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강전로슬래그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고화체의 미세구조 분석

        李基錫,趙珍奎,李昇玟,金應鎬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9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10 No.1

        The solidifying effect of solidified digested sewage sludge by converter slag was investigated through microscopic analyses including XRD, SEM and EDS. The XRD analysis of the solidified sludge showed that the main solidification products was CSH; in addition, Ca(OH)₂CAH and Ettringite were observed. The microstructure analysis by SEM showed that as the solidification proceeds, needlelike crystals and honeycomb appeared. The analysis of these crystals by EDS confirmed that the main components were Ca, Si etc. This also confirmed the general notion that the cement hydrate products had a solidifying effect.

      • KCI등재

        국제합작투자기업의 기업내 기술이전에 관한 연구

        李應碩 韓國國際經營學會 1995 國際經營硏究 Vol.6 No.1

        다국적기업과 합작자회사간의 기업내기술이전은 두 조직이 서로 독립된 기업이라는 점에서는 기술이전시 발생하는 거래비용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되며 두 조직이 상호의존적인 관계라는 점에서는 상호의존성의 균형화정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제합작투자의 조직간관계 특성이 다국적기업과 합작자회사간의 기업내기술이전촉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과 합작자회사간의 기업내기술이전을 촉진시키는 두 가지 영향요소를 다국적기업관점과 합작자회사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분석결과는 다국적기업이 합작자회사로 제공하는 기술이 인적체화기술일 수록, 다국적기업의 합작자회사의 기회주의억제수단을 보유할 수록, 다국적기업은 합작자회사로의 기업내기술이전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작자회사측면에서는 합작자회사가 다국적기업에서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클수록 다국적기업과 합작자회사간의 상호의존성이 심화되어 있어 기업내기술이전은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합작자회사의 자율성이 증대될 수록 기업내 기술이전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油腐加工 중의 기름의 性狀變化 및 油腐貯藏 중의 品質變化

        李應昊,鄭淑鉉,金根淑,金喜衍 釜山水産大學校 1981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21 No.2

        油腐 튀김過程중 튀김用 기름의 性狀變化를 作業時間 經過에 따라 工場規模로 檢討하고 油腐를 4가지 貯藏方法으로 貯藏하여 貯藏期間에 따른 品質 變化를 實驗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튀김用 기름의 性狀變化에 있어서 산값과 色調는 低溫튀김솥(110±10℃) 및 高溫튀김솥(200±10℃)의 기름의 경우 모든 作業時間에 따라 增加하였으며 특히 低溫튀김솥의 기름의 變化가 더 컸다. 2. 과산화물값과 TBA값은 低溫튀김솥의 기름의 경우 增加하다가 減少하였으며 高溫튀김솥의 경우는 變化가 거의 없었다. 3. 油腐에서 抽出한 기름의 性狀은 高溫튀김솥의 기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4. 貯藏方法에 따른 油腐의 品質變化에 있어서 常溫(26±2℃) 貯藏의 경우 包裝하지 않은 것이 包裝한 것보다 貯藏性이 높았으며 脂肪의 酸敗面에서 볼 때 包裝하지 않은 것은 60日程度 貯藏이 가능하였다. 5. 4±2℃에서 貯藏할 경우에는 貯藏 期間에 따른 脂肪의 酸敗는 적었지만 長期貯藏은 困難하였고 -20℃에서 貯藏할 경우에는 貯藏期間에 따른 品質의 變化가 거의 없었으며 貯藏性이 매우 좋았다.

      • 신장세포암에서 WT1과 IGF2 유전자의 발현

        이정호,김응석,김용섭,장성익,윤환중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IGF2 유전자는 제 11번 염색체 단완 (11p15.5)에 위치해 있으며 아버지로부터 유전된 대립형질만 기능을 하는 genomic imprinting되는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정상세포에서는 세포증식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고 몇가지 암에서는 LOI에 기인한 과발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WT1 유전자는 제 11번 염색체 단완 (11p13)에 위치해 있으며 어머니로부터 유전된 대립형질만 기능을 하는 즉 IGF2 유전자와는 정반대의 genomic imprinting 되는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비뇨생식기관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유전자이며 암화과정에서는 암억제 유전자로서 기능한다. 소아신장에서 발생되는 Wilms 종양에서는 IGF2 유전자와 WT1 유전자의 고장이 주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성인에서 발생되는 신장세포암에서도 Wilms 종양에서의 결과와 같을 것인지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12명의 신장세포암 환자 ( 남자 6명, 여자 6명)로부터 얻은 조직을 이용하여 이들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남자에서는 43세에서 56세까지였고 여자에서는 23세에서 61세까지였다. 신장세포암에서 IGF2 유전자와 WT1 유전자의 발현정도는 다같이 성별이나 연령과는 무관하였다. IGF2 유전자는 50%에서 발현되었으며, 그 발현정도는 저발현에서부터 중등도 그리고 과발현까지 다양했으며 주로 신세뇨관 부위에 있는 암세포에서 발현되었다. WT1은 56%에서 발현되었으며 과발현과 중등도 발현이 대부분이었다. IGF2 유전저의 발현과 WT1 유전자의 발현은 각 예에서 상이하게 나타나서 두 유전자간의 작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IGF2 gene which was located on chromosome 11p15.5 is expressed by the paternal allele. It stimulates the cell proliferation in normal cells, however, it is over expressed in some cancers due to LOI (loss of genomic imprinting). In contrast, WT1 gene which was located on chromosome 11p13 shows maternal specific monoallelic expression. It is a very much important gene in developing urogenital system, besides, it acts as tumor suppressor gene in some cancers. IGF2 and WT1 genes are the main causative genes in Wilms tumor which is developed in pediatric kidney. To understand the status of IGF2 and WT1 expressions in renal cell carcinoma which is developed in adult life, tissues from 12 cases patients (male 6 cases ; female 6 cases) were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with antibodies from IGF2 and WT1 genes.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ages between Wilms tumor and renal cell carcinoma, the patients age in renal cell carcinoma was ranged in 43-56 years old in man and 23-61 years old in female. No direct correlation was, in general, between gene expression of IGF2 and WT1 and age or sex of patients in renal cell carcinoma. Expression of IGF2 gene revealed six of twelve (560%) and expression of WT1 gene showed seven of twelve (56%) in renal cell carcinoma, respectively. The status of IGF2 gene expression was varied from low to high expression. In contrast, the status of WT1 gene expression was higher than in IGF2 gene expression. However, there was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in each cases. In conclusion, IGF2 and WT1 genes are very important in carcinogenesis of renal cell carcinoma, however interaction between two genes was obscure.

      • NC공작기계용 제어기의 정밀 위치제어 특성 측정 및 분석

        이응석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2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16 No.1

        The gains for NC controller parameter are fixed when the controller is combined with a machine.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ller could be changed as it has being used by the machine or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Those result in that the tool positioning accuracy is influenced. The loading torque in servo motor influences on the tool positioning accuracy and it is controlled by the parameter gains.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torque variation with angular positioning accuracy of the servo motor. This study focus on a measuring method and device for verifying angular positioning accuracy of NC servo motor. We used a high resolution A/D converter for acquiring analogue signal of rotary encoder in servo motor. The positional accuracy for a nominal tool path, which is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axial movements (X,Y,Z), is analyzed with the servo motor torque. The current variation signal is captured at the power line using a hall sensor and converted to the loading torque of servo motor. The method of measurement and analysi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for determining the gains of parameter in NC controller. This gain tuning is also necessary when the controller is set up at a machine.

      •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동정맥루형성술의 조기 성적

        김응중,황석하,임승평,이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1 충남의대잡지 Vol.18 No.2

        The surgically created arteriovenous fistula has become the method of choice in achieving vascular access for maintenance hemodialysis. The authors performed 70 arteriovenous fistulas for angioaccess in 65 patients with CRF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orm August 1990 to November 1991. There were 4 cases of early obstructions due to inadequate vein in 2 cases, inadequate artery in 1 case and technical failure in 1 case. In 3 cases except 1 case who was transferred to other hospital, re-AVF were tried with successful outcomes. There were 2 cases of minor complications (wound infection and arm swelling due to venous hypertension) which were managed conservatively with successful outcomes. During the mean follow up of 8 months in 59 patients whore are not expired or lost during follow up, 3 cases of late thrombosis were occured with fistula patency rate of 94.9%. The authors consider the 'anatomical snuffbox' arteriovenous fistula as a primary choice and consider another method if it is not possible.

      • SCIESCOPUS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박영철,배응권,이정권,이종석,김태관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4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로 표시)은 수면 도중 계속 반복 되어 일어나는 상기도 폐쇄로 인하여 무호흡증을 나타내는 장애(disorder)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도 구조의 해부학적 요인뿐 아니라 생리적 요인도 무호흡 발생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이설근이 상기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OSA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하악 재위치 장치를 통한 치료 역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에 따른 구조적 생리적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OSA 환자 26명(남 17명, 여 9명)과 일반 정상 성인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앙와위에서 장치 장착 전후의 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장치에 따른 상기도의 구조 변화를 연구하고 두군 사이의 장치 장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OSA 환자 14명(남자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체위 변화와 장치장착에 따른 이설근 근전도 변화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기도 구조에 대한 두부계측학적 측정치 중 연구개의 길이, 연구개 최대 두께와 SPAS, MAS, VAL, H-H1. MP-H에서 정상군과 OSA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IAS와 EAS는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정상군과 OSA군 모두에서 장치 장착에 따라 후두개가 전방 이동하면서 후두개 수준(epiglottis level)의 기도 폭경은 증가하였고 연구개의 최대 두께가 변하였으며 설골은 전방 이동하였으나 두 군 모두 IAS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장치 장착에 따른 상기도 구조에 대한 효과는 두 군 사이에 서로 차이을 나타내었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앙와위에서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며, 직립위와 앙와위 모두에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였다. 하악 재위치 장치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뿐 아니라 상기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장치에 대한 반응은 정상군과 OSA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군은 상기도 생리에 있어서도 서로 다르다고 사료된다. Obstructive sleep apnea (OSA)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repetitive episode of upper airway collapse during sleep. Recent studies showed that not only the anatomic factors but the physiologic factors of the upper airway also have effects on the occurrence of apnea and that the genioglossus muscle also plays in important role in the maintenance of the upper airway. A variety of therapies were performed to treat OSA, and among them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showed reasonable result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structur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 upon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The author selected 26(male 17, female 9) OSA patients that came to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20 normal adults (male 10, female 10) and took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them in a supine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palcement of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to se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upper airway and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We also studied the waking genioglossus muscle activity in OSA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sus muscle upon the change in body posture and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mong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e upper airway structure, the length of the soft palate, maximum thickness of the soft palate and SPAS, MAS, VAL, H-HI, MP-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and OSA groups, but the IAS and EA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2. In both the normal and OSA groups, as the epiglottis moved forward on wearing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the epiglottis level of the upper airway increased and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soft palate changed and the hyoid bone also moved forward, but the IAS in both groups showed various results and the effect of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on the structure of the upper airway was different in the two groups. 3. Upon changing the positio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us muscle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hen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were wor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lectromyogram of the genioglossus muscle in both the upright and supine positions. The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s not only have an effect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upper airway but also on the physiology of the upper airway. There are different responses to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between the normal and OSA groups therefore it could be considered to have the different physiology of the upper airway between the two groups.

      •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과 출구감염의 임상상 및 위험인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최영환,김응석,김용섭,이정호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지속적 외래복막투석(CAPD)은 전세계적으로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신대체 요법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복막투석에 대한 이해, 수술 기법의 발달, 연결 기구와 도관에 대한 끊임없는 개발에도 불구하고 복막염과 도관 관련 합병증 등은 아직도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복막투석의 실패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복막염과 출구감염의 위험 인자에 대한 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1994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신장내과에서 CAPD를 시행한 말기 신부전증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복막염과 출구감염의 임상상 및 위험인자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복막염의 발생빈도는 환자당 0.73회/년 이었고 57.3%에서 원인균이 배양되었으며 동정된 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20.4%), Staphylococcus epidemidis(14.9%), Steptococcus species(11.2%) 순 이었고 전체적으로 그람양성 균주가 68%, 복합 균주가 배양된 경우가 17.1% 였다. 복막염의 치료 결과는 항생제로만 치유된 경우가 83.4%, 도관제거 14.8%, 사망 1.8%였고 외래 치료가 44.4%, 입원하여 치료한 경우가 55.6% 였다. 위험인자에 대한 비교에서는 50세 이하환자에서 0.88 회/년, 51세 이상에서 1.21 회/년으로 고령군에서 더 높았으며(p=0.043) 활동성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은 각각 0.78회/년, 1.21 회/년으로 활동성이 없는 군에서 더 높았으며(p=0.044) 직업이 없는 군에서 1.12 회/년, 직업이 있는 군에서 0.93 회/년으로 직없이 없는 군에서 발생빈도가 더 높았다(p=0.041). 또한 당뇨군에서는 연평균 1.22 회/년, 비당뇨군에서는 0.99 회/년으로 당뇨군에서 더 발생빈도가 높았고( p=0.039), 출구 감염이 있는 군에서 1.19 회/년,없는 군에서 9.98 회/년으로 출구감염이 있는 군에서 더 발생빈도가 높았다(p=0.047). 그 외 성별, 학력, 거주지, 투석액의 종류 및 도관 종류에서는 통계적 의의가 없었다. 출구감염은 환자당 0.37 회/년의 발생빈도 및 88.6%의 원인균 배양율을 보였으며, 동정된 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34.3%), Staphylococcus epidermidis(17.1%), Sterptococcus species (8.6%) 순 이었고 전체 63개의 도관중 21개(33.3%) 제거되었으며 가장 많은 원인은 복막염 8예(38.1%) 와 출구감염 6예(28.6%)였다. 출구감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분석에서는 농촌에 거주하는 경우, 당뇨병이 있는 경우, Tenckhoff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다소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고 그 외에 나이, 성별, 활동성, 직업의 유무, 학력과도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CAPD 시행 시 환자선정에 있어 나이, 당뇨병 유무, 거주지, 직업 등의 인자를 특히 고려하여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CAPD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as hemodialysis or renal transplantatio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Although much progress of technology of CAPD has been made, peritonitis or catheter-related complications are still important problem until now. Therefore, we investigated about risk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peritonitis and exit infection in CAPD patients. Methods : We analys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results of 51 patients on CAPD at Dongguk University Kyoung-ju Hospital from April 1994 to December 1998. Results : 1) There were 31 male and 20 female patients who are 28 to 79 age-old(mean age 55.4±11 years). 2) Underlying disorders of CAPD patients were diabetic nephropathy(33.3%), hypertensive nephrosclerosis(27.5%) and glomerulonephritis(17.7%) 3)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as 0.73/year/patient and peritonitis free interval period was 9.3±1.4 months. The isolation rate of microorganisms from patients with peritonitis was 57.3% and the order of frequency of isolated organims wa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ermidis, Steptococcus species, Pseudomonas species and Acinetobacter species. The peritonitis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only(83.4%), catheter removal(14.8%) and death(1.8%) 4)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as higher in patients with older age(>50yr), DM, exit site infection and without occupation,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univariate analysis (p<0.05). 5) The incidence of exit site infection was 0.37/year/patient and the order of frequency of isolated organisms wa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reptococcus species, and Pseudomonas species.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risk factor of exit site infection had no significant value. The exit site infection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only(45.7), external cuff externalization(8.6%), external cuff removal(28.6%), and catheter removal(14.8%). 6) 21 of catheters(33.3%) were removed. The peritonitis and exit site infection or tunnel infection were main causes of catheter removal. The catheter survival rate was 82%, 73%, 68% and 50% at one, two, three and four years, respectively. Mean survival time of all catheters was 39.3±1.4 months. 7) The causes of death were most frequently cardiac disease(28.4%), followed by vascular disease(14.4%), malignancy(14.4%) and infections(14.4%). The patient survival rate was 92%, 82%, 78% and 70% at one, two, three and four years, respectively. Mean survival time of all patients was 61.2±1.8 months. Conclusion : Although CAPD is an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CAPD peritonitis and exit site infection are the most important pitfalls of CAPD. From the above results, we can know that the risk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ere old age, no occupation, no physical activity, DM, and exit site infection. Therefore, we most consider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and exit site infection when we choose the renal replace therapy in end stage renal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