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카트로닉 열차 연구동향

        곽재호(Kwak Jaeho),유원희(You Wonhee) 한국철도학회 200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is paper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the concept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relating to the use of electronic and computer control for railway vehicles in the aspect of mechatronic design. It can provides the rail vehicles of tomorrow must be more cost effective, energy efficient, and dynamic performance. The main emphasis in this paper will be upon the use of active control for suspension and steering for new approaches of incorporation of sensors, controllers, and actuators. They can make vehicle designers to take advantages optimizing mechanics and electronics jointly which are not possible with a purely mechanical approach.

      • KCI등재

        프로세싱 언어와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 차원의 전자방명록 구현

        곽재호(Kwak Jaeho),이승아(Lee Seungah),김회율(Kim Whoiyul)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21세기 디지털 미디어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마련했고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전자방명록은 그 이전 문자시대의 기록 문화의 대안적 역할 혹은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기록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미디어 기술과 콘텐츠를 접목하고 전자방명록의 형식을 차용한 미디어 아트 작품-Face Ball-의 제작과정을 분석하였다. 아티스트와 공학도의 협업을 통한 작업 콘텐츠 제작 및 기술적 구현과정을 통해 초기의 전자방명록의 형태가 단순하게 디지털 이미지나 개인정보와 관련한 데이터 기록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면 Face Ball은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하여 관람객의 얼굴을 검출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전자방명록으로써의 기능에 충실함과 동시에 컴퓨터 비전 기술과 그래픽 기술을 활용한 보다 시각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미디어 아트 작품 차원의 레벨로 구현 되었다. 뿐만 아니라 검출된 관람객의 얼굴 이미지를 활용한 게임적인 요소를 더함으로써 관람객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본 작품이 전시되었던 서울시 한빛 미디어 갤러리에서 한 달의 전시기간을 통해 관람객의 다양한 인터랙션 방법과 과정들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었으며 그 이후 작품과 관람객 간의 상호간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기능적 접근에 대한 연구를 지속 중에 있다. Computers and the Internet as the digital media of 21st century provided a new paradigm shift and electronic guest book in the digital media era has suggested an alternative way of the recording -culture from the previously in text- or a new proposal to record as digital data. This paper shows the process of media art work-Face Ball by combining a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contents and borrowing the format of electronic guest book. If the purpose of the earliest electronic guest book is just gathering digital images and data record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by creating contents and technical collaboration of artist and engineering Face Ball was achieved completely as a electronic guest book through the record participant's face accurately with face detection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ique and it was also implemented as the same level of media art work via visual elements using graphics. Futhermore it derived participa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by game factors using face detection. This work has been observed and recorded diverse interactions of participants and processes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in Hanbit Media Gallery. We are further developing the interface design between media art and participants and functional approaches based on the customer's responses during the exhibition.

      • KCI등재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곽재호(Kwak Jaeho),이경화(Lee Kyunghwa)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Havruta-style debate instruction,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 “Is the Havruta-style debate instruction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and identifi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ree ordinary fourth-grade classes of a K-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y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 group, a Havruta-style debate program was conducted over 12 sessions for 4 weeks. And assigning the traditional explanation class as the control group, the general debate class as the comparative group.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ocial studie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questions’ developed by Lee Jongyeon et al.(2007) which verified by the in-service teachers and experts. The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with ANOVA using SPSS WIN 24.0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Havruta-style debate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higher score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the group who conducted the traditional explanation instruction or the general debate instru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lidity, originality, elaboration except for fluency and flexibility in the sub-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depend on different teaching proces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teaching and debate methods.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유창성, 융통성, 타당성, 독창성, 정교성)을 향상시키기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K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59명이었다. 먼저 일반학급 3개 반을 무선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은 4주 동안 총 12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실험집단에는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비교집단에는 일반 토론수업을, 그리고 통제집단에 설 명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측정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는 이종연 외(2007)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일반 토론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이나 설명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에서는 타당성, 독창성, 정교성에 있어서는세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5). 유창성과 융통성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 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러나 토론수업의 효과는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토론식 수업이 의미가 있으며, 그중에서도 하브루타식의 토론수업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수업방식으로 하브루타식 토론수업을 제안한다.

      • KCI등재

        IEEE 802.15.4a채널환경하에서의 저간섭 Chaotic OOK 무선통신기술의 BER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정재호(Jaeho Jeong),박구만(Gooman Park),전태현(Taehyun Jeon),서보석(Boseok Seo),곽경섭(Kyungsup Kwak),장영민(Yeongmin Jang),최상열(Sangyule Choi),차재상(Jaesang Cha)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7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2 No.2

        Recently, IEEE 802.15.4a(low-rate UWB) technique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to the LR-UWB communication system for WPAN. However, there are various interferences such as MPI(Multi Path Interference) or IPI(Inter Piconet Interference) in IEEE 802.15.4a wireless channel. In order to cancel various interferences occurred to WPAN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UWB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QoS(Quality of Service) which is a chaotic-OOK(On-Off Keying) system using unipolar ZCD(Zero Correlation Duration) spreading code in physical layer level. Furthermore, we analyze its performance via simulations and verify the availability of proposed system with prototype implementation.

      • KCI등재

        지식 기반 지능형 로봇의 행위 지정을 위한 구조적 반응 언어

        이재호(Jaeho Lee),곽별샘(Byul-Saim Kwak)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5

        지능 로봇은 복잡하고 동적인 환경 내에서 상황의 변화에 적절히 적응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 시스템이다. 따라서 로봇은 행위를 수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여 변화에 적절히 반응해야 하며 주어진 상황에 대해 최선의 행위를 결정하여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때때로 임의의 행동을 결정하여 보다 지능적인 행위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능 로봇의 복잡한 행위를 효과적으로 정의하고 구현하기 위해 Structured Circuit Semantics(SCS)에 기초를 둔 프로그래밍 언어(Structured Programming for Reactive Intelligent Tasks, SPRIT)와 SPRIT으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다양한 로봇 환경에서 실행하고 검증하기 위한 작업 실행기(Task Executor)를 제시한다. An Intelligent service robot performs various complex tasks in dynamic environment, providing useful intelligent services for human users. The robot needs to continuously monitor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and reactively choose the best behavior for the changing context. The selected behaviors may include nondeterministic or parallel ac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ructured reactive robot programming language, SPRIT that is based on Structured Circuit Semantics (SCS). SPRIT is fully implemented as a task executor and tested for reactive robot tasks in dynamic environment to show that it can be used to explicitly represent and effectively implement the complex reactive behaviors of intelligent robot systems.

      • 이종금속 다층 박막구조 내 금속간 화학반응 전파 특성의 전산해석적 연구

        최재호(Jaeho Choi),곽호상(Ho Sang Kwak),김경진(Kyoungji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5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이 전산해석적 연구에서는 이종금속 박막으로 구성되는 다층구조에서 금속간 화학반응 전파현상을 열확산 및 화학종 확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금속간 화학반응은 Arrhenius 반응식을 따른다고 가정하였으며, 반응 점화는 열유속을 일정시간 동안 적용하는 것으로 모사하였다. 보론과 티타늄 층으로 이루어진 나노크기의 다층박막구조에 대한 전산해석 결과에서 높은 반응열을 동반하는 금속간 화학반응의 전파속도가 10m/s 정도로 상당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numerical investigation, the propagation of intermetallic reaction through multilayers of two different metals has been modeled into governing equations of transient thermal and atomic species diffusion between binary metallic thin layers. The intermetallic reaction is assumed to follow the Arrhenius kinetics, while the reaction ignition is simulated by imposing heat flux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The computational results for nanoscale boron and titanium multilayers show high values of reaction propagation speed of approximately 10 m/s, which accompanies high rate of exothermic h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