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과 결혼한 외국 남성들의 ‘결혼 과정과 결혼 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지역 이주노동자 남성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정선주(Jung, Sun-J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아시아여성연구 Vol.62 No.3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examines the lived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men (MMM) within the context of their marriage journey and domestic life in South Korea. Focused on foreign men who migrated as laborers and subsequently married Korean women,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path to marriage and the ensuing marital experiences within the Korean cultural milieu. Based on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eight participants, recommended and assisted by multicultural NGOs in Gyeonggi Province and communities of Korean women married to foreign men, were selected for their relevance and representativeness. Colaizzis analysis method revealed several thematic dimensions: initial encounters within shared spaces, the persistent scrutiny encountered from the dating phase, inquiries regarding underlying motivations for the marital union, the arduous acceptance of marriage even within their home country, the consistent lack of hospitality within the in-laws domain, the complexities despite legal settlement in Korea, and societal perceptions and preconceptions associated with being a Korean wife. This study clarifies the challenges and societal biases faced by MMM within the multicultural framework in Korea, and emphasizes the incorporation process based on ethnicity and societal attitudes toward migrant laborers.

      • KCI등재

        EBS <다문화고부열전>에 출연한 결혼이주여성의 특징: 인구 사회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정선주(Jung, Sun-J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아시아여성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EBS <다문화고부열전>에 출연한 결혼이주여성들의 특징을 살펴본 연구이다. 1회부터 300회까지 방송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출연한 결혼이주여성들의 국적・거주 지역, 나이, 한국어 정도, 맞벌이・직업, 남편의 직업, 개명, 분가・합가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출신 순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이 많이 출연했으며(전체 출연 분량의 74.4%를 차지) 방송 초기에는 농촌 지역 거주자들에게 편향되어 있었다. 두 번째, 출연 결혼이주여성의 평균 나이는 32세, 남편은 43.7세, 시어머니는 71세로 한국 부부의 평균 나이 차이보다 4배 이상 많다. 세 번째, 출연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은 상 그룹 4.5%, 중 그룹 75.3%, 하 그룹 20%에 해당했으며 한국어 능력은 결혼 연차가 아니라 모국에서의 교육 수준과 관련이 있어 보였다. 네 번째, 출연 결혼이주여성들 48%가 주로 단순노무직, 영세자영업, 부업・일용직, 농어업에 집중되어 맞벌이를 하고 있었다. 다섯 번째, 프로그램 후반부로 갈수록 한국 이름으로 개명을 한 출연자들이 많았다. 이는 한국 행정 시스템 등의 이용 불편함과 다중 시설에서의 호명으로 인한 부담스러운 집중과 더불어 자녀들의 학교생활을 위한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여섯 번째, 출연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직종은 농축수산업 26.3%, 자영업 15.9%, 단순 노무직 13.1%, 기능종사자 12.5%로 나타났다. 전문직과 사무직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육체노동 직종의 비율이 높았다. 일곱 번째, 출연 가정의 시부모와의 합가율이 무려 60.3%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전체 통계에 비해 12배나 높은 수치로 고부 갈등을 일으킬 여지가 많은 부분에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migrant women who appeared in the first to 300 episodes of EBS"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 and Daughter-in-Law”—focusing on their nationality, residence, age, Korean degree, dual income and occupation, husband"s occupation, name changes, and family forms. This study revealed that many married migrant women were from Vietnam, the Philippines, and Cambodia (accounting for 74.4% total), and in the early days of broadcasting, rural residents mainly appeared. Second, the average married immigrant woman was 32 years old, her husband was 43.7 years old, and her mother-in-law was 71 years old —more than four times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age of Korean couples. Third, married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level was 4.5% in the upper group, 75.3% in the middle group, and 20% in the lower group,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were seemingly related to their home country’s education level, not the marriage year in Korea. Fourth, 48%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who worked with their significant other concentrated on simple labor, small businesses, parttime or daily jobs, farming, and fishing. Fifth, more and more cast members changed their names to Korean names as the program continued—possibly due to their children"s school lif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Korean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concentration of calls from multiple facilities. Sixth, their husbands’ jobs mainly included agriculture, livestock, or fisheries(26.3%), self-employment(15.9%), simple work(13.1%), and skilled work(12.5% ). The ratio of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was relatively low while that of manual labor jobs was high. Seventh, 60.3% of the cast lived with their in-laws. This is 12 times higher than the overall statistics in Korea, likely because there is much potential for conflicts between mothers-in-law and daughters-in-law.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고부갈등 양상: EBS 〈다문화고부열전〉에 나타난 고부갈등을 중심으로

        정선주(Jung, Sun-J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고부갈등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EBS 〈다문화고부열전〉의 300회 가량의 분량을 방송을 분석했다. 다문화가정 고부갈등을 다룬 선행연구가 한정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기에 본 연구는 〈다문화고부열전〉 300회 가량의 방송 내용에 나타난 다양한 국적 과 연령, 결혼 형태의 다문화가정 고부갈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고부열전〉에 나타난 갈등은 시어머니의 갈등, 며느리의 갈등, 새롭게 등장하는 갈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 시어머니의 갈등은 역할 기대, 며느리 눈치 보기, 도주 불안, 독박 살림 & 황혼 육아, 헤프게 쓰는 돈, 애타게 기다리는 출산 등이 있었으며 며느리의 대표적 갈등은 시어머니의 방식대로, 이젠 한국 사람처럼, 못 미더움, 일상적인 소비가 낭비라니, 세상에서 제일 큰 목소리, 눈치 보는 친정집 송금 등이 있었다. 그리고 결혼 이주의 역사가 20여 년이 도어가면서 새롭게 등장하는 갈등도 있었다. 프로그램 초기보다는 중·후반에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드러나지 않는 고부갈등 및 가족갈등이기도 했다. 사돈 문제, 며느리 취업 문제, 재혼가정의 전처·전 남편 아이들 교육 및 입양 문제, 며느리의 핸드폰 과몰입, 가장 역할 며느리에 대한 부담, 고부갈등에 낀 남편 등이 이에 해당한다. This study analyzed about approximately 300 episodes of EBS’s EBS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 to find out determine what causes various the types of high-intensity conflicts between mothers-and daughters-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auses. Most Since the prior studies dealing of with the conflicts of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are mainly qualitative and had small sample sizes studies targeting limited participants, limiting the applicability of their findings. However, this featured study is the high qu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composed of people of with various nationalities, ages, marriage form shown in featured in approximately about 300 episodes of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 The conflicts shown featured in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are can be divided into conflicts between mothers-in-law, daughters-in-law, and new conflicts. The representative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others-in-law’s arose from conflicts included role expectations, not being able trying to understand the thought processes of their read daughters-in-law’s mind or face, anxiety on the run, single homemaking housekeeping & and providing elder twilight care alone, overspending and daughter-in-law pregnancy while the representative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s of daughters-in-law’s representative conflicts included arose from forced compliance with their mother-in-law’s methods preference, one-sided assimilation, distrust of daughters-in-law, over-consumption problems, the volume of their mother-in-law’s loud voice, and remittances to daughter-in-law’s home. And as the history of marriage migration is over has been around for more than 20 years old, but there has been a new conflicts have arisen. These conflicts began to appeared with increasing frequency more frequently in the middle an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program’s run than in the early part of the program, and were more intense it was also a high-flying and family conflict that than those examined was not revealed in previous prior studies. These problems include problems those between in-laws, the daughter-in-law’s employment, education, and adoption of the ex-wife and ex-husband’s children from previous of second marriage families, overuse of her cell phone, the burden placed on of a daughters-in-law as the heads of the household and the husband’s stress between mother and wife’s conflict.

      • KCI등재

        재한 조선족 자영업자의 한국 정착과 창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선주(Sun Joo Ju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4

        본 연구는 서울의 남서부지역을 벗어나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경기도 부천시 중동역, 부천역 주위의 조선족 자영업자들의 한국 정착 과정과 창업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조선족 연구와는 달리 조선족 자영업자들의 정착과 창업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좀 더 미시적으로 그들의 경험 공통분모를 찾아내는 연구이다. 이주노동자의 한 부류로 분류되던 조선족들은 2004년 재외 동포법의 개정으로 높아진 법적 지위와 축적된 자본으로 한국 사회에서 정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런 조선족 사회의 변화는 조선족 자영업자, 사업가 등을 양산하고 있다. 부천시 조선족 밀집지역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30~60대의 조선족 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천시에서 정착을 하고 창업을 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한국에서의 더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무리를 해서 자신의 가게를 시작했다. 특별히 부천시를 골라서 창업의 한 것이 아닌, 자신이 한국에서 맨 처음 정착한 곳이거나 연고가 있었던 곳이 부천시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부천시에서 창업을 하였다. 이는 부천시가 참여자들에게 익숙한 지역인 곳이기도 하지만 이미 많은 조선족 상인들의 인프라가 자리를 잡아 장사를 하기에 전혀 불편함이 없고, 이런 인프라가 더 많은 부천시의 조선족들을 창업으로 이끌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settlement process and start-up process of Joseonjok self-employed people in Bucheon City, Gyeonggi-do, which are newly formed outside the southwestern part of Seoul. Joseonjok, classified as a class of migrant workers, tend to settle in Korean society with increased legal status and accumulated capital due to the revision of the Overseas Koreans Act in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6 Joseonjok people in their 30s and 60s who are doing business at Joseonjok Enclave in Bucheon City are as follows. Participants in this study started their own store in a hurry to settle down in Korea more stable. In particular, they did not choose Bucheon City to start a business, but Bucheon City was the place where they first settled or had related to in Korea they naturally started their business there. Although this is an area familiar to the participants, the infrastructure of many Korean-Chinese merchants has already settled down and there seems to be no inconvenience in doing business, and this infrastructure is a factor that leads more Korean-Chinese in Bucheon City to start a business.

      • KCI등재

        전도성 폴리아닐린을 이용한 유기박막 투명전극의 제조 및 특성

        선주,이의진,윤종진,명조,이석현,이상호,차은희,이재관,Oh, Sun-Joo,Lee, Ue-Jin,Yoon, Jong-Jin,Jung, Myung-Jo,Lee, Suck-Hyun,Lee, Sang-Ho,Cha, E.H.,Lee, Jae-Kwan 한국전기화학회 201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3 No.3

        전도성 폴리아닐린을 합성하여 용액 공정을 적용한 유기박막 투명전극을 제조,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용액에 분산된 폴리아닐린을 스핀코팅하여 얻어진 박막 전극은 200 nm의 두께에서 $380{\Omega}/m^2$ 의 면저항을 보였고, 450 nm 이상의 파장에서 85% 이상의 균일한 광투과성을 나타내었다. 전극의 $130^{\circ}C$이상의 온도변화에서는 비교적 높은 저항변화율이 관찰되었다. The highly conductive polyaniline was synthesized and investigated on the properties of its thin film electrode fabricated by solution process. The transmittance and sheet resistance of the polyaniline thin film of 200 nm thickness were observed in 85% in absorption range above 450 nm and $380P{\Omega}/{\Box}$, respectively. The sheet resistance of the polyaniline was largely varied above $130^{\circ}C$ annealing temperature.

      • KCI등재

        일개 병원 내 의료종사자에서의 결핵 접촉자 조사

        김태희 ( Tae Hee Kim ),장윤숙 ( Yoon Suk Jang ),정선주 ( Sun Ju Jung ),김연재 ( Yeon Jae Kim ),배현주 ( Hyun Joo Pai ),오성희 ( Sung Hee Oh ) 대한소아감염학회 201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3 No.2

        목적: 대학병원에 근무하던 중 활동성 폐결핵으로 진단된 전공의에게 노출된 의료종사자들에 대하여 실시한 접촉자 조사의 결과를 보고한다. 방법: 활동성 폐결핵 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사람(접촉자) 101명 중 89명이 접촉자 조사에 응하여 조사를 받았다. 1차 접촉자 조사는 지표환자의 증상 개시 후 30일경에, 2차 조사는 1차 조사 10주 후에 기침, 발열, 인후통, 체중 감소와 같은 임상증상 확인 및 단순흉부촬영과 함께 결핵반응검사(Tuberculinskin test, TST)/QuantiFERON-TB Gold (QFT-G) 2단계 검사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1차 TST 양성자는 34명(38.2%)이었고, TST 양성자 중 35세 이하 접촉자에서 시행한 QFT-G양성률은 37.5% (6/16)이었다. 1차 TST 음성 대상자 41명에게서 시행한 2차 TST에서 17명(41.5%)이 양전을 보였고 그들 중 시행한 QFT-G 검사에서 3명(17.6%)이 양성이었다.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된 접촉자는 없었으며 지표환자에 노출되어 발생한 결핵 전파율은 2단계 검사법으로는 7.3% (3/41)였고, TST 진단법으로는 41.5% (17/41)였다. 결론: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병원 내 결핵 접촉자 조사 연구로서 LTBI 발생률이 그 진단 기법에 따라 달랐으며 따라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종사자들에 대한 병원 내 결핵 접촉자 조사를 위해 조직적이고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results of a contact investigation on health care workers after exposure to a house officer with smear-positive pulmonary tuberculosis (TB). Methods: Eighty nine out of 101 subjects who had close contact with the index patient agreed to be enrolled in the investigation. The first contac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pproximately 30 days after the index patient’s onset of symptoms, followed by the second investigation after 10 weeks. In both,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studied, and chest X-ray and tuberculin skin test (TST)/QuantiFERON-TB Gold (QFT-G) in dual screening strategy were conducted. Results: The first TST resulted in positive in 34 subjects (38.2%). QFT-G was conducted on 16 subjects who tested positive in the first TST and aged under 36. Six of them (37.5%) were positive. The second TST was conducted on 41 subjects with negative results in the first TST. Seventeen (41.5%) were positive and among them, three (17.6%) showed positive QFT-G. None of the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active TB. The probability of TB infection through contact with the index patient was 7.3% (3/41) in dual screening strategy while it was 41.5% (17/ 41) in TST strategy. Conclusions: This first hospital-setting contact investigation for tuberculosis in Korea revealed that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rates vary depending on different diagnostic strategies. This indicates the need for systematic guidelines for diagnosing LTBI in health care workers who have professional exposure to TB.

      • SCOPUSKCI등재

        자발생 두개내 저압 환자의 방사성 동위원소 뇌조조영술 소견

        문대혁(Dae Hyuk Moon),이희경(Hee Kyung Lee),류진숙(Jin Sook Ryu),신중우(Jung Woo Shin),동진(Dong Jin Jung),김재승(Jae Seung Kim),임주혁(Joo Hyuk Im),이명종(Myoung Chong Lee),정선주(Sun Joo Jung) 대한핵의학회 1998 핵의학 분자영상 Vol.32 No.6

        N/A Purpose: Radionuclide cisternography may be helpful in understanding pathophysiology of postural headache and low CSF pressure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intracranial hypot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radionuclide cisternographic findings of spontaneous intracranial hypoten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s of 15 patients with spontaneous intracranial hypotension. Diagnosis was based on their clinical symptoms and results of lumbar puncture. All patients underwent radionuclide cisternography following injection of 111 to 222 MBq of Tc-99m DTPA into the lumbar subarachnoid space. Sequential images were obtained between 1/2 hour and 24 hour after the injection of Tc-99m DTPA. Radioactivity of the bladder, soft tissue uptake, migration of radionuclide in the subarachnoid space, and extradural leakage of radionuclid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can time. Results: Radionuclide cisternogram showed delayed migration of radionuclide into the cerebral convexity (14/15), increased soft tissue uptake (11/15), and early visualization of bladder activity at 30 min (6/10) and 2 hr (13/13). Cisternography also demonstrated leakage site of CSF in 4 cases and 2 of these were depicted at 30 min. Epidural blood patch was done in 11 patients and headache was improved in all cases. Conclusion: The characterstic findings of spontaneous intracranial hypotension were delayed migration of radionuclide and early visualization of the soft tissue and bladder activity. These scintigraphic findings suggest that CSF leakage rather than increased CSF absorption or decreased production may be the main pathophysiology of spontaneous intracranial hypotension. Early and multiple imaging including the bladder and soft tissue is required to observe the entire dynamics of radionuclide migration.

      •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파장의 중첩과 간섭 현상을 응용한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 청계 8가 도서관 설계안

        정선주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9 No.-

        홀로그램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들은 3차원의 시각적 실재감을 보이지만 촉각적으로는 현실공간인 3차원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으로 4차원적인 영상매체로 부를 수 있다. 홀로그램은 결국 전적으로 눈을 통해서 실재와 같은 시각적 존재감을 표출하지만 만져질 수 없는 공간을 점유하는 특이한 경험의 3차원의 영상으로 현존과 부재의 신비스러운 경계지점의 느낌을 동시에 체험하게 한다. 홀로그램 이미지는 하나의 레이저에서 두개로 관선을 분리하는 작업을 한 후 물체에 조사할 때 간섭무의를 기록할 수 있고 따라서 완전한 3차원의 입체영상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간섭을 통해 차이화 된 정보를 온전히 전달할 수 있다는 이론은 현실에서도 현상(정보)을 파장으로 기록하여 기호화함으로써 이들을 간섭시켜 변화된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갖는다. 대지는 오랜 시간의 흐름을 통해 많은 정보를 담고 있고 수없이 많은 공간들을 재생산해왔다. 대지 위에 정보를 중첩시켜 추상적인 간섭 패턴으로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은 컴퓨터의 메모리처럼 많은 정보를 저장한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실재로 모든 현상은 파장으로 해석되어질 수 있고 이들이 무엇과 중첩되고 어떻게 간섭 되냐에 따라 재생되는 이미지는 수없이 많을 것이다. 스스로 차이와 분열을 산출 하면서, 그리고 동시에 그 차이와 분열을 재통합하면서 공간은 끝없이 재생되어지고 변화를 갖는다. 청계천이라는 Site는 과거의 흔적을 가지고 있고 현재에도 변화의 과정선상에 놓여있다. 과거에는 도시의 변두리였다면 현재는 그 중심에 있다. 변두리와 중심성의 이미지가 중첩되어 있고 과거 현재 미래 모두의 정보가 얽혀있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Site는 도시속에서 수없이 지워지고 또다시 재생되어짐을 반복한 장소이다. Site와 Site주변 Context를 Object Wave와 Reference Wave의 파장으로 해석하여 중첩과 간섭을 통해 Context(정보)가 어떻게 공간으로 설계 될 수 있는가가 논문의 목표이다. 일상화된 주변 환경과의 간섭 속에서 공간은 그 의미를 드러낸다. 이렇게 제시된 공간은 도서관으로서 기능을 갖는다. 도서관은 인간이 살아오면서 수많은 경험과 지식을 모아놓은 정보의 방으로서, 해석되어진 정보의 형태를 통한 재해석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Holographic images have three-dimensional visual reality but cannot be touched in real space. This is the reason that they are known as four-dimensional screen media. After all, a hologram creates a visual presence, even if though it is not physically tangible, thus enabling us to simultaneously experience the mysterious boundaries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A Holographic image divides one laser into two slant lines, resulting in a complete three-dimensional image after recording the interference patterns caused by the specific object. The theory that differentiated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interference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information can be recorded and symbolized as waves to discover changed features after the interference. The ground has accommodated enormous information through the flow of time and has reproduced numerous spaces. Information has been duplicated over and over until it makes new spaces through abstract interference and the newly-created space has symbolic meaning as a storehouse of information like a memory chip in the computer. In fact, every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via waves and depending on how they mix together with each other, countless images can be replayed. By creating variety and division while reuniting those features together, the space goes through change and reproduction endlessly. Cheongye-cheon is a site which both retains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is undergoing a transitional period in the present, Previously located on the outskirts of Seoul, it is now it is in the center of the city. From its dual image as both peripheral suburb and central urban space, information o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coexis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this specific site and its surrounding context using the holographic concepts of object wave and reference wave. Furthermore, the thesis also aims to discover new ways of using context to design spaces through the processes of duplication and interference. The spaces express their meaning in their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resulting forms and spaces are intended to function as a library. A library is a space of information where huge amounts of experience and knowledge have been saved, thus also introducing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of existing information.

      • KCI등재

        백서 해마에서 카이닌산에 의한 조기유전자의 발현과 p42, p44 MAPK 및 EIK-1 인산화의 발달 단계에 따른 변화

        희연,김수진,김종흔,정선주,박주배,김용식,조수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4

        연구목적 : 어린 백서에게 카이닌산(kainic acid, KA)을 주사하여 발작을 일으킨 후, 해마에서 조기유전자 -c-fos, junB, 및 TIS1의 발현 유도 양상을 발달 단계별로 조사하여 전기경련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에서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백서 뇌 신호전달계의 성숙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KA 주사후 p42, p44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MAPK)의 인산화 및 그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자 Elk-1의 인산화를 관찰하여, KA 주사후 MAPK 신호절달계를 통한 c-fos의 발현로 알려진 전사인자 Elk-1의 인산화를 관찰하여, KA 주사후 MAPK 신호전달계를 통한 c-fos의 발현 경로를 발달 단계별로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생후 7, 14 21일 된 수컷 백서에서 KA를 복강내 주사한 후, 백서 해마에서 조기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northern blot analysis로, p42, p44 MAPK와 Elk-1의 인산화는 immunoblotting으로 관찰하였다. 결 론 : 생후 7일된 백서의 해마에서는 ECS와는 달리, KA에 의한 세 가지 조기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생후 14일부터 이들 조기유전자의 뚜렷한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생후 21일에는 성숙한 백서와 같은 수준의 발현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세 가지 유전자 모두 백서의 연령과 KA 주사 후 시간에 따른 발현 유도 양상은 비슷하였다. p42, p44 MAPK는 생후 7일부터 상당한 수준의 기저치 인산화가 관찰되었으나, KA에 의한 인산화 증가는 생후 14일부터 관찰되었다. Elk-1의 인상화 역시 생후 7일부터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으나 KA 주사 후 시간에 따른 Elk-1 인산화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 ECS와 KA가 조기유전자 발현 양상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들 유전자의 발현과 관련되어 활성화되는 신호전달경로의 차이 때문으로 생각된다. 백서 해마에서 KA에 의한 MAPK 활성화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기구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성숙하고, MAPK의 활성화로 전달된 신호는 Elk-1 이외의 다른 경로를 통해 c-fos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turational process of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system in rat brain, we studied the induction of the immediate early genes(IEGs)-c-fos, iunB, and TIS1 in each developmental stage after kainic acid(KA)-induced seizure in young rat hippocampus and then compared these with the results after electroconvulsive shock(ECS) And to elucidate the induction mechanism of c-fos vi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 by KA in each developmental stage, we investigated the phosphorylation of p42, p44 MAPK and Elk-1 after KA treatment in young rat hippocampus. Methods : We examined the induction patterns of IEGs by northern blot analysis, and the phosphorylation of p42, p44 MAPK and Elk-1 by immunoblotting in rat hippocampus at post-natal day 7, 14, and 21(P7, P14 & P21), respectively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KA. Results : Unlike ECS, KA did not induce c-fos, junB, and TIS1 in P7 hippocampus. But these genes were apparently induced at P14 and to an adult level at P21. These three IEGs showed similar temporal patterns of induction in each developmental stage. Although the basal level of phosphorylated 42p, 44p MAPK was considerable in P7 rat hippocampus, the increase or phosphorylation after KA treatment was observed at P14. While the phosphorylation of Elk-1 was detected with high basal level in P7 rat, the amount of phosphorylated Elk-1 was not changed after KA treatment.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IEGs induction patterns between KA and ECS may be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activ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our results also implicate that the signal transduction system involved in MAPK phosphorylation after KA treatment mature with aging and c-fos induction via MAPK activation may be regulated through some pathways other than Elk-1 in rat hippocampus.

      • 달걀껍질(생, 삶은)의 수처리에 관한 연구

        대일,정선주,김인식,최영하,류정숙,이용균,최순규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9 硏究報告 Vol.22 No.2

        The selective absorption ability of low density heavy metal(Pb(Ⅱ) ion or Cu(Ⅱ) ion) of eggshell(raw or boiled) is better than one of existing absorption materials in treatment ability and experimental condition. The elimination ability of chlorine of eggshell(raw or soiled) is worse than one of active carbon. In elimination of trihalomethane, the effect of treatment of eggshell is almost the same as one of pine cones. And surface of eggshell(raw or boiled) after absorption of heavy metal ion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pplication and availability of eggshell(raw or boiled) as absorption material need lots of experiments. The experiment on baked eggshell is procee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