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사광이 통과하는 치질의 두께와 광조사시간에 따른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률에 관한 연구

        황기환,장인호,이세준,이광원 大韓齒科保存學會 2002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7 No.1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s such as strength, resistance to wear, discoloration, etc depend on the degree of conversion of the resin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conversion of the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ooth structure penetrated by light and applied light curing time. The coronal portions of extracted human teeth( one anterior tooth, three posterior tooth) was embedded by pink denture material. the mounted teeth were cut into three illumination sections (1mm thickness enamel section, 1mm thickness dentin section, 2mm thickness dentin section) and one backing section with cutting wheel. Thin resin films were made by using 6kg pressure between slide glass during 5 minutes. Thin resin film was light cured on coupled illumination section during 40sec, 80sec and 120sec. each illumination section was coupled as follows: no tooth structure(X), ename section(E), enamel section + 1mm dentin section(ED1), enamel section + 2mm dentin section(ED2), enamel section + 1mm dentin section + 2mm dentin section(EDD). To simulate the clinical situation more closely, thin resin film was cured against a backing section of tooth structure. The degree of conversion of carbon double bonds to single bonds in the resin films were examined by mean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As curing time was increased, conversion rate was increased and as tooth thickness which was penetrated by curing light was increased, conversion rate was decreased. 2. At all tooth thickness groups, conversion rate between 80sec and 120sec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P>0.05). 3. At 40sec group and 80sec, conversion rate between no tooth structure(X) group and 1mm enamel section(E)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P>0.05). 4. At 80sec group and 120sec, conversion rate between 1mm enamel section(E) group and 1mm enamel section + 1mm dentin section(ED1)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P>0.05).

      • 콩 단백질/펙틴/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 필름의 특성 및 산소 투과도 연구

        정세환,김성철,조규순,신용섭,장상희,홍기헌,이태진,신부영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2004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32 No.2

        In this study, Mechanical property, thermal property, watervapor, and oxygen permeability of biodegradable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prepared with Na^(+)-MMT, have been studied. X-ray diffraction and TEM experiments an polymer/silicate composite samples demonstrated that the intercalation of polymer chains leads to increase in the spacing between silicate layers. In addition, it were found that the intercalated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ere prepared.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only a small of clay was enough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y of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atervapor of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Soy protein/Pectin. oxygen permeability of Soy protein/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Soy protein/Pectin.

      • 유·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이유훈,권택환,김희규,유장순,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1

        특수교육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통합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없어야 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태도는 결국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개발ㆍ보급하여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전문가 협의회, 관련 문헌 탐색, 기존 장애이해 교육 자료 분석, 현장교사 설문 및 심층면담 등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학교현장에서는 장애이해 교육 시간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현상은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또는 학교경영자와 일반교사의 이해가 부족할수록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립특수교육원이나 시ㆍ도교육청에서 장애 이해 교육에 따른 시간확보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장애이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경영자 및 일반교사의 인식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경영자와 일반교사가 특수교육과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양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기존에 개발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기존에 개발된 자료는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종류별로 정리되어야 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이해 교육이 학기초나 '장애인의 날'과 같은 특정기간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은 년 중 계획을 세워 일정기간 단위로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되는 모델이나 이해교육 방법이 주로 감각장애(시각장애ㆍ청각장애) 또는 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교육현장에서는 발달장애학생도 많기 때문에 발달장애학생을 모델로 하는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수-학습방법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장애이해 교육방법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장애이해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수활동 방법 또한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장애이해 교육 실태를 토대로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현장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1부, 2부로 나누어「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안내하였다. 제 1부 「장애이해 교육의 개관」에서는 장애이해 교육자료 개발의 필요성, 목적, 연구방법 및 절차, 장애이해 관련 제이론, 장애이해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기술하여 학교현장의 교사들이 장애이해 교육에 대해 보다 폭 법은 이해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제 2부 「장애이해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에서는 장애유형별 즉,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지체부자유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여 교사들이 장애 이해 지도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아울러 기존에 개발된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도서, 방송프로그램, 영화, 인터넷 웹사이트 등으로 분류 제시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수준과 활동 내용에 따라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의 한 예에 불과하다. 학교 현장의 지도 교사는 프로그램의 수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여 지도할 수 있으며, 생활 주변의 다양한 소재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 또는 대체할 수 있다. 나아가 창의적으로 새로운 상황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겠다. 2004년에는 「중ㆍ고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가 개발되어 학교현장에 보급될 계획이다. In order for special education to develop into an inclusive education system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ll children, including those who are disabled, there must be no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gainst children who are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As the biase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eventually exert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integration into society, these tasks must be effectively taken care of above all else. This study, with the aim of dissolv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has had consultations with experts, researched related books and other documents, analyzed the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for understan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conducted surveys on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 remain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ime to educate on how to understand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nation's schools. Such a phenomenon occurs more seriously among teachers with less educational experiences as well as school manag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out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solve this problem, either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or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gencies need to provide ideas to secure time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who are challenged.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school manag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various programs must be created and implemented to train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regular teachers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not only is the amount of materials available for the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sufficient, but moreover there are no systematic measures to make the most of those materials that are already developed. Therefore, diverse resources must be developed to use for educating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already developed materials must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for easy use along with concrete methods for utilizing such resources. Third,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concentrated on specific periods, such as the early semester or the "Day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dis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in periods under an annual program. Fourth, the models or methods used to educate for understanding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centered mainly on the individuals with sensory injured (with visual or hearing impairments) or the persons with physically disabled. At educational sites, there are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so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modeled afte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challenged. Fifth, the method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not diverse.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be successful in this matter, more diverse methods of teaching activities also need to be us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reality of developing an understanding and proper awareness of those who are disabled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report guides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in Part 1 and Part 2 for easy use by teachers on active duty. In Part 1, titled as "A General Survey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 have describ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s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various theories on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rovement measure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educating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by teachers on active duty. In Part 2, titled the "Program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I have classified types of disabilities into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disorder, autism, learning disability and the physical impairment for easy approach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by teachers. At the same time, I re-categorized the already developed material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into books, broadcasting programs, movies, Internet web-sites and others for diverse use at schools according to the children' levels and activities. This program is just one example of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I have arranged it in such a way as to allow teachers to teach the children by upgrading or downgrading the program's level as well as modifying or replacing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by using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obtained in everyday lives. In 2004, I am planning to develop and distribute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Middle-and High-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 취업 및 국가기술자격 취득 증진 방안 연구

        이완영,백기영,김영환,장세봉 永同大學校 1997 硏究論叢 Vol.3 No.1

        본 연구는 도시공학 전공 학생의 국가기술자격 취득 및 취업, 진학 등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도시공학 관련 기초지식을 연마하고 전공지식을 심화 교육함으로서 산·학·연 연계체계에 기초하여 도시공학 전공 학생의 취업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기술교육의 강화, 국가기술자격 취득 제고, 현장실습제도 등 3가지 측면에서 취업증진을 위한 추진실적 및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comprehensive and concrete methods of increasing the graduates' employment based on both fundamental and advanced knowledge concerned urban engineering major. For this , existing condi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students employment are searched in 3 view points such as strengthening of technical education to follow the social demands, enhancement of acquisition of the national qualifying examination and making the best of the field training system.

      • 도시공학 핵심과목의 심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완영,백기영,김영환,장세봉 永同工科大學校 1996 硏究論叢 Vol.2 No.1

        본 연구는 핵심과목 요목의 작성과 난이도별 문제은행의 지도과정, 핵심과목에 대한 자율학습 문제은행을 데이타베이스화하여 상시 활용화 추구, 교수와 학생의 상호 협동시스템에 의한 학습방법론 도출을 시도하였다. 시론적 성격에 한정되어 있긴 하나 본 연구는 협동시스템을 기반으로한 자율학습모형을 구축함으로써 학습과 교육효과 제고, 협동심과 선의의 경쟁을 매개로 하는 생활구현, 취업대비 등의 목표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at drawing up a syllabus of core courses and an item pool classified by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that inquiring practical use an databased item pool, and that proposing study method by cooperative system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udying, life, and taking up an occupation by constructing autonomous study model founded the cooperative system.

      • 중·고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우이고,이유훈,권택환,김희규,유장순,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3

        본 연구는 중등통합교육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장애 이해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중등 통합교육 현장에 근무하는 208명의 교사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설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관리자의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간확보와 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관리자가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이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장애이해교육을 형식적으로 실시하거나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담당 장학사나 국립특수교육원과 같은 연구기관에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시간확보 방안 등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이해교육 실시 대상이 대부분 일반학생 중심으로 되어 있어 일반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에 대한 장애이해교육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학생의 장애이해교육과 더불어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과 더불어 교수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장애이해교육 자료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즉 학생에게 실시하는 장애 이해교육 자료와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관리자에게 실시하는 장애이해교육 자료는 그 내용뿐 아니라 전달 방법도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학교에서는 동일한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조속히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료의 수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기존의 자료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질 높은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장애이해교육활동 시기가 대부분 학기 초나 장애인의 날과 같은 특성 기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시하는 시간 또한 대부분 재량활동시간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장애이해교육을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실시할 경우 교육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어렵고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연중 계획을 세워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장애이해교육을 할 때 사용하는 모델이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같은 특정 장애영역 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대부분 교육현장에는 이러한 장애보다는 발달장애학생이 많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이해교육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장차 보다 깊이 있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과 정책 결정시 고려해야 될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해 물리적인 편의시설과 설비, 교재 교구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함께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직원 그리고 지역사회가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 중심의 다양한 통합교육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일반교육 현장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제안하고,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육교사의 협력방안과 장애학생 가족지원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현장교사와 심층면담 결과 장애이해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에서 구입해야 되는지 알 수 없다고 하는 교사가 많았다. 따라서 기존의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도서 목록이나 자료집을 발간하여 현장에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설문조사와 면담 결과 아직까지도 장애이핵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시간이 없어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지 못한다는 교사도 있었다. 따라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안내와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develop materials to teach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08 teachers of secondary inclusive schoo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as follow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ends to be not positive abou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there are difficulties in time allocation and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o encourage them to suppor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econd, difficulty in allocating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a problem which hinders the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nspectors or KISE(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need to provide directions to time allotment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ird, most of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parent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lacks in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at are appropriate for teachers, par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ous concern should be followed. Fourth, there are not various types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Though different contents or methods work for different groups, most schools actually use the same materials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Various types of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ffici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Fifth,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lack in quantity and also the quality of current materials is not considered satisfactory. More materials of good qu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o the field successively. Sixth, the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specific times such as the beginning of a school year or the Day for the disable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implemented mostly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classes at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ustained effects of the education when it happens only at specific times of a year and in specific classes. It is encouraged that schools should set up pla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roughout the year. Seventh, the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ends to concentrate on specific disability category such as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found more often at schools tha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ntioned earlier. Therefor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b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more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here are some suggestion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y making. First, a positive attitude on disability and inclusive education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on. Besides convenient facilities and materials for the disables students various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promote disability awareness of students, school staff and community. Second, various program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Research projects and program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such as programs to promote collaborative among regular educators and special educators and family support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Third, teachers said that they had no information about where they could get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interviews. Handbooks with lists of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teachers who do not understand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or can not find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guidance of the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measure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in efficient ways.

      • KCI등재

        전분/펙틴/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 필름의 특성 및 산소 투과도 연구

        서석훈,서길수,유성구,신용섭,정세환,김성철,배광수,이태진,장상희,신부영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8

        Na^(+)-MMT로부터 제조한 생분해성 전분/펙틴/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그리고 산소 투과성을 연구하였다. XRD와 TEM의 결과로부터 고분자의 삽입으로 인하여 실리케이트 층간 간격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삽입형 전분/펙틴/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임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전분/펙틴/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경우 적은 양의 MMT로부터 기계적 특성과 열적 안정성이 우수함을 보였다. 그리고 전분/펙틴/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산소 투과성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는 몬모릴로나이트에 의하여 현저히 저하됨을 보여주었다. Mechanical property. thermal property. and oxygen permeability of biodegradable Pectin/Starch-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prepared with Na-MMT, have been studied X-ray diffraction and TEM experiments on polymer/silicate composite samples demonstrated that the intercalation of polymer chains leads to increase in the spacing between silicate layers. In addition, it were found that the intercalated Starch/Pectin/monotmorillonite nanocomposite were prepared.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only a small amount of clay was enough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y of Starch/Pectin/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Oxygen permeability of Starch/Pectin/montmorillonite composite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pectin/starch.

      • SCIESCOPUSKCI등재

        A Novel Binary Ant Colony Optimization: Application to the Unit Commitment Problem of Power Systems

        Jang, Se-Hwan,Roh, Jae-Hyung,Kim, Wook,Sherpa, Tenzi,Kim, Jin-Ho,Park, Jong-Ba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2011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6 No.2

        This paper proposes a novel binary ant colony optimization (NBACO) method. The proposed NBACO is based on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ant colony optimization (ACO), and developed to solve the binary and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The concept of conventional ACO is similar to Heuristic Dynamic Programming. Thereby ACO has the merit that it can consider all possible solution sets, but also has the demerit that it may need a big memory space and a long execution time to solve a large problem. To reduce this demerit, the NBACO adopts the state probability matrix and the pheromone intensity matrix. And the NBACO presents new updating rule for local and global search. The proposed NBACO is applied to test power systems of up to 100-unit along with 24-hour load dem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