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일삼분기의 임신 종결을 위한 경구 미소프로스톨 투여와 질내 미소프로스톨 투여 방법에 따른 자궁경관 개대와 부작용의 비교

        남계현,이권해,이임순,최승도,이해혁,이정재,신정옥,정한우,이항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임신 일삼분기중 임신 중절 소파 수술을 위한 자궁경관 개대 목적으로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을 사용하는 경우, 질내 투여와 경구 투여의 자궁경관 개대 정도와 부작용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임신 5-12주 사이에 치료적 유산을 목적으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환자중 불완전 유산을 제외한 66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추출하여 35명은 미소프로스톨을 질내 투여하고 31명은 경구로 투여하여 비교하였다. 미소프로스톨 질내 투여 군은 미소프로스톨 분말 100μg 을 질의 후원개에 삽입한 후 12시간 뒤, 경구 투여 군은 미소프로스톨 200μg을 경구 투여한 후 12시간 뒤에 소파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때 헤가[Hegar] 개대기를 이용하여 자궁경관의 개대 정도와 오심, 구토, 설사, 빈맥, 저혈압, 복부 통증, 질 출혈 등의 부작용을 비교하였다. 결과: 자궁경관의 개대 정도는 헤가[Hegar] 개대기 9번이 저항없이 통과하는 정도의 개대가 미소프로스톨 질내 투여군 87%, 경구 투여군 89%로 양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p$gt;0.05]. 구토, 설사, 빈맥, 저혈압은 양군에서 발생하지 않았으며, 오심은 경구 투여군에서 5명[16%]에서 발생하였으나 질내 투여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복부 통증은 질내 투여군에서 8명[22.9%], 경구 투여군에서 6명[19.3%]이 발생하였다. 질 점상출혈은 질내 투여군에서 16명[45.7%], 경구 투여군에서는 8명[25.8%]으로 질내 투여군에서 의미있게 많았으나[p$lt;0.05] 그 양이 양 군 모두 경미하였다. 결론: 임신초기 치료적 유산을 목적으로 질내 미소프로스톨을 투여하는 방법과 경구 투여하는 방법은 자궁경관 개대와 부작용의 발생에서 양군간에 의미가 있는 차이는 없었다. Objective: To compare the effect of misoprosotol on the cervical dilatation and the side effects according to the route of administration in the first trimester therapeutic abortion. Methods: This study was made on 66 patients for therapeutic abortion except incomplete abortion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96 to February 1998. Thirty one women received 200㎍ of misoprostol tablet and thirty five women received 100㎍ of misoprostol as powder in the posterior vaginal fornix before 12 hours of curettage in the first trimester pregnancy. The extent of cervical dilatation was measured with Hegar dilatator and the side effects such as nausea, vomitting, diarrhea, tachycardia, hypotention, abdominal pain and vaginal spotting were compared. Results: The effect of cervical dilata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oral misoprostol : 87% versus vaginal misoprostol : 89%]. The occurrence of vomiting, diarrhea, tachycardia and hypotension were none in both groups. Nausea was occurred only in the women receiving oral misoprostol[16%]. Abdominal pain was less frequent in the women receiving oral misoprostol than in those vaginal insertion [19.3% versus 22.9%]. Vaginal spotting was less frequent in the women receiving oral misoprostol than in those vaginal insertion[25.8% versus 45.7%]. But the amount of vaginal bleeding was only minimal, it was not clin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ervical dilatation and side effects between the oral and vaginal administration of misoprostol except for vaginal spotting and nausea.

      • KCI등재

        자궁내막증의 임상적 고찰

        이태성,차순도,서영욱,이탁,이정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6

        1. 자궁내막증의 발생빈도는 개복수술을 한 예에서 2.8%였다. 2. 호발연령은 30대, 20대 순이었다. 3. 임상증상에 있어서 월경통 90.2%, 월경전 통증 80.0%, 성교통 29.2% 그리고 배변시의 통증이 36.9%나 되었다. 4. 불임증을 동반한 예가 49.2%였다. 5. 불임증을 동반한 예에서 불임기간이 5년이내가 68.8%, 6~10년이 21.9%였고, 불임을 동반하지 않았던 예에서는 최종임신에서 진단시까지의 기간이 6~10년이 36.4%, 11~15년이 33.3%로, 6년이상이 81.8%나 되었다. 6. 내진시의 소견으로 부속기에 고정된 종괴의 촉지가 44.7%, 자궁천골인대에 결절상 종괴 26.2%, 그리고 더그라스와에서의 경결이 15.4%촉지되었다. 7. 호발부위는 난소 76.9%, 자궁천골인대 52.3%, 자궁 35.4%의 순이었다. 8. 내막증의 병기와 임상증상 간에서 아무런 연관관계가 없었다. 9. 내막종의 경우에도 특징적인 임상증상이 없었으며, 다른 초기의 내막증의 증상과 차이가 없었다. 10. 자궁근종과 동반된 예는 15.4%였다. This is a clinical analysis of 65 cases of endometriosis diagnosed during laparotomies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from Jan. 1986 to July 1988. The results are follow: 1. The incidence of endometriosis was 2.8 %, 65 cases among 2358 laparotomies. 2.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2.5 and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was noted in the group of thirties. 3. The symptoms comprised dysmenorrhea in 60.0 % of the case, pain just before menstruation in 30.9 %, dyspareunia in 29.2 %, and painful defication in 36.9 %. 4. Associated infertility combined with endometriosis was noted in 49.2 % of the cases. 5. The duration of infertility was less than 5 years in 68.8 % of the cases and the interval of diagnosis from the last pregnancy in non-infertility group was more than 6 years in 81.8 % of the cases. 6. The frequent pelvic findings comprised fixed mass at adnexa in 44.7 % of the case, nodular mass at uterosacral ligament in 26.2 %, and induration in cul-de-sac in 15.4 %. 7. The sites most frequently involved were ovary in 76.9 % of the cases and uterosacral ligament in 52.3 %. The other site were uterus, fallopian tubes, round ligament and bladder. 8. Clinical symptoms are no correlation with the extension of the disease. 9. Myoma was associated in 15.4 of cases.

      • KCI등재

        거대아의 임상적 고찰

        이태성,이두룡,윤성도,김종인,정철재,이무용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6

        일반적으로 거대아라 함은 출생시 신생아의 체중이 4,000 gm이상인 경우를 말하나 각 문헌에 따라 기준체중에 대해 약간의 차이가 있다. 거대아의 원인으로는 큰 체격의 부모, 경산부, 모체 당뇨병, 과숙임신, 4,000 gm이상의 신생아를 분만한 경력이 있는 산모 등을 들 수 있다. 1991년 1월 1일부터 1993년 12월 31일까지 만 3년동안 계명대학교부속 동산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입원 분만한 총 13,334례중 출생시 태아체중이 4,000 gm이상인 거대아 및 그들의 산모를 대상으로 임상적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분만 13,334례중 4,000 gm이상의 거대아는 485례(3.64%)였으며, 4,500 gm이상의 거대아는 60례(0.45%)였다. 2. 산모의 평균연령은 28.90세, 평균 출산횟수는 1.73로서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다. 3. 임신전의 평균체중은 55.14 kg이었으며 임신중 산모의 평균체중증가는 14.78 kg으로 나타났다. 4. 거대아의 평균 제태연령은 40.02주로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5. 남녀 성비는 194.60:100.00으로 남아가 더 많았다. 6. Apgar score는 1분이 7.92, 5분이 8.99로 나타났고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다. 7. 분만방법은 정상질식분만이 71.74%였고, 제왕절개분만이 28.26%였으며 제왕절개분만의 경우 대조군의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8. 제왕절재분만의 적응증을 살펴보면 거대아 39례(25.32%), 전제왕절개술의 기왕력 35례(22.73%), 아두골반불균형 27례(17.53%)의 순이었다. 9. 산전진찰중 발견된 산모의 질환은 빈혈이 80례(14.68%)로 제일 많았으며, 임신성 고혈압이 12례(2.20%), 임신성 당뇨 2례(0.37%)를 보였다. 10. 분만증 산후 모성 합병증은 질열창이 24례(4.40%로 가장 많았으며 산후 출혈이 21례(3.85%)로 나타났다. 11. 신생아 합병증으로는 두혈종이 8례(1.47%)로 제일 많았고, 상완 신경총마비 3례(0.55%), 쇄골골절 1례(0.18%)가 있었으며 태아사망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거대아로 인한 여러제반문제를 피하기 위해 거대아ㅔ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분만방법의 선택, 숙련된 의술, 거대아의 임신 및 분만시 일어날 수 있는 제반 문제에 미리 대비함으로서 산과적 합병증 및 모성, 신생아 이환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delivery of fetus weighing 4,000 gm or more brings dangerous complication to mother and fetus during pregnancy, delivery and after delivery,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obstetrics. We studied 545 cases of large babies weighing 4,000 gm or more among 13,334 cases of total deliveries during past 3 years from Jan. 1991 to Dec. 1993. The results were as flows: 1. The incidence of macrosomia weighing 4,000 gm or more was 3.64%, and that of macrosomia weighing 4,500 gm or more was 0.45%. 2. The highest age distribution of mother was found between 25 to 29 year of age. The mean age was 28.90 year. There was no tendency of th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macrosomia as the parity increase. 3. Mean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as 14.78Kg and mean weight of pregravida was 55.14Kg. 4. Mean gestational age during pregnancy was 40.02 weeks. 5. Male to female ratio was 194.60:100. 6. The Apgar score of the 1 minute was 7.92, and 5 minute was 8.99. 7. 71.74% of patients had normal vaginal delivery, and 28.26%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8. The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s; the most common indication was large baby (25.32%), previous C-section(22.73%), cephalopelvic disproportion(17.53%) in the order. 9. The most common maternal antepartum complication was anemia (14.68%) and others wer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2.20%), thyroid disease (0.55%),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0.37%). 10. The most common maternal complication of intrapartum and postpartum period were vaginal laceration (4.40%) and postpartum beeding(3.85%). 11. Neonatal complication in macrosomia were cephalhematoma (1.47%), brachial plexus paralysis (0.55%), and fracture of clavicle (0.14%). Perinatal death was not visible.

      • KCI등재

        완전 고환성 여성화증후군 1 례

        이종학,임화석,홍순도,송재경,이무원,이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5

        저자들은 19세된 외형상 여성으로서 원발성무월경을 주소로 입원한 완전 고환성 여성화증후 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mplete testicular feminizatio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presence of testis in phenotypic female with good breast development and complete female external genitalia and absence of female internal reproductive organs. In most of patient, sexual hairs were completely absent. We presented a case of testicular feminization syndrome with normal development of breast and female external genitalia, but with blindly ended vagina.

      • SCOPUSKCI등재
      • KCI등재

        Thanatophoric Dwarfism 1예

        김순덕(SD Kim),이권해(KH Lee),이의홍(EH Lee),조대호(TH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

        임신 42주의 초산모가 분만한 Thanatophoric Dwarfism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략한 문헌고찰 과 아울러 증례를 보고하였다. Thanatophoric Dwarfism is a short limb dwarf condition which usually results in death shortly after birth. in the past, it has been confused with achondroplasia and another congenital short limb dwarf condition fatal in the new born period. We present one case of Thanatophoric Dwarfism based on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with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미숙분만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관찰

        이상대(SD Lee),김영일(YI Kim),노영숙(YS Roh),김수평(SP Kim),나종구(JG Na),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9 No.7

        1975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만 10년간 가톨릭의과대학 부속 8개병원(성모병원, 강남성모병원, 성바오로병원, 성가병원, 성빈센트병원, 대전성모병원, 부평성모자애병원 및 의정부 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총 98739예의 분만중 미숙분만 6434예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미숙분만을 일으킬수 있는 여러위험 인자들에 대한 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모의 연령분포는 전체분만에 대한 미숙분만의 비율이 20세 이하 11 1%, 35세이상 9 9%로서 21-34세군의 6 2%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2 산모의 분만횟수에 따른 미숙분만은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미숙분만예도 점차 증가되어 초산부 6 1%부터 5회이상 경산부 23 7%까지 증가되었다 3 산모의 유산횟수와 미숙분만과의 관련성은 유산경험이 없는 경우 5 5%부터 4회이상의 유산 20 7%까지 유산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미숙분만예도 점차 증가 되었다 4 신생아 체중 및 임신 주수와의 관련성은 임신 28주 이전, 신생아 체중 1500gm이하인 경우는 대부분 사망하였고, 특히 신생아 사망율은 임신주수와 관련성이 깊었다 5 분만 과거력상 조산기왕력이 있는 경우 전체 분만예에 비해 미숙분만예가 33배, 사산기왕력과 자궁수술 기왕력의 경우 2배로 높아 관계가 깊었으나 과거 제왕절개 수술력은 별 관련성이 없었다 6 기타 위험인자로서는 융모양막염, 전치태반, 태반조리박리, 쌍태임신등이 미숙분만과 관련이 깊었다 7 지역간 미숙아 사망율의 비교시에서는 도시지역의 미숙아 사망율 감소가 농촌지역의 사망율 감소 추세보다 크게 나타났다 The preterm birth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bstetrics The development of neonatology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treatment of preterm baby and decrease of neonatal mortality rat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ous risk factors of preterm birth and contribute to prevention of preterm birth hereafter,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n 6434 cases of preterm birth deliver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Medical College from 1975 to 1984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rate of preterm birth to total birth by maternal age was 11 1% in maternal age of under 20years and 9 9% in maternal age of over 35 years, and th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6 2% in maternal age of 21-34years 2 Number of preterm birth was increased as number of delivery was increased, and preterm birth rate was increased from 6 1% in nullipara to 23 7% in multipara over 5 deliveries 3 Number of preterm birth was increased as number of abortion was increased, and preterm birth rate was increased from 5 5% in the group experienced no abortion to 20 7% in the group experienced abortion over 4 times 4 Most of newborn babies with under 28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under 1500gm of body weight were expired and neonatal mortality is closely related to gestational age 5 As compared with total births, preterm birth was shown 33 times more in cases with previous preterm birth and 2 times more in cases with previous FDIU and previous uterine operation Therefore preterm birth is closely related to previous obstetrical history, but not related to previous cesarean section 6 Other obstetrical risk factors like chorioamnionitis, placenta previa, abruptio placenta and multiple pregnancy were also related to preterm birth 7 Neonatal mortality rate was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urban area when compared with that in rural area

      • KCI등재

        산과 경막외마취의 임상적 의의

        강상대,이계현,채진호,손성권,정성욱,이리라,박후철,왕중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저자들은 1996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분만키 위해 내원한 산모 중 정상 분만 2,931예 중에 100예, 경막외마취를 시행한 252예 중에 각각 100예씩 무작위 추출하여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 초산모가 58예, 경산모가 37예였고(제왕절개술 5예), 정상분만 100예 중에 초산모 가 26예, 경산모가 72예였으며(제왕절개술 2예) 평균 연 령은 연구군이 27.78세, 대조군은 27.27세였으며 산모의 평균 몸무게 및 신장은 연구군에서 66.69 kg, 160.08 cm 였고 대조군에서 65.72 kg, 160.69 cm였으며 산모의 직 업은 연구군에서 주부가 86명, 기타 직업을 가진 산모가 14명, 대조군에서 주부가 83명, 기타 직업을 가진 산모 가 17명이였으며 임신 주수는 시행군이 평균 40.07주, 대조군이 평균 39.78주로 산모의 연령, 몸무게 및 신장, 직업, 임신 주수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 다(P>0.05). 2. 분만 제1기의 기간은 초산모에서 연구군이 평균 273.4분, 대조군이 261.2분이었고 경산모에서 연구군이 평균 198.6분, 대조군이 175.7분으로 두 군 사이에 초산 모, 경산모 모두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P>0.05). 3. 분만 제2기의 기간은 초산모에서 연구군이 63.8분, 대조군이 43.3분이었으며 경산모에서 연구군이 30.6분, 대조군이 11.2분으로 초산모, 경산모 모두 분만 제2기의 기간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4. 출혈량은 연구군이 평균 390 cc, 대조군이 391 cc 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P>0.05). 5. 1분 Apgar 평점은 9∼10점이 연구군 85예, 대조군 98예였고, 5분 Apgar 평점은 9∼10점이 연구군 97예, 대 조군 99예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05). 6. Meconium staining이 없는 경우는 연구군에서 79예, 대조군에서 88예였고, mild한 경우가 각각 10예, 4예였 고, moderate한 경우가 각각 4예, 3예였으며, severe한 경 우가 각각 7예, 5예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점은 없 었다(P>0.05). 7. 경막외마취를 원하는 이유로 통증 때문이 88예, 경 험에 의해서 원하는 경우가 3예, 주위 권유가 9예로 통 증 때문이 제일 많았다. 8. 경막외마취의 효과로는 아주 좋았다는 36예, 좋다 는 56예 그저 그렇다는 8예였으며 VAS(Visual Analogue Scale) 통증 점수는 3.78±4.87(Mean±SD)이었다. Authors have analyz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epidural anesthesia applied on labor progress on 100 cases of normal delivery groups given epidural anesthesia from January 1, 1996 to December 31, 1996 at obstetrical service in Masan Fatima Hospital.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ing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age, body weight, height, occupation and gestational age between epidural anesthesia group and control group (P>0.05). 2. The effect of epidural anesthesia on the first stage of labor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 (P>0.05). 3. Prolongation of second stage of labor was noticed in nullipara and multipara of epidural anesthetic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P<0.05). 4. The mean blood loss of epidural anesthetic group was 390cc and control group was 391c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oss (P>0.05).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1 minute and 5 minutes Apgar score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 (P>0.05). 6. The reasons for selecting epidural anesthesia were pain (88 case), experience (3 case), adivise (9 case). 7. The efficacy of pain control by epidural anesthesia was excellent (36%), good (56%), poor (8%). Mean VAS (Visual Analogue Scale) score was 3.78 (±4.87, Standard Dev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