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확시기와 조제방법이 청보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

        송태화,박태일,한옥규,박형호,조상균,오영진,강현중,장윤우,박광근 韓國作物學會 2013 한국작물학회지 Vol.58 No.4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a information on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with different harvesting time and making method. As a result, in case of feed value, crude protein, NDF and ADF content were decreased with late harvest, but TDN was increased. In the silage, the results were similar and these patterns showed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silage making. Thu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bale and chopper. In case of fermentative quality, pH of the silages showed increasing with late harvesting time but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did lower, and those tendencies were the same in both bale and chopper condition. But the lactic acid content were approximately 23 percent higher in chopped condition. In conclusion, ensiling at yellow ripe stage is better than other stages, chopped ensiling could improve fermentation quality.

      • KCI등재

        남부지역 논에서 사료맥류, 조생종 벼 및 하파귀리를 활용한 삼모작 작부체계 연구

        송태화,박태일,박형호,조상균,오영진,장윤우,노재환,박광근,강현중,Song, Tae-Hwa,Park, Tae-Il,Park, Hyong-Ho,Cho, Sang-Kyun,Oh, Young-Jin,Jang, Yun-Woo,Rho, Jea-Hwan,Park, Kwang-Geun,Kang, Hyeon-Ju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4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는 남부지역 논에서 동계 사료맥류, 하계 조생종 벼, 추계 하파귀리 등 삼모작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실시하였다. 월동 사료작물을 조생종 벼인 조평벼의 이앙시기에 맞춰 4월 30일 1차 수확한 처리구와 사료맥류의 수확기인 5월 30일에 수확한 처리구 모두 곡우호밀이 각각 생초수량 32.0톤/ha과 42.3톤/ha, 건물수량이 5.8톤/ha과 16.5톤/ha로 다른 작물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 하계 조평벼는 5월 6일에 1차 이앙한 처리구보다 6월 4일에 2차 이앙한 처리구에서 등숙비율이 떨어지고 수량도 약 22% 감소하여 조기 이앙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틈새작물로 재배한 하이스피드 귀리는 8월 28일에 1차 파종한 귀리는 10월 10일에 출수하였지만 9월 2일에 입모중으로 2차 파종한 귀리는 출수도 하지 못하였으며 1차 파종에 비해 건물수량과 TDN 수량 모두 50%를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어 파종이 빠를수록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남부지역에서 삼모작을 하기 위해서는 호밀을 재배하여 4월 30일 전에 수확한 후 조평벼의 조기 이앙과 하이스피드 귀리의 적기 파종이 쌀 수량과 조사료 수량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develop triple cropping systems for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early maturing rice and oats, and to select a winter forage crop in order to determine rice transplanting time at paddy fields in the southern region. Also, th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the resulting forage crops were examined. When winter cereal crops used for forages are first harvested at the early maturing rice transplanting period, and again harvested during the winter forage crop harvesting period, the fresh yield and dry matter yield of rye were 32.0, 42.3 ton/ha and 5.8, 16.5 ton/ha, respectively, demonstrating higher yields than other winter crops. The early maturing rice, 'Jopyeong', transplanted on June 4 had a lower percentage of ripened grain compared to those transplanted on May 6, and milled rice yield transplanted on June 4 was also decreased by 22%. Thus,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transplanting was profitable. Regarding the oats grown during the fall cropping season, the heading date for the oats sown first was on October 10, but the heading was not observed in those sown later.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of the second sowing was less than 50% compared to the first. Consequently, rye may be the most suitable winter forage crop for triple cropping systems. Early transplanting of 'Jopyeong' after rye harvesting before April 30 in addition to timely sowing of oats in the fall season would be profitable for rice and forage production using triple cropping systems in the southern region.

      • KCI등재

        수확시기에 따른 맥류 곡실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송태화,오영진,강현중,박태일,정영근,김양길,김보경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2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barley and wheat grain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grain feeds, and to investigate their fermentation quality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As a result, grain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with late harvest, whereas spike weight ratio and 1000 grain weight were increased with prolonged period after heading. Grain yielding was increased with late harvesting time significantly at p<0.05.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with late harvesting time, but crude fiber content was decreased. Crude fat and ash content were slightly de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ing the effects of fermentation on feed value of winter cereal grain, the approximate compositions were slightly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ermentations resulted in increasing the pH value of winter cereal grain silage with late harvesting time, but decreasing the lactic acid conten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as not detected. Consider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ermentation, barley and wheat can be used for winter cereal grain silage when they were harvested at 35 days and 40-45 days after heading, respectively. 이 연구는 맥류 곡실발효사료 조제를 위한 적정 수확시기및 수확시기별 곡실 발효사료의 발효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알곡의 수분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삭비율과 천립중은맥종별 모두 출수 후 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알곡수량은 맥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맥종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조섬유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지방과조회분 함량은 비슷하거나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곡실사료의 발효 전후 사료가치를 비교하여 보면, 일반성분들이 발효를 거친 후 약간 증가되는 경향은 있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품질 면에서는 공시한 맥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pH는 높아지고, 젖산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초산함량은 맥종 모두 수확시기에 따른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낙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수량과 발효품질을 고려할 때, 맥류 곡실사료 조제를 위해서는 겉보리과 쌀보리는 출수 후 35일, 밀은 출수 후 40~45 일에 수확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유색보리 총체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의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송태화,한옥규,류경선,김양길,박태일,임지선,박기훈,김기종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이 실험은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유색보리를 이용하여 생산성과 체내 대사작용에 이로운 기능성 가축사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시험방법은 35주령 산란계에 보리가 혼합되지 않은 대조구 와 배합사료 대비 유색보리(보안찰보리) 및 청보리(영양보리)의 총체 분말을 각각 5, 10, 15% 비율로 첨가하여 급여시킨 처리구를 대상으로 생산능력, 계란품질, 혈액성상 등을 분석하였고, 유색보리 급여효과도 검토하였 다. 유색보리와 청보리의 총체 분말 첨가사료를 급여한 산란계의 생산성은 두 첨가구 모두에서 15%까지 혼합 비율을 증가시켜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난각색, 난백고, 호유닛, 난황색, 난각강도 등 계란 품질에서도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혈액성상에서는 유색보리 첨가구에서 혼합 비율을 증가시킬수록 콜레스테롤 함량이 저하하고 중성지방의 감소하는 효과를 보인 반면에 청보리 첨가구에서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하였고 중성지방은 감소하였으나 유색보리에 비해 그 폭이 크지 않았다. 난황 내 포화지방 산 대비 불포화지방산의 비율도 청보리 첨가구보다 유색보리 급여구에서 증가하였으며, 유색보리의 첨가비 율을 높일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P<0.05). 결론적으로 유색보리와 청보리를 총체분말 상태로 급여할 경우 산란계의 생산성이나 계란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사료원료로 15%까지 대체가 가능하 다고 판단되며, 이들 두 시험구 간에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HDL 등의 혈액 성상에서 그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유색보리의 생리활성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할 계획이다.

      • KCI등재

        청보리 사일리지의 비닐겹수 및 저장기간에 따른 발효품질

        송태화,박태일,박형호,윤창,김양길,박종철,강천식,손재한,김경호,정영근,오영진,Song, Tae-Hwa,Park, Tae-Il,Park, Hyong-Ho,Yoon, Chang,Kim, Yang-Kil,Park, Jong-Chul,Kang, Chon-Sik,Son, Jae-Han,Kim, Kyong-Ho,Cheong, Young-Keun,Oh, Young-Ji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1

        이 연구는 비닐겹수 및 저장기간 따른 청보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사일리지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높은 값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NDF와 ADF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비닐 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TDN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젖산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산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낙산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높은 젖산함량과 낮은 낙산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청보리 사일리지는 장기저장을 할 경우에는 6겹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4겹으로 처리했을 경우 6개월 안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haracterize feed value and silage quality according to storage period and film layers for whole-crop barley silage.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increased in all silage during the storage periods compared to those before silage, this content slightly increased over the prolonged storage period but it was not significant (p>0.05). Depending on the film layers of silage, 6 layers were higher than 4 layers.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also increased in all silage during storage periods compared to those before silage (P<0.05), but they were maintained at similar levels during the storage period. Depending on the film layers of silage, 6 layers were higher than 4 layers.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decreased in all silage during the storage periods. However, it was maintained at a similar level for the duration of each storage period. Depending on the film layers of silage, 6 layers were lower than 4 layers. The pH value was decreased during the prolonged storage period and depending on the film layers, 6 layers were lower than 4 layers. In the organic acid contents during the prolonged storage period, lactic acid increased, acetic acid was lower, and butyric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Depending on the film layers, 6 layers showed higher levels of lactic acid and lower levels of butyric acid (p<0.05).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6 layer wrapping was advantageous for long term storage of whole crop barley silage, while also indicating that it is desirable to use 4 layer wrapping within a six month period.

      • KCI등재

        보리 품종간 혼파 비율에 따른 수량과 사료적 가치

        송태화,박태일,오영진,한옥규,박형호,현종내,권영업,김경훈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xed seeding of 5 forage barley varieties (youngyang, yuyeon, dami, wooho, soman) with 1 malting barley variety (hopum). Yield of the mixed seeding was compared with each single seeding and variety combinations. Yield of mixed seeding combination was higher than each single seeding. In mixed seeding of ‘Youngyang’ and ‘Hopum’ (50% and 50% ratio), ‘Yuyeon’ and ‘Hopum’ (70% and 30% ratio), ‘Dami’ and ‘Hopum’ (50% and 50% ratio), ‘Wooho’ and ‘Hopum’ (50% and 50% ratio) were higher yield of dry weight than yield of other mixed ratios. Most of all, mixed seeding of ‘Dami’ and ‘Hopum’ were high yield mixed seeding (ratios of 50% each other). In generally, the yields of barley mixed seeding with malting barley ‘Hopum’ were high production. The forage quality of mixed seeding combination was higher than any each single seeding. ‘Youyeon’ 50% and ‘Hopum’ 50% ratio was more higher TDN content (69.2%) than any other mixed combination. 사료용으로 개발된 청보리 품종들은 일반 곡실용 보리품종에 비해 조사료 생산량이 30%이상 증수하고 가축선호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이러한 사료용 전용품종을 이용하여 품종이 가지고 있는 생육특성별 단점을 보완한 품종간 혼파 재배기술의개발을 통한 군락공간의 최대 활용 및 영양가치 등을 고려한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최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양보리는직립초형이고 다수성이며, 유연보리는 삼차망이면서 키가 크고, 다미보리는 무엽이 특성이 있고, 우호보리는 포복형이면서키가 크고 매끈망을 지니고 있다. 소만보리는 숙기가 빠르고, 분얼이 많은 특성이 있다. 2조보리인 호품보리는 청보리에 비해 등숙이 빠르고 분얼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품종을 이용하여 청보리 최적 혼파 조합을 선발하고자 시험조사한 결과, 영양50+호품50 조합, 유연70+호품30 조합, 다미50+호품50 조합이 가장 좋았고, 이 중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인 조합은 유연70+호품30 조합이었다. 품질특성면에서는 조단백함량이 높고, NDF와 ADF 수치가 낮고, TDN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로 인정받는데 품종간의조합 중 유연보리와 호품보리, 다미보리와 호품보리 조합이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