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분자 유전학적 방법에 의한 Human Astrovirus 감염의 유병률

        정주영,허경,김상우,신보문,한태희,이재인,송미옥,Chung, Ju-Young,Huh, Kyung,Kim, Sang Woo,Shin, Bo Mun,Han, Tae Hee,Lee, Jae In,Song, Mi-O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2

        목 적: Human astrovirus (HAstV)는 전세계적으로 영아 연령에서 중요한 위장관염의 중요 병원체로 알려지고 있지만 국내에서 HAtV 감염의 유병률에 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에 저자들은 분자 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이하의 소아에서 HAstV의 유병률과 유전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12개월간 인제의대 상계백병원 소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수집된 대변 검체 812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변 검체에 대해서 enzymeimmunoassay(EIA) 또는 RT-PCR을 이용하여 rotavirus, enteric adenovirus와 norovirus 감염여부를 진단하였다. HAstV 특이적인 시발체를 이용하여 RTPCR을 시행한 다음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총 812건의 검체에서 rotavirus 양성률은 16.9% (138/812), norovirus 양성률은 11.5% (94/812), adenovirus 양성률은 4.0% (33/812)였다. HAstV의 유병률은 RT-PCR 방법에 의해 4.0% (33/812)였다. HAstV 양성인 환아의 연령은 생후 12개월 미만 82.0%, 1~2세 미만 6.0%, 2~3세 미만 6.0%, 3~5세 이하가 6.0%였다. HAstV의 월별 분포는 각각 4월 3건, 5월 5건, 6월 4건, 8월 12건, 9월 4건, 10월 2건, 11월 2건, 12월 1건으로 8월에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염기서열 분석이 가능하였던 HAstV 양성 검체 22건 중에서 유전형-1이 20건, 유전형-8이 2건이었다. 결 론: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12개월간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HAstV 감염 유병률은 4.0%였으며, 영아기 연령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국내 HAstV 감염의 정확한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Human astrovirus (HAstV) is known to be an important etiologic agent of acute gastroenteritis in infants worldwide. However, the prevalence of HAstV infection varies according to geographic region and patient ag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HAstV infection among hospitalized children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Methods: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hospitalized children up to five years of age with acute gastroenteritis. A total of 812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between February 2004 and January 2005. Fecal specimens were screened for rotavirus, enteric adenovirus and norovirus by enzyme immunoassay (EIA) or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HAstV positive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RT-PCR. Results: Rotavirus was detected in 16.9% (138/812), norovirus in 11.6% (94/812), and adenovirus in 4.0% (33/812) of the study population. HAstV was detected in 4.0% (33/812) samples by RT-PCR. The age distribution of HAstV positive patients was as follows: <12 month old, 82.0% (27/33); 1~2 years old, 6.0% (2/33); 2~5 years old, 12.0% (4/33).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HAstV positive samples was as follows; April (3), May (5), June (4), August (12), September (4), October (2), November (2), and December (1). The peak rate of HAstV infection was observed during the summer season, 2004. A mixed infection of viral agents was confirmed in 2.7% (22 /812) of the study population, most commonly with rotavirus and norovirus, and with rotavirus and HAstV. Genotype 1 was the predominant type (91%, 20/22) and genotype 8 was detected in two cases.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HAstV infection was 4.0%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and was especially high in infants. HAstV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tiologic agent of gastroenteritis in children.

      • SCOPUSKCI등재

        소아에서 전자현미경으로 확진된 Cryptosporidiosis 2례

        정주영,배선환,고재성,조희승,서정기,지제근,채종일,이순형,Chung, Ju-Young,Bae, Sun-Hwan,Ko, Jae-Sung,Cho, Hui-Seung,Seo, Jeong-Kee,Chi, Je-Geun,Chai, Jong-Yil,Lee, Soon-Hy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1

        저자들은 15세 된 남아와 8세된 남아에서 C. parvum에 의한 위장관염 2례를 경험하였으며 전자 현미경상으로 확진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국내에서도 소아의 설사질환의 원인으로서 cryptosporidiosis에 대한 임상의들의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Cryptosporidiosis is an intestinal disease caused by the protozoan Cryptosporidium parvum. The most common manifestation in human is enteric symptoms, which in immunocompetent hosts are self-limiting but can be life threatening in immunocompromised hosts, characterized by profuse watery diarrhea, abdominal pain, severe weight loss. It's prevalence rate in immunocompetent host is variable by geographic locations (3~11%) but up to 15~40% in AIDS patients. Now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enteropathogens causing diarrhea not only in immunocompromised but also in immunocompetent hosts, especially in children.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ryptosporidiosis in a 15 year old boy who was admitted due to diarrhea, abdominal pain and fever and in a 8 year old boy who was admitted due to watery diarrhea and vomiting. These are the first clinical cases of cryptosporidiosis confirmed by electron microscopy of the colonic mucosa among immunocompetent children in Korea.

      •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소아의 위점막에서 Lewis 항원의 발현

        정주영,임성직,한태희,Chung, Ju-Young,Lim, Seong Jig,Han, Tae Hee 대한소아감염학회 200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4 No.1

        목 적 : Lewis b($Le^b$) 항원과 BabA 단백은 H. pylori가 위점막에 부착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 H pylori 감염에 대한 위점막의 면역 반응은 성인에서의 반응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Le 항원의 발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국내 소아 H. pylori 양성 환자의 위점막에서 Le 항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상부 위장관 증상 때문에 소아과를 방문하여 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전정부에서 최소한 2개 이상의 조직 검체를 생검하여 CLO 검사와 조직 특수 염색(Warthin-starry) 검사를 각각 시행하여 모두 양성인 경우에 H. pylori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H. pylori 양성 35명과 H. pylori 음성 19명의 위점막 파라핀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여 cagA, babA2 특이 시발체를 이용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위점막 생검 조직을 대상으로 $Le^a$, $Le^b$, $Le^x$와 $Le^y$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다음 각각의 Le 항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H. pylori 양성 환자에서 $Le^a$ 항원은 60%(21명/35명), $Le^b$ 항원 97%(34명/35명), $Le^x$ 항원 88%, $Le^y$ 항원은 100%에서 발현이 확인되었다. H. pylori 음성 환아군에서는 $Le^a$, $Le^b$, $Le^x$ 및 $Le^y$ 항원이 각각 52%, 100%, 89%, 100%에서 발현되었다. H. pylori 양성 유무에 따른 $Le^b$ 항원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CagA 및 babA2 유전자는 H. pylori 양성 환자군 중 각각 65.7%(23명/35명), 25.6%(8명/35명)에서 확인되었다. Lewis 항원들의 발현에 따른 H. pylori 감염, cagA 양성 및 babA2 양성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국내 소아의 위점막에서 높은 $Le^x$와 $Le^y$ 항원의 발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H. pylori 감염 및 babA2의 양성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Lewis 항원 이외의 다른 점막 수용체들과 세균 독소들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Lewis antigen has been known to have a role in the attachment of H. pylori to the gastric mucosa, but its expression pattern in children with H. pylori infection is still unclear. The recently described blood group antigen-binding adhesin BabA is known to mediate adherence of H. pylori to Lewis B receptors on gastric epithelium.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Lewis antigen in gastric mucosa of Korean children with H. pylori infection. Methods : The expression of Lewis A ($Le^a$), B ($Le^b$), X ($Le^x$), and Y ($Le^y$) was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H. pylori positive biopsy specimens from 35 children (antral gastritis in 30, peptic ulcer in 5) and in H. pylori negative specimens from 19 children. PCR assays for cagA and babA2 gene of H. pylori were performed. Results : We confirmed the expression of $Le^a$ in 60%, $Le^b$ in 97%, $Le^x$ in 100%, and $Le^y$ in 100% of the superficial epithelium of the 35 H. pylori positive children. In H. pylori negative patients, $Le^a$, $Le^b$, $Le^x$, and $Le^y$ expression was 52%, 100%, 89%, and 100%, respectively. The cagA gene was detected in 65% and babA2 gene in 25% of 35 patients. No differences in neutrophil activity and chronic inflammation were foun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agA and babA2 genes in H. pylori. Conclusion : $Le^b$, $Le^x$ and $Le^y$ antigen were highly expressed in gastric mucosa of Korean children, but they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tatus of H. pylori infection and the positivity of babA2 gene. Further studies for other mucosal receptors and toxins are needed to define the immune responses to H. pylori infection in gastric mucosa of Korean children.

      • SCOPUSKCI등재

        복강 내에 위치한 식도 중복성 낭종 1례

        정주영,박동철,Chung, Ju-Young,Park, Dong-Chul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2

        Esophageal duplication cysts are quite uncommon benign lesions of the esophagus that have previously been described as occurring only in the thoracic cavity.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completely intra-abdominal esophageal duplication cyst in a 10-year-old boy who has suffered from epigastric abdominal pain. Surgical excision is recommended at the time of cyst discovery whether symptoms present or not.

      • SCOPUSKCI등재

        선천성 양측 성대마비와 13번 염색체 장완 결실이 동반된 비증후군성 간내담도부족증 1례

        정주영,이정수,김병의,최명재,박동철,김상우,강경훈,Chung, Ju-Young,Lee, Jeong-Soo,Kim, Byung-Eoi,Choi, Myung-Jai,Park, Dong-Chul,Kim, Sang-Woo,Kang, Kyung-Hoo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1

        Nonsyndromic intrahepatic bile duct paucity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several kinds of etiology such as infection, chromosomal anomaly, metabolic disease and idiopathic. We report a rare case of intrahepatic bile duct paucity with congenital b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and 13q deletion.

      • 소아에서 호기내 수소검사를 이용한 유당 흡수장애 유병률

        정주영,배선환,최광해,고재성,서정기,Chung, Ju-Young,Bae, Sun-Hwan,Choi, Kwang-Hae,Ko, Jae-Sung,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1

        목적: 국내 소아에서 유당 흡수장애 유병률이 변화하는 연령을 파악하고 생리적 용량의 db당부하 호기 수소검사 시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8년 5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서울의 초등학교 및 유치원 한 곳, 어린이집 두 곳의 건강한 소아를 대상으로 표준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는 생후 25개월에서 96개월까지 총 129명(남아 75명, 여아 52명), 생리적 용량의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는 생후 25개월에서 84개월까지 총 126명(남아 72명, 여아 51명)에서 시행하였다. 호기 검체는 공복시 기저치, 유당부하 60분, 120분 후에 각각 수집하여 Model 12i Microlyzer (Quintron,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표준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에서 유당 흡수장애의 유병률은 생후 25~36개월에서 7%, 생후 37~48개월에서 19%, 생후 49~60개월에서 35%, 생후 61~72개월에서 55%, 생후 73~84개월에서 82%, 생후 84~96개월에서 80%였다. 2) 표준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에서 유당불 내성의 유병률은 생후 25~36개월에서 0%, 생후 37~48개월에서 9%, 생후 49~60개월에서 17%, 생후 61~72개월에서 22%, 생후 73~84개월에서 41%, 생후 84~96개월에서 70%였다. 3) 생리적 용량의 유당부하 호기내 수소검사에서 생후 25개월부터 84개월까지 총 126명의 소아중 한 명에서만 유당 흡수장애를 보였으며 유당불 내성은 한명도 없었다. 결론: 한국인 소아의 유당 흡수장애 유병률은 생후 37개월부터 60 개월에 증가하며 생후 72개월 이후에는 성인의 유병률에 도달하게 된다. 유당 흡수장애군에서도 생리적 용량의 유당을 포함한 우유의 섭취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e of onset and the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in early childhood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study of lactose malabsorption by breath hydrogen test in healthy children aged between 25~96 months old. Standard lactose loading (2 g lactose/kg, maximum 40g) test was done in 129 children and cow's milk (10 mL/kg) loading in 126 children followed by breath sampling of 60 and 120 minutes after the loading. An increase above baseline of 20 ppm or more was used as a criteria for positive responses. Results: The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was 7% in 25~36 months old, 19% in 37~48 months old, 35% in 49~60 months old, 55% in 61~72 months old, 82% in 72~84 months old, 80% in 85~96 months old children. Only 1% of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result in breath hydrogen test after the cow's milk challenge.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was increased between 37 months and 60 months of age, reached to adult level of prevalence after 72 months of age. When physiological dose of lactose was used as the challenge, the number of lactose malabsorbers become clinically insignificant.

      • KCI등재후보

        정상 소아와 간염 환자에서 Transfusion-Transmitted Virus의 감염상태와 유전자형

        정주영,한태희,황응수,고재성,서정기,Chung, Ju Young,Han, Tae Hee,Hwang, Eung Soo,Ko, Jae Sung,Seo, Jeong 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5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8 No.2

        목 적: Transfusion-transmitted virus는 간염과의 연관성이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특정 유전형이 원인불명의 간염 병원체로 작용하거나 다른 간염 바이러스와 중복 감염되어 임상 경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 B형 간염, C형 간염 및 원인 불명의 간염 환자의 TTV DNA 양성률과 유전형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간 기능이 정상인 소아 88명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B형 간염 환자 14명, C형 간염 환아 12명, 2001년 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인제의대 상계백병원을 방문한 원인 불명의 간염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의 혈청 검체를 대상으로 N22 시발체를 이용한 PCR과 5'NCR 시발체를 이용한 PCR을 시행하였다. 또한 TLMV DNA 검출을 위한 seminested PCR을 시행 하였다. N22 primer를 이용한 PCR 양성 산물을 대상으로 염기서열의 직접 분석이 시행되었다. 결 과: 1) N22 시발체를 이용한 TTV DNA 양성률은 대조군에서 11.3%, 간염군에서 19.6%였다(p=0.105). B형 간염의 28.5%, C형 간염의 25%, 원인 불명의 간염 24%에서 TTV DNA가 양성이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5'NCR 부위 시발체를 이용한 TTV DNA 양성률은 대조군에서 32.9%, 간염군에서 54.9%였다. B형 간염의 71.4%, C형 간염의 50%, 원인 불명의 간염 48%에서 TTV DNA가 양성이었다. B형 간염 환자군에서 양성률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p=0.008). 3) 5'NCR 부위 시발체를 이용한 TLMV DNA양성률은 간염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각각 29.4% (15/51명), 48.9% (43/88명)였다. B형 간염 21.4% (3/14), C형 간염 16.6% (2/12), 원인 불명의 간염 환자에서 40% (10/25)였다. 4) 염기 서열 분석: N22 시발체를 이용해서 PCR 반응 산물 중 총 29예(간염 환자 8명, 대조군 11명)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1 유전형은 10예(52%)였고 이 중 G1a형이 7예였다. G2 유전형은 3예, G3 유전형은 2예였으며 나머지는 정확한 분류가 되지 않았다. 결 론: 국내 소아에 감염된 TTV 유전형 중 가장 흔한 것은 G1형이었다. TTV DNA 양성률은 대조군과 원인 불명의 간염군 간에 차이는 없었으며, B형 간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Purpose: Transfusion transmitted virus (TTV) is a newly discovered virus and to date the contribution of TTV to liver disease remains unclear. Little is known about the frequency of TTV infection in childre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genotypic distribution of TTV carried by healthy children and patients with hepatitis in Korea. Methods: Eighty eight of healthy children and three groups of patients with hepatitis-1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12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and 25 patients with hepatitis of unknown etiology-were tested. TTV DNA was detected by semi-nested PCR using primer sets generated from N-22 region and from 5' noncoding region (NCR) of the viral genome. PCR products derived from 8 patients with hepatitis and from 11 healthy children were sequenced and a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Results: TTV was found by PCR with N22 primer in 11.3% of healthy children, 28.5% of children with hepatitis B, 25% of children with hepatitis C, 24% of children with hepatitis of unknown etiology. TTV DNA was found by PCR with 5'NCR primer in 32.9% of healthy children, 71.4%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 50% of patients with hepatitis C and in 48% of patients with hepatitis of unknown etiology. TLMV DNA was found in 48.9% of healthy children, 21.4% of patients with hepatitis B, 16.6% of patients with hepatitis C, 40% of patients with hepatitis of unknown etiology. Among the sequenced isolates, 10(52%) belonged to genotype 1 (G1) and others belonged to genotype 2 (G2) or genotype 3 (G3). Among the G1 sequences, 7 were grouped as G1a. Conclusion: TTV infection was common in healthy children and in patients with hepatitis. But, the prevalence of TTV DNA by 5'NCR primer was relatively high in patients with hepatitis B and there may be some association between TTV and hepatitis B virus infection. G1 was the major genotype of the studied population.

      • Human coronavirus infection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정주영,한태희,김상우,구자욱,황응수,Chung, Ju-Young,Han, Tae Hee,Kim, Sang Woo,Koo, Ja Wook,Hwang, Eung-Soo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200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4 No.1

        목 적 : 지금까지 코로나바이러스는 대부분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며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 발견된 코로나 바이러스인 hCoV-NL63와 hCoV-HKU1는 하부 호흡기 질환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임상적 의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폐렴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에서 최근에 발견된 hCoV-NL63과 hCoV-HKU1을 포함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6년 3월부터 2007년 1월까지 폐렴으로 상계백병원에 입원한 소아에게서 비인두 흡인물을 수집하였다. Multiplex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RSV, influenza A, influenza B, parainfluenzavirus 및 adenovirus 감염을 진단하였으며, F 유전자 시발체를 이용한 nested RT-PCR에 의해 hMPV 감염을 진단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하기 위해 hCoVNL63, hCoV-OC43, hCoV-229E 및 hCoV-HKU1에 각각 특이적 시발체를 이용하여 nested RT-PCR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217명의 입원한 15세 이하의 폐렴 환아에게서 수집한 비인두 흡인물에서 multiplex PCR 방법에 의해 RSV 양성은 32명, hMPV는 18명, parainfluenza virus는 10명, influenza virus A는 2명, adenovirus는 6명에서 양성이었다. RT-PCR에 의해 hMPV 양성은 18명에서 확인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T-PCR 방법에 의해 8명 (3.7%)에서 양성이었으며, hCoV-229E 1명, hCoV-NL63 3명, 그리고 hCoV-OC43가 4명에서 검출되었다. 하지만 hCoV- HKU1는 연구 대상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결 론 : 아직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최근에 발견된 hCoV-HKU1와 hCoV-NL63은 폐렴으로 입원한 국내 소아에서 임상적인 중요성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Human coronanviruses (hCovs) including hCoV-229E and hCoV-OC43 have been known as etiologic agents of the common colds and were regarded as clinically insignificant agents. However, recent identification of hCoV-NL63 and hCoV-HKU1 in children with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has evoked the clinical concerns about their prevalence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se hCoVs in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CoVs in children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Methods : From March 2006 to January 2007, nasopharyngeal specimens collected from children hospitalized with pneumonia, were tested for the presence of common respiratory viruse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luenza A, influenza B, parainfluenza viruses, and adenovirus) using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Human metapneumovirus (hMPV) infection was excluded by nested RT-PCR using primers for the F-gene. To detect the different strains of hCoVs, nested RT-PCR assays specific for hCoVNL63, hCoV-OC43, hCoV-229E, and hCoV-HKU1 were performed. Results : Out of the 217 nasopharyngeal aspirate from children aged under 15 year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was detected in 32 patients, hMPV in 18, human parainfluenza virus in 10, influenza virus A in 2, and adenovirus in 6. HCoVs were detected by RT-PCR in 8 (3.7%) of the 217 patients, hCoV-229E in 1, hCoV-NL63 in 3, and hCoVOC43 in 4 patients. HCoV-HKU1 was not detected in this study population. Conclusion : Recently identified hCoV-NL63 and hCoV-HKU1 seemed to have a little clinical significance in Korean children with severe or hospitalized community-acquired pneumonia.

      • 소아의 Transfusion Transmitted Virus-Like Minivirus 유병률

        정주영,한태희,Chung, Ju Young,Han, Tae Hee 대한소아감염학회 200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1 No.2

        목 적 : TTV는 인체 감염이 확인된 최초의 circovirus로 간염을 유발할 가능성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TLMV는 최근에 발견된 circovirus로 TTV보다 작지만 유사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TLMV 감염의 성인 유병률은 약 70%인 것으로 알려지지만 소아의 유병률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국내 소아의 TLMV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12월까지 인제의대 상계 백병원 외래를 방문한 환아중 TTV DNA에 대한 PCR이 시행되었던 88명의 혈청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TLMV의 5'NCR(noncoding region) 특이적 시발체를 이용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1라운드 PCR은 M1359, M1365 시발체를 사용하여 $94^{\circ}C$ 10분, $94^{\circ}C$에서 40초, $60^{\circ}C$에서 40초, $72^{\circ}C$에서 50초, $72^{\circ}C$에서 10분의 조건에서 55회 시행하였다. 최종 산물 $2{\mu}L$에 M1360, M1366 시발체를 사용하여 1라운드와 동일한 조건에서 PCR을 55회 시행하였다. TLMV PCR 양성이 나온 10건에 대해 직접 염기 서열 분석과 계통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소아 전체 연령에서 TLMV 감염 유병률은 49%였다. 연령별 유병률은 생후 1세 미만은 36%, 1~3세는 62%, 4~6세는 43%, 7~9세는 16%, 10~15세는 66%였다. 전체 소아의 22%에서 TTV와 TLMV의 혼합 감염이 확인되었다. TLMV PCR 산물 10건에 대한 염기 서열 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른 나라의 TLMV 염기 서열과 많은 차이가 났다. 결 론 : 국내 소아의 TLMV 유병률은 49%로 비교적 높았으며 TLMV와 TTV와 혼합 감염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TLMV의 유전형이 다른 나라와 큰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transfusion transmitted virus(TTV) is a circular DNA and consists of diverse genotypes and variants. The pathogenecity of TTV is still unclear. Recently another circular single stranded DNA virus, distantly related to TTV was isolated from the sera of blood donors, designated as Transfusion transmitted virus like minivirus(TLMV). TTV and TLMV show greater sequence divergence from each other than between genotypes of TTV. We planned to know the prevalence of TLMV in children. Methods : TLMV DNA was detected by PCR primers from noncoding region of the genome in 88 children without hepatitis, aged 0~15 years. PCR products derived from 10 children were directly sequenced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undertaken. Results : TLMV DNA was detected in 49% of 88 children without hepatitis. The prevalence of TLMV varied with age : <1 y, 16%(4/25); 1~3 y, 62%(18/29); 4~6 y, 43%(7/16); 7~9 y. 16%(1/6); 10~15 y, 66%(8/12). Mixed infection with TTV was confirmed in 22% of 88 children. Pyhlogenetic analysis of 10 TLMV sequences showed much heterogeneity compared to sequences of GenBank. Conclusion : TLMV prevalence in children was 49% in Korean children. Our TLMV sequence did not cluster in any sequence of TLMV in the GenBank.

      • KCI등재

        세균이 중복감염된 Herpetic Whitlow 1례

        정주영,김상우,Chung, Ju-Young,Kim, Sang-W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9

        저자들은 헤르페스 잇몸입안염을 앓던 3세 소아에서 분비물이 동반된 손끝 염증소견을 보여 처음에는 세균성 손톱주위염으로 생각되었으나 이후 세균이 중복감염된 헤르페스 손끝염으로 진단되었던 1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of the hand in children occurs after auto-inoculation from herpetic gingivostomatitis or herpes labialis. Herpetic whitlow should be suspected based on clinical signs. Diagnosis can be made by PCR or virus culture. Many misdiagnosed cases suggests that this disease is not sufficiently known. Surgical interventions may be harmful and should be avoided. We report a case of herpetic whitlow with bacterial superinfection in a three-year-old gir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