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of Primary Cutaneous Melanoma: a Multicenter Study in Korea

        김정은,보영,심창윤,박아영,이종석,황규왕,영립,김혜원,박천욱,이성열 대한의학회 2019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4 No.16

        Background: Malignant melanoma is a cutaneous malignancy with a high mortality rate and high potential for metastas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cutaneous melanoma is currently limited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rimary cutaneous melanoma in Korean patients, and to assess which prognostic variables could influence both the development of metastases in primary cutaneous melanoma and overall survival (OS). Methods: A total of 261 patients diagnosed with primary cutaneous melanoma in seven medical centers between 1997 and 2017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with regard to clinical presentation, localization of the tumor, histopathologic subtype, and survival time. Results: The nodular histologic subtype, ulceration, and Breslow thicknes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etastasis; and overweight and obesity (body mass index > 2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Breslow thickness. The location of the metastases appeared to influence OS: brain metastases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st risk of death, followed by gastrointestinal, lung, and extra-regional lymph node metastases. Conclusion: In this study, tumor thickness, nodular histologic subtype, and ulceration predicted metastatic spread of primary cutaneous melanoma. In addition, OS was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of metastases. Obesity was related to the prognosis of primary cutaneous melanoma. Clinicians should bear these findings in mind when forming a diagnosis because of the risk of a poor prognosis.

      • KCI등재

        A Study of Optimized MRI Parameters for Polymer Gel Dosimetry

        조삼주,정영립,이상훈,허현도,최진호,박성일,심수,권수일,Cho, Sam-Ju,Chung, Young-Lip,Lee, Sang-Hoon,Huh, Hyun-Do,Choi, Jin-Ho,Park, Sung-Ill,Shim, Su-Jung,Kwon, Soo-Il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2 의학물리 Vol.23 No.2

        최신 방사선 치료 및 수술 기법에는 복잡한 3차원적 선량분포를 정확히 측정하는 실용적 선량분석 기기 및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에서 제작한 겔을 방사선 치료 영역에서 선량계로 활용하기 위해 최적화된 자기공명영상 변수 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각 자기공명영상 획득 조건에서 TE 시간 TR 시간, 영상 두께, 코일 등을 달리하여 조건 별로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고, 선량불확도 및 선량 분해능을 도입하여 본 연구에서 찾은 조건에 대해 평가하였다. 8% 젤라틴(300 bloom, Sigma-Aldrich, USA), 8% MAA (Metaacrylic acid, Sigma-Aldrich, USA), 10 mM THPC (tetrakis hydroxymethyl phosphonium, Sigma-Aldrich, USA), 그리고 0.05 mM HQ (Hydroquinone, Sigma-Aldrich, USA) 농도의 조성비를 가진 정상산소 중합체 겔을 실험실에서 합성하였다. 방사선 선량 전달은 Co-60 감마선 조사기 (Theratron-780; AECL, Ottawa, Canada)를 사용하였고 고체 팬텀을 사용하여 중합체 겔에 각각 0, 2, 4, 6, 8, 10, 12, 14 Gy의 선량을 전달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장치의 특성상 T2 시간을 얻기 위해서는 fast spin echo 파형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Head Coil이 SNR이 Body coil 보다 낮아 선량 불확도가 우수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일부 문헌에서는 Body coil이 영상 균일도가 우수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Head coil이 선량 불확도 및 선량 분해능이 모든 선량 영역에서 Body coil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TR 시간 연구에서 TR 1,500 ms와 TR 2,000 ms 간의 차이는 선량분해능에서 모두 큰 차이가 없으나 TR 1,500 ms가 조금 낮은 선량 불확도 값을 갖는 것을 보았다. MR 영상 두께가 2.5 mm일 경우 모든 TE 시간에 대해 4 Gy에서 가장 낮은 선량 불확도 값을 가졌다. 특히 TE 12 ms 경우 4 Gy 이후에는 가장 낮은값의 결과를 얻었다. 선량 불확도의 경우 6 Gy까지는 TE 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이후에는 TE 12 ms가 가장 나은 결과를 얻었다. 선량 불확도의 겨우 6 Gy까지는 모든 TE 시간에 대해 차이가 미미하나 8 Gy 이상에는 20 ms가 가장 우수한 선량 분해능 값을 가졌다. 선량 분해능 값 역시 NEX 3에서 가장 우수한 값을 가졌고 2 NEX일 때 가장 높은 분해능 값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 영상 두께와 NEX의 결과는 영상 두께가 얇은 경우 NEX가 높을수록 우수한 결과를 얻었고 영상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NEX가 낮아야 함을 확인했다. In order to verify exact dose distributions in the state-of-the-art radiation techniques, a newly designed three-dimensional dosimeter and technique has been took strongly into consideration. The main purpose of our study is to verify the optimized parameters of polymer gel as a real volumetric dosimeter in terms of the various study of MRI. We prepared a gel dosimeter by combing 8% of gelatin, 8% of MAA, and 10 mM of THPC. We used a Co-60 gamma-ray teletherapy unit and delivered doses of 0, 2, 4, 6, 8, 10, 12, and 14 Gy to each polymer gel with a solid phantom. We used a fast spin-echo pulse to acquire the characterized T2 time of MRI. The signal noise ratio (SNR) of the head & neck coil was a relatively lower sensitivity than the body coil; therefore the dose uncertainty of head & neck coil would be lower than body coil's. But the dose uncertainty and resolution of the head & neck coil were superior to the body coil in this study. The TR time between 1,500 ms and 2,000 m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e resolution, but TR of 1,500 ms showed less dose uncertainty. For the slice thickness of 2.5 mm, less dose uncertainty of TE times was at 4 Gy, as well, it was the lowest result over 4 Gy at TE of 12 ms. The dose uncertainty was not critical up to 6 Gy, but the best dose resolution was obtained at 20 ms up to 8 Gy. The dose resolution shows the lowest value was over 20 ms and was an excellent result in the number of excitation (NEX) of three. The NEX of two was the highest dose resolution. We concluded that the better result of slice thickness versus NEX was related to the NEX increment and thin slice thickness.

      • KCI등재
      • KCI등재

        청색모반과 유사한 임상소견을 보인 Bednar 종양

        김경오 ( Kyung O Kim ),가희 ( Ga Hee Jung ),영립 ( Young Lip Park ),황규왕 ( Kyu Uang Whang ),이종석 ( Jong Suk Lee ),이성열 ( Sung Yul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15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3 No.4

        Bednar 종양은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의 드문 색소성 변형으로, 대부분 융기성 판이나 결절의 형태를 보이나 드물게 위축성 병변을 보여 임상적 진단에 혼란을 주는 경우가 있다1. 31세 남자 환자가 등 오른쪽 상부에 발생한 무증상의 청색 위축성 색소반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병변은 내원 2년전에 발생하여 점차 크기가 커졌으며, 중심부에는 단단한 결절이 촉지되었다(Fig. 1A). 환자의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 사항은 없었으며, 외상 병력 또한 없었다. 등의 청색병변에서 조직검사 시행하였고,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진피와 피하지방층에 경계가 불명확한 종양세포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비교적 일정한 크기의 밀집된 방추세포 다발이 멍석모양(storiform) 배열을 하고 있었고 유사분열과 비정형의 핵을 가진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멜라닌색소를 함유한 세포가 주변에 존재하였다(Fig. 1B, C).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상 종양 세포들은 CD34 항원에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S-100 단백에서는 음성 소견을 보였다(Fig. 1D, E). 이상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Bednar 종양으로 진단하고 광범위 절제술 및 부분층 피부이식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7개월이 경과한 현재 재발의 소견 없이 추적관찰 중이다. Bednar 종양은 1957년 Bednar에 의해 신경섬유종의 한변형인 나선형 신경섬유종(storiform neurofibroma)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나, 임상 양상 및 조직학적 소견이 융기성 피부섬유육종과 유사하여 현재는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의 한 변형으로 여겨지고 있다2. 주로 20대부터 40대 젊은 성인에서 발생하며, 몸통과 팔다리의 근위부에 호발한다2. 임상적으로는 한 개의 결절이 수 년동안 일정한 크기로 지속되거나 서서히 크기가 증가하면서 여러 개의 융합된 결절로 이루어진 종괴를 형성하는 융기성 피부섬유육종과 동일하며, 드물게는 결절없이 위축된 반흔의 병변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3,4. 현재까지 국내 문헌상 보고된 Bednar 종양은 총 5례가 있으며, 대부분의 증례에서 종양은 융기된 종괴의 형태로 보고되었으나 Lee 등1이 보고한 1예에서 종양이 밤알 크기의 함몰된 위축성 병변으로 나타났다(Table 1).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표피는 특이 소견이 없거나 위축을 보이고 비교적 일정한 크기의 방추형 세포가 밀집되어 서로 얽힌 띠 형태의 특징적인 나선형 멍석모양 배열을 보이며 특징적으로 멜라닌을 함유한 수지상 세포들이 종양의 중심부나 심부에 산재해 있다5. 병변은 주로 진피에 보이고 경계는 명확해 보이나 인접한 진피와 피하조직으로 침범되며 경우에 따라 근육층까지 침범될 수 있다5. 본 증례는 일반적인 Bednar 종양이 융기성 판이나 결절의 형태를 보이는 것과 다르게 중심부에 결절을 동반한 융기되지 않은 위축성 청색반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예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청색모반과 유사하게 보이는 융기되지 않은 위축성 청색반 형태의 경우에도 Bednar 종양을 생각할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해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특징적인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전립선 치료용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 시스템을 위한 MR 호환 변환자 구동장치 시제품 성능 평가

        서현관(Hyunkwan Seo),이규찬(Kyu-Chan Lee),신지연(Jiyeon Shin),연재(Yeonjae Jeong),고광연(Kwangyeon Ko),오창현(Changhyun Oh),황성관(Sungkwan Hwang),김민영(Minyoung Kim),김희원(Heewon Kim),이정준(Jungjoon Lee),정영립(Yeonglip Jeong)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스템(HIFU)은 체내 병변의 한 점에 초음파 에너지를 모아 섭씨 60~100도의 발열을 유발하여 양/악성 종양을 괴사시키는 원리로 치료하는 시술이다. HIFU 치료는 비침습적 시술이므로 고통이 최소화되고, 정상조직에 해를 주지 않으므로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전립선 치료를 위해 MRI 가이드 HIFU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프로브를 직장에 삽입하여 HIFU를 전립선에 조사하는 방식이다. 볼륨을 가진 전립선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변환자를 미세하게 전/후진 및 회전하도록 해야 하며, MRI 환경하에서 사용되므로, MR 호환되는 변환자 구동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압으로 변환자를 구동하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변환자 구동 정확도를 성능 평가한 결과를 발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