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노구조 분석을 위한 하나로 40m 소각중성자산란장치 개발

        최성민,김태환,이지환,한영수,이창희,Choi Sung-Min,Kim Tae-Hwan,Lee Ji-Hwan,Han Young-Soo,Lee Chang-Hee 한국진공학회 2005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4 No.3

        소각중성자산란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은 물질의 내부 나노구조 분석에 매우 중요한 실험방법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30MW HANARO 연구용 원자로의 냉중성자 연구시설에 설치하기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원과 한국원자력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 중인 40m SANS장치의 개념설계 결과를 보고한다. 장치의 설계 최적화를 위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40m SANS 장치의 주요설계 인자를 결정하였다. 40m SANS 장치의 가능한 Q-range는 $0.0005\;\AA^{-1}-1.0\AA^{-1}$ 이며,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SANS Q-range에 해당된다. 각 Q-range에 따른 시료위치에서의 중성자 속을 계산하였으며 전산모사에 사용된 냉중성자원이 구현될 시 세계적 수준의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is a very powerful techniques for nanostructure characterization. In this paper, we report the conceptual design and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40 in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insoument which is being developed by KAIST and KAERI for installation at 30 MW HANARO research reactor. For the optimal design of 40 m SANS, a series of computer simulation were pe.to.mod. The Q-.ange of the 40m SANS inst.ument is $0.0005\;\AA^{-1}-1.0\AA^{-1}$ which is a world top-class SANS Q-range. When the cold neutron spectrum used in the simulation is realized, the neutron flux at sample position is expected to be comparable to the current state-of-art SANS instrument in the world.

      • KCI등재후보

        치과용 지르코니아 블럭의 착색시간에 따른 색조변화 관찰

        최성민,남상용,Choi, Sung-Min,Nam, Sang-Yong 대한치과기공학회 2011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33 No.3

        Purpos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color change of dental zirconia block with respect to the block coloring time. Methods: Three types of dental zirconia blocks(Zirtooth, Pearl-HT, D-Max) were tinted with coloring agent under four different time condition (0 minutes, 1 minutes, 10 minutes, 30 minute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tinted dental zirconia blocks was conducted with spectrophotometer. Results: The Zirtooth and D-Max blocks showed lower H value. The Pearl-HT blocks showed poor reflectivity(L value). Conclusion: The study of color change of zirconia block, which consists the substructure of all ceramic Crown, is applicable for deciding appropriate coloring condition when fabricating one layer ceramic Crown or double layer ceramic Crown.

      • KCI등재

        네트워크 코딩의 병렬처리 성능비교

        최성민,박준상,안상현,Choi, Seong-Min,Park, Joon-Sang,Ahn, Sang-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9 No.4

        네트워크 코딩(Network Coding)은 통신망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이의 소프트웨어적 구현은 부호화/복호화 단계에서 매우 큰 지연시간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줄일 수 있는 병렬화된 구현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랜덤 리니어 네트워크 코딩(Random Linear Network Coding)과 랜덤 리니어 네트워크 코딩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 제안된 파이프라인 네트워크 코딩(Pipeline Network Coding)의 병렬처리 성능을 비교한다. 또한, 네트워크 코딩의 CPU에서의 병렬처리 기법과 GPGPU(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s)에서의 병렬처리 기법을 비교하여 네트워크 코딩의 사용 시 그 파라미터에 따라 적절한 병렬처리 기법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Network coding has been shown to improve various performance metrics in network systems. However, if network coding is implemented as software a huge time delay may be incurred at encoding/decoding stage so it is imperative for network coding to be parallelized to reduce time delay when encoding/decoding.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parallelized decoders for random linear network coding (RLC) and pipeline network coding (PNC), a recent development in order to alleviate problems of RLC. We also compare multi-threaded algorithms on multi-core CPUs and massively parallelized algorithms on GPGPU for PNC/RLC.

      • KCI등재

        수열법으로 성장한 ZnO Nanorod/ZnO/Si(100)의 특성

        정민호,진용식,최성민,한덕동,최대규,Jeong, Min-Ho,Jin, Yong-Sik,Choi, Sung-Min,Han, Duk-Dong,Choi, Dae-Kue 한국재료학회 2012 한국재료학회지 Vol.22 No.4

        Nanostructures of ZnO, such as nanowires, nanorods, nanorings, and nanobelts have been actively studied and applied in electronic or optical devices owing to the increased surface to volume ratio and quantum confinement that they provide. ZnO seed layer (about 40 nm thick) was deposited on Si(100) substrate by RF magnetron sputtering with power of 60 W for 5 min. ZnO nanorods were grown on ZnO seed layer/Si(100) substrate at $95^{\circ}C$ for 5 hr by hydrothermal method with concentrations of $Zn(NO_3)_2{\cdot}6H_2O$ [ZNH] and $(CH_2)_6N_4$ [HMT] precursors ranging from 0.02M to 0.1M. We observed the microstructure, crystal structure, and photoluminescence of the nanorods. The ZnO nanorods grew with hexahedron shape to the c-axis at (002), and increased their diameter and length with the increase of precursor concentration. In 0.06 M and 0.08 M precursors, the mean aspect ratio values of ZnO nanorods were 6.8 and 6.5; also, ZnO nanorods had good crystal quality. Near band edge emission (NBE) and a deep level emission (DLE) were observed in all ZnO nanorod samples. The highest peak of NBE and the lower DLE appeared in 0.06 M precursor; however, the highest peak of DLE and the lower peak of NBE appeared in the 0.02 M precursor.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se phenomena as results of the better crystal quality and homogeneous shape of the nanorods in the precursor solution of 0.06 M, and as resulting from the bed crystal quality and the formation of Zn vacancies in the nanorods due to the lack of $Zn^{++}$ in the 0.02 M precursor.

      • KCI등재

        사회적 질병으로서의 화병(火病)과 치유의 가능성

        최성민 ( Choi¸ Sung-m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2 문학치료연구 Vol.62 No.-

        화병(火病)은 분노가 누적된 질병을 말하며, ‘울화병’이라고도 한다. 화병은 억울한 마음과 분노를 바깥으로 드러낼 수 없을 때 걸리게 되는 질병이다. 본 연구는 ‘화병(火病)’이 현대 한국 사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화병을 창으로 삼되, 그 창의 한 편에는 문학 작품을 두고 다른 한 편에는 우리 사회 현실을 두게 될 것이다. 누군가가 화병을 앓고 있다는 표현은 한 사회 내에 억울함과 분노를 겪는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이러한 인물들과 현실의 신문 기사들을 통해, 우리 사회문화의 어떤 것들이 화병의 원인으로 작용했는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 우리 역사에서 화병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난다. 1960년대는 전쟁과 실향의 상처가 화병으로 표출되고, 1970년대에는 노동자의 고통이 화병으로 드러난다. 1980년대는 광주와 민주화가 남긴 상처가 화병이 되었다. ‘화병’은 우리 사회의 역사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지어 보아야 하는 대상이다. 역사의 맥락 위에서 화병을 바라볼 때, 우리는 화병을 앓고 있다고 하는 환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우리가 결국 바라봐야 하는 것은 질병 그 자체가 아니라, 사람과 사회이다. 문학 작품 속에서 화병을 앓고 있는 인물을 발견하고 공감하는 일은 그래서 중요하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공감과 연대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은 화병을 치유하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Hwabyung (火病), also called “UlHwabyung (鬱火病),”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anger accumulates that occurs when a person is unable to express resentment and anger. This study proposes that “Hwabyung” can be a window through which to observe modern Korean society. We will use Hwabyung as a spear, with literary works on one side and the reality of our society on the other. The expression that someone is suffering from “Hwabyung” means that there are people who suffer from resentment and anger in a society. Through these characters in literary texts and real-life newspaper articles, we will be able to glimpse what factors in our society and culture acted as the cause of the Hwabyung. In the 20th century, Hwabyung was represented in variety of ways reflecting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e 1960s, the wounds of war and displacement were expressed as a person suffering from Hwabyung. In the 1970s, the pain of laborers was also revealed by it. In the 1980s, the wounds left by the Gwangju Uprising and the democratization process gave rise to Hwabyung. “Hwabyung” is closely related to our society’s history. When we look at Hwabyung in this context, we can hear the voices of patients suffering from it. This is because what we must ultimately look at is not the disease itself, but the people and society. It is important to find and sympathize with a person suffering from Hwabyung in novels. Reading literary texts and sharing feelings of empathy and solidarity will be the first step in healing Hwabyung.

      • KCI등재

        고온용융압출 기술을 적용한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및 용출시험에서의 계면활성제의 농도의 영향

        최성민(Sung-min Choi),전용구(Yong-Koo Jeon),이주현(Ju-Hyun Lee),강진양(Chin-Yang Kang),박준범(Jun-Bom Park) 대한약학회 2019 약학회지 Vol.63 No.6

        Solid dispersions (SDs) were manufactured by hot-melt extrusion (HME) technology to enhance the solubility of the poorly soluble drugs (fenofibrate, celecoxib and cilostazol). Soluplus and Kollidon VA64 were selected as polymers due to their thermoplastic and hydrophilic behaviors. The SDs with three types of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APIs) were prepared using a twin-screw HME system, at three processing temperatures. To check drug release behaviors and solubility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a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paddle method per the US Pharmacopeia Apparatus II. Distilled water with 0.5% sodium lauryl sulfate (SLS) was used as dissolution media. The extrudates containing fenofibrate and celecoxib showed enhanced drug release profiles compared to the APIs alone. However, in case of cilostazol, the extrudate had a lower dissolution rate than the API. To solve this phenomenon, the dissolution test was continuously performed by changing the amount of SLS. As a result, the drug release from the extrudate with cilostazol was higher than cilostazol alone in the dissolution media containing 0.1% SLS. Based on this result, the dissolution medium containing 0.1% SLS or less was considered as more suitable media than containing 0.5% SLS solution, which is mentioned in the cilostazol US Pharmacopeia (USP) monograph.

      • KCI등재

        현대 신화 스토리텔링의 프로세스 -< 라이프 오브 파이 >와 < 빅 피쉬 >를 통하여-

        최성민 ( Sung Min Choi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5 No.-

        <라이프 오브 파이>는 파이라는 인물이 침몰한 배에서 살아남아 표류하게 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펼쳐지고, <빅 피쉬>는 에드워드 블룸이라는 인물이 겪은 기이한 경험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영화이다. 이 인물들의 모험담은 지극히 신화적이며 판타지적인 이야기다. 그리고 두 영화는 이 이야기를 중층적인 서술구조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두 영화의 판타지는 진실과 거짓의 경계에서 형성되어 있다. <라이프 오브 파이>에서 파이는 침몰 사고에 대한 조사관들에게 호랑이와 표류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하지만 그들이 이 이야기를 믿지 않자 두 번째 이야기를 해야만 했다. <빅 피쉬>에서 아들 윌은 아버지 에드워드에게 진실을 이야기할 것을 요구한다. 아들은 아버지의 이야기는 온통 거짓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버지의 죽음을 앞두고, 아들은 결국 아버지의 거짓 이야기를 완성하는 서술자 역할을 맡게 된다. 이 두 영화의 판타지는 결국 영웅적 신화의 이야기를 ‘믿음’의 영역으로 가지고 오게 만들었다. 두 영화가 펼쳐놓은 판타지는 영화의 결말에 이르러 상징계적 질서 안으로 봉합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는 현대의 신화가 탄생하여 담론화되면서 사회의 질서이자 원리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 Life of Pi 〉 is mainly about Pi who had survived from a sunken ship. 〈Big Fish〉 is mainly about Edward Bloom`s amazing experiences. Both lives of Pie and Edward are fantastic and mythical stories and also full of bizarre happenings. In [Life of Pi] a novelist listens to the story of Pi and he quotes that story. In [Big Fish], the stories are belong to Dad(Edward Bloom) but mainly we are delivered the story by the Son(Will Bloom). The fantasies of these two movies are standing on the edge between truth and falsehood. Pi from 〈Life of Pi〉 told the accident inspectors drift with a tiger but the inspecto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tory. Pi should told them another story. The son from 〈Big Fish〉 regarded his father`s story totally fake. However facing his father`s last moment the son completed father`s fake story. These two movies bring heroic myth into the territory of faith. In the territory of faith, the myth is sutured by the order of the symbolic. In this process, modern myth becomes social order and principle. This study exposed myth by showing this process.

      • KCI등재

        우리나라 정맥의 마루금 등산로 훼손에 관한 연구1a -금남, 금북, 낙남, 한남금북정맥을 대상으로 -

        최성민 ( Sung Min Choi ),권형근 ( Hyeong Keun Kweon ),이준우 ( Joon Woo Lee ),최윤호 ( Yeon Ho Choi ),최태진 ( Tae Ji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맥의 마루금 등산로 훼손실태를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등산로의 훼손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물리적 인자 12가지를 조사하고 조사자가 등산로의 건전여부를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남금북정맥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 정도는 평균노폭이 78㎝, 최대침식깊이의 평균값은 6.4㎝, 평균경사는 20.8% 였으며, 금북정맥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 정도는 평균노폭이 73㎝, 최대침식깊이의 평균값은 7.3㎝, 평균경사는 20.0%로 나타났다. 낙남정맥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 정도는 평균노폭이 73㎝, 최대침식깊이의 평균값은 6.7㎝, 평균경사는 17.7%이며, 금남정맥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정도는 79㎝, 최대침식깊이의 평균값은 6.7㎝, 평균경사는 19.7%로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백두대간 및 국립공원의 훼손 실태와 비교하여 볼 때, 정맥의 훼손은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도심권을 통과하는 지역과 관광지 주변의 등산로는 훼손이 심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이용객의 증가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한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관리가 요망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terioration state and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for the trails of Jeongmaek ridge. To find the extent of the deterioration, researchers investigated twelve physical factors and they examined the states of the trails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tent of the damages to the trails of the Hannam Geumbuk-Jeongmaek ridge was 78㎝ in breadth, 6.4㎝in depth, 20.8% in slope, the extent of the damages to the trails of the Guembuk-Jeongmaek ridge was 73㎝ in breadth, 7.3㎝ in depth, 20.0% in slope. And the extent of the damages to the trails of the Naknam-Jeongmaek ridge was 73㎝ in breadth, 6.7㎝in depth, 17.7% in slope, the extent of the damages to the trails of the Guemnam-Jeongmaek ridge was 79㎝ in breadth, 6.7㎝ in depth, 19.7% in slope,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relatively goo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damages to the trails that run through the urban areas and tourist attractions had become worse than in the past. Therefore, in the regions where the number of comers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detailed monitoring and proactive management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