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육만족도 영역별 점수의 의미와 활용

        함은혜(咸恩惠),박상옥(朴商玉),김은경(金銀慶)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bifactor모형을 적용하여 대학교육만족도의 하위영역별 점수를 산출하는 경우, 하위영역별 만족도 점수가 대학구성원 내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교육만족도의 측정모형으로 주로 활용되어 온 상관된 일차요인모형과 이 연구에서 적용한 bifactor모형을 비교하되, 모형적합도와 하위영역별 점수의 분포, 개인 배경변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충남 소재의 A대학교 4,400여 명 학생들의 응답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적합도 측면에서는 bifactor모형과 일차요인모형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 분산의 설명량은 bifactor모형에서 더 높았다. 둘째, 일차요인모형에서 산출된 하위영역별 요인점수들은 최소 .6이상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bifactor 모형에서는 -.3에서 .2으로 부적 상관을 보이거나 약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두 모형에서 산출된 동일 하위영역 내 점수 간 상관은 최소 .2, 최대 .6이었다. 셋째, 상관된 일차요인모형에서는 하위영역별 점수 간 의존성이 높아, 성별과 학년, 전공-진로 일치도를 포함한 개인 배경변인이 하위영역별 점수를 일관되게 예측한 반면, bifactor 모형에서는 하위영역별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배경 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bifactor모형에서 산출되는 하위영역별 점수의 의미가 상관된 일차요인모형에서의 하위영역별 점수의 의미와 어떻게 다른지를 조명하였으며, 대학교육만족도 분석에서 bifactor모형을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과 향후 연구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subscale scores of university student satisfaction survey can offer diagnostic information of group-differences when applying the bi-factor model. Approximately 4,400 students’ responses to a university satisfaction survey were used to compare the two sets of subscale scores produced by applying a Bifactor model and a correlated first-order factor model. Approximately 4,400 students in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model-fits, the Bifactor model was marginally better than the correlated first-order factor model. Second, while for the correlated first-order factor model, the effects of gender, grade-level, and congruence between major and career were consistent across all the subscale scores, for the Bifactor model, we found differential effects of those student characteristics on each subscale score. Implications of applying Bifactor models to university student survey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와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의 저온저장 조건 구명

        함은혜 ( Eun Hye Ham ),최영철 ( Young Cheol Choi ),이준석 ( Jun Seok Lee ),박종균 ( Jong Kyun Park ) 한국잠사학회 201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0 No.2

        The success of biological control depends upon the standard setting and effective mass rearing of natural enemies. In this work, we have investigated cold storage condition of Hypoaspis aculeifer(Canestrini) and Tyrophagus putrescentiae( Schrank). which has been stored at 8, 12oC, RH 70 ± 5%, in dark condition. An appropriate temperature of cold storage was 12oC with wheat bran(50%) and rice bran(50%) for T. putrescentiae. 7o% of T. putrescentiae and H. aculeifer could survive for 28 days and 70 days at 12oC. After storing at 12oC with prey mite for 28 days, 56 days and 84 days, their reproduction rate showed similar resultes.

      • KCI등재

        초등학생 과학 탐구과제 수행 특성 분석 및 채점기준 개발

        함은혜,이유경,박소영,박혜진,이성혜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 과학 탐구과제에서 관찰되는 수행의 특징을 분석하여 채점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5명의 과학 탐구활동보고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과학탐구 과정 요소와 역량 요소에 대한 이론 및 개념과 연계하여 체크리스트형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채점기준을 활용하여 채점자 11인이 350여 개 과제를 교차채점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점데이터는 피험자, 채점자, 채점항목의 3개 국면을 고려한 다국면 Rasch모형에 적합하였 으며, 22개 채점항목들의 적합도가 양호하였다. 둘째, 낮은 수행수준 에서 관찰가능한 특성은 과제에서 명시적으로 요구하는 질문에 답하거나, 사전에 학습한 과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대상 혹은 현상을 관찰 하는 것인 반면, 높은 수행수준에서는 주어진 자료 이외의 추가자료를 탐색하거나 자신의 실험과정을 성찰하는 것이었다. 학생 수행 특성 분석에 근거한 채점기준표의 유용성과 활용을 위한 향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시나리오기반 과제형 대학생 문화민감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함은혜(Eun Hye Ham),심우정(Woo-jeong Sh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1

        이 연구는 시나리오기반 과제형 대학생 문화민감성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생 342명에게 문화적 갈등이 표출되는 가상의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개발된 채점항목에 따라 2명의 채점자가 채점하였다. 산출된 자료를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이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문화차이 인식’에 해당하는 ‘문화 갈등을 회피하지 않는다’ 였으며,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문화차이 이해․존중’에 해당하는 ‘편견 및 고정관념의 문제점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둘째, 시나리오에 따라 과제 난이도에 차이를 보였으나, 두 채점자 간 엄격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추정된 피험자들의 문화민감성 수준은 개방성 및 장애수준에 차이가 있는 사람들과의 접촉 경험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시나리오기반 과제형 문화민감성 평가도구의 활용을 위한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enario-based assess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intercultural scenario-based tasks were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freely describe their response to a culturally challenging and uncomfortable situation. 34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and each of students’ responses was rated by the two raters according to the pre-designed scoring checklist. Adopting the many-facet Rasch model, the scoring items in the checklist were tes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west in the difficulty parameter was found to be ‘not avoiding intercultural conflict’, one of the scoring items describing the stage of intercultural recognition. A scoring item in the stag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cultural differences, ‘addressing prejudice and stereotypes,’ was the highest in the difficulty parameter. Another results showed that task difficulty varied across the types of scenarios while the raters’ rig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 two raters. Lastly, the levels of college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openness an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Scholarl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LED 광원의 유인효과

        함은혜,남윤복,전혜정,박영균,임언택,이영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4

        본 연구는 콜레마니진디벌의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4개의 LED 광원(385, 405, 450, 및 660 nm)을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Y자관 시험에서 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385 nm LED 광원만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유인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3개의 LED 광원(385, 405, 및 450 nm)과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비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450 nm > 385 nm > 405 nm 광원 순으로 유인효과가 높았으나 450 nm와 385 nm 광원간 유의차는 없었다. UV-A에 속하는 385 nm LED 광원은 피부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제외하였고, 최종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광원으로 선발하였다.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우화기구에 적용한 결과, 87.4%의 높은 유인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천적 품질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시설 국화에서 꽃노랑총채벌레방제를 위한 New Banker Plants 적용 효과

        함은혜,이준석,최용석,최영철,박종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국화재배시 총채벌레 방제를 위하여 주 1회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있어 막대한 노동력과 방제비용이 투입되고 있으며 웰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식용․약용 국화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친환경 방제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시설국화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친환경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가 산란을 위해 선호하는 채송화(Portulaca grandiflora)를 뱅커플랜트로 선정 및 적용하여 7주 동안 천적의 분포 및 해충의 밀도변동을 조사 하였다. 뱅커플랜트에 산란된 천적의 알이 부화되어 약충기간동안 적용한 곳 부근에서 활동하다가 3주째 5m, 4주째 10m, 5주째 15m까지 방사지점에서 떨어져 활동영역을 확대해 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적의 알이 산란된 뱅커플랜트와 천적을 동시 적용했을 때 85.7%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친환경자재 처리구에 비해 5.8배, 뱅커플랜트 단독 처리구에 비해 2.8배의 해충방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어 시설재배 국화에서 뱅커플랜트 적용의 꽃노랑총채벌레 방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경험 분석

        함은혜(Ham, Eun Hye),백선희(Paik, S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시민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그 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경험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에서 2007년과 2010년, 즉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 시점에 2회 반복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협동성, 정치참여의 평균적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및 학교 경험 변인을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 학생들의 협동성은 중학생 때와 비교하여 감소한 반면, 정치참여 수준은 증가하였다. 둘째, 교내 동아리 활동 및 리더십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높은 공동체의식, 협동성, 정치참여 수준을 보였다. 셋째, 수업 부적응은 학생들의 시민의식에 일관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내 교우관계 및 교사헌신도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시민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 로 학생들의 시민의식 성장을 위한 학교교육의 역할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how students sense of community, cooperative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levels have changed through Grade 9 to Grade 12, and examine whether various experiences at school predicted the levels. Methodology: Student- and school- level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which tracked more than 2,000 students through their secondary school years, were used. A series of multi-level models were applied for data analyses. Findings: First, while students political participation have increased, cooperativeness has decreased over the years. Second, students who have joined in club activities and leadership experiences showed higher levels of sense of community, cooperative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class maladjustment consistently and negatively affected the three aspects of civic engagement. Fourth, peer-relation and teacher engage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ivic engagement. Value: Our findings suggest that socio-psychological school environment as well as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bstantially influenced students civic engagement.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탐색

        함은혜(Ham Eun Hye),김은경(Kim Eun Kyung),김훈호(Kim Hoonho)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 및 교사 수준에서의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표적집단면담을 실시하고 자유학기제의 정책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학교 조직 운영 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유학기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학교와 교사의 역량 요소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운영 역량으로 ‘교과 수업’, ‘자유학기 활동’, ‘교과 수업과 자유학기 활동 간 연계·조정’, ‘평가’의 4개 영역에서 총 11개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고, 학교 조직 운영 역량으로 ‘소통·협력’, ‘자원운용의 효율성’, ‘지속가능성’의 3개 영역에서 총 11개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와 관련하여 학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와 역량을 이해하는 개념적 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chools and teachers competencies on managing the free-semester. First, reviewing a large extent of case studies and runn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5 researchers, the first draft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school management competencies was drawn, and each element of the competencies was articulated. Next, applying the Delphi metho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et of competencies was evaluated by the expert panel which consisted of 8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change of the free-semester at school, and 4 researchers and professors serving as a school consultant for the free-semester. As results, we finalized the free-semester management competency model which consists of the total 22 elements, 11 for curriculum management and 11 for school management.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of school and teacher competencies for the free-semester management.

      • 호흡조절필름을 이용한 어리줄풀잠자리(Chrysoperla carnea) 제품화

        함은혜,전혜정,이준석,이영수,최만영,박종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어리줄풀잠자리에게는 생존에 필요한 호흡 교환 및 습도를 유지시키나 외부 종의 유입이나 내부 종의 유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어리줄풀잠자리 제품용기에 부착할 수 있는 멀칭필름의 최적화된 천공수/㎠ 범위를 구명하였다. 160㎛ 두께의 투명 폴리에틸렌 필름에 20㎛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균일하게 뚫어 공기투과율을 차등시켜 실험에 적용하였다. 채란 후 2일이 경과된 알을 플라스틱용기에 넣고 20㎛의 홀이 0.91개/㎠ 타공된 필름으로 덮어 125℃에서 2초간 실링 하여 부착했을 때 88.9%의 높은 부화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채란 후 1일이 경과된 알을 포장 한 모든 처리구에서는 40.0~53.3%의 낮은 부화율을 보였다. 채란 후 2일이 경과된 알을 20㎛의 홀이 ㎠에 10.10개, 25.00개 타공된 필름으로 실링 했을 때, 부화 후 4일째 13.3%, 8.3%의 유충사충율을 보였다. 또한 50%의 저습조건에서 20㎛의 홀이 ㎠에 0개, 0.01개, 0.91개, 25.00개 타공된 필름으로 실링 후 4일째의 유충사충율은 22.2%, 27.0%, 13.7%, 12.5%이었다.

      • KCI등재

        진디벌 우화율 향상을 위한 제안

        함은혜,전혜정,안태현,진혜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methods to improve the emergence rate of Aphidius spp. in agricultural fields. The emergence rates of Aphidius colemani released into agricultural fields were 37.2%, 54.4% under ‘sun blind’ conditions, and 63.1% in the group in which shade and moisture were provided. Provision of shade and moisture upon introduction of Aphidius spp., can increase adult emergence 1.69 times more relative to a control group. 농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디벌류의 우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업 현장에 방사된 콜레마니 진디벌의 평균 우화율은 37.2%였으며, 우화율 제고를 위해 그늘막을 제공한 처리구에서는 54.4%, 그늘막과 수분을 공급해 준 처리구에서는63.1%의 우화율을 확인하였다. 진디벌 방사 시, 그늘막과 수분을 공급해 준다면, 무처리보다 1.69배 높은 성충의 출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