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성 또는 위축성 질염 치료에 대한 Dienestrol 연구의 임상적효과

        강천수(CS Kang),허민(M Hur),배도환(DH Pai),김두호(DH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10

        1978년 2월 1일부터 8월 10일까지 노인성 또는 위축성 질염 환자 53예에서 Dienestrol연고를 사용하여 그 임상적 경과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ienestrol 연고는 노인성 또는 위축성 질염에 매우 우수한 효괄ㄹ 나타내었다. 2. Dienestrol 연고는 주사나 경구 투여에 의해서 나타나는 부작용이 전혀 없었다. 3. Dienestrol 연고는 암종 또는 암전구증을 제외하고는 금기 사항이 없어 다른 전신질환이 있을 때도 사용할 수 있었다. 4. Dienestrol 연고에 의한 치료는 장기간을 요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4주 이내에 치료되었다. The effectiveness of dienestrol cream in the treatment of atrophic or senile vaginitis has been evaluated in the 53 patients. In the 53 cases, 36 cases or 67.9%, were definitely improved both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or were cured; 11 cases of 20.8%, were not cured, but better improved either clinically or symoptomatically than when they were first seen. In one case or 1.9%, the condition was aggrevated and 5 cases or 9.4% could not be evaluated because of other complications such as trichomonal infestation or monilial infection which was developed after dienestrol therapy was begun. Topical application of the dienestrol cream was prescribed 2 times a day for a one week and once a day for the next one week, and once an every other day after 2 weeks during the last 4 weeks. Total of the cases were 53 cases and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23 years to 74 years,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from 51 years to 60 years. Relief of symptoms had to be accompanied by clinical response before the patient was considered improved. The healthy vagina maintained in many instance by using dienestrol cream over 3 weeks. No untoward affects were noted.

      • KCI등재

        VAC와 BEP 복합화학요법후 완전관해를 보인 내배엽동종양 1 례

        강영호,김용철,이종민,박종규,왕영미,조경훈,강창성,박연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1

        본 저자들은 최근 30세 여성에게서 발생한 내배엽 동종양 1례를 경험하여 수술후 VAC와 BEP복합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지금까지 11개월째 완전관해를 관찰하고 있어,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endodermal sinus tumor is a rare, malignant germ cell tumor that primarily affects children an young women. The important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endodemal sinus tumor are the use of postoperative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the monitoring of the disase process bu serum AFP. We report a case of 30-year-old woman with endodermal sinus tumor of the ovary. This tumor was stage Ic. Postoperatively, she received one cycle of VAC and three cycles of BEP combination chemotherapy. She has been still alive and free of disease for 11 months after operation.

      • KCI등재

        한국인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과 자궁경부암과 발생위험에 관한 연구

        강순범,이효표,송용상,박창수,박노현,박순희,김동현,유근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9

        한국 여성의 자궁경부암 발생에 관련되는 위험요인을 역학적으로 파악하고 자궁경부암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인과적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자궁경부암 환자 96명과 정상 건강여성 653명을 대상으로 환자-대조군 연구(case control study)을 시행하였다. HPV DNA검색은 PCR을 이용하였으며 위험요인에 관한 설문조사는 자기기입식과 직접 면접을 병행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특정 HPV DNA검출율은 자궁경부암 환자군이 61.1%, 정상대조군이 27.8%에서 각각 양성이었으며, 자궁경부암 발생의 상대위험도는 4.7(95% confidence interval; 2.5-8.7)이었고 HPV 16 혹은 18형의 검출율은 자궁경부암 환자군이 33.9%, 정상대조군이 6.2%에서 각각 양성이었으며, 그 상대위험도는 9.3(95% confidence interval: 4.7-18.7)으로 HPV감염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암의 발생위험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2. 자궁경부암의 우험인자 중 연령의 증가, 교육수준의 저하, 결혼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첫 세포진 검사가 늦은 경우, 세포진 검사 횟수가 적은 경우, 남편의 포경, 흡연 등은 자궁경부암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3. 자궁경부암의 위험인자 중 결혼연령, 결혼기간, 산과력, 최근 세포진검사 시기, 첫 성교연령, 성교 상대자의 수, 월경중의 성교 등은 자궁경부암의 발생위험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HPV 감염은 한국여성의 자궁경부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흡연 및 성적 접촉과 연관성이 있는 여러 위험요인도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연구대상의 확장과 새로운 HPV DNA검색계를 확립함으로써 한국여성의 자궁경부암에서 특정형의 HPV와 위험인자들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isk of developing cervical cancer in patients with human papillomavirus(HPV) infection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ion for the cervica cancer in Korean wome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as used to detect HPV DNA and a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in 96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invasive carvical cancer and 653 hospital control for routine annual gynecologic examination. Information on sexual behavior and other risk factors was obtained by interview. Overall, the prevalence of HPV infection was 61.1%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hile for HPV 16/18 it was 33.9%. Those positive for HPV 16/18 had a odds ratio(OR) of 4.7(95% confidence interval: 2.5-8.7), and those positive for HPV 16/18 had a OR of 9.3(95% CI: 4.7-18.7).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risk of developing cervical cancer in Korean women with several factors, including low educational status, late first Pap smear, small number of Pap smear, abnormal marital status, smoking cigarettes, and uncircumcised husba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very strong association between HPV infection and invasive cervical cancer and several risk factors also have some association.

      • KCI등재

        산부인과 수술후 감염의 예방에 있어서 cerfonicid 1 회 투여법과 cefoxitin 다회투여법의 임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강순범,이효표,송용상,전혜원,박창수,박노현,이동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1

        1994년 10월 1일부터 1995년 8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복식 및 질식 전자궁적출술과 제왕절개설을 시행한 80예를 cefonicid 투여시험군(n=40)과 cefoxitin투여 대조 군(n=40)으로 구분하여 각각 40예씩을 대상으로 예방적 항생제요법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감염이환의 빈도 및 추가 항생제를 투여하였던 경우는 시험군이 7예(17.5%)와 대조군이 6 예(15.0%)로 각각의 예방적 항생제요법 성공률은 82.5%, 85.0%였으며 두 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감염이환은 시험군은 질구개 봉와직염 2예, 복부 창상감염 1예 및 하부 요로 감염 4예였으며 대조군은 복부 창상 감염 2예 및 하부요로 감염 4예였다. 3. 시험군 및 대조군 모두 요로 감염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나 대부분 무증상 세균뇨이었다. 4. 부작용으로 cefonicid군의 한 환자에서 피부발적이 나타났으나 대증요법으로 소실되었고, 그외 신기능, 간기능 이상을 보인 경우는 두 군 모두에서 없었다. 결론적으로 산부인과 영역에서 수술전 cefonicid 1일 1회 단일 투여법이 수술전 및 수술후 cefonicid 다회 투여법 만큼 효과적이며 안전함을 보였다. 예방적 항생제의 단일요법으로 투 여횟수의 감소, 약물투여비의 감소로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 서 수술전 cefonicid 1일1회 단일 투여법이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항생제 치료법으로 확립할 것으로 기대되며 산부인과 영역의 수술의 감염 예방에서 뿐 아니라 유사한 감염위험도를 가진 다른 분야의 수술에도 그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ighty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or vaginal hysterectomy for benign diseases and cesarean section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surgical prophylaxis with a single , 1g preoperative dose of cefonicid to those with 2g of cefoxitin per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for a total five doses. Surgical prophylaxis was successful in 33 of 40 (82.5%) patients receiving cefonicid and in 34 to 40 (85.0%) patients receiving cefoxitin . Statisticall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ates of febrile morbidity, urinary track infection,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No serious adverse effects were encountered in groups with both drugs . It is concluded that preoperative single dose intravenous cefonicid is as safe and effective as multiple dose regimen of cefoxitin in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abdominal or vaginal hysterctomy and cesarean section. Preoperative antimicrobial prophylaxis with single dose of cefonicid is considered to provide a cost-effective regimen.

      • KCI등재

        재태기간 진단기준에 따른 지연임신의 빈도 및 분만결과

        강영호,김용철,이종민,박종규,왕영미,조경훈,강창성,박연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7

        1993년 9월부터 1994년 2월까지 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8완전주수 이후에 분만한 총 4,823례를 제 1군은 산모의 월경력이 불규칙하거나, 최종월경일을 모르거나, 출산 또는 소파수술 시행후 무월경 상태에서 임신이 된후 초음파 소견상 임신 26완전주수 이상에서 산전진찰을 시행한 산모군으로 하였고 제 2군은 산모의 월경력이 규칙적이고 최종월경일을 정확히 기억하고 있는 산모중 임신 26완전주수 이후에 산전진찰을 시행한 산모군으로 제 3군은 월경력에 관계없이 초음파상 임신 26완전주수 이전에 주기적인 초음파를 통하여 재태기간을 신뢰할 수 있는 산모군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로 제 3군의 임신기간, 지연임신의 빈도, 유도분만율 및 유도분만 실패율이 제 2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저자들은 이번 연구를 통하여 임신초기 주기적인 초음파에 근거한 임신기간(gestational age)의 산출이 최종 월경일에 근거한 경우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A total of 4,823 births which occurred after 28 completed weeks of gestation at Han-Il hospital from September, 1993 to February, 1994 were studied and divided to 3 groups. The group I consisted of 419 women who had irregular menstruation, unknown last menstrual period pregnancy during amenorrhea after delivery or D/E and whose USG findings at first antenatal check were more than 26 completed weeks of gestation. The group II consisted of 2,848 women who had regular menstruation, accurate last menstrual period and whose USG findings at first antenatal check were more than 26 completed weeks of gestation. The group III consisted of 1,556 women who had serial USG before 26 completed weeks of gestation irrespective of menstrual histor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that gestational age, incidence of postterm pregnancy, induction rate and induction-failure rate of group III were significanly lower than those of group II.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estational age from the early USG is clinically more important than that from last menstrual peroid.

      • KCI등재

        자궁경부 종양성 병변의 평가 및 치료에서 환상투열요법 (LLETZ) 의 효용성

        강순범,이효표,송용상,전혜원,박창수,김승욱,신희철,윤보현,김석현,김헌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4

        1993년 7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자궁경부질환으로 서울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질세포 진검사 및 질확대경 조준생검에서 이상소견을 보여 LLETZ를 시행한 환자 중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30대에서 99명(48%)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의 평균연령은 42세이었다. 적응증별로는 각각 질세포진검사 및 질확대경검사에서 상피내종양으로 진단된 경우가 60.2%로 가장 많았으며, 질확대경검사에서 자궁경부 이행대를 관찰하지 못한 경우가 16.0%, 질세포진검사와 질확대경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14.1%, 자궁미세침윤암이 의심되는 경우가 9.7%이었다. 2. 질세포진검사와 LLETZ의 조직학적 진단간에 일치를 보인 경우가 63.2%이었고, 질세포진검사보다 상급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인 경우가 17.9%, 하급의 조직학적진단을 보인 경우가 18.9%이었다. LLETZ 후 조직검사를 기준으로한 질세포진검사와 위음성율은 18.0%이었다. 3. 질확대경 조준생검 후 LLETZ를 시행한 108예중 69.4%에서 조직학적 진단이 완전 일치를, 77.8%에서 한 단계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질확대경 조준생검보다 LLETZ의 조직학적 진단이 상급을 보인 경우가 14.2%이었고, 하급의 진단을 보인 경우가 17.0%있었으며,질확대경 조준생검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미세침윤암 5예, 침윤암 3예가 LLETZ에서 발견되었다. 4. LLETZ 후 병리 조직학적 검사상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및 침윤성 암으로 진단된 136예 중 37.5%에서 절단면 침범여부를 알 수 없었던 경우를 제외한 122예 중 CIN I에서 8.3%, CIN II에서 40%, CIN III에서 31.3%, 미세침윤암에서 64.2%, 그리고 침윤암에서 90.0%의 절단면 침범을 보였다. 또한 절단면 침범이 있었던 51예의 위치를 보면, 자궁경부 외구만 침범된 경우가 11.8%, 자궁경부 내구만 침범된 경우가 58.8%, 양측면 모두 침범된 경우가 13.7%, 그 위치를 알 수 없었던 경우가 15.7%이였다. 5. LLETZ후 합병증으로 경도 혹은 중등도의 급승 출혈이 12.1%있었으나 특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았다. 중증 만기 출혈이 1.5%가 있었으며 모두 ball electrode를 사용하여 재소작을 시행하였고 입원이나 수혈은 필요하지 않았다. 그 외 감염이나 자궁경부 협착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6. LLETZ후 77예에서 자궁적출술 및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여 잔류병소가 있었던 경우는 26%였는데, CIN III에서 20.5%, 미세침윤암에서 26.9%, 그리고 침윤암에서 45.5%이었으며, 이중 LLETZ보다 더 상급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또한 LLETZ의 조직 절단면이 침범되어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 34.8%에서만 잔류병소가 있었다. 7. LLETZ를 시행하여 상피내 종양으로 진단을 받은 96예 중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지 않은 59예를 대상으로 세포진검사 및 질확대경을 이용한 추적 검사하여 91.5%의 성공률을 얻었는데, CIN I에서 93.3%, CIN II에서 100%, 그리고 CIN III에서는 90.2%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LLETZ는 질확대경 조준생검보다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고 특히 질확대경 조준생검에서 간과될 수 있는 미세침윤암이나 침윤암을 발견할 수 있으며, 또한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및 양성질환의 치료에 있어 기존의 국소파괴요법과 원추절제술을 대신할 수 있으며 배우기도 쉽고, 안전하며 합병증도 적어 향후 광범위한 이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Large loop excision of the transformation zone(LLETZ) is a new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for manage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icacy of LLETZ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bnormal cervical lesions. Two hundred six patients with abnormal cervical cytology were treated with LLETZ under local anesthesia as outpatients from July, 1993 to June, 1994. Histological comparison between the cervical cytology and LLETZ specimens showed 63.2%(130/206) of concordance rate. Histological comparison between the colposcopic biopsies and LLETZ specimens showed agreement with only 69.4%(75/108) of cases illustrating identical degrees and 79.2%(84/108) within one degree difference. The margin involvement of LLETZ was seen in 37.5%(51/136) but the residual lesion after hysterectomy was only seen in 34.8%(16/46). Severe delayed vaginla bleeding was seen in 1.5%(3/28) but there was no other serious complication. LLETZ was used as the conservative tratment method in 59 patients with CIN, and the success rate is 91.5%. In conclusion, LLETZ is an effective, quick and reliable procedure on accurate diagnosis of cervical pathology and conservative treat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 KCI등재

        임신성 융모종양 전이검사에서 최소검사기준의 효용성

        강순범,이효표,송용상,박창수,박노현,김홍배,김현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1980년부터 1992년까지 서울대학교 산부인과 종양크리닉에 등록된 총 238명의 임신성융모종양 환자의 임상기록을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적 특성 및 최소검사기준의 효용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전이성 환자는 110명(46.22%) 전이성 환자는 128(53.78%)이었고, 전이성 환자중 예후인자가 양호환 환자는 60명(46.88%), 불량한 환자는 68명(53.13%)이었으며 고위험부위 전이환자는 24명(18.75%)이었다. 2. 고위험부위 전이환자에 특징적 소견은 1) 흉부 혹은 질부위에 전이가 있는 경우 92%(22/24), 2) 고위험인자를 하나이상 소유한 경우 75%(18/24), 3) 고위험부위 전이소견이 있는 경우 97%(23/24)이었다. 3. 최소검사기준에 따라 방사선학적 정밀검사를 선택적으로 시행한 경우, 이러한 기준의 민감도는 100%(36/36), 특이도는 51.40%(110/214)이었다. 결론적으로 최소검사기준에 따라 검사를 시행했을 때 46.22%에서 고위험 부위전이를 찾아내는데 아무런 영향없이도 고가의 방사선 정밀검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For adequate clinical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GTT), metastatic survey is very important. But expensive cost for high resolution radiologic examinatin and relatively low incidence of high risk site metastatic made u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minimal work-up in detecting metastatic site.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1980 and 1992, 110 patients with nonmetastatic and 128 patients with metastatic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s were enlisted at oncology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viersity Hospitial. These patient`s reconds were reviewed and factors which might predict the presence of high risk sites metastases(brain. liver, kidney, spleen,et al) were identifed. Results : Characteristics of high risk site metastatic patients were metastases in lungs or vagina(22/24, 92%) at least one or more other poor pognosis factor (i.e., b-HCG titer$gt;40,000mIU/ml, greater than 4 months since onset of symptoms, anteccedent term pregnancy) (18/24, 75%), obvious symptoms or signs related to high risk site metastases(23/24. 97%) On the basis of these data,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minimal staging work-up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1) all patients received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HCG level, and chest PA radiogaphy 2) only patients with lung or vaginal metastases or obvious symptoms received a brain and abdomen C-T scan. Using this criteria, minimal staging work-up ofr the patients with high risk site metastases were identified with sensitiveity of 100% and specificity of 51.40%. Conclusions : Minimal staging work-up can save the cost and time by reducing unneccessary CT scanning in approximately 46% of patients with GTT. Further study is neccessary to assess the actual role of minimal work-up in the management of GT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