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2001년도 제주도민 주요 5대 암 생존율

        영자,배종면,Yang, Yeong-Ja,Bae, Jong-Myon 대한예방의학회 2007 예방의학회지 Vol.40 No.3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survival rates of cancer patients in Jeju Island residents from 2000 to 2001, based on their major primary sites of occurrence. Methods :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Jejudo Cancer Registry (JCR). The eligible population comprised 2,382 cancer cases, whose cancers were diagnosed from 1 January 2000 through 31 December 2001. Of the eligible population, 1,438 patients with 5 major cancers defined by the level of incidence rat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 period of survival for each case was calculated from the date of first diagnosis to the date of death, or the end of follow-up, i.e., 31 December 2003. The observed survival rates (OSR) and relative survival rates (RSR)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sex, age-group, and primary sites of occurrence. Results : The 3-year OSR and RSR in 5 major cancers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except 75 year-old over group. The 3-year RSR of stomach, colorectum, liver, and lung in both sexes were 61.0%, 62.6%, 24.7%, and 22.8%, respectively. The respective rates in JCR showed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ose in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KCCR). Conclusions : These results would suggest some clues about prognostic factors of major cancers in Korean, and could apply to planning and evaluating of cancer control strategies in Jeju Island.

      • KCI등재

        제주민요의 문화적 소통 실태와 과제

        영자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Since folk songs are sociocultural products, we can view those song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communication. Whereas Jeju folk songs were sung in sunuleum, a kind of work of cooperation, community, they are nowadays being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and festivals. This paper aims to discover how Jeju folk songs are being culturally communicated and handed down in Jeju by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Jeju folk songs.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of Jeju folk songs, it also seeks to find out how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being mad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is paper focuses on some features that have markedly demonstrated the status of cultural communication:the activities of minyopae, the groups of folk songs, those of Folklore Preservation Society, those of the edu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folk contests like Tamna Culture Festival, a variety of festivals, the performances of a lot of performing art troupes, Sound Pangut (Musical nodongyo, song of work) as a cultural movement, and the productions of the records.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some problems of these activities. People have been trying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folk song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However, it has caused the contamin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a loss of identity owing to the way of communication that mainly centers on performances and the s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Jeju folk songs should be not one-time ‘watch and enjoy’ ones but ‘sing along’ ones in everyday lives for the meaningful and regional communication. To do so, cultural communication is needed for more systematic and desirable ways. 민요는 사회사적 생산물이므로 문화적 의사소통의 한 차원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과거에는 노동 현장인 수눌음 공동체 속에서 제주민요가 소통해 왔다면, 오늘날에는 각종 공연과 축제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주민요가 제주사회에서 어떻게 문화적으로 소통하면서 전승되고 있는지 현재의 소통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의미 있는 소통으로 만들어 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 민요의 문화적 소통실태를 현저히 보여주는 것으로 민요패나 민속보존회 활동,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활동, <탐라문화제>를 비롯한 민속경연대회, 각종 축제행사, 여러 예술단의 공연 활동, 문화운동으로서 ‘소리판굿’, 음반제작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들 활동들이 민요의 전승과 보전,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공연 일변도의 대중 소통과 무대화로 인해 전통 민요의 오염과 정체성 상실을 초래하게 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주민요의 의미 있는 지역적 소통을 위해서는 일회성으로 ‘보고 즐기는’ 민요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함께 부르는’ 민요의 생태적 성격을 살려 나갈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화적 소통이 실현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한 자기성찰지: 독일로 떠난 한인 간호여성의 사회운동 과정에 대한 생애사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영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7 No.-

        The study intends to reflect and describ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s on biographical research experiences on the process of social movements of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This experiences are analyzed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A research proposal is drawn up and submitted without cooper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n, due to the one-sided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established,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researcher as a ‘cultural intruder’. Later on,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is formed and they became ‘cultural colleagues’ and ‘friend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mutual understanding about the oneself, the others and society are spreaded and deepened.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exploration of directions and frames of reference for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a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의 경험을 자기반성적으로 성찰ㆍ기록하는 것이다. 이에, 독일로 떠난 한인 간호여성의 사회운동 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경험에 기초하여 그경험을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자서전적 글쓰기 방법에 따라 기록하였다. 그결과, 질적 연구의 과정은 연구참여자가 배제된 연구계획서가 기획ㆍ작성ㆍ제출된 데이어, 연구자의 일방향적 관계 맺기를 통해 ‘문화적 불청객’으로 받아들여진 관계가 형성되었고, 이후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 쌍방향적인 관계 맺기의 노력 속에서 ‘문화적동료’ 및 ‘친구’의 관계로 발전되는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자기 자신과 타인, 사회에 대한 상호의 이해가 확장되는 공통적인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질적 연구의 방향 및 준거틀 탐색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부모 돌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영자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자녀로서 겪은 노부모 돌봄 경험을 자문화기술지 방법에 따라 접근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노부모가 스스로를 보살피는 자기돌봄의 생활에 어려움을 갖게 됨에 따라 대두된 돌봄의 문제에 대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자녀로서 겪은 경험을 자기성찰적 및 자기반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는 다른 자녀들과 함께 노부모가 가능한 한 오랫동안 익숙한 터에서 자기돌봄의 노년을 유지해 가도록 여러 유형의 돌봄을 직접적으로 제공하였는데, 이러한 노년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게 되자, 여러 재가복지서비스를 연계하여 자기돌봄의 노년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이러한 노년 또한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게 되자, 결국은 낯선 터로 이주하여 시설복지서비스에 기대어 생활하는 타인돌봄의 삶 속에서, 혹은 홀로 남은 터에서 자기돌봄의 노년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삶 속에서, 각각 신노년 문화를 창출하는 주체로 성장해가도록 돌보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노부모 돌봄의 과정을 거치면서 가족들 간 갈등이 심화되기도 하였지만, 이를 스스로 완화하는 자기조정력과 자기치유력도 작동시키고 있었고, 노부모를 통해 인간의 실존적인 문제를 경험하면서 이에 대해서도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노부모와 노부모를 돌보는 자녀들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report experiences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from a self-reflective perspective. The subject of this autoethnographical study is an experience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who faces difficulties in self-care. In the beginning the children including researcher tried to help their parents with support of various kinds in a way that the parents could stay in their house as long as possible. At a certain point this self-care in their old age was no longer possible. For this reason home care services were asked in order to let the elderly parents staying in their house. Nevertheless the point came when it was not possible anymore for the parents to continue aging in place. It was made necessary for the mother to move in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The children make effort to support their mother in the facilities under professional care and their father in house under self-caring. They also support that their both elderly parents can become the subject for a new culture of aging. Meanwhile, the care process caused distress and conflict between the family members. However, they find their own way to deal with the distress and the conflicts relieved with self-regulation and self-healing. And the care process caused also the family members to reflect existential issues which made them contemplate.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social welfare practice for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who take care of them.

      • KCI등재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

        영자(Yang, Young-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이 연구는 탈북한 부모 배경에, 이주 경험이 있고, 중국과 남한에서 맥락화 된 중첩적 특성의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도모하고 존재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16년 2월 19일까지의 언론보도자료, 국내·외 실태조사 보고서, 학술논문 등 관련 모든 문헌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법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을 누구로 규정하며 이들에 대한 담론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들의 교육 현안은 무엇인지, 이들의 혼종적인 경계경험이나 특성이 한국미래교육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들은 다중 경계의 접합을 드러내고 다양한 차원의 경계 와해를 촉구하는 전환기적 존재이며, 한국교육에서 탈북 교 육과 아울러 소수자교육의 재확립이라는 과제를 제기하는 존재이자, 한국교육과 다문화교육에 새로운 교육 지평을 제공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current issues in education of children of North Korean immigrants born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children share their parents background as North Korean refugees. However, they also have on their own immigrant experiences moving from another country to South Korea and cultural hybridity characteristics contextualized in China and South Korea. In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such as newspaper articles, research report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discourse, educational issues surrounding the children, and the possible educational insight that these children may bring from their hybrid experience toward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Studying this particular population is a turning point in this type of research as it reveals new complex cultural boundaries and encourages breaking down of cultural barrie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esearch on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 education and minority student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which will ultimately offer a new perspective in Korea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교육과정철학과 교육과정사회학의 대화 가능성의 모색

        영자,황규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1999 교육과학연구 Vol.30 No.-

        이 논문은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해 이제까지 상호 대립적인 관점을 제시해 왔던 교육과정철학과 교육과정사회학의 논의 사이의 대화가능성을, 두 진영의 대표적인 학자라고 할 수 있는 허스트와 영의 최근 논의를 통해 검토해 보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두 관점의 관계는 연계성 또는 관련성보다는 상호독립성 또는 불연속성의 특징이 더욱 부각되어 온 경향이 있다.그러나, 이 같은 대립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은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 방식을 고정시키고 제한하며 교육내용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방식을 원천적으로 억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최근의 영과 허스트는 종래의 폐쇄적인 시각을 정리하고, 각각의 관저메서 상호 연계의 논리를 제안함으로써 교육내용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dialogues between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es to curriculum studies. So far, the two approaches and perspectives have been regarded as incommensurable. However, P.H. Hirst and M.F.D. Young have recently shown a possibility of bridging the gap between two perspectives. Those changes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the interconnect theoretical knowledge and common knowledge as contents of education. The new perspectives throw a light to the possibility of holistic understanding of knowledge as contents of education.

      • KCI등재

        요양원 노인들의 입소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 통합

        영자(Yeung Ja Yang)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원 노인들의 입소생활 경험에 대한 기존의 개별 연구들을 통합·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질적 메타 통합 방법에 따라 접근하여 8편의 연구들을 선정·종합·비교·통합하였다. 그 결과, 요양원 노인들의 입소생활에서는 입소 동기와 입소 이후의 생활, 요양원에 대한 인식이 그 상위 핵심 개념이 되고 있고, 그 핵심 경험은 자녀들과의 관계성 속에서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자녀들로부터 “고려장”을 당하여 ‘죽음의 대기소’에서 죽어가고 있는 생활’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는 이들의 입소생활에서 ‘이동 후 스트레스 증후군’이 일시적으로 나타나 점차 완화되거나 극복된다고 보는 기존의 국내외 연구들과는 다르게, 입소생활 전 과정에서 ‘일상화’되고 ‘만성화’되고 있는 경향이 강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이동 후 스트레스 증후군의 일상화 및 만성화’는 자녀들과의 관계성이 중심인 생활 속에서 나타난 것으로, 국내 요양원 노인들의 입소생활을 특징짓는 핵심 현상이 되고 있다고 해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노인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synthesise and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care homes. For the purpose,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 was applied to select and integrate eight research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ree top key concepts were identified: motivations to enter care homes, life experiences after entering care homes, and awareness on care homes. The key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care homes were constructed in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ey were perceiving abandonment by their children and were wasting away in the ‘waiting room for death’. Contrary to other national and international analyses conducted on the same subject, the results showed an indication that the relocation stress syndrome is chronic and becomes a part of their everyday life. Furthermore, this analysis concluded that the routinization and chronicization of the relocation stress syndrome was constructed on the perception on their lives, centered around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and this is a key phenomenon characterizing the lives of the elderly in care homes in Korea.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ion was made with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e elderly.

      • KCI등재

        교사 저서에 나타난 교사론의 질적 내용 분석 연구

        영자(Yang, Young Ja)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교사저자들의 ‘교사론’ 주제를 다룬 단독저서를 질적 내용 분석함으로써, 실천 경험에 기초한 교사론의 내용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해, 현실 정합성 높은 ‘교사의 교사론’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론 주제의 교사 저서 선정을 위해 의도적 표본을 추출하고자, 3인의 정보 제공자에게 연구자가 제공한 리스트에서 총 55권을 추천받고, 이중 교사저자의 교사론에 초점을 맞춘 단독저서 총 30권을 최종 분석대상 저서로 선정했다. Elo & Kyngäs(2008)의 귀납적 내용 분석법으로 분석해, 다음의 여섯 주제를 확인했다. 곧 ‘교사 탓’ 담론 구조 속에 여전히 아프고 힘든 교사의 삶, 교사의 존재 이유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 전문직으로서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강조, 교육 본질과 교사 본위 회복을 위한 교육개혁에의 희망, 교육에의 걸림돌과 교육을 위한 타개책 모색, 교사저자의 수 만큼이나 다양한 ‘훌륭한 교사상’의 의미 등이다. 연구 결과, 교사의 관점에서 교육 쟁점에 대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법을 알 수 있었을 뿐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가는 (예비) 교사의 현실과 연결된 실제적인 교사 역할 모델의 특성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교사의 실천 담론 분석이라는 새로운 연구 방향의 기초를 놓음으로써 연구과 현장 사이의 괴리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 방안의 길을 제시했다. This study us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consider teachers’ views on teacher related themes in books written by teacher-authors. In order to extract perspectives on themes by teacher-authors, a list of the books was compiled by the researcher. This list was purposively sampled in such a way that three information providers reviewed them and 55 books were recommended from the original list provided by the researcher. A total of 30 book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focusing on teachers’ views on teachers and conducted us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Elo & Kyngäs (2008). Six themes were identified in the texts: 1) Emotional difficulties of teachers’ lives in the teacher-blaming discourse structure, 2) continuous reflection on the reason for the teacher’s existence, 3) emphasis on the teacher’s expertise as a professional, 4) hope for education reform to restore the nature of education and the true role of teachers, 5) obstacle to and solutions for education, and 6)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ence of numerous definitions of a good teacher that is equal to the number of teacher-authors. Not only do the results show us how to look for solution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on educational issues, it also shows 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teacher role model for (new)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ers’ practice discourses, the researcher recommend a way for finding a realistic solution to solve problems of separation between the researches and the practices i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