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際經營學敎育의 現況과 課題

        이광철,이재유 韓國國際經營學會 1993 國際經營硏究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대학 경영학교육의 국제화를 위여 국내대학 및 대학원 과정에서의 국제경영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향후개선방향을 모색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경영학 교육이 현재 어느정도나 국제화되어 있으며 또한 국제화의 장애요인은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한국대학에서의 국제경영학 교육이 현재 어떤 분야에서 어느 수준으로 그리고 누구에 의하여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편 본연구의 보다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살펴보면 학부의 경우는 국제경영학 과목개설현황, 국제경영학 전임교수 현황, 국제경영학 강의방식 현황, 국내대학 해외교류현황 등이 조사되었으며, 대학원(일반대학원 석사 과정 및 경영대학원)의 경우는 국제경영전공 학생현황, 전체개설과목중 국제경영과목 개설비중, 개설된국제경영과목의 다양성, 국제경영전공 설치여부, 국제경영교육실태 등이 각각 포함되었다.

      • KCI등재

        최고경영진의 특성과 국제화 배경이 기업 국제화와 경영성과 간에 미치는 영향

        성현정 ( Hyunjung Sung ),김석수 ( Seogsoo Kim ) 한국국제경영학회 2021 國際經營硏究 Vol.32 No.4

        기업 국제화는 기업성장에 필수불가결한 전략이지만 생존을 위협하는 위험이 동반되는 과제로 기업 국제화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는 방대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 이를 결정짓는 요인으로서 기업경영의 최종의사결정권자인 최고경영진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 이론을 바탕으로 동일한 국제화 수준을 가진 기업 간 경영성과 차이의 원인을 최고경영진의 특성과 국제화 배경으로 간주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고경영진의 평균 나이, 근속, 교육수준과 국제화 배경비율 등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기업국제화와 경영성과 간에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2013~2019년까지 7개년 간 KOSPI 시장에 상장된 자동차산업 및 전자산업에 속한 제조기업 89개를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성하여 FGLS분석과 단순기울기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최고경영진의 (a) 평균 나이가 어릴수록, (b) 평균 근속기간이 길수록, (c) 평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d) 국제화 관련 전공의 이수자와 (e) 국제화 배경 소유자가 많을수록 기업 국제화와 경영성과 간의 유의한 정(+)의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최고경영진의 특성과 배경을 기업 국제화의 동인으로만 한정시킨 기존 연구의 한계를 해소하면서 유사한 국제화 수준을 가진 기업 간 경영성과 차이의 원인을 파악할 때 반드시 최고경영진의 성향과 역량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무적으로 기업 해외진출 시 경영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고경영진의 경력 등을 가늠할 수 있어 이사회에서 최고경영진 선정기준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op management team(TM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ternational background on the internationalization-performance relationship of firms. Based on the upper echelons theory, we consider that TM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of firms in that they have an influential decision-making power on key issues in business. Furthermore, we assume that specif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 international background of TMTs make them select internationalization among business strategies, and it results in different levels of performance attained based on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ies and international experien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panel data was composed of 89 manufacturers in the automobile industry and electronics industry listed on the KOSPI for seven years from 2013 to 2019, and the statistical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a) The younger the average age, (b) the longer the average tenure, (c) the higher the average education level of TMTs, the more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firm internationalization-performance. Moreover, (d) the higher ratio of TMTs majoring in internationalization and (e) the higher ratio of TMT’s internationalization hav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significantly as well. However, the ratio of TMT's educated or working abroad have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trary to expect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MTs must be considered when identifying the reason firms with similar levels of internationalization has difference in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에 의한 국제 경영의 신독점화

        최순권,문교수,조예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1 국제경영리뷰 Vol.25 No.2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의 국제화 과정 특성을 아마존 기업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 히, 플랫폼 비즈니스가 전통적 비즈니스와 확연하게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면, 그 국제화 과정 역시 전통적 기업과는 다를 것이 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플랫폼 비즈니스가 전통적 비즈니스와 근본적으로 다른지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그 국제화 과 정을 살펴보기 위해 읍살라 국제화 과정(UIP) 이론을 바탕으로 아마존 기업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의 국제화는 전통적 기업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보여 주고 있었다. 전통적 기업의 국제화 과정에서 의 가장 큰 특징은 거의 대부분의 기업들이 해외시장 진출 초기에는 리스를 줄이기 위해 매우 낮은 수준의 투자를 실시하였다. 현지 시장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점차 증가하면서, 투자와 규모 또한 확대하였다. 하지만,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은 과감하고도 대규모 투자 를 해외 시장 진출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특히, 아마존닷컴의 경우 초기에는 현지 시장에서의 기존 온라인 쇼핑몰 기 업에 대한 M&A를 통해 해외 시장에 진출하였다. 또한, 해외 진출 국가를 선정함에 있어 심리적으로 가까운 국가를 우선적으로 선택 하였으며, 최초 해외 시장 진출은 설립 역시 매우 빠른 시기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중요한 발견 중의 하나는 국제 경영에서 있어 중앙집권적 경영의 가능성이다. 지금까지의 국제 경영 활동은 주로 분권화 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들은 이미 국제 경영에 있어서 중앙집권적 관리 형태를 선택하고 있었다. 또 한, 산업 생태계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시장을 장악하고, 독보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일부 플랫폼 기업의 모습에서 우리는 과거 독과점 기업이 연상된다. 과거 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시장 경쟁의 왜곡 현상을 초래하였다. 하지만, 최근 플랫 폼 기업의 모습에서는 시장을 독점한다는 점은 같지만, 현재의 플랫폼 기업은 시장에 더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에게도 더 많은 효용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과거 전통적인 독과점과는 다른 현대판 신독과점(Neo-Monopolization) 형태라 하겠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pidly emerging globalization process of platform business through AMAZON case study. In particular, if the platform business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the traditional business, the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will als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business. For this, we analyzed whether the platform busines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businesses, and conducted a case study of AMAZON’s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based on UIP theory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firm’s internationalization. The result of analysis has shown tha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platform business enterprise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enterprises. The main feature of the traditional enterprise's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is that almost all companies initially invested very low levels of investment to reduce risks. As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local market gradually increased, investment and size also expanded. However, platform businesses are making bold and large-scale investments from the beginning of entering foreign markets. In particular, Amazon initially entered overseas markets through M&A for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 companies in the local market. In addition, AMAZON selected a country that is psychologically close to overseas markets first, and the first overseas market entry took place very quickly after its establishment. One of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is the possibility of centralized management practice in international business management, because decentralized management has been used as a natural way of international business management. However, platform businesses were already choosing a centralized form of management in international management. In addition, some platform companies that dominate the market through the formation of industrial networks and secure unrivaled global competitiveness remind us monopolistic companies in the past. They usually have caused distortions in market competition to maximize their profits. However, although the recent platform companies have the same monopolization of the market, they offer higher efficiency to the market and more utility to consumers. This is a modern version of monopolization(Neo-Monopolization).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의 국제화 조합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효정,전영신,백서윤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9 국제경영리뷰 Vol.23 No.3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의 국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배구조의 특정 국제화 조합이 기업의 성과 및 국제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핵심관계자인 최고경영자, 최고경영진, 이사회, 주주 이 네 가지 측면을 모두 분석하여 총체적인 관점에서 성과도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으로 목표로 하였다. 한국 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분석결과, 기업의 성과창출과 관련하여 경영진(최고경영자와 최고경영진)과 이사회 혹은 전략적 주주와의 국제화 조합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국제화 성과에서 최고경영자 자체만으로는 의미있는 성과창출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최적의 성과를 위해서는 이사회 또는 주주와의 조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지배구조의 최적 국제화 조합을 찾는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를 찾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기업지배구조와 연관된 국제화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배구조의 네 가지 주요 역할을 모두 검토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점이, 기존의 국제화 연구 및 기업지배구조 연구와의 차별성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internationalized “bundle(combination)” of certain governance structures affects firm performance and firm internationalization performance as a firm speeds up internationalization. To do this, it examines the key four stakeholders of the firm, namely the CEO, top management team(TMT), board of directors(BOD), and shareholders. By analyzing Korean corporate data on the various internationalized bundle of the four, this study found out that firm performance was most affected by the internationalized bundle of managers(CEO or TMT) and BOD or strategic share shareholder, whereas the internationalized managers(CEO or TMT) alone where not sufficient to significantly affect firm performance.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at heightened firm performance required the internationalized bundle of managers and BOD or that of managers and strategic shareholders. Aiming to find the best internationalized bundle for firm perform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lects the uniqueness of Korean firms, and with limited research on corporate governance and internationalization, it is worthwhile to examine and further clarify the relationship and role of the four key stakeholders on firm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후보

        다국적기업의 국제이전가격과세협상에 관한 연구

        오준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07 국제경영리뷰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됨에 따라서, 현지국 또는 본국의 과세당국과 국제이전가격과세관련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동시최적화가 가능한가에 대해서 게임이론 및 메카니즘 개념을 도입하여 알아보았다. 다국적기업의 국제이전가격 문제는 정보구조면에서 Larger-Lerner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호전달자나 수용자 모두 불완전 정보하에서 잡음있는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어 진실을 보고하는 것이 최선이 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결국 다국적기업의 입장에서는 현지국이나 본국의 과세당국이 가진 정보능력에 따라서 전달하는 정보의 수준을 결정하게 되며 제안을 계속 바꾼다던지, 불타협을 통한 지연효과를 기대한다던지, 협상을 통해 균형점을 재조정해 나가거나 전략적인 지연 등이 우위전략으로 도출될 수 있다. 게임 측면에서 보면 신호전달게임과 조정게임의 합으로 국제이전가격과세협상을 모형화할 수 있으며, 수리적인 해의 도출을 통해 다국적기업은 현지국 및 본국의 과세당국에 대해 정보를 숨길 것이 아니라 사전에 적극적으로 기업의 정상가격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국제이전가격과세협상에 따른 기대성과를 낮출 수 있어서, 국제이전가격과세를 둘러싼 쟁송을 줄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다국적기업의 국제경영관련 판례들을 살펴보면 다국적기업은 수출지향경영에서 현지지향 경영으로 넘어가는 단계에서는 관세행정법상의 덤핑관련 제소에 노출된 가능성이 높고 현지지향경영에서 세계지향경영으로 넘어가는 단계에서는 국제이전가격과세분쟁에 노출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략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국제이전가격과세와 관련해서 사전가격승인제(APA)같은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As globalization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is gaining momentum, it is likely that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 conflicts take place among MNCs and taxing authorities. This paper tri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deriving the simultaneous optimality among the par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information structure,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 can be interpreted as Larger-Lerner information structure, which has such solutions as an alternating offers, prolonged disagreement, refinements of sequential equilibrium in bargaining and strategic delay. In this sense, both signal sender(MNC) and signal receiver(tax authorities) have noises under incomplete information. As results, true reporting does not guarantee risk free reporting when MNC tries to avoid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 conflicts. MNC will make contingent decision of signaling information depending upon the informational capability of tax authorities. As game theoretic view,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 can be modeled by the combination of signaling game and arbitration game. Mathematical solution tells that MNC's best bet is not to conceal the information but to reveal the information strategically positively to verify evidence of normal price prior to initiation of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 conflicts.

      • KCI등재

        기업의 국제화와 국제인적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김동환 한국국제경영학회 1992 國際經營硏究 Vol.3 No.1

        本 論文은 企業의 海外直接投資와 함께 중대하게 考慮되어야 할 國際人的資源管理에 관한 硏究가 다른 企業管理機能에 비하여 相對的으로 적게 이루어졌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競爭國들의 多國籍企業에 비해 뚜렷한 企業 內部的 특유의 比較優位 없이 海外에 進出하는 國內企業들의 國際競爭力 향상과 比較優位의 現地 창출을 위해 國際人的資源管理의 重要性, 硏究의 範圍, 그리고 유능한 海外派遣 國際經營 者의 必要性을 論하였다. 또한 實證調査를 통하여 海外子會社를 운영하고 있는 韓國의 國際企業 最高經營者들이 갖고 있는 國際人的資源管理에 관한 見解와 그들이 當面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調査結果 나타난 問題點은 ① 海外投資와 관련된 전략적 자원으로서의 人的資源에 대한 最高經營者들의 매우 낮은 관심 ② 本社에서 派遣하는 海外派遣經營者들의 높은 失敗率 ③ 本社經營者들의 海外파견 근무기피 ④ 海外에 派遣할 수 있는 有能한 經營者의 不足과 國內 大學敎育이 國際經營者의 육성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는 否定的인 見解였다. 따라서 본 硏究는 國際人的資源管理의 重要性, 問題點, 그리고 解決方案을 巨視的인 次元에서 技術的으로 提示하였으며 앞으로 具體的이고 實證的인 硏究의 必要性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과 기업 국제화: 경영자 재량권의 조절효과

        김지윤,박종훈,김창수 한국국제경영학회 2019 國際經營硏究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CEO foreign experience on a firm’s internationalization and to further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ial discre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foreign experience and firm internationalization. We propose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CEO foreign experience and firm internationalization. Further, we hypothesize three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ial discretion. First, the global economic crisis weakens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foreign experience and firm internationalization. Second, both firm performance and CEO tenure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EO foreign experience and firm internationalization. Using a dataset consisting of 101 Korean firm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the period of 2002 to 2012, we found supports for our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CEO with foreign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a high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Moreover our findings imply that managerial discretion is a critical factor in leveraging CEO foreign experi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firm international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과 국제화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간의 관계가 최고경영자의 재량권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과 국제화는 정의 관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관계는 경영자의 재량권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조직적, 개인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KOSPI 200 기업내 제조업에 속한 101개 기업의 1101개 관측치를 분석한 결과,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과 국제화간에는 유의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과 국제화간의 관계는 환경적 요인으로 고려한 글로벌 경제위기 시기에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요인으로 고려한 기업성과와 관련하여서는 성과가 좋을수록 두 변수간의 관계가 강화되었고, 마지막으로 개인적 요인으로 고려한 최고경영자의 재임기간이 늘어날수록 두 변수간의 관계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국제화 수준을 높이고자 한다면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최고경영자가 자신의 해외경험을 더 잘 활용하여 국제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경영자의 재량권을 확보해 주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코스닥기업의 국제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영철,김익성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06 국제경영리뷰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국제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벤처 기업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는 코스닥기업의 경우 일반 기업보다 기업 성장 측면에서 국제화의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경영성과는 매출성장률로 대표되는 성장성과 매출이익률과 투자수익률로 대변되는 수익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93개 해당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코스닥기업의 해외매출 의존도가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3.63%로 나타나 국제화에 매우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개발 집중도도 매출액 대비 5.29%로 나타나 일반 중소기업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국제화와 성과간의 상관성을 분석할 결과 예상했던 대로 기업의 국제화가 매출증가율로 대변되는 성장성과 투자수익률로 대변되는 수익성과 비선형(u-shaped)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국제화 수준이 어느 정도 이르러야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시사해 준다.한편,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는 매출증가율과는 정의 상관성을 가지나 투자수익률과는 부의 상관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코스닥기업이 높은 국제화 수준과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매출액 증대에는 큰 도움을 받는 것에 반해 고부가가치화에는 높은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였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코스닥기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의 전반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코스닥기업을 포함한 우리나라 기업들은 국제화와 연구개발 활동을 고부가치화 하는데 전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럴 경우 국제화를 통해 성장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다잡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예상했던 대로 광고 집중도와 매출이익률과는 유의적인 상관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출증가율과는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활동이 차별화에 어는 정도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인데, 대상기업들의 광고비중이 0.81%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높은 광고활동을 통해 차별화와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할 수 있다면 국제화를 통해서도 수익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통제변수인 사업 년 수와 경영성과, 즉 성장성 및 수익성 모두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예상된 결과이다. 이는 벤처기업을 다수 포함하는 코스닥기업의 경우 아무래도 일반기업보다 경영성과에 사업 년 수가 그리 주요한 영향 요인이 되지 못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기업규모의 경우에는 매출액증가율과 투자수익률 모두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어 코스닥기업의 경우 경영성과에 기업규모의 역할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업종에 따라 성장성과 수익성이 존재함을 보였는데, 이는 업종에 따라 시장상태와 경쟁구조에 있어 차이가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internationalization and performances in the case of KOSDAQ. Based on the analysis of 193 firms currently involved in foreign busines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firm's internationalization (i.e., exports) and the ratio of sales increases and profit on investment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ratio of sales profit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D intensity and the ratio of sales increases and profit on investment while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intensity and the ratio of sales profits. These findings imply that KOSDAQ firms should actively involve in internationalization to secure a high performance. In this process, it is important of KOSDAQ firms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R&D and advertising. Without them, it is hardly expected that KOSDAQ firms acquire technology capability and product differentiation.

      • KCI등재

        2016년 국제경영연구에 대한 회고

        박병일 ( Byung Il Park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7 國際經營硏究 Vol.28 No.1

        2016년도 국제경영연구 제1호부터 제4호에는 각 네 편의 논문씩 총 열여섯 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특히 2016 년도 1월부터 12월까지 총 마흔네 편의 논문이 제출되었으나, 동 기간 동안 게재 확정된 논문은 불과 열 편에 지나지 않음에 따라, 게재율은 22.7 퍼센트(2016년 12월 31일 현재)를 보였다. 본 편집위원장이 알고 있는 바에 의하면, 22.7 퍼센트의 게재율은 다른 등재학술지대비 상당히 낮은 수치이며, 이는 곧 국제경영연구에 게재된 모든 논문들이 양질의 실증결과를 담고 있음은 물론, 중요한 이론적 및 실용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국제경영연구의 독자들께서도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국제경영연구는 한국 내 국제경영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지일 뿐만 아니라, 따라서 국내 학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바 저희 편집위원회는 앞으로도 동 학술지의 위상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임을 약속 드리는 바이다. 그 일환으로, 본 에디토리얼에서는 게재된 열여섯 편의 실증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A total of sixteen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four issues of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IBJ) in 2016. During the year, forty four papers were submitted to the journal, but only ten papers were accepted, giving an acceptance rate of 22.7 per cent (as of December 31st 2016) (six papers were accepted in 2015). To the best of my knowledge, compared to other journals in South Korean academia, this is a very low acceptance rate and clearly informs us that all papers included in the journal have decent and high quality findings an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our current knowledge. As the readers of IBJ may know, the editor-in-chief wants to make the journal a representative outlet for excellent quality papers in the international business (IB) domain and position it highly in academia. This editorial intends to explore those papers accepted by IBJ and summarize their findings.

      • KCI등재

        企業의 國際化에 國際人的資源管理에 관한 硏究

        金東煥 韓國國際經營學會 1992 國際經營硏究 Vol.3 No.1

        本 論文은 企業의 海外直接投資와 함께 중대하게 考廬되어야 할 國際人的資源管理에 관한 硏究가 다른 企業管理機能에 비하여 相對的으로 적게 이루어졌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競爭國들의 多國籍企業에 비해 뚜렷한 企業 內部的 특유의 比較優位 없이 海外에 進出하는 國內企業들의 國際競爭力 향상과 比較優位의 現地 창출을 위해 國際人的資源管理의 重要性, 硏究의 範圍, 그리고 유능한 海外派遣 國際經營者의 必要性을 論하였다. 또한 實證調査를 통하여 海外子會社를 운영하고 있는 韓國의 國際企業 最高經營者들이 갖고 있는 國際人的資源管理에 관한 見解와 그들이 當面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調査結果 나타난 問題點은 ① 海外投資와 관련된 전략적 자원으로서의 人的資源에 대한 最高經營者들의 매우 낮은 관심 ② 本社에서 派遣하는 海外派遣經營者들의 높은 失敗率 ③ 本社經營者들의 海外파견 근무기피 ④ 海外에 派遣할 수 있는 有能한 經營者의 不足과 國內 大學敎育이 國際經營者의 육성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는 否定的인 見解였다. 따라서 본 硏究는 國際人的資源管理의 重要性, 問題點, 그리고 解決方案을 巨視的인 次元에서 技術的으로 提示하였으며, 앞으로 具體的이고 實證的인 硏究의 必要性을 강조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