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심우정(Woo-jeong Shim),백선희(Sunhee Paik),강호수(Ho Soo Ka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이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과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지 진단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교원 양성기관 1개교, 대전과 대구에 위치한 중등교원 양성기관 2개교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교직과정, 전공과정, 교양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에 주는 도움 정도(15문항), 예비교사의 비교과 활동 참여 정도(6문항),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수준(9문항)을 묻는 문항을 포함하여 총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교양과정, 교직과정, 전공과정 순으로 그들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도움 정도는 교양과정은 보통 이상, 교직과정과 전공과정은 보통 이하였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의 비교과 활동 참여 정도는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의 글로벌역량 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글로벌교육 역량 간 관계는 교원양성기관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립 사범대의 경우, 교과 교육과정 중에서 교직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과 정적 연관이 있었으나, 교육대학교와 국립 사범대의 경우, 교직과정, 전공과정, 교양과정 모두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s related to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98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ttending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located in Gyeonggi-do and two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s located in Daejeon and Daegu.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asking about the degree of help provided by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courses, major courses, and liberal arts courses) to pre-service teachers’ global competency development(15 items),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6 items), and pre-service teachers’ global education competency level(9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y helped develop their global competency in the order of liberal arts course, teaching profession course, and major course among the curriculum. However, the level of help was above average for liberal arts courses and below average for teaching profession and major courses. Also,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below averag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global competency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global education competency was different for each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other words, in terms of one pr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among the curriculum, the teaching cour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However, in terms of one national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one national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urses, major courses, and liberal arts courses and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how to reform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better foster pre-service teachers’ global education competencies were provided.

      • KCI등재

        대학 진학 계열별 고등학생의 선수과목 이수 실태

        심우정 ( Woo-jeong Shim ),백선희 ( Sunhee P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8 교육과정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6~7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여 일반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전공계열별 필수 선수과목 이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배경 및 학교 특성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 사회, 교육계열은 자연, 공학, 의약계열에 비해 전공별 필수 선수과목 이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문계열의 경우 전공과 유관한 필수 선수과목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과목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인문, 사회, 교육계열의 필수선수 과목 이수에는 학생의 개인배경, 학교특성 요인의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자연, 공학, 의약계열 진학자들의 경우 성별, 주요교과목의 수업 이해도, 고등학교의 계열, 교사의 수 등이 필수 선수과목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하여 인문, 사회, 교육계열 진학 희망자를 위한 선택과목 선정 지침서의 개발, 자연, 공학, 의약계열 진학을 계획하는 여학생들을 위한 정책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e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collected during the 6th and 7th years was used to study a pattern of high school students’ course-taking according to their college majors an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ed this patter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from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HSE) fields took fewer high school courses relevant to their college majors compared to their peer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al sciences (NEM). In particular, college students from HSE fields were less likely to choose subjects related to their college majors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NEM fields. The course-taking of NEM students was highly influenced by their understanding of subjects, high school tracks (college-bound or not), and the number of teachers at their schools. Implications for encouraging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courses that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ir college major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교육은 어떻게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가? :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전공-일 일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우정(Shim, Woo-jeong),하지영(Ha, Ji You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대졸청년층의 ‘어려운 취업-쉬운 퇴사’ 현상에 주목하여 이들의 일자리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요건으로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전공-일 일치도에 초점을 두었다. 이에, 대졸청년층의 대학교육경험이 내재적 직업가치관, 전공-일 일치도, 일자리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2019년에 조사된 한국고용정보원의 GOMS 2018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 전공교육 만족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전공-일 일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에서의 진로·취업교육 참여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내재적 직업가치관, 전공-일 일치도를 통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전공-일 일치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상기 연구결과에 터해 대학교육 차원에서 대졸청년층의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Noting the phenomenon, called tough entry, but immediate resignation among college graduates in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as precursors for the job satisfaction, which possibly results in reducing early resignation. Accordingly,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experiences, intrinsic work values, major-job fit,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KEIS’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8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college major education not onl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it through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Second, participation in career/vocational education at college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but the mediating effects through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rd,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일반계고 출신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심우정 ( Shim Woo-jeong ),백선희 ( Paik S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전문계고 졸업자의 대학진학률이 꾸준히 증가 및 유지되고 있으나 막상 이들이 대학에 진학한 후 대학에서의 생활과 학업에 제대로 적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몇 편의 선행연구에서는 이들의 대학적응이 쉽지 않다는 점을 보고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양상과 영향 요인을 체계적으로 진단한 연구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이 대학에서 어떻게 적응하며,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6차년도와 7차년도 자료에서 이 연구의 대상에 적합한 7차년도 시점에 4년제 대학에 진학한 2,13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대학전환(college transition), 대학소속감(sense of belonging), 수업참여(class participation)의 세 가지 변수로 측정하고, 이를 일반계고 출신 대학생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학전환, 대학소속감,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단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전환, 대학소속감, 수업참여는 일반계고 출신 대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수업참여에서만 나타났다. 고교 수업이해도, 학업계획수준 등 대학진학 전 특성 변수에서도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은 일반계고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탐색 교과 수강, 대학의 실용적 교육풍토, 동료학생과의 상호작용 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적응 관련 특성을 개선하고 이들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lthough the college entrance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vocational students choose to go to college and how their transition to college education unfolds. A modicum of research, drawn largely from case studies or individual episodes, has reported academic or social difficulties of vocational students in their transition to college; However, a more systematic approach analyzing representative data is needed to find factors influencing voc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us, to examine how vocational students adjust to college life and what factors affect their adjustment. Analyzing th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the study found that vocational students, compared to their general high school peers, had mor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actively in college courses. However, vocational students’ average levels of sense of belonging as well as academic adjustm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ir general high school peers.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adjustment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ffect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s. While the effects of frequent faculty-student interaction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ving frequent out-of-classroom faculty interaction did not contribute to vocational students’ college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활동 실태

        백선희(Paik, Sunhee),심우정(Shim, Woo-jeo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3

        이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활동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 9차년도의 특성화고 3학년 학생 및 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을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의 실태를 학교의 진로교육 운영과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 측면에서 진단하고,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 상 차이의 요인을 밝히기 위해 학교, 학생 개인 특성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에서 운영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로교육은 교과 및 담임교사 개별지도 형태의 진로교육과 전문상담교사, 취업컨설턴트 등 전문가를 활용한 상담 및 지도였다. 둘째, 학생 입장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진로활동의 유형은 담임교사와의 상담을 포함한 일반 진로정보 탐색 활동이었으며, 학교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을 포함하는 전문 진로정보 탐색 활동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학교에서 운영하는 진로교육은 학생의 경험과 대체로 연관되어 있었으나, 같은 학교에서 같은 진로교육 기회를 얻더라도 학생의 개인 특성, 가정배경 요인으로 진로활동 경험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의 의미와 특성화고 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We conducted a descriptive analysis using the 9th year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explored the types and extent of career education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Seoul. A serie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individual backgrounds or schoo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Our findings show that the facilities and the quantity provided by the school matched with the students’ experiences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Counseling with teachers and offering career development courses were the prevalent forms of career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One of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forms of career education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counseling with school teachers. However, our results also show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school-level factors, such as school-offered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career exploratory experiences of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ial backgrounds. The future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 KCI등재

        시나리오기반 과제형 대학생 문화민감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함은혜(Eun Hye Ham),심우정(Woo-jeong Sh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1

        이 연구는 시나리오기반 과제형 대학생 문화민감성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생 342명에게 문화적 갈등이 표출되는 가상의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개발된 채점항목에 따라 2명의 채점자가 채점하였다. 산출된 자료를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이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문화차이 인식’에 해당하는 ‘문화 갈등을 회피하지 않는다’ 였으며,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문화차이 이해․존중’에 해당하는 ‘편견 및 고정관념의 문제점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둘째, 시나리오에 따라 과제 난이도에 차이를 보였으나, 두 채점자 간 엄격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추정된 피험자들의 문화민감성 수준은 개방성 및 장애수준에 차이가 있는 사람들과의 접촉 경험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시나리오기반 과제형 문화민감성 평가도구의 활용을 위한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enario-based assess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intercultural scenario-based tasks were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freely describe their response to a culturally challenging and uncomfortable situation. 34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and each of students’ responses was rated by the two raters according to the pre-designed scoring checklist. Adopting the many-facet Rasch model, the scoring items in the checklist were tes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west in the difficulty parameter was found to be ‘not avoiding intercultural conflict’, one of the scoring items describing the stage of intercultural recognition. A scoring item in the stag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cultural differences, ‘addressing prejudice and stereotypes,’ was the highest in the difficulty parameter. Another results showed that task difficulty varied across the types of scenarios while the raters’ rig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 two raters. Lastly, the levels of college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openness an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Scholarl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우수등재

        대학생 세계이해 논술형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함은혜(Eun Hye Ham),심우정(Woo-jeong Shim),박소영(So-Young Par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세계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논술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계이해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 경제, 정치 등의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상호의존적 공동체 특성을 인식하여 국제이슈를 해석·탐구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에, 글로벌 환경에서 국가 혹은 지역 간 이해관계나 가치가 충돌하는 상황을 분석하도록 논술형 과제를 설계하였다. 대학생 340명이 논술형 과제 수행에 참여하였으며, 개발된 채점기준표에 따라 11명의 채점자가 채점하였다. 산출된 자료를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의존성 인식 영역에서 난이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지구적 가치 추구의 중요성 인식’이었으며,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다양한 입장과 견해를 고려한 갈등상황 인식’이었다. 둘째, 국제이슈 탐구 영역에서 난이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자신의 가치 제시’였고,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자신의 견해에 대한 다각적 검토’였다. 셋째, 주제유형에 따라 채점항목의 난이도가 달랐다. 구체적으로 환경·기술형 과제보다 사회·문화형 과제의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논술형 평가도구를 통해 확인된 학생들의 세계이해 수준은 문제해결 전략, 의사소통 전략과는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한 개방성 점수와는 상관이 없었다. 상기의 결과에 기반하여, 세계이해를 포함한 대학생 역량 측정 관련 후속연구 및 대학생의 글로벌역량 교육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writing tasks and a scoring rubric to measure college students’ global understanding. Global understanding in this study was conceptualized as the ability to conduct a multi-perspective analysis of global issues while being aware of interdependence in global communities. A short writing task prompted students to analyze a real-world global issue on either of two broad topic areas, one socio-cultural and the other techno-ecological, and to present their own perspective. Writings from 340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by 11 graders based on a checklist-type rubric of two scoring dimensions-global interdependence awareness and multi-perspective analytic ability. The results of a many-facet Rasch analysis showed the lowest-difficulty parameter in the dimension of global interdependence awareness was found to be ‘awareness in the importance of pursuing universal values’ while the highest in difficulty was ‘consideration of multiple perspectives.’ The item with the lowest-difficulty parameter in the multi-perspective analytic ability dimension was ‘whether to be capable of presenting own opinions,’ and the highest in the difficulty parameter was ‘whether to be able to evaluate own view in light of multiples perspectives.’ Scholarl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졸업유예는 누구에게 기회가 되는가? : 대학 소재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비교 분석

        이전이 ( Lee Jeon-yi ),심우정 ( Shim Woo-jeo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소재지(서울 vs. 지방)에 따른 대학 졸업유예의 차별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7)를 활용하였다. 졸업유예 선택으로 인한 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하였고, 임금이 취업한 사람들에게만 관측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Heckman(1979)의 2단계 표본 선택 모형(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으로 졸업유예가 취업 여부 및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취업 여부에 대한 프로빗 모형 분석결과, 졸업유예나 대학 소재지는 취업 여부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 소재지에 따른 졸업유예의 차별적 효과 역시 발견되지 않았다. 임금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졸업유예를 선택한 이들의 시간당 근로소득은 졸업유예를 선택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약 5.3% 정도 높고 서울 소재 대학 졸업생의 시간당 근로소득이 지방대 졸업생에 비해 11.7%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소재 대학 학생들이 선택한 졸업유예의 효과는 졸업유예의 평균적 효과보다 6.7% 작게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졸업유예 선택이 결과적으로 지방 소재 대학 졸업생과 서울 소재 대학 졸업생 간 임금 격차를 감소시키는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tial effect of delayed graduation by the university location (Seoul vs. regiona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GOMS 2017 data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to remove the biases due to the preselection of delayed graduation. We also adopted the 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 of Heckman (1979) considering that wages, one of our outcome variables, are observed only for those who are employ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of delayed graduation is non-significant on employment statu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delayed graduation and university location. The regression results on wages told quite a different story; the hourly earned income of those who chose to postpone graduation was about 5.3%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choose to delay graduation.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delayed graduation and university location was significant and negative, implying that regional university graduates reaped benefits by delaying their gradu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oice of delayed graduation may work as a mechanism to reduce the wage gap between graduates of local universities and graduates of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 KCI등재

        국내 교사 정체성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에서 2020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김정석(Kim, Jeongseok),심우정(Shim, Woo-jeo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이상의 학술지 논문과 석 박사학위논문을 합해 총 73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정체성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초등교사와 교과 담당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2009년 이후 연구대상이 점차 다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국내 교사 정체성 연구는 대개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반적 질적연구와 내러티브 방법이 많은 편이었다 셋째, 교사 정체성 연구는 교사 정체성을 복합적이며 유동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교사 정체성의 양상과 특성, 변화 과정 탐색을 연구주제로 삼고 있었다 넷째, 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영향요인이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습자의 반응 및 피드백(관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사 정체성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하고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and the themes of research on teacher identity published in South Korea. To this end, a total of 73 research and dissertation papers published to the journals registered at the Korea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during the periods from 2000 through 2020 were reviewed for identifying the overall trends in research methods and scope as well as analyzing major theme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thematic analysis showed that previous research paid attention to groups of teachers who are likely to be outliers and have extraordinary experiences. In Korean teacher identity scholarship, teacher identity has narrowly focused on professional or vocational side of identity, rather than the entirety of individual identity of which sub-part has the profession of teaching. As in the teacher identity research conducted outside the Korean context, Korean research also found the fluid, paradoxical nature of teacher identity that is a continuous process of coherence and incoher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고교-대학 연계에 관한 대학생 인식 탐구

        남혜선(Hyesun Nam),이현구(Hyungu Lee),심우정(Woo-jeong Shim)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는 고교-대학 연계 관점에서 대학 학업 적응과 관련된 고교의 교육 경험과 학업 성과를 비교적 최근에 고교에서 대학으로 이동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 1, 2학년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전공계열별 선수교과목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교과 학습을 통한 전공기초지식, 국어 교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초학습능력,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권장하는 수업방식과 학생주도의 활동을 통해 길러진 주도성, 사회성 등을 대학 수학과 연계되는 고교교육 경험의 지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각 연계의 지점에서 연계 정도에 대한 인식도 드러났다. 전공기초 지식 습득과의 분명한 연결고리에도 불구하고 고교 교과 이수는 대학 전공 선택과 연계되지 않았고 고교와 대학 교수학습방법의 극명한 차이는 고교-대학이 연계되기보다 단절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교육 간의 연계가 아직은 느슨함을 시사하며, 향후 대학 모집 단위 또는 전공을 기준으로 고등학교 선수과목 안내, 대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사전 안내와 오리엔테이션 강화 등과 같이 고교-대학 교육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outcomes of high schools that are perceived to contribute to college readiness and adjustment.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30 college students who recently experienced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re conducted. Our findings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ies acquired through taking Korean language courses as well as course-taking relevant to students’ field of study helped in the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at college. High school leadership and extracurricular experiences were also perceived to connect to college adjustment by enhancing the students social and human skills. A disconnect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was also noted: High school course-taking was not guided by the students’ choice of college majors or information on college learning, and education was not well provi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ink betwee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college education is yet a loose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