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사료 수량이 높고 사일리지 품질이 우수한 청보리 신품종 '다청'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박형호,박종철,강천식,송태화,한옥규,윤건식,홍기흥,배정숙,송재기,오영진,Park, Jong-Ho,Cheong, Young-Keun,Kim, Kyong-Ho,Park, Tae-Il,Kim, Yang-Kil,Park, Hyoung-Ho,Park, Jong-Chul,Gang, Cheon-Sik,Song, Tae-Hwa,Ha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4

        '다청'은 답리작 적응 추위 및 도복에 강한 다수성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2년 추위 및 도복에 강한 '선우'를 모본으로, 키가 크고 숙기가 빠른 '큰알보리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 선발된 '익산479호'로 전국 6개소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5년에 육성되었다. '다청'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V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며, 하부잎 엽초의 털이 있다. 초장은 99cm이고, $m^2$당 경수는 625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적었으며, 엽신 비율이 18.7%, 이삭비율은 52.2%로 높다. 답리작에서 출수기는 4월 24일로 '영양'과 같았으며, 황숙기는 5월 26일로 영양과 같았다. 내한성은 '영양'보다 강하였으며, 흰가루병에는 감수성을 보였지만,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2.8톤/ha '영양'보다 5% 증수하였으며, 답리작에서 11.9톤/ha으로 '영양'보다 10%로 증수하였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9.0%로 '영양'에 비해 낮았으며, ADF는 31.3%, NDF는 54.4%로 '영양'보다 높았으며 TDN이 64.0%로 '영양'보다 다소 낮았으나, TDN수량은 영양보다 높고, 사일리지 등급도 I 등급으로 영양보다 높았다. A new barley(Hordeum vulgare L.) cultivar 'Dachung' having high forage yielding and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5.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of the 'Sunwoo' and 'Keunalbori1ho' in 2002. And it's promising line showed both high yield and lodging resistance through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PYT, AYT) at Iksan from 2010 to 2012. It was designated as the 'Iksan479'. 'Iksan479' was conducted to regional yield trials(RYT) in six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3 to 2015. And it was released as the name of 'Dachung'. It has erect plant type, growth habit of IV and green leaf. In the paddy field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and maturing date was May 26, same day with 'Youngyang'. Plant height of 'Dachung' was 99cm. Dachung's spikes per $m^2$ was 625. It has high rate of leaf blades, resistance to BaYMV(Barley Yellow Mosiac Virus) and better winter hardiness than that of 'Youngyang'. The average dry matter of 'Dachung' was about $11.9ton\;ha^{-1}$ in paddy field. And average feed quality of 'Dachung' was 9.0% of crude protein content, 31.3% of ADF (Acid Detergent Fiber), 54.4%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64.0%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Dachung'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8^{\circ}C$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호남지역 수확시기에 따른 밀 곡실 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강천식,윤영미,손재한,이석하,Park, Jong-Ho,Cheong, Young-Keun,Kim, Kyong-Ho,Park, Tae-Il,Kim, Yang-Kil,Kang, Chon-Sik,Yoon, Young-Mi,Son, Jae-Han,Lee, Suk-Ha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2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wheat to make grain silage, in Honam region of Korea. We harvested wheat grain every third day from 30 to 42 days after heading (DAH).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from 61.6% at 30 DAH to 42.8% at 42 DAH. Yield of wheat grain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0 to 42 DAH (p< 0.05). Yield at 39 DAH (3.46T/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at 42 DAH (p< 0.05). With respect to the feed value of wheat grain silage, the amount of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crude ash was different by harvesting time (p< 0.05). However, the amou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from 30 and 42 DA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H of wheat grain silage from 30 to 42 DAH was between 3.8 and 4.5 and it was stable until 39 DAH (p< 0.05). The lactic acid content of wheat grain silage from 30 to 42 DAH decreased from 3.08% to 1.10%. With respect to moisture content, yield, feed value, and fermentatio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wheat grain silage was 39 DAH.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라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해 보면 밀 수량은 출수 후 30일부터 42일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최대 수량은 42일차에 5.57T/ha이었는데, 39일, 42일차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가치의 경우 조단백, 조섬유, 조회분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나, 조지방, TDN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발효에 영향을 주는 pH는 30일부터 39일까지는 pH 3.8-4.2까지 안정을 유지하다가 42일차부터는 pH4.5로 증가하여 일부 품종의 경우 발효에 적합하지 않았다(p<0.05). 따라서 밀의 곡실 발효사료 제조를 위한 최적 수확시기는 출수 후 39일차였다.

      • KCI등재

        가축 기호성이 좋은 반매끈망을 가진 청보리 신품종 '미한'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강천식,윤영미,한옥규,윤건식,홍기흥,배정숙,송재기,오영진,Park, Jong-Ho,Cheong, Young-Keun,Kim, Kyong-Ho,Park, Tae-Il,Kim, Yang-Kil,Park, Hyoung-Ho,Yoon, Young-Mi,Han, Ouk-Kyu,Yun, Geon-Sig,Hong, Ki-Heung,B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미한'은 추위 및 도복에 강한 다수성이면서 총체적성이 우수한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1년 추위 및 도복에 강하며 초형이 양호한 'SB00T2064'를 모본으로, 양질다수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85호(IT215831)'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익산487호'로서 전국 6개소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6년에 육성되었다. '미한'은 기존 육성된 '영양'의 거친 망의 단점을 개선하여, 까락의 거치가 적은 반매끈망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미한'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V정도로 영양보다는 추파성이 강하였다. 미한의 잎은 녹색이며, 엽폭은 중간정도이며, 엽이의 안토시아닌색은 없으며, 초장은 96cm, $m^2$당 경수는 665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적었으나, 엽신 비율이 17.9%, 이삭비율은 52.2%로 높다. 답리작(전주 등 5개 지역 평균)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늦었으나, 황숙기는 5월 23일로 '영양'보다 1일 늦었다. '미한'은 내한성에 대해서는 '영양'보다 강하며, 흰가루병에는 약하며,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3.9톤/ha으로 '영양'과 보다 5% 감수하였지만, 답리작에서 10.9톤/ha으로 '영양'과 같았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10.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1%, NDF는 46.9%로 '영양'보다 높았으며 TDN이 68.2% '영양'보다 다소 낮았으나,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I 등급으로 '영양'보다 우수하였다. A new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Mihan' having ruminant-palatable semi-smooth awn and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CS), RDA in 2016.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of the 'SB00T2064' and 'Suwon385' in 2001. And its promising line showed high yielding through the preliminary yield trials(PYT) and advanced yield trials (AYT) in Iksan from 2012 to 2013. It was designated as the 'Iksan487'. 'Iksan487' was conducted to regional yield trials (RYT) in one upland field and five paddy field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And it was released as the name of 'Mihan'. It has growth habit of IV, erect plant type, green leaf and semi-smooth awn. Its heading date was April 23 in the paddy field and maturing date was May 24. Plant height of 'Mihan' was 96cm. Mihan's spikes per $m^2$ was 665. It has better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 than that of barley cultivar 'Youngyang'. The average dry matter of 'Mihan' was about $10.9ton\;ha^{-1}$ in paddy field. And average feed quality of 'Mihan' was 10.3% of crude protein content, 26.1% of ADF (Acid Detergent Fiber), 46.9 %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68.2%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Mihan'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average temperature of $-8^{\circ}C$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삼차망을 가진 담근먹이용 청보리(Hordeum vulgare L.) 신품종 '유진'

        박종호,김경호,정영근,박태일,김양길,강천식,윤영미,손재한,한옥규,윤건식,홍기흥,배정숙,송재기,오영진,Park, Jong-Ho,Kim, Kyong-Ho,Cheong, Young-Keun,Park, Tae-Il,Kim, Yang-Kil,Kang, Chon-Sik,Yoon, Young-Mi,Son, Jae-Han,Han, Ouk-Kyu,Yun, Geon-Si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9 No.4

        '유진'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05년 삼차망으로 도복 및 내한성이 강하고, 초형이 양호한 수원406호/수원389호의 F<sub>1</sub>을 모본으로 하고, 장간으로 총체적성이 높은 SB961012/수원389호를 F<sub>1</sub>을 부본으로 복교잡하여 육성된 '익산488호'로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 6개소에서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6년에 육성되었다. '유진'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I 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며, 엽폭은 중간정도이다. 초장은 99cm으로 장간에 속하고, ㎡당 경수는 696개로 대비품종인 '유연'보다 적은 경향이었으나, 엽신 비율이 19.0%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출수기와 황숙기는 각각 4월 24일과 5월 26일로 '유연'보다는 늦은 경향을 보였다. '유진'은 내한성과 보리호위축병에 대해 저항성을 보였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7.1톤/ha, 답리작에서 11.0톤/ha로 '유연'보다 각각 19%, 2%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 10.6%, ADF 24.8%, NDF 43.5%, TDN69.1%로 우수한 품질특성을 보였고, 담근먹이 품질등급 I 으로 '유연'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A barley(Hordeum vulgare L.) cultivar 'Youjin' with hooded spike type having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6. 'Youjin' showed both high yielding and cold resistance through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PYT, AYT) from 2012 to 2013. We conducted regional yield trials(RYT) of 'Youjin' in six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It had erect plant type, growth habit of II, the green leaf and hooded awn type. In the paddy field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and the maturing date was May 25. Plant height was 99 cm and the number of spikes per ㎡ was 696. It has high rate of leaf blades, resistance to BaYMV(Barley Yellow Mosiac Virus) and good winter hardiness. The average dry matter of Youjin was about 17.2 MT ha<sup>-1</sup> in the field. And feed quality of 'Youjin' was 10.6% of crude protein content, 24.8% of ADF(Acid Detergent Fiber), 43.5 % of NDF(Neutral Detergent Fiber), 69.1%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And also 'Youjin'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 KCI등재

        로그 회귀분석 및 CART를 활용한 수력사업의 CDM 승인여부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박종호,구본상,Park, Jong-Ho,Koo, Bon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6 No.2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은 신재생에너지사업의 보조를 통해 지구온난화 가스의 감축을 꾀하는 대표적인 국가 및 기업 간 배출권 거래(cap and trade)제도이다. 재래식 발전 방식에 비해 수익성이 낮은 태양광, 풍력, 수력 등의 사업이 CDM 사업으로 승인을 받으면 매년 탄소배출권(CER)을 제공받고, 이의 판매를 통해 발생한 추가 수익으로 인해 사업 타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CDM 사업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환경적, 기술적, 경제적 추가성(Additionality)를 입증해야 하는데, 해당 적용 기술, 베이스라인 측정 방법론, 온실 가스 감축량, 사업 내부 수익률(IRR) 등 다수의 변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사전적으로 승인여부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는 수력 사업의 CDM 승인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UNFCCC에서 제공하는 수력 사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로그 회귀분석 및 CART 분석을 실시하여 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와 함께 승인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자들을 파악하였다. 구축된 로그 회귀 및 CART 예측모델은 AUC가 각각 0.7674 및 0.7231로 예측 정확성이 비교적 높게 나왔다. 또한 수력 사업에서는 온실가스 저감량 대비 투자액, 시간당 발전량 및 내부수익률이 승인여부에 유의한 변수들로 파악되었고, 이에 비해 특정 기술이나 측정 방법론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특정 기술을 불문하고 온실가스를 투자 대비 가장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사업과 수력사업들 중 상대적으로 소규모로 진행되는 사업이 CDM 사업으로 승인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is the multi-lateral 'cap and trade' system endorsed by the Kyoto Protocol. CDM allows developed (Annex I) countries to buy CER credits from New and Renewable (NE) projects of non-Annex countries, to meet their carbon reduction requirements. This in effect subsidizes and promotes NE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ultimately reducing global greenhouse gases (GHG). To be registered as a CDM project, the project must prove 'additionality,' which depends on numerous factors including the adopted technology, baseline methodology, emission reductions, and the project's internal rate of return. This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ex ante a project's acceptance as a CDM approved project, and entails sunk costs and even project cancellation to its project stakeholders. Focusing on hydro power projects and employing UNFCCC public data, this research developed a prediction model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CART to determine the likelihood of approval as a CDM project. The AUC for the logistic regression and CART model was 0.7674 and 0.7231 respectively, which proves the model's prediction accuracy. More importantly, results indicate that the emission reduction amount, MW per hour, investment/Emission as crucial variables, whereas the baseline methodology and technology types were insignificant. This demonstrates that at least for hydro power projects, the specific technology is not as important as the amount of emission reductions and relatively small scale projects and investment to carbon reduction ratios.

      • 고압분사공법을 이용한 옹벽기초지반 보강 사례

        박종호,장선철,박창훈,윤희경,Park, Jong-Ho,Jang, Sun-Cheul,Park, Chang-Hun,Yoon, Hee-Kyung (사)한국토질및기초기술사회 2006 기술발표회 Vol.2006 No.-

        현재 연약지반의 개량 및 구조물기초 지반의 보강을 위하여 약액주입공법 및 고압분사주입공법 등의 주입공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00교 교대 전면 옹벽기초 하부지반을 고압분사주입공법을 이용해 보강한 사례로서 설계 및 시공, 시험 자료를 분석하고, 보강작업에 따른 지반의 개량효과를 분석하였다. 개량효과학인을 위한 시추조사와 시추공영상 촬영 이미지 관찰결과에서는 고압분사에 의해 양호한 상태의 고결체(토사 + 시멘트 페이스트)가 형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고결체와 원지반의 복합지반상에서 실시한 평판재하시험 결과 및 시추조사시 채취된 고결체 Core에 대해 실시한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에서도 설계시 가정한 값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약지반의 강도가 개량되어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헤테로환 아조계 Red 분산염료들의 염색성 및 견뢰도

        박종호,이권선,고준석,배진석,김성동,Park Jong Ho,Lee Kwon Sun,Koh Joonseok,Bae Jin-Seok,Kim Sung Dong 한국섬유공학회 2005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2 No.5

        Disperse dyes derived from heterocyclic compounds such as pyridone, diaminopyridine, carbazole, and 2-phenylindole, have been known to possess high light fastness. Four heterocyclic azo disperse dyes were synthesized by using three diaminopyridines and 2-phenylindole as coulping components and their dyeing and fastness properties were compared with an aminoazobenzene disperse dye. The wavelengths of maximum absorption of the synthesized heterocyclic dyes were in the range of 508-528 nm. The molar extinction coefficients of dyes having diaminopyridine were higher than that of an aminoazobenzene disperse dye. The dyes derived from aminopyridine having phenyl group exhibited poor to moderate build-up compared to the aminoazobenzene dye. Wash, light, heat and rubbing fastnesses of heterocyclic azo disperse dyes were good to excellent. The light fastness was improved by 0.5-1 grade by the addition of a UV absor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