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treptococcus anginosus 균혈증에 동반된 상완 골수염 및 주변부 연조직 농양 1예

        한우진,조문숙,이정현,안홍대,윤규현,서종구,김진용,김수연,박윤수,서일혜,조용균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5

        Streptococcus anginosus is a normal flora found in multiple body sites and belongs to the Streptococcus milleri group, It has often been associated with pyogenic infection, such as periodontitis, endocarditis, pulmonary abscess and abdominal or cerebral abscess. Also uncommonly, it can cause osteomyelitis. A 42-year-o1d man was admitted due to gastric ulcer perforation. At 12th hospital day, left humeral osteomyelitis and soft tissue abscess developed, Streptococcus anginosus grew in blood culture, He was treated with intravenous penicillin and surgical debridement of the necrotic tissue which lead to a satisfactory result. We report a rare case of Streptococcus anginosus-induced humeral osteomyelitis and soft tissue abscess.

      • 하악골의 삼차원적, 기하형태학적 대칭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인 유사도 지수를 이용한 안면 비대칭 환자의 치험례

        한우진,최성환 대한치과교정학회 2020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Vol.10 No.3

        To evaluate the stereoscopically structural symmetry of the mandible, the landmark-based analyses that have been accustomed to two-dimensional images lik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even with three-dimensional (3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have definite limitations. The newly developed similarity index (SI) can make it easier to intuitively assess 3D mandibular asymmetry. An 18-year-old female with skeletal Class III and facial asymmetry underwent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The total treatment time was 16 months including pre-and post-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SI was used to evaluate the patient’s asymmetry of the mandible before and after surgery. The feasibility of SI could be validated in diagnosing the asymmetry before surgery and evaluating the residual asymmetry after surgery.

      • KCI등재

        동물의 뮐러-라이어 착시와 개념주의

        한우진 한국과학철학회 2020 과학철학 Vol.23 No.2

        Many conceptualists argue that only if perceivers have concepts, their perceptual experiences have content. According to nonconceptualism, however, there is perceptual content without any involvement of concepts. Nonconceptualist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Müller-Lyer illusion, a phenomenon in which one of two lines with the identical length looks longer than the other despite our knowledge of the illusion, since it implies the belief-independence of perceptions. Conceptualists contend that a concept such as ‘longer line’ is necessary for seeing one line longer. Or they can explain, by appealing to a top-down theory, that there is some influence of judgme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Müller-Lyer illusion especially in animals. Not only primates but birds and fish also have been reported to experience the illusion. I argue that conceptualists’ responses to the Müller-Lyer illusion in humans and their explanations of animals’ perception in general entail serious problems if they are applied to the Müller-Lyer illusion in animals. 다수의 개념주의자는 지각자가 개념을 소유해야만 지각 경험이 내용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개념주의에 의하면, 개념 이전에 주어지는 지각 내용이 있다. 두 직선의 길이가 같다는 지식이 있어도 끝단의 화살 방향에 따라 다른 길이로 보이는 뮐러-라이어(Müller-Lyer) 착시는 지각이 개념으로부터 독립적임을 의미하므로 비개념주의자의 관심을 받아왔다. 개념주의자는 우리가 뮐러-라이어 형태의 한 직선을 더 길게 보기 위해서는 ‘더 긴 직선’과 같은 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거나, 뮐러-라이어 착시에 관한 하향 이론을 통해 착시에 판단이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물의 뮐러-라이어 착시에 주목한다. 영장류뿐만 아니라 조류, 어류 등의 뮐러-라이어 착시가 보고되었다. 나는 인간의 뮐러-라이어 착시와 동물의 지각 경험 일반에 관한 개념주의자의 견해가 동물의 뮐러-라이어 착시에 적용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함을 논증한다.

      • KCI등재

        선 스펙트럼 주파수의 청각 적응 부호화

        한우진,김은경,오영환 한국음향학회 2000 韓國音響學會誌 Vol.19 No.8

        선 스펙트럼 주파수를 양자화하기 위한 대부분의 방법들이 가중 유클리드 거리에 기반하고 있는 반면, 본 논문에서는 청각 마스킹 효과에 기반한 에러 척도를 사용하여 선 스펙트럼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양자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noise-to-mask ratio (NMR)를 선 스펙트럼 주파수의 양자화에 적합하도록 변형한 새로운 에러 척도를 유도하고, 이를 사용하여 선 스펙트럼 주파수를 양자화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양자화하고자 하는 음성 프레임이 갖는 청각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동적으로 비트를 할당하는 적응 양자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해서 11948 프레임의 테스트 자료를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으로 각자 양자화하고 perceptually transparent frame의 비운 및 이때의 평균 비트율을 비교한 결과, 기존의 방법이 1800 bps의 비트율에서 89.9%의 perceptually transparent frame을 얻은 데 비해, 제안한 방법은 770 bps의 평균 비트율에서 95.5%의 perceptually transparent frame을 얻음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효과적임을 보였다. Line special frequency (LSF) parameters have been widely used in low bit-rate speech coding due to their efficiency for representing the short-time speech spectrum. In this paper, a new distance measure based on the masking properties of human ear is proposed for quantizing LSF parameters whereas most conventional quantization methods are based on the weighted Euclidean distance measure. The proposed method derives the perceptual distance measure from the definition of noise-to-mask ratio (NMR) which has high correspondence with the actual distortion received in the human ear and uses it for quantizing LSF parameters. In addition, we propose an adaptive bit allocation scheme, which allocates minimal bits to LSF parameters maintaining the perceptual transparency of given speech frame for reducing the average bit-rate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has shown the ratio of perceptually transparent frames and the corresponding average bit-rates for the conventional and proposed methods. By jointly combining the proposed distance measure and adaptive bit allocation scheme, the proposed system requires only 770 bps for obtaining 95.5% perceptually transparent frames, while the conventional systems produce 89.9% at even 1800 bps.

      • KCI등재

        스포츠 축제 참여자들의 동기와 만족과의 관계

        한우진 한국여가문화학회 2006 여가학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인제 레포츠축제를 중심으로 축제방문객을 대상으로 참가동기 요인과 만족의 요인을 파악하고 참가동기요인이 축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인제스포츠 축제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도구에서 사용된 축제참여동기 문항은 Beard 와 Ragheb(1980)의 여가만족도 문항과 허상현․오정학․오휘영(2002)의 관광이벤트 참여자의 동기분석에서 도출된 동기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도검증을 거친 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은 비 확률 표본 추출법 중 편의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3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주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39부를 제외한 261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3.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참여동기와 만족도를 요인화 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축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스포츠 축제 참여 동기 요인은 체험성, 일상탈출성, 친화성, 교육성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스포츠 축제 만족요인은 프로그램, 먹거리, 축제 운영 및 서비스, 축제 시설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만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 요인은 친화성(β=.212), 체험성(β=.136), 일상탈출성(β=.014)으로 나타났고, 축제 시설 만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 요인은 친화성(β=.456), 체험성(β=.247), 일상탈출성(β=.217)으로 나타났고, 축제 운영 및 서비스 만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 요인은 친화성(β=.212)으로 나타났으며, 먹거리 만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 요인은 교육성(β=.202), 친화성(β=.159)으로 나타났다.

      • 영미분석철학은 인문학인가?

        한우진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18 No.-

        Analytic philosophy, which started as a reaction to continental philosophy, tries to solve philosophical problem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arguments in terms of logic. In Korea, continental philosophers and other humanities researchers have regarded analytic philosophy as a sort of natural science. Human science, which has found its identity in denying scientific approaches to qualitative subjects, does not seem to have a relation to analytic philosophy. This paper first reviews a short history of analytic philosophy and big problem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nd then explains its nature as a successor of philosophical traditions, asking fundamental questions with the reflexive attitude through critical thinking. Many humanities researches are too unflexible against scientific approaches to problems which belongs to human science. Analytic philosophy, which asks fundamental questions and has the open critical mind, teaches us that human science should be critical about its attitude against natural science. 19세기 이후 대륙철학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한 영미분석철학은 논리학을 바탕으로 논증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철학적 문제를 해결한다. 우리나라의 인문학자들에게 분석철학은 인문학이 아니라 과학과 유사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질적 영역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거부에서 자기정체성을 찾아왔던 인문학과 분석철학은 잘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본 글은 분석철학사와 동시대 분석철학의 주요 흐름을 검토한 후, 근본학으로서 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태도에 철저한 분석철학의 성격을 규명한다. 여러 인문학자들은 인문학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에 지나치게 경직된 모습을 보인다. 분석철학의 근본학으로서의 성격과 열린 비판 정신은 인문학이 과학을 대하는 스스로의 태도까지 비판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