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독일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동향

        양영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4 No.-

        The intention of this analysis is to ascertain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German universities. In view of the research, which was arranged to study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German universities, a dual education system, social work and social pedagogy, converted into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social welfare, through the Bologna Process. It is to assert that the certification of the Fachhochschule was a Diplom, which was focused on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The university had two certifications: Magister and Doctor, which were focused on the theory-oriented education. These graduations changed into a Bachelor and Master system at the Hochschule and Bachelor, Master and Doctor system at the university. Furthermore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Hochschulen and the theory-oriented education at Universities are standardized through the reform process. In addition, it is noticeable that the input logic “what are students supposed to learn?”turned into the output logic “what can graduates do?” Based on the results, those concluded implications indicate for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Korean universities focusing on autonomy, multidisciplinarity, practice-orientation, globalization and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독일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복지교육의 동향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독일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볼로냐과정’을 거치면서 사회사업과 사회교육으로 이원화된 전통이 통합되는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 위주의 교육에 집중하는 전문단과대학을 중심으로 한 1단계의 석사 과정과 이론 위주의 교육에 집중하는 University의 2단계 석사와 박사 과정으로 이루어졌던 교육과정이 Hochschule(구 전문단과대학)의 2단계 Bachelor와 Master 과정 및 University의 3단계 Bachelor, Master, 박사 과정으로 재편되는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개혁과정을 통해 Hochschule와 University에서의 사회복지교육이 실제와 이론이 통합된 방향으로 평준화되고 있고, 아울러 ‘재학생들이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라는 Input 논리가 ‘졸업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Output 논리로 전환되는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독일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한국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자율성, 간학제성, 실제성, 국제성, 주체성, 학습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1인가구 남성노인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이해

        양영자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가구 남성노인의 삶을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여, 1인가구의 삶으로 귀결되기까지 어떠한 생애궤적을 거쳐 왔고 또 현재에는 1인가구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삶에 대해 그 자신은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 남성노인 1명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의 삶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자료를 생애사적 사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남성노인의 생애사에서 도출된 주요 경험은 ‘생가와 양가 부모에 대해 보은하는, 이중적 자(子)로서의 삶’, ‘소소하나마 성공을 거둔 직업인으로서의 삶’, ‘오랫동안 별거생활을 감수해온 기러기 남편으로서의 삶’, ‘요양원에서 지내다 고인이 된 아내를 종사자들과 자녀들에게 기대어 돌본 남편으로서의 삶’, ‘사별 전후 홀몸 남편으로서의 우울증이 깊게 자리한 삶 및 자녀들로부터 돌봄을 받는 부모로서의 삶’ 등 자와 직업인, 남편, 부모로서의 삶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생애사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경험은 ‘양지와 음지가 혼재된, 다중적 가장으로서의 삶’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가족 내 역할이 이 남성노인의 삶을 이해하는 데에, 그리고 중대한 생애사적 결정을 내리는 데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고, 그가 가문으로 확장된 가족중심의 삶을 살아왔음을 보여주고 있는 결과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복지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 영역에서 이주배경 소수자 명명과 유형화 문제: 대화적 방법론으로서의 이중문화기술지(duoethnography)

        양영자,김윤영 한국교육과정학회 2023 교육과정연구 Vol.41 No.4

        정부 부처 간, 부처 내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에 대한 명명과 유형화 차이로 인해 관련 정책과 교육 지 원에 혼란과 혼동이 있다. 학술적으로도 이들에 대한 통일된 명명과 유형화 노력은 실현가능한 목표에 도달하 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두 연구자의 대화적 성찰을 비판적 변증법으로 병치하여 이중 언어를 창조하는 방법인 이중문화기술지를 통해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 명명과 유형화에 관한 제반 문제를 조명하 고 그 의미를 탐구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세 가지 아이디어, 곧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를 재명명화 한다면 어떤 용어가 적절한가,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를 타당하고 신뢰할 만하게 유형화 할 수 있는가, 명명과 유형 화에 이주배경 소수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이를 통해 교육 영역에서 학령기 이주배경 소수자를 명명하고 유형화하는 측면에서 정책과 교육 지원 체계의 모순적 현상을 드러내고, 이들을 명명하고 유형화하는 데 있어서 이주배경 소수자 당사자 목소리와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했다. The differences in naming and categorizing school-age minority groups with a background of migration between and within government ministries have led to confusion over policy implement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In academic pursuits, endeavors to establish a unified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such groups have often struggled to reach a feasible objective. This study clarified the issues surrounding the naming and categorizing of the aforementioned group via a “duoethnography” approach, which juxtaposes dialogic reflection of two researchers. Specifically, we tackle three larger ideas: i) the necessity of creating a new term to represent this group and what term is appropriate, ii) an alternative way to establish valid and reliable categorizations of this group, iii)and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is group in the process of naming and categorizing. Ultimately, this study reveals a contradictory phenomenon in the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 in terms of naming and categorizing school-age minority groups with a background of migr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their voices and opinions in naming and categorizing this group in the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 KCI등재

        중산층 가정 시부모의 피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완서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양영자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4 No.1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and understand experiences of parents-in-law in the need of care in middle-class families during the period when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elderly care was assigned to the family. Three short stories of Park Wan Seo were chosen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approach. The result shows, that the fathers- or mother-in-law who were widowed, were living with the only son’s family or the eldest son's family in a socioeconomically safe environment. They were taken care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ir eldest daughter-in-law or the one daughter-in-law. On the other hand, from an emotional-relational point of view, they were living objectified lives as alienated others: they were all made as helpless “elderlies” who are unable to act “according to their will”. This made them feel as “unnecessary” and ‘invisible persons’ who had to “keep their mouths shut” as if they “weren't there”. In addition, they were misunderstood as “overly interested in sex” and one of them suffered from a feeling of unbelong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for elderly care, including parents-in-law care,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돌봄의 주책임이 가족에게 부여되어 있던 시기에는 노인들이 어떠한 돌봄을 받았는지, 그 피돌봄 경험을 중산층 가정의 시부모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 주제를 심층적으로 다룬 박완서의 단편소설 3편을 선정하여 시부모의 피돌봄 경험을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접근‧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시부모들은 모두 사별한 노인들로서, 전통적인 노인 돌봄 규범에 맞게 외아들이나 맏아들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가구형태 속에서 외며느리나 맏며느리로부터 직‧간접적인 돌봄을 받으며 사회‧경제적으로는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었다. 반면, 이들은 정서‧관계적으로는 아무 것도 “자기 뜻대로” 할 수 없는 ‘뒷방 늙은이’나 무위의 “늙은이”로 만들어져, “군식구”나 “없는 듯” “입 다물고” 방해되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하며 살아야 하는 ‘투명 인간’ 취급을 받으며, 그 외에도 성이나 밝히는 “주책”이라는 오해를 받기도 하고, 혹은 “무소속감”에 “휘둘리”기도 하며, 소외된 타자로서 객체화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시부모 돌봄을 비롯한 노인 돌봄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제주민요의 현장과 현장론

        양영자 한국민요학회 2022 한국민요학 Vol.64 No.-

        This article aims to find ways to transmit and preserve Jejufolksongs by examining the fields of folksongs of the past and present days of Jeju’s traditional society. In the past, Jeju society was a climate in which daily problems such as labor, feast, and rituals were solved jointly. So, the workplace and the village themselves were the venues for the performance of Jejufolksongs. Around the age of 15, Jeju peoples grew up as workers and singers of the village community through ‘sunuleum’ and ‘jup’. A person with good power to encourage work and joining forces plays the role of a singer, so the singing method that is advantageous for group singing was preferred. In particular, Jeju peoples had a strong tendency to prefer the singing method of the exchange singing, in which each voice was heard even within the singing group. Today’s singers are professional singers performing on stage who learn folksongs for leisure and hobbies after they become adults. They often do not understand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folksongs. Also, trying to unify melodies and editorials for stage performances, all songs are becoming standardized in the form. Since the site of the transmission of Jejufolksongs is a practice room and a stage performance hall, a playful element is added, editorials are being standardized according to the scheduled performance time, and the exchange singing is disappearing altogether. As the method of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became standardized, it became difficult to find the simplicity and sincerity of Jejufolksongs. It is not unreasonable to say that the current Jejufolksongs have been cut off from the field of performance or transmission of traditional society. Folksongs that functioned in local communities in the past are becoming fossilized like textbook music. Beyond the change of content and function, it is transformed into a change of style. Jejufolksongs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labor, feast, and rituals, but now, as the function is standardized into ‘performance’ on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folksong research. If you want folksongs to be transmitted and preserve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process of learning, singing, and distributing folksongs, and the field of transmission performed on stage. How folksongs will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s a task that singers, policy makers,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tradition groups should all consider, an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ultural properties policy that understands folksongs from the perspective of entertainment. 이 글은 과거 제주 전통사회의 민요현장과 오늘날의 민요현장을 검토하여 제주민요의 전승과 보전 방안을 찾는 데 있다. 과거의 제주사회는 노동․유희․의례 등 일상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풍토였다. 그래서 일터와 마을이라는 공간 자체가 제주민요의 연행 현장이었다. 제주사람들은 15세를 전후하여 ‘수눌음’과 ‘접’ 등을 통해 마을공동체의 일꾼과 소리꾼으로 성장하였다. 또, 일을 독려하고 힘을 합치도록 권력(勸力)을 잘하는 사람이 소리꾼의 역할을 담당하다 보니 집단가창에 유리한 가창방식을 선호하였다. 특히, 동일 소리집단 내에서도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교환창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오늘날의 소리꾼들은 어른이 된 후에 여가와 취미생활로 민요를 익혀 무대에서 공연하는 전문적인 소리꾼들이다. 이들은 주로 연습실에서 전승활동을 하고 있고, 무대공연에서 예정된 시간에 맞춰 규격화된 사설을 전승하고 있다. 무대공연을 위해 가락과 사설을 통일시키려다 보니 가창방식이 획일화되어가고 있으며 교환창은 아예 사라져 버리고 있다. 민요의 연행․전승 방식이 획일화되면서 민요 본연의 운용 원리를 살리지 못하고 제주민요의 질박함과 진정성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현재의 제주민요는 연행 현장이나 전승 현장이 단절되었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과거 지역공동체에 기능을 담당했던 민요는 교과서 음악처럼 화석화되고 있다. 내용의 변이와 기능의 변화를 넘어 양식의 변모로까지 탈바꿈하고 있다. 과거의 제주민요는 노동, 유희, 의례에서 발생하고 향유되면서 전승되어왔으나, 지금은 ‘공연’ 하나로 기능이 획일화되고 있으므로 민요연구의 관점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민요가 전승․보전되기를 바란다면 민요를 배우고 부르며 유통시키는 과정, 무대에서 공연되는 전승 현장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민요가 어떻게 대중과 소통할 것인지 소리꾼, 정책입안자, 연구자, 전승자, 전승 단체 모두가 고민해야 할 과제이며, 민요를 예능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문화재 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00-2001년도 제주도민 주요 5대 암 생존율

        양영자,배종면,Yang, Yeong-Ja,Bae, Jong-Myon 대한예방의학회 2007 예방의학회지 Vol.40 No.3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survival rates of cancer patients in Jeju Island residents from 2000 to 2001, based on their major primary sites of occurrence. Methods :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Jejudo Cancer Registry (JCR). The eligible population comprised 2,382 cancer cases, whose cancers were diagnosed from 1 January 2000 through 31 December 2001. Of the eligible population, 1,438 patients with 5 major cancers defined by the level of incidence rat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 period of survival for each case was calculated from the date of first diagnosis to the date of death, or the end of follow-up, i.e., 31 December 2003. The observed survival rates (OSR) and relative survival rates (RSR)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sex, age-group, and primary sites of occurrence. Results : The 3-year OSR and RSR in 5 major cancers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except 75 year-old over group. The 3-year RSR of stomach, colorectum, liver, and lung in both sexes were 61.0%, 62.6%, 24.7%, and 22.8%, respectively. The respective rates in JCR showed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ose in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KCCR). Conclusions : These results would suggest some clues about prognostic factors of major cancers in Korean, and could apply to planning and evaluating of cancer control strategies in Jeju Island.

      • KCI등재

        제주민요의 문화적 소통 실태와 과제

        양영자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Since folk songs are sociocultural products, we can view those song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communication. Whereas Jeju folk songs were sung in sunuleum, a kind of work of cooperation, community, they are nowadays being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and festivals. This paper aims to discover how Jeju folk songs are being culturally communicated and handed down in Jeju by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Jeju folk songs.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of Jeju folk songs, it also seeks to find out how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being mad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is paper focuses on some features that have markedly demonstrated the status of cultural communication:the activities of minyopae, the groups of folk songs, those of Folklore Preservation Society, those of the edu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folk contests like Tamna Culture Festival, a variety of festivals, the performances of a lot of performing art troupes, Sound Pangut (Musical nodongyo, song of work) as a cultural movement, and the productions of the records.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some problems of these activities. People have been trying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folk song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However, it has caused the contamin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a loss of identity owing to the way of communication that mainly centers on performances and the s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Jeju folk songs should be not one-time ‘watch and enjoy’ ones but ‘sing along’ ones in everyday lives for the meaningful and regional communication. To do so, cultural communication is needed for more systematic and desirable ways. 민요는 사회사적 생산물이므로 문화적 의사소통의 한 차원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과거에는 노동 현장인 수눌음 공동체 속에서 제주민요가 소통해 왔다면, 오늘날에는 각종 공연과 축제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주민요가 제주사회에서 어떻게 문화적으로 소통하면서 전승되고 있는지 현재의 소통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의미 있는 소통으로 만들어 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 민요의 문화적 소통실태를 현저히 보여주는 것으로 민요패나 민속보존회 활동,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활동, <탐라문화제>를 비롯한 민속경연대회, 각종 축제행사, 여러 예술단의 공연 활동, 문화운동으로서 ‘소리판굿’, 음반제작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들 활동들이 민요의 전승과 보전,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공연 일변도의 대중 소통과 무대화로 인해 전통 민요의 오염과 정체성 상실을 초래하게 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주민요의 의미 있는 지역적 소통을 위해서는 일회성으로 ‘보고 즐기는’ 민요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함께 부르는’ 민요의 생태적 성격을 살려 나갈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화적 소통이 실현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