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희(朱熹) 지각론(知覺論)과의 비교를 통해 본 김창협 지각론(知覺論)의 특징

        이창규 ( Lee Chang Gy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본 논문은 주희(朱熹)와 김창협의 지각론(知覺論)을 비교함으로써 김창협의 지각론(知覺論)이 어떠한 특징을 띄는지 살펴보았다. 주재(主宰)의 측면에서, 주희(朱熹)는 한편으로는 지각(知覺)을 주재(主宰)를 통해 나타난 상태로 여겼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재(主宰)를 가능케 하는 주체의 작용으로 여겼다. 김창협은 지각(知覺)이라는 표현을 부각시키는 과정에서 이러한 혼용을 해소하고 지각(知覺)을 한정적인 의미에서 재정의했다. 그는 심(心)의 여러 측면 중에서 주재(主宰)의 주체 측면에 해당하는 작용이 지각(知覺)이며, 주재(主宰)를 가능하게 하는 작용, 혹은 주재(主宰)를 행하는 주체 자체를 지각(知覺)이라고 상정했다. 그리고 지각(知覺)을 성(性)이나 정(情)과 구분하고 지각(知覺)의 작용을 상술함으로써 주재(主宰) 주체로서의 심(心)의 역할을 구체화시켰다. 그러나 지각(知覺)과 성(性)의 구분에서 주체와 본성의 괴리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기(氣)가 리(理)와 별개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기불리(理氣不離)를 침범한다고도 볼 수 있다. 김창협 당대에 제기된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이 무엇인가 하는 쟁정은 이 문제를 거론한 것이다. 김창협은 지각(知覺)과 성(性)을 각각 주재(主宰)의 주체와 대상으로 구분하려 했으므로, 한편으로는 소이연(所以然)이 아닌 소당연(所當然)으로서의 성(性)을 강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각(知覺)의 근거가 기(氣)의 허령(虛靈)함이라고 주장했다. 기(氣)의 허령(虛靈)함으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이 되는 리(理)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회피에 가깝다. 또한 성(性)이 소당연(所當然)으로 설정될 경우 지각(知覺)이 성(性)을 갖추고 작용으로 드러날 때는 이기불리(理氣不離)라고 할 수는 있지만 주체인 지각(知覺) 자체는 여전히 성(性)과 구분되므로 이기불리(理氣不離)에 대한 문제제기가 완전히 해결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주희(朱熹)는 지각(知覺)을 지(智)의 용(用)이라고 주장하여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을 지(智)로 설정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불교 비판에서 지각(知覺)을 언급할 때는 김창협과 유사하게 성(性)을 지각(知覺)의 소당연(所當然)으로 설정하기도 했다. 주희(朱熹)가 성(性)을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으로 설명하려 했는가에 대해서 재고의 여지가 있는 셈이다.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 문제에 대한 해명은 주자학의 체계를 공고히 하려 했던 조선 학자들에 의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것이다. 지각(知覺)과 본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희(朱熹)와 김창협은 유사한 관계에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각(知覺)을 주체의 측면에만 한정하고 구체화하려고 한 것만을 김창협 지각론(知覺論)의 특징이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theory of Zhi-jue(知覺) by Kim Chang-Hyup(金昌協) through comparison between Kim Chang-Hyup`s and Zhu Xi(朱熹)`s. In the point of supervision, Zhu Xi considered that Zhi-jue is one of the conditions caused by supervision, one the other hand, it is the action that make possible supervision. Kim Chang-Hyup emphasize the concept of Zhi-jue itself, he considered that Zhi-jue is the action that make possible supervision, and separate Zhi-jue from Xing(性) or Qing(情). In this process, Zhi-jue became the subject itself about supervision, so the mix about relation between Zhi-jue and supervision is solved. But there is a problem about gap between Zhi-jue and the nature from separate between Zhi-jue and Xing. Kim Chang-Hyup intend to separate Zhi-jue and Qing as subject and object, so he considered that Xing is not a reason of Zhi-jue, but rules. It`s not a answer about what is the reason of Zhi-jue. Yet Zhu Xi also considered that Xing is the rules of Zhu-jue, only in the case that Zhi-jue means the resulf of supervision, Zhi-jue is considered as the effect of Zhi(智). So the relation problem about Zhi-jue as a subject and the nature is brought up by Joseon scholar who attempted to arrange the concepts of neo-confucianism. Eventually, in case of the relation about Zhi-jue and Xing, King Chang-Hyup and Zhu Xi has a common point, only in case of the relation about Zhi-jue and supervision, Definding Zhi-jue as the subject of supervision is the character of Kim Chang-Hyup`s theory of Zhi-jue.

      • KCI등재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시 허혈성 심전도 변화와 흉통의 발생이 내피세포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최철웅(Cheol Ung Choi),나승운(Seung-Woon Rha),김선원(Sun Won Kim),나진오(Jin Oh Na),임홍의(Hong Euy Lim),김진원(Jin Won Kim),김응주(Eung Ju Kim),한성우(Seong Woo Han),박창규(Chang Gyu Park),서홍석(Hong Seog Seo),오동주(Dong Joo Oh)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4

        연구배경: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시 발생하는 흉통과 허혈성 심전도 변화가 아세틸 콜린에 의해 발생하는 관상동맥의 내피세포 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흉통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과 아세틸 콜린 유발검사를 시행받은 1,0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를 하는 동안 허혈성 심전도 변화 및 흉통의 발생 유무에 따른 관상동맥 내피세포 기능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539명의 환자에서 아세틸 콜린 검사시 내피세포 기능 장애가 발생 하였다. 허혈성 심전도 변화가 있었던 그룹이 심전도 변화가 없었던 그룹보다 흉통이 더 많았고(78.1% vs. 60.8%, P=0.007), 관상동맥 조영술상 다발성 관상동맥 경련이 빈번하였고(59.4% vs. 40.6%, P=0.004), 관상동맥의 경련 정도도 더 심하였다(64.1% vs. 46.5%, P=0.006). 흉통이 있었던 그룹이 흉통이 없었던 그룹보다 허혈성 심전도 변화의 빈도가 더 높았다(14.7% vs. 7.5%, P=0.007). 또한 흉통이 있었던 그룹이 관상동맥 경련이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 (50.7% vs. 29.5%, P<0.001), 미만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87.1% vs. 75%, P<0.001), 관상동맥의 경련의 정도도 더 심하였다(51.6% vs. 43.5%, P=0.041). 결론: 아세틸 콜린 유발검사시 발생하는 허혈성 심전도 변화와 흉통은 관상동맥 경련의 정도와 경련이 발생하는 관상동맥 개수와 연관이 있다. Background: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acetylcholine (Ach) provocation tests may constitute important clinical parameters for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schemic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the Ach-provocation test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Methods: A total of 1,085 patients with anginal symptoms underwent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CAG) and Ach-provocation tests. We compare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ECG change and chest pain. Results: A total of 539 patients experienced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Patients who experienced ECG change group suffered more frequent chest pain (78.1% vs. 60.8%, P=0.007), angiographically more frequent multiple coronary artery spasm (59.4% vs. 40.6%, P=0.004), and more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64.1% vs. 46.5%, P=0.006) than patients without ECG chang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 of endothelial dysfunction between the groups. The incidence of ischemic ECG changes in patients with chest pain was higher than in patients without chest pain (14.7% vs. 7.5%, P=0.007). Patients who experienced chest pain more often experienced multiple (50.7% vs. 29.5%, P<0.001), diffuse (87.1% vs. 75%, P<0.001), and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51.6% vs. 43.5%, P=0.041) than patients without chest pain. Conclusion: Ischemic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the Ach-provocation test are associated with multi-vessel involvement and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Chest pain i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endothelial dysfunction, but ischemic ECG change is not.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 입각한 웹기반 기후변화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창규,이상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웹기반을 활용한 기후변화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웹기반을 활용한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교수·학습 모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는 황수정(2009)이 개발한 설문지를 재구성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정량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바라본 기후변화에 관련된 내용을 추출 및 재구성하여 웹기반을 활용한 기후변화 환경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안 및 적용시켰다. 둘째, 웹기반을 활용한 기후변화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인식 및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웹기반을 활용한 기후변화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지식적 측면에서는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넷째, 웹기반을 활용한 기후변화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환경 인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환경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웹기반을 활용한 기후변화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교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교육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써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차후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ㆍ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web-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al program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Hwang(2009)`s test tool was used to survey the affects of web-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al programs.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professor-learning model for web-based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education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the climate change-related contents from 5th and 6th grader curriculum. Second, the web-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al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Third, after implementing the web-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al program, the students with higher environmental awareness showed a higher regard for th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web-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al program was effectively 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rogram proved to have a positive affect on 5th grader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Therefore, in-depth study and follow-up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highly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제4차 산업혁명 시대 ICT 고도화에 따른 윤리적 이슈의 변화

        오창규(Chang-Gyu OH) 한국윤리경영학회 2019 윤리경영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ICT가 고도화됨에 따라 나타날 윤리적 이슈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게 될 혁명적 특징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윤리적 이슈를 탐색하였다. 첫째, 플랫폼 혁명으로 향후 생산 체계가 근본적으로 변화함으로써 발생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이슈를 살펴보았다. 이를 스마트 팩토리가 구현된 상황에서 야기될수 있는 독창성, 자율성, 권한, 프라이버시 등과 같은 이슈를 다루었다. 둘째, 지능화 혁명으로 향후 판매 및 구매 형태가 변화함으로써 발생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이슈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아마존 고에서 겪게 되는 프라이버시 문제, 고객관계관리의 변화, 쇼핑에 대한 관점, 기술에 대한 수용성, 그리고 디지털 격차를 논의하였다. 셋째, 초연결 혁명으로 이동이라는 형태가 변화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제기하였다. 무인자동차를 통해 신뢰성과 안정성에 대한 문제, 정보시스템의 우산 속에 살아가는 라이프 스타일, 그리고 인간과 사이버 공간과의 상호작용과 통제 등과 같은 이슈를 제기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나타나게 될 변화의 방향 속에서 인간과 ICT가 공존 하기 위한 윤리적 이슈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인간이 정보기술 영역 내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IT Happiness를 달성하기 위한 전반적인 지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aises some profound ethical issues about the kind of world we will live in. These new ICT powers hold great promise for enhancing quality of life in many ways. But, every technology is not neutral. Especially, the power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ertainly are not. This study focuses on three revolutionary feature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about. Accordingly, I should put as much emphasis on the following ethical issues as the ICT advances. First, platform revolution ― the ethical issues that arise from the fact that production system is fundamentally changed. I discussed issues such as creativity, autonomy, authority, and privacy that can arise in situations where smart factories are implemented. Second, intelligence revolution ― the ethical issues arising from changes in business patterns. I suggested issues such as privacy, retail experience changing, technology acceptance, changes 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digital divide. Third, hyper-connection ― the ethical issues arising from changes in mobility. I described issues such as reliability and safety, lifestyle living in the umbrella of advanced information systems, and new HCI (Human Cyber Interaction). Indeed, it is important to examine ethical issues for the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IC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presents the overall topography to achieve ICT happiness pursuing human happiness in information technology umbrella.

      • SCISCIESCOPUSKCI등재

        A New MPEG-2 Rate Control Scheme Using Scene Change Detection

        Park, Sang-Gyu,Lee, Young-Sun,Chang, Hyun-Sik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1996 ETRI Journal Vol.18 No.2

        We propose two new rate control schemes to improve MPEG-2 rate control in view of visual quality when scene changes happen. Two proposed schemes are characterized by real-time and non real-time improvement to reduce the impact of scene changes. We also propose a new target-bit prediction method using spatial activity of pictures and present a simple and efficient scene change detection scheme using signed difference of mean absolute difference (MAD).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real-time algorithm effectively alleviates visual quality degradation after scene changes. The proposed non real-time algorithm gives maximum 2 dB improvement in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at a scene-changed picture, compared with MPEG-2 rate control scheme and it shows better quality than the real-time one.

      • 農民技術受容에 影響을 주는 要因의 比較分析 : 關係機關과 情報傳達媒體를 中心으로

        鄭址雄,崔敏浩,金性洙,徐圭善,李昶植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4 서울대농학연구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farmers' adoption process of agricultural innovations in Korea.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 (1) review the adoption process and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is process, (2) investigate the rate of adoption of selected agricultural innovations in the fields of rice production, animal husbandary and horticulture, (3) analyze communication media and change agencies or institutions which affected the adoption of agricultural innovations, and (4) identify the relations of the farmers' adoption and communication exposure behavior.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393 cluster sampled farmers out of selected 17 rural villages in Korea. Five graduate students and three faculty member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articipated in conducting interview with pre-tested questionnairs. The data were analyzed by HP 3,000 computer in the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Major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study were frequency distribution, chi-square and discriminant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t .05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agricultural adoption proces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 (1)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innovations, (2)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adopters, (3) the patterns of communication media or channels, (4) efforts of change agents. (5) priorities in agricultural development policies, and (6) characteristics of social system. 2. Rats of adoption were about 83% in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seed bed, 41% in feeding calf starter known as artificial milk to calves, 56% vinyl mulching practices in vegetable cultivation, and 67% in spreading raw rice straw on paddy land to improve soil conditions. 3. Time lag between awareness and adoption appeared to be about seven months in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seed bed, and about a year in feeding calf starter. 4. Change agen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reveal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farmers' awareness in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seed bed, in feeding calf starter, and in spreading raw rice straw on paddy land, while localit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vinyl mulching practices in vegetable cultivation. 5. Change agen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farmers' adoption in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seed bed and in feeding calf-starter, Localite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were more important in vinyl mulching practices of vegetable cultivation and in spreading raw rice straw. Localite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were more important factor at adoption stage than at awarenss stage. 6. Agricultural extension agencies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farmers' adoption in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seed bed, in feeding calf starter, and in vinyl mulching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nd effective adoption process of agricultural innovation. 1.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agricultural innovation decision proces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improve effectiveness of change agencies or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2. Effective use of communication media along with the feedback messages from the change agency as well as client system be considered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meaningfulness of both systems. 3. Innovative agricultural research be continually sharpen its focus on the highest priority needs of client system by utilizing feedback from farmers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k of change agents. 4. A long-term educational approach b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dia be emphasized, and regular field survey on innovation-decision process will prevent discontinuance of innovations.

      • SCOPUSKCI등재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 Thyroxine 치료에 따른 혈청 지질 및 아포지단백의 변화

        조보연,신찬수,김원배,고창순,김성연,박혜영,박건상,이홍규,박형규,김숙경 대한내분비학회 1996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1 No.1

        Background: Subclinical hypothyroidism(SCH) is a common biochemical abnormality which can be found in routine screening tests of thyroid function. We are increasingly fac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its an indication for thyroxine replacement therapy. The effect of thyroxine replacement on lipid profile in SCH has aroused a great interest because of an association of overt hypothyroidism(OVH) with hyperlipidemia and increased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changes in lipids and apoproteins before and after thyroxine replacement therapy in 23 patients with SCH and in 37 patients with OVH. We measured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using autoanalyzer, high density lipoprotein(HDL) chole-sterol by dextran sulfate method, Apo A1 and Apo B by immunonephelometric assay. Results: Thyroxine replacement therapy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LDL) cholesterol and apo B levels, but did not affect the level of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or apo AI in patients with OVH. In SCH, thyroxine replacement therapy with the doses to normalize serum TSH concentration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the level of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albeit apo B levels did not change. Moreover, in most of patients with OVH (11 of 12) and in all of patients with SCH(5 of 5) who had had hyperchlesterolemia before treatment, thyroxine replament normalized their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s. Conclusion: In regard to the beneficial changes in blood lipid levels, patients with SCH should be treated, especially in cases who have other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f thyroxine replacement only will reduce the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SCH remains to be elucidated by long-term prospective studies(J Kor Soc Endocrinol 11:41-51, 1996).

      • KCI등재

        신라 하대 서남해 지역 禪僧과 후백제

        張日圭(Chang, Il-gyu)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4

        신라 하대에 선승들은 진성왕 이전까지 지방호족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지만, 한편으로는 왕실이나 중앙 귀족의 후원도 받았다. 선종 사찰은 대체로 서남해 지역에 주로 자리하였는데, 그곳에서는 후원 불사를 통해서 석탑과 불상 등이 조성되었다. 서남해 지역의 불교계가 다양한 세력과 관계하였기에, 이 지역 선승은 선종 사상을 내세우면서 교학 불교에 소홀할 수 없었다. 신라 하대 서남해 지역은 선종 불교의 중심지이자 교종 불교를 함께 이해하는 교섭과 융합의 장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후백제 견훤의 불교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 글은 서남해 지역 선승의 활동과 사상을 시기별?지역별로 나누어 살피고, 후백제와의 관련성을 고찰한 것이다. 신라 하대에 무주와 전주 등 서남해 지역은 물론 강주와 웅주 등 주변 지역에는 여러 사찰이 자리하였다. 화엄사, 금산사, 해인사, 보원사 등은 820년대 말~890년대 말에 교학 불교계를 통제하였는데, 대체로 화엄종과 연결된 데 반해, 전주 지역만 특별히 법상종 교단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한편 820년대 말~920년대 중반에 실상산문, 동리산문, 가지산문 사찰과 승려들은 선종 불교의 성행을 이끌었다. 전주 지역은 처음부터 가장 늦게까지 선승의 활동처로 주목되었다. 다만 이 지역 선종 사찰의 분포와 선승의 활동에는 무주 지역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무주 지역의 선종 사찰은 다른 지역보다 많이 분포하였고 선승의 활동도 활발하였다. 이 지역의 선승들은 선종 불교는 교종 불교도 함께 이해하여 ‘성상동일’, ‘교선동일’의 사상 경향을 내세웠다. 898년 전후에 무주 지역은 혼란 속에서 여생을 보내기에 알맞은 곳으로 인식되었으나 903년 이후 왕건이 궁예의 명령을 받아 나주를 공격하면서, 이러한 분위기는 갑자기 바뀌었다. 서남해 지역과 연고되지 않은 선승은 무주 지역에 귀국한 뒤 바로 다른 지역으로 이거하였지만, 서남해 지역과 연고된 선승은 무주 지역으로 귀국한 다음에도 여전히 머물면서 이 지역 선종 불교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혜철과 도윤의 법손이자 도선과 절중의 제자였던 경보가 그러한 역할을 맡았다. 912년에 견훤은 덕진포 전투에서 왕건에게 패배하였다. 선승의 귀국처는 전주 지역으로 변경되었고, 견훤의 불교 정책도 이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견훤은 921년에 전주 임피현으로 귀국한 동리산문의 경보에게 전주 남복선원에 주석하도록 요청하면서 무주 지역 선문과의 관계를 복구하려고 하였다. 아울러 미륵사 개탑 불사를 설행하고, 해인사 관혜와 관계를 맺으면서 교종 불교에 대한 통제도 강화하였다. 그는 선사상은물론 화엄사상과 유식사상을 아울렀던 서남해 지역 불교계의 ‘성상동일’, ‘교선동일’ 기조를 계승하면서 왕실의 위상을 강조하고 후백제 영역 지배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 Baekje(後百濟) and Zen Monks(禪僧) who were active in the southwest region in the Late Period of Silla through analyzing their activities and thought per period and by regional groups. There were a lot of typical temples of Textual Buddhism such as Hwaeomsa Temple, Geumsansa Temple, Haeinsa Temple and bowonsa temple in the southwest region. These temples had controled Textual Buddhism from the end of 830th to 890th. Most of them were connected with the Hwaeom-jong(華嚴宗) but Geumsansa Temple located in Jeonju region was associated with the Beobsang-jong(法相宗). Generally, ZenMonks of the Silsangsanmun, Donglisanmun, Gajisanmun had led Silla’s Zen Buddhism from the end of 820th to the mid-920th in the Southwest Region. By the way the interesting things is that Jeonju region was influenced byMuju region strongly even though Jeonju region received attention with the Zen monk’s activity sheets from the beginning of the Late Period of Silla. Muju region was not only the center of Zen Buddhism but also exchange place understanding Textual Buddhism. Zen Monks in this region emphasized that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truth is same(性相同一)’ and ‘Textual Buddhism and Zen Buddhism is same(敎禪同一)’. Muju region was a stable place around 898. However, since Wang-geon(王建) attacked Naju region in 903, the situation has changed. Most of the Zen monks left Muju region but the monks based in Muju still stayed. For example, Monk GyeongBo(慶甫) was one of those people. He was a disciple of Monk DoSeon(道詵) and Monk JeolJung(折中). He was in succession to the tradition of the southwest region Buddhism. Gyeon-hwon(甄萱) was defeated by Wang-geon in the Deokjinpo(德津浦) battle in 912. After this battle, the place where Zen Monks return home from China was changed to Jeonju region and naturally Gyeon-hwon had no choice but to manage the policy of Buddhism centering around Jeonju region. In 921, Gyeon-hwon called for Monk Gyeongbo to stay at Nambokseonwon Temple in Jeonju in order to resume relations with Donglisanmun Zen Sect in Muju region. In addition, he tried to control Textual Buddhism through having a close relations with Mireuksa Temple and Haeinsa Temple. Eventually by these efforts Gyeon-hwon intended to emphasize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and strengthen his control over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