투입되는 교수자의 기술적 소양 부족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접속 여부와 무관한 지속적인 학습 활동의 유지, 시스템 구축의 경제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성과 내재성 등의 u-러닝 개념을 포함하고, 가상 교수자(cyber tutor)의 결합에 의해 실제 교수자의 접속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지속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지원하며, 사용자의 기술적, 경제적 부담의 제거가 가능한 지능형 u-러닝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A arrival of u-teaming paradigm requires many u-teaming system and model that is varied and support to distance education, Accordingly,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in u-learning environment has attracted a fair amount of critical attention. However there remain many questions, as yet unresolved, such a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nteraction between tutor and learner, the construction of system is a great expense to them, a tutor, who manages the system, lacks technologic background, in most current distance education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 some preliminary observations have to be made first: to keep teaming process in situation that it is unconnected with tutor, to construct the system economically, and to make to be easy-to-use.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Intelligent U-Learning System using Cyber Tutor', which includes the conception of u-learning such as mobility, immanency, supports to keep learning without real tutor by cyber tutor, and removes technological and economical costs, verify the validity.

      • KCI등재

        연결주의에 기반한 학습자 특성의 정량화 기법

        김용범,김영식,Kim, Yong-Beom,Kim, Yung-S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5 No.6

        개별화 학습은 단지 하나의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의 의미가 아니라는 인식이 보편화되어 교실 수업뿐만 아니라, 성인 교육, 기업 교육 등 다양한 교수 학습 상황에서 관심을 끌어왔다. 한편 효과적인 개별화 학습은 학습자 특성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측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학습자 특성에 대한 개념과 범주가 다양하고 광범위하여 그에 대한 계량적인 기술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을 인지구조와 인지양식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학습자 특성을 연결주의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 특성의 정량화 기법을 제안하며 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학습자 인지구조는 기존에 연구된 학습자 인지구조 객체를 간소화하였고 인지양식은 학습자 인지의 지식관성력으로 축소하여 기술하였다.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individualized learning means more than simple teaching-learning method, so the instructional method has attracted a fair amount of attention not only in classroom, but also in the field of a adult education, cooperate education, and so on. In order to have an effect on individualized learning, we need to analyze and measure the learner's characteristic.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in quantified form because the conception and category of learner's characteristic is various and extensiv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quantification method of learner's characteristic, which is limited to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and style, and is represented in the light of connectionism, verify the validity.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in this paper was represented, which simplified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Additionally, the cognitive style in this paper was limited to inertia of knowledge for learner's cognition.

      • KCI등재후보

        한국예술가곡 효시에 관한 연구

        이지연 ( Ji-yeon Lee ),공정배 ( Jeong-bae Kong ),김용범 ( Yong-beom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본 연구는 독일어권에서 비롯된 예술가곡 리트(Lied)의 한국적 전이과정을 통해 한국예술가곡의 효시를 규명하고자하는 목적이다. 예술가곡은 시문학과 음악의 합일된 예술장르로서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독일어권에서 발달된 가곡으로, 시인의 시에 작곡가가 선율을 붙이고 이를 성악가가 부르는 음악 양식이다. 그 효시를 슈베르트의 `실 잣는 그레첸(Gretchen am Spinnrade)`로 비정하고 있다. 작곡가의 임무란 좋은 시를 널리 알리는 것이었기 때문에 음악은 시에 종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술가곡은 상호매체성에 의한 문화융합결과물로서 시와 음악이 서로가 각기 독립된 예술이었던 상태로부터 벗어나 완전히 하나로 융합되면서 또 하나의 새로운 양식으로 탄생한다. 슈베르트 이후 가곡의 작곡자는 더 이상 시의 언어 음율을 선율적으로 고양시키는 낭음자가 아니라 가사에서 말로 표현될 수 없는 영역을 음악적으로 표출하는 시의 자유로운 해석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음악을 단순히 시를 쉽게 이해하는 보조수단에 국한시킨 이전의 가곡미학을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경향들이 나타나면서 이전까지 작법인 유절가곡이 아닌 통절 작곡 형식이 새롭게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예술가곡은 1835년경 이후부터 독일을 벗어나 다른 나라로도 전파되어, 각 나라의 음악적 특징에 맞는 독자성을 지니며 민족음악으로 자리잡는다. 그리하여 그 갈래의 하나가 한국에 이르게 된다. 독일 예술가곡의 개념과 정의 및 조건에 맞는 한국 최초의 예술가곡이 어떤 작품인가는 학자들의 견해에 따라 논란이 존재 한다. 그러나 이 관점은 예술가곡을 시와 음악의 등가의 결합을 전제로 보았을 때 우리 시문학사적 위상과 일치하는 시기이다. 한국 시문학사는 1930년대에 이르러서 성숙함이 묻어나면서 시인들은 창작 행위에 대한 확고한 자신의 색깔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전문적인 시인의 등장이 활발해지는데 이때 정지용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1932년 7월 동방평론 4호에 발표한 정지용의 시 `고향`에 작곡가 채동선이 곡을 붙였고, 채선엽이 독창을 맡았으며 반주는 김애식이 맡았다. 작곡가 채동선은 독일에서 정통으로 작곡을 공부하고 귀국하여 <고향>을 작곡하였고 시기적으로는 물론 예술가곡의 완성의 필요충분조건은 모두 갖춘 한국 최초의 예술가곡 그 효시로 비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beginning of the Korean art song by reviewing how the German art song "lied" was traditionally transferred and spread in Korea. As a genre of art that unites poetry and music, the art song was originally developed in German-speaking countries including Germany and Austria; the then composers put a melody on poems so that singers(vocalists) could sing the songs. Gretchen am Spinnrade by Franz Peter Schubert is considered the beginning of such a style of music. Since promulgating good poems was one of the composer`s missions then, music was viewed as subordinate to poems. As an outcome of cultural convergence through intermediality, however, the two independent forms of art, poetry and music, came to converge into a completely single genre, heralding a birth of a new music style. Since Shubert, composers were no longer a mere reciter exalting poems by putting melodies on rhythmical poetic language; instead, they served as a free interpreter of poems to express the sentiment beyond the lyrics musically.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stereotype that regarded music simply as an aid to better understand poems, a new trend such as through-composed songs, away from traditional strophic songs, emerged. Those German art songs were widely disseminated beyond Germany since 1835, and took root in many areas as folk music combined with each country`s traditional musical hallmarks. Korea was no exception. With Korean art songs originated from Germany, scholars in the field have long disputed over which one is the first Korean art song that complied with the concept, definition, and conditions of the German lied. When we consider the art song as a fair combination of poetry and music, a hint can be found from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Korean poetry began to mature in the 1930s with poets clearly expressing their own signature colors in their creations. Professional poets actively broke onto the art scene, and Ji-yong Jeong was one of them. Mr. Jeong released a poem titled "Home (Gohyang)" on No. 4 Dongbang Critique in July, 1932, and Dong-sun Chae, a composer, put a melody on it; later it was sung by Sun-yub Chae with the piano accompaniment by Ae-sik Kim. After studying composition officially in Germany, Dong-sun Chae returned to Korea and composed the song, meeting all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 German lied. In this sense, "Home (Gohyang)"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Korean art song.

      • KCI등재
      • KCI등재

        혜강(혜康)의 의식구조(意識構造)에 관한 고찰(考察) -내,외재적 도덕개념을 중심으로-

        김용범 ( Yong Beom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70 No.-

        혜강(223~262)은 人間의 本性을 스스로 그러함(자연)이라고 정의했다. 자연 본성이 실현되면 모든 사물이 자연의 이치에 따라 다툼이 없는 조화로운 사회가 되어 모두가 物全理循하여 莫不自得하는 至德之世를 이룬다고 주장한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세속적 욕망이 증대하면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자 인의 예교 등 인위적 교화수단이 등장했지만, 그것은 또 다른 사회적 병폐만 잉태시켰다고 비판한다. 오직 외물에 구속되지 않는 인간본성을 회복하고 그곳으로 돌아가는 것이 바른 길이라고 인식한다. 仁義의 예교를 인간본성을 규제하는 ‘類似自然’의 윤리도덕으로 간주하고, 명교를 초월하여 自然에 임하는, 즉 自然本性을 따를 때 자연의 이치에 합당한 조화로운 사회가 구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혜강의 人性觀은 외양적으론 성선설에 가까운 듯하지만 性善ㆍ性惡說 모두를 반대하는 자세를 취하며 善과 不善의 중간쯤으로 이해한다. 선과 불선을 恒久不變的인 것으로 보지 않으며, 善에서 不善으로 不善에서 善으로 轉化할 수 있다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不善에서 善으로 轉化하는데 양생이 중요한 과정의 하나라고 인식했다. 養性의 道를 통해 人性을 온전히 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自然之和를 따르며 현실권위의 허위성을 폭로하고 자연적 道를 이루어 人間本性의 본연을 되찾으려는 희구라고 할 수 있다. 혜강은 진정한 부귀는 세속적 명위나 재부가 아니라 마음에서 뜻을 얻는 意足이라고 주장한다. 외물의 부귀영화로는 진정한 만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內로써 밖(外)을 즐기는 지극한 즐거움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인식론은 당시 司馬氏 정권에 대한 부정이자 항거였다. 司馬氏 정권이 禮敎的 道德綱常을 표방했지만, 참을 허위로 전도시킨 가식적 명교정권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혜강이 정치체제나 사회윤리보다 인간 개체의 정신에 더 많은 관심과 중점을 둔 것은 이 같은 인식론에 바탕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의와 명예를 위해, 가문과 가족을 위해, 국가와 천하를 위해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인간 본성을 손상시키는 행위이기에 반대하고 부정한다. 오로지 인간본성이 자연과 하나 되는 삶속에서 청정무위의 정신을 통해 초월적 자유세계에 도달하는 것을 추구한다. 名位와 富貴 같은 피상적 가치에 뜻을 두는 대신 자연적 人格美라고 할 수 있는 意足을 최고의 善으로 여긴 것이다. Ji Kang defines human nature as nature. When the essence of nature comes to the realization, everything follows the law of nature, creating a harmonious society where everyone is satisfied. As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increases secular desires which cause social problems, edification means like Ren yi(仁義) and Li jiao(禮敎) emerges. He criticizes, however, that means created another social ills and so he argues only right thing to do is to recover the human nature and go back to the nature. Ji Kang`s view of personality seems to be similar to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good, but he`s actually against both theories that human nature is good and it is bad. He thinks human is in between the two theories. He does not see good and evil as something permanent but something that can be converted into each other. Caring for life is critical process in being converted into good from evil. He believes personality can become good through the means of nourishing one`s nature. Ji Kang argues real wealth and rank is not worldly honor, status or money, but ‘Yi Zu’ meaning that you achieve the satisfaction of your mind in your heart. Since worldly wealth and honor cannot help achieve real satisfaction we should find utmost joy within ourselves. This perspective shows his will that defied and resisted Si Ma Shi power. Si Ma Shi political power claimed to advocate moral principles but they converted truth into false. Ji Kang sees the power as fake moral principles. Because of his perspective, Ji Kang focuses on individual mind rather than political system or social ethics. He seeks for reaching free world through pure spirit without greed in life where human nature and nature become one. Instead of focusing on superficial values like honor, s ocial status or money, he sees ‘Yi Zu’ as the utmost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