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고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우이고,이유훈,권택환,김희규,유장순,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3

        본 연구는 중등통합교육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장애 이해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중등 통합교육 현장에 근무하는 208명의 교사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설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관리자의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간확보와 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관리자가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이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장애이해교육을 형식적으로 실시하거나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담당 장학사나 국립특수교육원과 같은 연구기관에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시간확보 방안 등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이해교육 실시 대상이 대부분 일반학생 중심으로 되어 있어 일반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에 대한 장애이해교육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학생의 장애이해교육과 더불어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과 더불어 교수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장애이해교육 자료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즉 학생에게 실시하는 장애 이해교육 자료와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관리자에게 실시하는 장애이해교육 자료는 그 내용뿐 아니라 전달 방법도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학교에서는 동일한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조속히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료의 수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기존의 자료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질 높은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장애이해교육활동 시기가 대부분 학기 초나 장애인의 날과 같은 특성 기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시하는 시간 또한 대부분 재량활동시간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장애이해교육을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실시할 경우 교육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어렵고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연중 계획을 세워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장애이해교육을 할 때 사용하는 모델이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같은 특정 장애영역 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대부분 교육현장에는 이러한 장애보다는 발달장애학생이 많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이해교육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장차 보다 깊이 있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과 정책 결정시 고려해야 될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해 물리적인 편의시설과 설비, 교재 교구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함께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직원 그리고 지역사회가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 중심의 다양한 통합교육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일반교육 현장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제안하고,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육교사의 협력방안과 장애학생 가족지원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현장교사와 심층면담 결과 장애이해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에서 구입해야 되는지 알 수 없다고 하는 교사가 많았다. 따라서 기존의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도서 목록이나 자료집을 발간하여 현장에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설문조사와 면담 결과 아직까지도 장애이핵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시간이 없어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지 못한다는 교사도 있었다. 따라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안내와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develop materials to teach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08 teachers of secondary inclusive schoo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as follow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ends to be not positive abou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there are difficulties in time allocation and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o encourage them to suppor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econd, difficulty in allocating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a problem which hinders the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nspectors or KISE(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need to provide directions to time allotment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ird, most of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parent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lacks in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at are appropriate for teachers, par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ous concern should be followed. Fourth, there are not various types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Though different contents or methods work for different groups, most schools actually use the same materials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Various types of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ffici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Fifth,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lack in quantity and also the quality of current materials is not considered satisfactory. More materials of good qu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o the field successively. Sixth, the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specific times such as the beginning of a school year or the Day for the disable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implemented mostly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classes at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ustained effects of the education when it happens only at specific times of a year and in specific classes. It is encouraged that schools should set up pla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roughout the year. Seventh, the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ends to concentrate on specific disability category such as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found more often at schools tha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ntioned earlier. Therefor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b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more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here are some suggestion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y making. First, a positive attitude on disability and inclusive education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on. Besides convenient facilities and materials for the disables students various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promote disability awareness of students, school staff and community. Second, various program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Research projects and program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such as programs to promote collaborative among regular educators and special educators and family support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Third, teachers said that they had no information about where they could get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interviews. Handbooks with lists of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teachers who do not understand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or can not find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guidance of the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measure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in efficient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