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 건설이 주변지역 지하수 흐름계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구민호,Jeong, Soo-Jeong,Koo, Min-H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2 지하수토양환경 Vol.17 No.3

        Visual MODFLOW, a three dimensional groundwater flow model,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a weir construction in an alluvial stream on the nearby groundwater flow system. A hypothetical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 groundwater level and the water budget could change after a weir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ributary streams. A site example, dealing with the Juksan weir installed in the Yeongsan River, was also demonstrated to predict the effects of the weir construction. Model results show that impacts of a weir construction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greatly vary depending on how far a tributary is located and whether it is located downstream or upstream from the weir. Therefore,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ributaries in planning the location of a weir could effectively minimize the impacts of a weir construction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model results are highly dependent upon how the model is dealing with small tributaries and agricultural drainage channels, which can be easily found nearby the main streams, acting as major water bodies for groundwater discharge. The model for the Juksan area shows that the weir construction will change the direction of groundwater flow in some areas, leading to changes of groundwater quality and interaction of the Yeongsan River to the aquifer from a gaining to a losing stream. The model also predicted the areas where rise of groundwater level caused by the Juksan weir could adversely affect plant growth, and thereby suggested installing new drainage channels as a countermeasure to drawdown the groundwater level.

      • KCI등재

        Light I-V 곡선을 이용한 결정질 태양전지의 이상계수와 직렬 저항 특성 분석

        정수정,김수민,강윤묵,이해석,김동환,Jeong, Sujeong,Kim, Soo Min,Kang, Yoonmook,Lee, Hae-seok,Kim, Donghwan 한국재료학회 2016 한국재료학회지 Vol.26 No.8

        With the increase in installed solar energy capacit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of solar cel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production. Therefore, research on determ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is being actively pursued. In this study, a diode equation, which is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I-V behavior and determin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was applied.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od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light I-V measurements. Thus, using a commercial screen-printed solar cell and an interdigitated back-contact solar cell, we determined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with a modified diode equation method for the light I-V curves. We also used the sun-shade method to determine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of the samples. The values determined using the two methods were similar. However, given the error in the sun-shade method, the diode equation is considered more useful than the sun-shade method for analyz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cause it determines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the light I-V curves.

      • KCI등재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 전극의 패턴에 따른 전류 밀도 및 특성 저항 변화에 대한 영향과 효율 변화

        정수정,신승현,최동진,배수현,강윤묵,이해석,김동환,Jeong, Sujeong,Shin, Seunghyun,Choi, Dongjin,Bae, Soohyun,Kang, Yoonmook,Lee, Hae-seok,Kim, Donghwan 한국재료학회 2017 한국재료학회지 Vol.27 No.10

        In commercial solar cells, the pattern of the front electrode is critical to effectively assemble the photo generated current. The power loss in solar cells caused by the front electrode was categorized as four types. First, losses due to the metallic resistance of the electrode. Second, losses due to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electrode and emitter. Third, losses due to the emitter resistance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emitter. Fourth, losses due to the shading effect of the front metal electrode, which has a high reflectance. In this paper, optimizing the number of finger on a $4{\times}4$ solar cell is demonstrated with known theory. We compared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and fill factor to evaluate the power loss from the front metal contact calculation result. By experiment,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J_{sc}$), taken in each pattern as 37.61, 37.53, and $37.38mA/cm^2$ decreased as the number of fingers increased. The fill factor(FF), measured in each pattern as 0.7745, 0.7782 and 0.7843 increased as number of fingers increas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iciency(Eff) was measured in each pattern as 17.51, 17.81, and 17.84 %. Throughout this study, the short-circuit current densities($J_{sc}$) and fill factor(FF)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in the front metal pattern. The effects on the efficiency of the two factors were also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정수정,임걸,고유,심현애,김경연,Jeong, Su-Jeong,Lim, Keol,Ko, Yu-Jung,Sim, Hyun-Ae,Kim, Kyung-Yeon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온라인 또는 원격교육의 특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85개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콘텐츠 유형, 상호작용 유형, 콘텐츠 유형과 상호작용 유형의 조합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유형에서 반복연습형 및 도구형 등 빈도는 높은 반면, 모의실험과 문제해결형의 빈도는 낮았다.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학습자와 콘텐츠 간 상호작용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따라서 원활한 학습자간 의사소통의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등의 특징을 적용하여 학습의 상호작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drill-and-practice and tool types of contents ranked high, and there found to be few simulation and problem solving types. In regard to interaction types, almost all of the applications had interactions only between contents and learners, which meant little active communications when using applications. Therefore, enhanced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were required in order to u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a more effective way.

      • KCI등재

        만 5세 때의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Jeong, Soo-Jeong),최나야(Choi, Na-Y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초등학교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가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적 구조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의 초등학교 3곳의 1학년 10개 학급 아동과 그 어머니 총 267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여아가 남아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문해자료, 쓰기도구, 독서경험, 독서량, 어머니와의 책읽기 상호작용,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첫째 또는 외동 아동이 둘째 이하의 아동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가정문해환경 총점 및 아동도서, 문해공간, 독서경험 총점과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이해와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취업모의 자녀에 비해 비취업모의 자녀가 취학 전년도 문해공간, 독서경험,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 독서경험과 1학년 때의 읽기능력, 읽기동기 간에 대부분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있다. 특히 하위요인 중 취학 전년도 아동도서, 독서량,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읽기동기 간에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 간의 인과적 연구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은 같은 시기 독서경험에 직접적 효과를 미치고, 독서경험은 1학년 때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문해환경은 독서경험을 매개로 하여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고, 읽기능력에 대한 간접효과가 가장 큰 변수는 취학 전년도의 독서경험이며, 그 다음이 가정문해환경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reading experience before entering school and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bility in the first grade. Survey data from 267 first graders in 3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rls showed higher level in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experiences and reading motivation than boys. Second, first-born children had richer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reading experiences, and showed highe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compared to later-born children. Third, children of unemployed mothers indicated better literacy environment and more reading experiences, and showed greater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than the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Fourt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school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experience, and first grade reading motivation and abilities. Fifth, preschool home literacy environment affected preschoolers’ reading experiences which predicted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bilities after entering school.

      • KCI등재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 개발 연구

        정수정 ( Jeong Soo-jeong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bjective scale to measure read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elphi expert group consisting of 15 field experts, and 7 elementary teachers verified content validit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ata from 1,022 students from 8 elementary schools, and 87 items were extracted. To validate the scale, data from 1,535 students wer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scale was confirmed and multiple validity of the construct were verified. The final scale consists of 3 categories and 17 factors (totally 77 items for grades 3-6, 59 items for grades 1-2); reading attitude(efficacy, challenge, immersion, anxiety), purpose of reading(interest, curiosity, competition, instrumental value, approval, compliance with expectation, achievement), and reading environment(home/parents, school/teacher, peers, technology/digital literacy, library use, reading conditions). This scale reflects Korean cultural background, the trend of reading medium, and multidimensional psychometric aspects.

      • KCI등재

        한국과 독일 수화언어 비교분석 - 어순과 문장유형을 중심으로

        정수정 ( Jeong¸ Su-jeong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0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독일과 한국의 청각장애인들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인 수화언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독일과 한국 수화언어의 다양한 통사적 현상 중에서 어순과 문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수어의 언어로서 위상을 제고하고 수어가 갖는 언어로서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독일과 한국의 수화언어에서 개별어휘의 문법기능은 대체로 어순에 의해 표지된다. 즉 양국 수어에서 평서문은 일반적으로 SOV을 기반으로 하며 이 어순은 상당히 고정적이다. 이러한 수어에서의 고정 어순은 독일어나 한국어 음성언어에서 문법기능이 관사나 조사라는 격표지자에 의해 실현되어서 문장에서 어순이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라는 사실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의문문의 경우는 의문사의 유무에 따라 구분이 되는데, 우선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독일 수어나 한국 수어 모두 평서문 어순에 비수지 표지가 첨가되어서 만들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비수지표지는 두 언어 모두 상체 내밀기, 고개 앞으로 내밀기, 눈 크게 뜨기 등이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누구], [무엇], [왜], [언제], [어디] 등의 의문사에 해당되는 수화를 사용한다는 점은 두 수화언어 모두 동일하지만, 의문사 수화의 위치 및 의문사 수화의 문장에서 반복적 사용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In diesem Artikel wird versucht, unter linguistischem Aspekt die deutsche (DGS) und koreanische Gebärdensprache (KSL) zu untersuchen, die Gehörlosen als zentrales Kommunikationsmittel gilt. Dabei liegt der Schwerpunkt der Interesse in ihren Satztypen und Wortstellungen. In deutschen und auch koreanischen gebärdensprachlichen Äußerungen werden u.a. grammatische Informationen über Wortstellung sowie nichtmanuelle Komponente übermittelt. Ein einfacher Deklarativsatz wird in DGS sowie KSL allgemein mit einer SOV-Folge charakterisiert. Dies trifft jedoch nicht auf die deutsche Lautsprache zu. Was die Interrogativsätze angeht, so geht es vor allem darum, ob ein W-Ausdruck im Satz vorliegt. In der deutschen und auch koreanischen Gebärdensprache haben Interrogativsätze ohne W-Wort eine gleiche Satzstruktur wie Deklarativsätze, wobei doch bestimmte nichtmanuelle Signale zur Signalisierung dieser Sätze als Frage begleitet weden müssen. In den W-Interrogativsätzen ist festzuhalten, dass der W-Ausdruck in verschiedenen Positionen vorkommen kann: z. B. in situ, satzinitial, satzfinal, und als Dopplung satzinitial und satzfinal. Auffällig ist für die KSL, dass hierbei W-Ausdruck im Satz nicht nur verdoppelt, sondern auch mehrfach wiederholt werden kann.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수정(Jeong, Su-jeong),윤정진(Youn, Jeong-jin)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1 교육과 문화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간은 어떠한 특성들을 보이고 있는지 사회적 담론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4차산엽혁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다보스포럼 (2016년 l윌 20 일) 시점부터 2021년 1윌 20일까지 총 5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핵심키워드는 “4차산업혁명 + 창의적 인간” 이며, 수집된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거쳐 672KB데이터가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 4차산엽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 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혁신, 변화, 인재, 경제’ 등이 중요한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높은 빈도로 나타난 단어들을 영역별로 유목화한 결과, ‘혁신의 핵섬은 인재와 관련된 요인’ , ‘코로나로 산업전반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 , ‘정부차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정책 추진과 관련된 요인’ 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huma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by using big data, the social discourse was examined and analyzed to se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creative human beings demanded by the present age exhibi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5 years from the time of the Davos Forum (January 20, 2016) when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used to January 20, 2021. The keyword used in this study is “4th industrial revolution + creative person. ” 672 KB of data was collected through data mining process centering on the collected big data from Internet portal sit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peop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Innovation’ , ‘change’ , ‘talent’ , and ‘economy’ were drawn as important keywords. And as a result of nomadizing the words tha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by domain, it turned out that the core of innovation lies in a factor related to talent . a factor related to changes in the overall industry due to Corona ’ a factor related to the government level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promotion ’ etc.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also been mad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 평가척도 개발

        정수정(Su-Jeong Jeong),이강훈(Kang-Hoon Lee)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2 교육과 문화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텔파이 조사에 기반하여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복지 및 방과후 돌봄교육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한 후 3차례에 걸친 텔파이 조사를 통해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의 적절성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텔파이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왜도, 사분위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평가준거의 평가범주는 창의성, 인성, 교육성, 정서성, 예술성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텔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개발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 평가척도의 최종시안은 5개 평가범주, 16개 평가준거, 32개 평가요소로 확정하였다. For this study, opinions of expert panels were collected on the development of media arts education contents for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based on the Delphi survey. Based on these results,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s education contents for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To this end, after selecting a panel of experts on child welfare and after-school care education,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develop an evaluation scal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 education contents of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quartile) analysis, and the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were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emotionality, and artistry. The final draft of the evaluation scale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 education contents of the after-school child care classroom for the promo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develop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results was confirmed with 5 evaluation categories, 16 evaluation criteria, and 32 evaluation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