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술사업화 역량이 중소기업 지원정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원정책 선호도의 조절효과 분석

        최정미,김장훈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2

        Research Purpose: As one of the government’s key policies related to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Chungcheongbuk-do is promoting the national innovation cluster nurturing project to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the growth of regional cluster companies and the advancement of representative industries.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71 samples were obtain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intelligent high-tech parts industry located within the National Innovation Cluster. Results in Research: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manufacturing production capability, and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SME education support preference, information provision support preference, product manufacturing support preference, as moderating variables, supportability, SME support policy outcome, Contribution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investigated. Research Conclusion: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etwee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outcomes.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국가혁신클러스터 내에 위치한 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중소기업 지원정책 성과를 연구하였다. 기술사업화 역량으로 제품개발능력, 제조생산능력, 사업화능력을독립변수로, 중소기업 지원정책 선호도인 교육지원, 정보제공지원 및 제품제작지원 선호도를 조절변수로, 지원정책 만족도인 기여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총 71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사업화 역량인 제품개발능력, 제조생산능력, 사업화 능력은 지원정책 만족도인 기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소기업 지원정책 중교육지원 선호도는 사업화 눙력과 기여성과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정보제공지원 선호도는 제품개발능력, 제조생산능력, 사업화능력과 기여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제품제작지원 선호도는제품개발능력과 기여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부(-)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제품개발능력이 높을수록 시제품제작의 완성도도 높아지는 점에서 제품제작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클러스터 소재 첨단부품 중소기업에 적합한 정보제공과 역량향상 교육이 선행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는 기업성장 및 산업발전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할것이라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조직문화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여향 -종업원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정미,백상미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6

        조직문화는 조직 특성이 반영된 조직 내의 보편화 된 생활양식으로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신념·가치관·인지·행위규범·행동양식 등을 통틀어 말한다(Armstrong. 2006). 조직문화와 관련하여 재택근무, 유연근무제, 자유로운 복장 규정 등은 구성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만족도를 증대시킬 것이라는 기대하에 시행되지만, 기업 전체의 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종업원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연·재량형 문화는 총자산증가율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고하여 유연·재량형 조직문화가 기업의 성장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와 수익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연·재량형 문화와 안정·통제형 문화는 모두 총자본순이익률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으며, 종업원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직문화가 종업원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연·재량형 문화는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종업원 1인당 매출액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고하여, 유연·재량형 조직문화가 종업원 생산성 증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업원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생산성과 같은 재무성과가 달라진다는 분석결과를 보고함으로써 기업이 설정한 재무목표에 따라 적합한 조직문화 유형을 추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성원이 인지한 문화와 만족도가 재무적으로 조직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업이 추구 해야 할 조직문화 유형이 기업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Organizational culture is a common lifestyle that each organization has unique, and when talking about beliefs, values, cognition, norms of behavior, and behavior patterns that most members have in common (Wagner et al. 2005), telecommuting, flexible work, and free dress codes are implemented with the expectation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of members, but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on how they affect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entire compan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lexible and discretionary culture repor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otal asset growth rate, indicating that the flexible and discretionary organizational culture helped the growth of compan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i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both flexible and discretionary culture and stable and control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capital return, and employee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employee productivity, it was found that flexible and discretionary culture repor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value-added per employee and sales revenue per employee, and it suggests that flexible and discretionary organizational culture helped increase employee productivity.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helpful to pursue an appropriat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ccording to the financial goals set by the company by reporting the analysis results that 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growth,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company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culture and satisfaction perceived by members on the entire organization and individual productivity were confirmed, respectively, helping to predict how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ompanies should pursue affect the future of the company.

      • KCI등재후보

        핀터의 정적극 『풍경』: 비언어적 적막과 인물의 내면세계

        최정미 신영어영문학회 2023 신영어영문학 Vol.85 No.-

        Landscape, a static play belonging to Harold Pinter’s middle period, diverges from his earlier works in terms of mood, style, and technique. The dialogue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play serves to filter and distort memories, highlighting the clear lack of mutual communication and empathy. The story revolves around a middle-aged couple, Beth and Duff, who find themselves immersed in daydreams about deeply personal and subjective experiences. Despite physically occupying the same space, their minds wander elsewhere, fixating on different subjects and perspectives. As a result, frequent moments of silence necessitate an exploration of their significance alongside their spoken lines. The nonverbal silence seems to be related to the character’s lack and unfulfilled desire in the real world. Thu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nonverbal language employed in the play and delve into the inner world of the characters in relation to these moments of silence.

      • 식·음료 제조기업의 광고선전비 지출과 가치관련성

        최정미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3 경상논총 Vol.15 No.1

        본 연구는 광고선전비 지출이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식·음료 제조업과 일반제조업의 광고선전비 가치관련성이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기업가치를 구성하는 장부가치와 이익정보의 가치관련성에도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분석한다.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식·음료 제조업과 일반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광고선전비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광고선전비는 제조업 전체에서 주가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가치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음료 제조업은 일반제조업에 비해 광고선전비의 가치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시장에서 업종별로 광고선전비 지출에 대한 평가가 차별적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가 갖는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음료 제조기업의 광고선전비 지출 동기와 회계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R&D나 실물투자를 통해 장기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선전비 지출을 통해 매출을 확대하는 행위가 가치관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식·음료 제조업은 광고선전비 지출비중이 높기 때문에 해당 산업과 기업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회계기준의 제·개정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며 관련연구를 풍부히 하는데 도움이 된다.

      • KCI등재

        The Strategic Financial Reporting: Evidence from Directors’ and Officers’ Liability Insurance

        최정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7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5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inancial reporting strategy and the directors’ and officers’ liability insurance. Since D&O insurance protects officers and directors against the risks of shareholder litigation, it is possible that, because of moral hazard, managers will b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opportunistic financial reporting such as earnings manipulation when they are covered by a generous D&O insurance policy. 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D&O insurance and financial reporting, specifically whether the purchase of D&O insurance affects earnings manipulation. On the other side, the firms engage earnings management are willing to purchase D&O insurance, this study tests whether earnings manipulation affects D&O purchases using listed firms in Korean stock market from 2006 to 2008. This paper finds that firms with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are less likely to purchase D&O insurance implies that managers who are participating in earnings manipulation are not willing to purchase D&O insurance. Th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 D&O is significantly negative which indicate D&O insurance purchase does not trigger earnings manipulation rather it alleviates opportunistic reporting behavior.

      • KCI등재

        전공직무 유용성이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최정미,백상미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3

        잡코리아의 설문조사(2017)에 따르면 전공의 직무유용성이 높고, 전공의 직무기여도가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영학 전공자를 대상 으로 직장 만족도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고자, 경영학 전공자의 전공직무 유용성이 직장 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교육에 있어 경영학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경 영학 교육과정 설계 및 진로 지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경영학 전공자 의 전공직무 유용성은 타 전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경영학 교육이 타 전공에 비해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을 교육하고 있으며, 취업에도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전 공직무 유용성은 직장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 전공직무 유용성이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 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다. 특히 경영학 졸업자의 경우 전공직무 유용성이 증가할수록 전반적인 만족도, 평판 만족도, 복리후생 만족도가 모두 증가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학 전공자의 경우 전공직무 유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 나은 직장에 취업하거나 이직할 가능성이 높아 지고, 좋은 대우를 받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해석된다. 경영학 전공자의 전공직무 유용성이 타 전공자에 비해 높고, 전공직무 유용성이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쨰, 대학에서 전공직무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중심적 교육은 직장 만족도를 증가시켜 취업가능성을 높이고 이직희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종업원의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함으로써 채용시 지원자의 전공에 따라 직무배치를 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다. 둘째,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은 전공선택과 수강과목을 결정함에 있어 직무유용성이 높은 전공 또 는 과목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등교육의 방향과 청년 취업률을 높이기 위 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According to a survey by Job Korea (2017),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usefulness of the major and the higher the job contribution of the major, the more positive the job satisfaction w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job usefulness of business majors affects job satisfaction. It will be helpful to design curriculums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university, and and career guid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had higher job usefulness compared to other majors. This suggests that the current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provides the knowledge required in practice compared to other majors, and can be advantageous for employment. In addition, major job useful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major job usefulnes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usiness graduates, overall satisfaction, reputation satisfaction, and welfare benefit satisfaction all increased as the usefulness of the major increased.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business majors being treated favorably and are more likely to get a better job or change job as their major job usefulness increase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reporting the results that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have higher job usefulness than other majors, and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with higher major job usefulness. First, practice-oriented education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major jobs in colleges can help increase job satisfaction, increase job prospects, and reduce job turnover. From the company's point of view, it will be helpful in assigning jobs according to the applicant's major at the time of recruitment by understanding th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Second, college students who wish to find a job after graduation will be helpful in selecting a major or subject with high job usefulness in choosing majors and taking courses. Finally, it is helpful in establishing policies to increase the direction of higher education and increase the youth employment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