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진균활성 violacein 색소를 생산하는 Collimonas sp. DEC-B5 균주의 분리 및 특성

        이예림,황경숙,Lee, Ye-Rim,Mitchell, Robert J.,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16 미생물학회지 Vol.52 No.2

        Forty-nine pig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ions of 106 pigment producing bacteria from the plant rhizosphere soil. Antibacterial activity test was performed in the subjects of the extracted pigments with plant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Xanthomonas axonopodis and Xanthomonas campestris, and with plant pathogenic fungi including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acutatum, and Fusarium oxysporum. The yellow pigment by Chryseobacterium sp. RBR9 and the red pigment by of Methylobacterium sp. RI13 show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Xanthomonas axonopodis and Xanthomonas campestris. The violet pigment by Collimonas sp. DEC-B5 show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s well as th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Botrytis cinerea and Fusarium oxysporum. Especially, the violet pigment inhibited the growth of Botrytis cinerea more than 65% at MIC $20{\mu}M$. Upon the HPLC analysis result for the isolation of pigment with antifungal activity, violacein (91.6%) and deoxyviolacein (8.4%) were isolated for the pigment by Collimonas sp. DEC-B5.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pigment was increased more than 10 times higher when D-mannitol 1.5% and yeast extract 0.2% were added as the nitrogen source to SCB medium. This study suggests that produced violacein by Collimonas sp. DEC-B5 will be effective to control strawberry gray-mold rot fungi by its preventive activity. 식물 근권 토양으로부터 색소생성 균주 106균주를 수집하여 색소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로부터 노란색(33개), 주황색(12개), 분홍색, 빨간색, 갈색 그리고 보라색 총 49개의 세균색소를 추출하였다.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능이 우수한 색소를 선발하기 위하여 고추점무늬병원균(Xanthomonas axonopodis), 흑마병원균(Xanthomonas campestris)과 딸기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 고추탄저병원균(Colletotrichum acutatum), 그리고 시들음병원균(Fusarium oxysporum)을 대상으로 항균활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색소생성 Chryseobacterium sp. RBR9 균주가 생산하는 노란색 색소와 Methylobacterium sp. RI13 균주가 생산하는 빨간색 색소는 X. axonopodis와 X. campestris에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차나무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Collimonas sp. DEC-B5가 생산하는 보라색 색소는 항세균 활성과 더불어 B. cinerea와 Colletotrichum acutatum에 항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보라색 색소는 최소저해 농도 $20{\mu}M$에서 B. cinerea를 65% 이상 생육 저해하였다. 항진균활성 보라색 색소를 HPLC 분석한 결과, violacein (91.6%)와 deoxyviolacein(8.4%)으로 동정되었다. 보라색 색소 violacein의 생산량은 SCB 배지에서 $43.2{\mu}M$이었고 D-mannitol 1.5%, yeast extract 0.2%를 첨가한 경우 $431.6{\mu}M$로 약 10배 높은 색소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Collimonas sp. DEC-B5가 생산하는 violacein 색소는 딸기잿빛곰팡이병원균 방제제로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경기지역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의 배달음식 이용형태 및 만족도 비교 연구

        이예림,장재선,Lee, Ye-Rim,Jang, Jae-Se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2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ype of use and satisfaction of delivery food by Chinese and Korean students. In December 2019, Korean and Chinese student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average number of food deliveries was 1~2 times a month and used 30.7% of the Korean students and 21.8% of the Chinese students. As for how to order food for delivery, 62.2% of Korean college students took up mobile apps, and 49.0% of Chinese students took up mobile phones. In terms of satisfaction after using delivery food, Korean students scored 3.89 points for taste and 3.74 points for using a neat and convenient packaging container, while Chines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core of 3.69 points for past eating experiences and 3.65 points for taste. As f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fter using the delivered food, the food quality satisfaction (β=0.518) for Korean students and favorable menu factor (β=0.533) for Chinese students were foun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 quality, service, convenience and diversity of delivered food, and health and safety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delivery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형질전환 벼에서 brazzein 감미단백질의 안정적인 발현

        이예림,샤히나,이인혜,정여진,박소영,조용구,강권규,정유진,Lee, Ye Rim,Akter, Shahina,Lee, In Hye,Jung, Yeo Jin,Park, So Young,Cho, Yong-Gu,Kang, Kwon Kyoo,Jung, Yu Ji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8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1

        Brazzein은 열대식물인 P. brazzeana Baillon의 과실에서 분리된 가장 작은 감미단백질로 토착민들의 단맛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Brazzein은 sucrose보다 분자량 기준으로 500 ~ 2000배, 몰 기준으로 9500배 당도가 높아 감미료로써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감미단백질은 재배가 어렵고 생산 비용이 높아서 brazzein 단백질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대체 생산 시스템으로 형질전환 식물체 육성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razzein 관련 유전자를 벼에 도입하기 위하여 식물형질전환용 Ti-plasmid에 $2{\times}CaMV\;35S$ 프로모터에 의해 지배되어 발현하도록 하고, 선발 마커로 bar 유전자가 삽입된 식물발현 벡터를 구축하여 A. tumefaciens EHA105에 형질전환시켜 17개의 재분화 식물체를 육성하였다. 17개 재분화 식물체는 PCR 및 RT-PCR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도입 및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TaqMan PCR을 통해 single copy로 도입된 T0 세대 9개체를 선발하였다. 또한 FST 분석을 통하여 도입 유전자가 intergenic으로 삽입된 개체 5개를 선발하였다. 이들 5개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 분석에 의해 단백질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선발된 모든 개체에서 발현 밴드를 확인하였다. 그 중 brazzein 단백질의 발현량이 높은 개체를 TG11으로 계통화하여 후대 종자를 육성하였다. TG11 계통은 천연 감미료 brazzein을 생산하는 새로운 벼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육종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고 시사된다. Brazzein is the smallest sweet protein and was isolated from the fruit pulp of Pentadiplandra brazzeana Baillon, native to tropical Africa. From ancient times, the indigenous people used this fruit in their diet to add sweetness to their daily food. Brazzein is 500 to 2000 times sweeter than sucrose on a weight basis and 9500 times sweeter on a molar basis. This unique property has led to increasing interest in this protein. However, it is expensive and difficult to produce brazzein other than in its native growing conditions which limits its availability for use as a food additive. In this study, we report high production yields of, brazzein protein in transgenic rice plants. An ORF region encoding brazzein and driven by the $2{\times}CaMV\;35S$ promoter was introduced into rice genome (Oryza sativa Japonica) via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fter transformation, 17 regenerated plant lines were obtained and these transgene-containing plants were confirmed by PCR analysis. In addition, the selected plant lines were analyzed by Taqman PCR and results showed that 9 T0 lines were found to have a single copy out of 17 transgenic plants. Moreover, high and genetically stable expression of brazzein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recombinant brazzein was efficiently expressed in transgenic rice plants, and that we have developed a new rice variety with a natural sweetener.

      • KCI등재

        비주얼 아이덴티티 실행 요소 분석을 통한 스토리텔링 역할 유형별 브랜디드 콘텐츠의 전략

        이예림 ( Ye-rim Lee ),정정호 ( Jung-ho 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1

        연구배경 브랜디드 콘텐츠는 단일적인 커머셜 광고에서 벗어나 양질의 정보와 흥미를 제공하는 콘텐츠 광고 방식이다. 그러나 현재 브랜디드 콘텐츠는 광고와 콘텐츠 영역간의 표현 모호성, 단순 흥미 위주의 일회적 스토리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유형별 브랜드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표현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브랜디드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역할을 영웅-갈등해결, 적대자-갈등원인, 조력자-소도구, 후원자-배경유형으로 분류했다. 시례는 세계 3대 국제 광고제에서 수상작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사례 분석의 실행 요소로 브랜드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요소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유형별 시사점 도출할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브랜디드 콘텐츠의 가치제안을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HC유형은 브랜드의 언어적 표현 요소 및 다른 표현 요소를 직접적으로 노출시켰으며, AC유형은 컬러를 노출시켰지만, 브랜드 아이덴티티보다 제품의 기능을 강조함을 알 수 있었다, SP와 BB유형은 비주얼 아이덴티티가 간접적으로 나타났으며, SP유형은 언어적 요소를, BB유형은 컬러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결론 향후 소비자의 '앰비언트 경험'으로 확장 할 수 있도록 실제적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브랜디드 콘텐츠의 제작과 브랜드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담은 콘텐츠 제작, 체계적인 고객 데이터 관리를 해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Background Branded content is a type of marketing practice intended to provide quality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instead of solely focusing on commercial advertising and is thus able to deliver a brand message to consumers in a natural manner. Nevertheless, branded content comes with a number of issues, including ambiguity of expressions between advertisement and content territories and one-time entertainment-centered stor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thods of expressing the visual identity of brands by storytelling type that can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consumers. Methods 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he storytelling roles of branded contents have been newly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types, including Hero-Conflict solution, Adversary-Conflict cause, Supporter-Props, and Benefactor-Background. The study has classified and analyzed the types of role based on the best practice cases awarded in the world's top three international advertising awards with the use of the visual identity elements of brand as execution factors for case analysis, through which implications have been withdrawn by type, followed by presenting a value proposition.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HC type has the linguistic expression elements and other expression elements of brand directly exposed while the AC type has the color exposed but with more emphasis on the product functionality than on the brand identity. The SP has placed a higher weight on the linguistic element while the BB type on the color.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have been able to present a number of guidelines and directions, including production of branded content that reflects actual experience to allow consumers to expand the ‘ambient experience' and that retains brand identity and uniquenes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customer.

      • KCI등재

        수치화 된 자아를 활용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 분석 - 심뇌혈관 질환 중심으로 -

        이예림 ( Lee Ye Rim ),정정호 ( Jung Jung H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5

        심뇌혈관 질환은 국내 사망률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만성질환이다. 이 질환은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예방할 수 있어서 평소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 대부분 예방관리 프로그램은 안내 책자, 강의 등 소극적인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어 질환 예방관리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현재 ICT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신체 데이터를 수치로 나타내는 수치화된 자아(Quantified self)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확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뇌혈관 질환의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를 위해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논의하였다. 먼저 현재 상용화되고 있거나 심뇌혈관 질환과 관련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사례들을 부착형태에 따라 손목형, 의복형, 부착형으로 분류한 뒤 기능 분석했다. 이를 종합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심뇌혈관 질환의 예방법과 관련 있는 건강활동 트래킹, 생체신호 트래킹, 의료진과 피드백 기능으로 분류해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자가 헬스케어의 행태가 개선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질환의 예방연구의 다학제적인 활성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s one of the chronic diseases that often attack people in Korea, and in fact, it ranks second in terms of death rate. This disease can be prevented by improving lifestyle, usual health care is important. But, in Korea most of the prevention or management programs adopt passive methods like using guide books or giving lectures, so it is not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isease. Presently, the smart health care market is being developed in Korea and overseas. As an example, quantified self is being spread through wearable devices which are intended to measure each individual’s health conditions and quantify body data into numbers for bettering habits. Accordingly, this author will explore and discuss wearable health care devices so as to prevent and manag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a more active way. First, this study has classified wearable health care devices presently commercialized or related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to wrist, clothes, or attaching types by the way of their attachment and analyzed them. After that, summing that up, this author performed cross-tabulations with other ways of preventi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Thi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one’s health care behavior about disease more actively and also work as an active interdisciplinary mechanism in research dealing with how to prevent disease afterwards.

      • KCI등재

        전력시스템 신뢰도 향상을 위한 전기차 충전수요 분산 전략

        이예림(Ye-Rim Lee),허진(Jin Hur)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2 No.9

        Electric vehicles (EVs) have characteristics of high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charging pattern of the consumer. Charging demand would rapidly increase or a new maximum demand could occur, which can cause instability of the electric power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of EV charging demand dispersion for enhancing power system. Renewable energy forecasting power outputs and energy storage system (ESS) for EV charging demand dispersion ar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