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ative Study on the Fauna Composition of Intertidal Invertebrates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Substrata in the Northeastern Coast of Jeju Island

        차재훈,김광배,송지나,김인수,서정빈,권철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Ocean science journal Vol.4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earn about differences in the sessile macrobenthic fauna communities between the artificial and natural habitat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species composition and dominant species and community structure between two habitat types. The dominant species include Pollicipes mitella and Granuilittorina exigua in natural rocky intertidal zones; Monodonta labio confusa, Ligia exotica, Tetraclita japonica in the artificial rocky intertidal zones. Among all the species, L. exotica and T. japonica occurred only in the artificial rocky intertidal zone.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and nMDS analysis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i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rocky intertidal zones. The fauna in the natural rocky intertidal zon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 fauna in the artificial rocky intertidal zones were divided depending on the slope of the substratum. In the case of a sloping tetrapod, M. labio confusa and P. mitella were dominant, but at the vertical artificial seawall, Cellana nigrolineata, L. exotica T. japonica were dominant. The analysis of the species presented in natural and artificial rocky intertidal areas showed the exclusive presence of 10 species on natural rocks and 12 species on artificial rocks. The species in the natural rocky intertidal area included mobile gastropods and cnidarians (i.e. rock anemones), and the species in the artificial rocky intertidal area mostly included non-mobile attached animals. The artificial novel structure seems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heterogeneity of habitats for marine invertebrate species and an increase the species diversity in rocky coastal areas.

      • KCI등재후보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외래환자의 통계적 관찰

        차재훈,김윤범,남혜정,Cha, Jae-Hoon,Kim, Yoon-Bum,Nam, Hae-Jeong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7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0 No.3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 of new outpatients in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 Methods : We did stastical analysis about 4638 new outpatients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 in Kyunghee oriental medicine center from January 1, 2004 to December 31, 2006 and had ophthalmologic, otologic, rhinologic, laryngologic and dermatologic disease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ophthalmology, otology, rhinology, laryngology and dermatology classification in new outpatients was 44.74% in dermatology the most, 26.50% in rhinology, 14.45% in otology, 8.78% in ophthalmology, 5.54% in laryngology. In all classifications except ophthalmology, outpatients increased, but the proportion of outpatients increased the most in dermatology. 2. The proportion of the new outpatients in ophthalmology was 20.15% in 51-60 years old the most. And 36.61% in dry eye the most, next 27.03% in visual disorder, 10.07% in strabismus. The proportion of the new outpatients in ophthalmology in strabismus decreased by 43.93 percent point but in dry eye increased by 32.17 percent point. 3. The proportion of the new outpatients in otology was 24.94% in 61+ years old the most. And 64.03% in tinnitus, hearing loss the most, next 17.46% in vertigo, dizziness. By 17.36 percent point, it in tinnitus, hearing loss decreased. But in vertigo, dizziness increased by 14.91 percent point. 4. The proportion of the new outpatients in rhinology was 40.93% in 0-10 years old the most. And it increased by 20.08 percent point. 69.30% in rhinitis the most but it decreased by 17.70 percent point. But 32.59% in sinusitis, that means it increased by 14.41 percent point. 5. The proportion of the new outpatients in laryngology was 68.09% in female, 23.35% in 51-60 years old the most. And it was 29.96% in laryngopharyngitis, 19.07% in stomatitis, 14.40% in the diseases of tongue. 6. The proportion of the new outpatients in dermatology was 37.21% in 21-30 years old the most.And it was 22.93% in atopic dermatitis the most, next 14.77% in urticaria. That means it increased by 8.19 percent point. But the proportion of the new outpatients in dermatology decreaed in acne, pruritus. Conclusions : We could know that there had been many changes of new outpatients in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

      • 쌍무적 협상에 있어서 협상영향력 규정요소 : 미·파나마운하협상과 미·일전신전화자재개방협상

        차재훈 경기대학교 2000 論文集 Vol.44 No.1

        사실 국제관계에서의 협상연구는 협상주체나 의제별 연구 그리고 국제체계의 특성 및 협상구조에 대한 연구 등 특정 협상자의 전략 전술적 행태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외교협상력 부재를 볼 때 우선 시급한 협상력 제고를 위한 대안적 모색이 무엇보다 시급히 요청되고 있어 무엇이 협상의 실패와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인가 특히, 협상력 구성에 영향요인 문제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상황별 협상대상자간의 의제경합과 협상력 변화관계를 비교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파나마운하협상과 미·일전신전화기기자재개방협상사례 분석을 통해 협상력제고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협상은 대개 문제가 없는 상태보다는 갈등이나 이해조정을 필요로하는 곳에 그 필요여지를 남긴다고 할 때 갈등과 이해대립을 조정하기위한 협상모멘트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갈등관계에 있는 두 당사자간 이해조정은 평화스러운 합리적 의사결정과 교환과정을 거쳐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동원하여 하나라도 더 자신의 이익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며 자신의 역량이 다소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순간 차선의 양보를 통해 합의과정을 모색하게된다. 문제는 언제 양보하고 얼마만큼 양보할 때 최대의 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냐하는 양보의 전략적 선택과 협상력 효용이 관건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최근 논의되고있는 우리의 외교·협상력 확보를 위한 문제를 분석하고자 했다. 우리의 협상력 부재의 원인과 그 한계를 논의하는데는 여러 방법이 있겠으나 여기서는 네가지 점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첫째, '협상의 힘(협상력)' 혹은 '외압'의 대칭성과 비대칭성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고자 했다. 누가 누구에게 어떤 문제를 강제하거나 정책행동의 변화를 요구하는 외압은 항상 일방통행적인지? 아니면 상호간에 교환되는지에 대한 문제를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양방향적 외압의 작용환경과 효용을 평가하기 위한 하위단위의 분석틀 개발을 지적하고자 했다. 둘째, 협상력 규정요소를 무엇으로 규정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두었다. 즉, 협상진행과정을 분석함에 어느 요소는 협상를 촉진시키는데 기능하고 어떤 요소는 기능하지 않았는가를 변별하고자 했다. 셋째, 협상사례를 분석함에 협상 상대국이 협상에 어떻게 나오는가에 대한 모멘트를 분석하고자 했다. 협상자는 언제 무엇을 외압요인으로 인식하며, 인식할 때 어떤 협상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만약 협상자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주제가 바뀌면 협상자는 같은 유형을 보이는지 등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고자했다. 마지막으로 협상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고자 했다. 성공이냐, 실패냐의 기준이 단순히 협상에서의 합의(Agreement)와 같은 산출물에 근거해서는 않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했다. 합의를 협상성공의 기준으로 하기위해서는 합의가 가져올 미래의 변화와 효과가 기반이 되어야한다. 그러나 미래협력을 규정하는 기본합의문처럼 협력조항이 복잡하고 그 의미가 너무 포괄적이면 그 실행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협상담당자의 합리적 협상행태와 협상결과에 대한 보다 다차원적인 평가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협상력 증대를 위한 조직 매니지먼트

        차재훈 한국협상학회 2002 협상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한국이 시행착오를 겪었던 외교 · 통상협상의 구조적 문제와 한계점을 비판하기 보다는 협상력 제고를 위한 시사점과 그 정책대안 마련에 초점을 두고자 했다. 따라서 협상력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한 복잡한 개념적 논의는 다루지 않는다. 대신 곧 닥치게 될 북핵관련 협상이나 주요 대외통상압력 등 협상력 제고를 위한 조직차원의 세 가지 과제에 국한시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협상력제고를 위해서는 형태적, 전략 · 전술적 차원, 조직차원 등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우선 조직차원의 문제에 국한시키고자 했다. 조직차원의 세 가지 과제란 첫째, ‘집행적 차원의 조직합리성’ 문제를 우선 분석하고자 했다. 여기서는 개인의 합리성과 조직의 합리성간의 문제를 통해 협상력 제고에 필요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했다. 둘째, 협상력 증대방안으로서 ‘정책회로(Policy Network)’의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 통상압력이 개시되면 특정 문제에 대해 부서간 이해대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외협상 매뉴얼 마련과 동시에 조직내부 이해관계를 조정할 내부협상 매뉴얼 문제를 분석하고자 했다. 셋째, ‘정책유산’의 문제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는 협상을 담당하는 행정조직의 선호와 협상형태의 기술을 결정하는 경험적 역사에 관한 문제이다. 과거 미국으로부터의 통상압력이나 대북 협상경험이 있는 조직이나 개인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과거를 재해석하거나 상대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협상 매뉴얼’을 구성한다고 한다. 문제는 정책발전과 협상대안을 유도하는 구조적 요인으로서 ‘정책구조’와 ‘정책유산’이 어디에 축적이 이루어져있는가를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개발하고 축적된 수단을 모으는 일이 중요하다. 행정부 내의 인사개혁이 개혁성 위주로 가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흩어져있는 협상경험과 정책수단의 축적만이 효과적인 협상력 제고에 기여한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Korea's negotiation strategy whether in bilateral or in multilateral trade negotiation by reassessment of formal organization body. To defend our claim that organizational context matters, and to provide a preamble to the parts that follow. Reassessment of organizational context contributes to the strategy of negotiation. First,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social contextualist perspective encompasses a set of core ideas about negotiation process and outcomes. Second,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articulates a set of values about the importance of conceptualizing individuals as fundamentally and essentially social decision makers. Relatedly no one method can adequately capture all of the soci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along which negotiations vary.

      • KCI등재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for Overvoltage Phenomenon under Islanding Conditions in an AC Microgrid

        차재훈,오진홍,Philemon MAHIRANE,박경원,안홍선,권경민,김재언 대한전기학회 2018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13 No.2

        Distributed generation (DG) is being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for future power supplies, and the number of DG systems connected to conventional power systems is steadily increasing. DG generators are designed using power electronics and can give rise to various power quality problems, such as overvoltage or overcurrent. Particularly, unintentional islanding operation can occur in a conventional power system when the power grid is separated from the DG systems. Overvoltage may occur in this situation, depending on the power generation and power consumption. However, overvoltage phenomena might not happen even when islanding occ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ult characteristics during islanding. In this study, a fault analysis of islanding operation was carried out using PSCAD/EMTDC, and a countermeasure for the overvoltage problem is proposed.

      • KCI등재후보

        지루성 피부염의 최신 지견

        차재훈,남혜정,김희정,박외숙,김규석,김윤범,Cha, Jae-Hoon,Nam, Hae-Jeong,Kim, Hee-Jeong,Park, Owe-Suk,Kim, Keoo-Seok,Kim, Yoon-Bum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6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19 No.3

        Seborrheic dermatitis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red, flacking, greasy lesions in regions rich in sebaceous glands.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seborrheic dermatitis and dandruff. Considering all available data, we consider seborrheic dermatitis and dandruff to be differing severity manifestations of similar origin. The known etiologies of seborrheic dermatitis are the abnormality of lipid and hormnes, Malassezia species, immune response. We recently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seborrheic dermatitis and HIV positive and AIDS patients, seborrheic dermatitis and neurological disease. The treatments of seborrheic dermatitis include topical treatments, oral treatments. There are non-specific agents, antifungal medication, corticosteroids in the topical treatments. Narrow band UVB and oral medications are known as the prophylaxis of seborrheic dermatitis but we need further study.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literature studies and case reports have been published. But we don't know what herbal medicine has antifungal effect against Malassezia species. So we should discriminate herbal medicines which have antifungal effect against Malassezia specieses. Then we could treat seborreic dermatitis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