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우슬로부터 20-Hydroxyecdysone의 분리 및 함량분석

        황지현,이승호,박정일,강신정,장승엽,이경순,손건호,Hwang, Ji-Hyun,Lee, Seung-Ho,Park, Jeong-Hill,Kang, Shin-Jung,Chang, Seung-Yeup,Lee, Kyong-Soon,Son, Kun-Ho 한국생약학회 1999 생약학회지 Vol.30 No.3

        Separ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20-hydroxyecdysone from Achyranthis Radix has been conducted by using HPLC method. 20-hydroxyecdysone in a methanol extract from the raw drug was separated on a reverse phase column using a $CH_3CN-H_2O\;(18:82)$ solvent system and the average content is $0.0931{\pm}0.0048%$. For the preparation of authentic standard, we isolated 20-hydroxyecdysone from the roots of Achyranthes fauriei by $SiO_2$ and RP-18 column chromatography.

      • KCI등재

        비정질 실리콘의 부분적 알루미늄 유도 결정화 공정에서의 급속 열처리 적용 가능성

        황지현,양수원,김영관,Hwang, Ji-Hyun,Yang, Su-Won,Kim, Young-Kwan 한국결정성장학회 2019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9 No.2

        박막 태양전지에 주로 적용되는 다결정 규소층을 AIC(Aluminum Induced Crystallization)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결정립의 확대를 위하여 selective diffusion barrier 사용하였다. 이 diffusion barrier는 $Al_2O_3$ 막을 사용하였다. 공정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열처리는 RTA(Rapid Thermal Annealing) 공정으로 진행하였다.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는 XRD 측정을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500^{\circ}C$에서 결정화되었으며, 결정 크기는 $15.9{\mu}m$로 계산되었다. In this study, poly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useful for the solar cells was fabricated by AIC(Aluminum Induced Crystallization) process. A diffusing barrier for this process is prepared with $Al_2O_3$. For the maximization of the grain size of the polycrystalline silicon, a selective blasting of the $Al_2O_3$ diffusing barrier was conducted before annealing treatment. The heat treatment for the activation of the amorphous-Si (a-Si) layer was carried out with Rapid Thermal Annealing (RTA) process. Crystallization of the a-Si layer was analyzed with XRD. It was confirmed that a-Si was crystallized at $500^{\circ}C$ and the silicon crystal is observed to be formed and the grain size of the polycrystalline silicon was observed to be $15.9{\mu}m$.

      • KCI등재

        통합 프로세스 엔지니어링을 위한 해양 프로세스 기본 설계 방법론

        황지현,노명일,차주환,이규열,Hwang, Ji-Hyun,Roh, Myung-Il,Cha, Ju-Hwan,Lee, Kyu-Yeul 대한조선학회 2010 大韓造船學會 論文集 Vol.47 No.2

        In this study, an offshore process FEED(Front End Engineering Design) method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to perform integrated process engineering for topsides systems of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 based on the concepts and procedures for the process FEED of general offshore production plants. First, various activities of the general process FEED engineering are summarized, and then the offshore process FEED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ll types of offshore oil and gas production plants, is proposed. Second, an integrated process engineering environment is built based on the proposed FEED method. Finally, the integrated process engineering environment is applied to topsides systems of an LNG FPSO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EED method.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FEED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FEED engineering of FPSOs and moreover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perform successful offshore pro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인간의 집단율동에 의한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평가

        황지현,이경구,Hwang. Ji-Hyun,Lee. Kyungkoo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4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집단율동이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첫째, 고유치해석을 수행하여 대상건물의 모드형상과 진동특성을 살펴보았다. 고유치해석에서 산정된 건물의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 고유진동수와 실제 계측값과의 비교과정을 통해 정확한 진동해석을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건물의 12층 바닥에 인간의 집단율동 하중을 작용하는 선형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진동원과 위치가 상이한 상부층 바닥슬래브의 연직진동 가속도응답을 평가하였다. 실험계측결과와 동일하게 건물 상부층으로 갈수록 바닥슬래브 연직진동이 증폭되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는 건물의 연직방향 고유진동수와 인간의 집단율동의 진동수가 일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공진현상이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human group rhythmic activities on vertical vibration of a high-rise steel building were analytically evaluated. A eigenvalue analysis was first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de shapes and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The requirements for an accurate analysis were drawn based on the comparisons of the measured natural frequencies of the building and the estimated natural frequencies of the building. Then, linear time history analyses were conducted by applying human group rhythmic activities to the slab of the 12th floor of the building model.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vertical vibration acceleration responses in the upper floors amplified by resonance between building and excitations were evaluated.

      • 노후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 리모델링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황지현(Hwang Ji-Hyun),장한두(Jang Han-Doo),제해성(Je Hae-Seong)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remodeling design types of outdoor space in deteriorated apartments, and find out the possibility of domestic application based upon design types analyzed for activation of remodeling in deteriorated apartments in Korea.<br/> For this study, first, remodeling design types of outdoor space were categorized by the case study in which was used the foreign 32 remodeling cases. Second, their possibility about domestic application was analyzed by examination of the laws in force and investigation of previous studies. Third, a directions of remodeling design for higher performance was suggested based upon results analyzed.

      • 생물안전 3등급시설의 공조시스템 급배기 방식 개선에 따른 Risk Assessement와 경제성 분석

        황지현(Ji Hyun Hwang),홍진관(Jin Kwan Hong),성순경(Sun Gyung Sung) 대한설비공학회 201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11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은 실험실의 생물안정성을 위해 전외기, 전배기를 해야하는 특수 음압 시설로 공조설비 시스템을 상시로 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 규모 일반 사무소 건물에 비해 5∼10배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며, 실압유지를 위해서 각실별로 급기와 배기를 하고 있어 초기시공비와 유지운영비가 대단히 높다. 본 연구에서는 BSL3 실험실의 급배기를 기존의 각실 급배기방식에서 몇 개의 존으로 나누어 급배기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경우 각 실별로 적정 실압이 유지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방식과 개선된 방식에 대해서 3가지의 생물 재해 시나리오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 고위험성 병원균을 취급하는 실험자의 안전과 실험실의 생물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BSL3 실험실의 급배기방식의 개선으로 인한 BSL3 실험실의 시공비 절감효과를 산정하고, 실험실의 생물안전성 유지와 더불어 초기 건설공사비를 절감하는 BSL3 연구시설 건설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아세톤 추출에 의한 빵 중 프로판산 분석

        황지현(Ji-Hyun Hwang),신대용(Dae-Yong Shin),오창환(Chang-Hwa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1

        빵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존료 프로판산(염)은 사용기준 2.5 g/㎏ 이하의 준수 여부 확인을 위해 신뢰성 있는 정량분석이 필요하다. 때문에 신속하며 간단한 분석법으로 (산성) 아세톤을 이용한 용매 직접추출법을 확립하였다. 기존 분석법과의 동등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프로판산 칼슘이 보존료로 사용된 빵 시료(I-1)를 분석한 결과 아세톤(20 mL) 직접 추출법으로 1,942 ㎎/㎏(RSD 3.7%), 그리고 0.1%(v/v) 인산용액으로 추출한 후 다이에칠에테르로 분배·추출하는 방법으로 1,991 ㎎/㎏(RSD 10.0%)의 프로판산을 검출하였다. 또한 동일한 시료 I-1을 대상으로 아세톤(40 mL) 직접 추출법으로 1,945 ㎎/㎏(RSD 7.9%) 그리고 초산 0.1%(v/v)를 포함하는 산성 아세톤(40 mL) 추출법으로 1,996 ㎎/㎏(RSD 2.9%)의 프로판산을 정량하였다. 이들 정량값의 평균(또는 중간값)들 사이의 차이는 비모수 검정법 또는 t 검정을 통해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프로판산이 불검출된 빵 시료(D-3)에 프로판산 칼슘 또는 프로판산 나트륨을 첨가하여 아세톤 또는 산성 아세톤(40 mL)으로 직접 추출·분석한 결과 회수율은 110~117%로 염의 종류 및 아세톤의 산성화 여부 등은 프로판산 회수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로판산염은 빵 중의 수분에 용해되어 (산성화된) 아세톤과 함께 혼합・추출되는 과정에서 프로판산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확립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유통 중인 빵류를 분석한 결과 4종의 국내산 빵에서는 프로판산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8종의 수입 빵에서는 평균 최저 464 ㎎/㎏에서 최고 2,016 ㎎/㎏까지 검출되어 우리나라의 빵류에 대한 프로판산(염) 사용기준 2.5 g/㎏ 이하(프로판산으로)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프로판산(염)은 빵의 반죽에 혼합되므로 빵의 반죽을 제외한 크림 등 기타 성분 비율이 높을수록 동일 빵 무게당 프로판산 함유량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산성 아세톤 직접 추출법은 1시간 이내에 시료 전처리 및 기기분석까지 완료 가능하였으며, 신뢰성과 함께 우수한 간편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 단계 및 제품 모니터링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rvative propanoate, such as calcium and sodium propanoate, extends the shelf-life of bread by inhibiting the growth of bread molds quite effectively. Korean regulations on the maximum use level of propanoic acid in bread (2.5 g/㎏) is a simple horizontal regulation, not like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where the vertical regulation to specific bread is also applied. The conventional propanoic acid analysis method consists of onerous pretreatment processes, such a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 etc. In this study, the direct extraction of propanoic acid from bread by acetone (with 1% acetic acid) was evaluated by comparing it with the conventional acidified water extraction followed by diethyl ether partition method. The acetone (with 1% acetic acid) extraction method recovered 110∼117% of propanoic acid from a bread sample spiked with sodium or calcium propanoate. The salt form of propanoate might have dissolved in the intrinsic water in bread, and transformed to the protonated form during the extraction step with the (acidified) acetone. The propanoic acid amounts detected in eight imported breads were within the maximum use level in Korea. The detected level of concentrations (464∼2,016 ㎎/㎏) estimated to be varied by the amount ratio of dough (treated with propanoate salts) in the bread. No propanoate was found in four bread samples (as labeled) produced domestically. This simple analysis method could be done within an hour (using GC-FID). The newly developed propanoate analysis method for bread could be used for QA/QC in processing factories and for monitoring the level of exposure for consumer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