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에서 버테포르핀을 이용한 각막신생혈관의 광역학치료시 재치료의 효과

        전은정,노영정,김영훈,정성근,Eun Jung Jun,Young Jung Rho,Yeong Hoon Kim,Sung Kun Chung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9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and safety of photodynamic therapy (PDT) with verteporfin retreatment on patients with corneal neovascularization. Methods: Corneal neovascularization was induced with a silk suture of the corneal stroma in 24 white rabbits (48 eyes). Four rabbits were examined histologically before performing PDT. Ten rabbits were chosen randomly, one eye from each rabbit was treated with PDT at 50 J/cm2, and the other eye was used as a control. Both eyes of the remaining 10 rabbits were treated with PDT at 150 J/cm2. One week later, one eye was further retreated with PDT at the same intensity. The area of corneal neovascularization was measured and evaluated histologically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es. Results: The least neovascularized area was observed in the retreated group (P=0.04). The histologic examination revealed fewer new corneal vessels in the retreated group, but the corneal epithelium, stroma, and endothelium showed a normal appearance. Results from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demonstrated thrombi as well as destruction and nuclear fragmentation of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s. However, there were no other changes in the cornea except for vascular endothelial cells, even in the retreated group.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DT with verteporfin retreatment appears to be safe and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in patients with regression of corneal neovasculariz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9):1515-1524

      •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도 동향

        전은정(Eun-Jung JUN),김학범(Hak-Beom KIM),염흥열(Heung-Youl YOU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情報保護學會誌 Vol.22 No.1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은 시장의 자율규제에 입각하여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관리되는 법률로는 연방정부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에 관한 보호법규인 1974년의 프라이버시법(Federal Privacy Act 1974)과 각 주단위로 규정된 프라이버시권 관련 법률들이 있다. 현재 공공과 개인을 아울러서 총괄하는 법은 존재하지 않지만 다양한 영역별로 접근 방식을 택하여 세부적으로 공공, 금융, 통신, 교육, 의료, 비디오 감시, 근로자 정보 등 각 영역별로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최근에 국내에서도 수행기관이 지정된 개인정보영향평가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정체유화술을 시행받는 환자의 혈압 변화

        전은정(Eun-Jung Jun),정성근(Sung Kun Chung) 대한검안학회 2007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6 No.1

        목적: 수정체유화술의 수술 전, 중 및 후 환자의 혈압변화를 조사하여 수정체유화술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안전한 환자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점안마취 상태에서 정상 혈압을 가진 백내장 환자 60명과 순환기 내과에서 고혈압을 진단받은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입원 당시, 수술준비실 입실 직후, 감압계 착용 직후, 수술실 입실 직후, 수정체유화술 중, 수술을 마치고 병실로 온 직후의 혈압을 측정하여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 혈압 환자의 경우 입원당시 혈압과 수정체유화술 중 평균 혈압차이는 수축기혈압 26.15mmHg, 이완기혈압 7.26 mmHg으로 수술 중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승소견을 보였다(p=0.001). 고혈압 환자의 경우 혈압약을 복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입원당시의 혈압에 비해 수정체유화술 중 수축기 혈압이 19.4 mmHg, 이완기혈압은 4.08 mmH만큼 상승하였으며, 수축기 혈압 상승이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었다(p=0.005). 고찰: 점안마취 상태에서 행해지는 수정체유화술 중 혈압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며, 고혈압 환자의 경우는 좀 더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hacoemulsification on blood pressure for safer patient care.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study in which we checked and compared the patients blood pressures at admission, on entering the preparation room right after reducer application, before and during phacoemulsification with topical anesthesia and on returning to admission room after operation. The patients comprised 60 normotensive and 24 hypertensive patients confirmed by cardiac specialists. Results: Significant elevation of blood pressure was noted during phacoemulsification in normotensive patient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occasions (blood pressures checked at admission and during phacoemulsification) was 26.15 mmHg in systole and 7.26 mmHg in diastole in normotensive patients (p=0.001). In hypertensive patients, despite on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systolic blood pressure significantly increased (19.4 mmHg) during phacoemulsification compared to the baseline value (p=0.005). The diastolic pressure increased by 4.08 mmHg. The elevation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26.15 and 7.26 mmHg respectively in normotensive patients. Conclusions: Close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is needed during phacoemulsification and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for hypertensive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토의 각막상피제거 후 미국 식품의약청 기준으로 점안한 목시플로사신과 가티플로사신의 창상 치유 효과 비교

        전은정(Eun-Jung Jun),정성근(Sung Kun Chung) 대한검안학회 2007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6 No.1

        목적: 주요 항생제 성분 및 보존제 첨가 여부 등에 차이를 갖는 VigamoxTM, ZymarTM를 각막상피제거 술을 시행한 후 가토에 점안하여 창상치유효과 및 전방 내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가토 9마리(18안)를 무작위로 6.0 mm 직경의 각막상피제거술을 시행한 후 각 9안씩에 미국식품의약청에서 허가된 투여 방법대로 ViagmoxTM는 하루 3회씩 1주일간 점안하였고, ZymarTM는 첫 2일간 2시간마다 이후 5일간은 하루 4회씩 점안하였다. 각막상피 창상치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매일 사진을 찍었고, 전방 내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술 후 1, 2, 7일에 전방천자를 실시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각막상피 창상치유시간은 VigamoxTM, ZymarTM군에서 각각 2.8±0.45, 3.0±0.71일이었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856), 일별 평균 각막상피 창상치유 면적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방 내 농도의 경우 ZymarTM군에서 첫 2일에 VigamoxTM군보다 좀 더 높은 농도의 경향을 나타냈으나, 술 후 7일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22). 결론: VigamoxTM군과 ZymarTM군 간에는 항생제 성분 및 보존제 유무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1주일간의 단기간 사용에는 각막상피 창상치유효과 및 전방 내 농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n epithelial healing and penetration into aqueous humor of the fourth-generation fluoroquinolones following corneal epithelial removal. The administered drugs were VigamoxTM and ZymarTM which differentiates each other by its active ingredients or the presence of benzalkonium chloride. Methods: Eighteen eyes of 9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VigamoxTM, ZymarTM following anterior keratectomy with 6.0 mm in diameter. Eyes were dosed with each antibiotic according to it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al; i.e. VigamoxTM was dosed three times daily for a week, and ZymarTM was dosed every two hours for the first two days and then four times daily for following five days. Beginning on postoperative day 0, photos were taken daily to measure the area of residual epithelial defects. Anterior chamber paracentesis was done to determine drug concentration at postoperative day 1, 2 and 7. Results: Mean healing time for VigamoxTM and ZymarTM was 2.8±0.45 and 3.0±0.71, respectively (p=0.856).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n healing time and mean area of healed corneal wound were noted among the two groups. A tendency for higher concentration of ZymarTM to that of VigamoxTM was shown for the first postopertive two days but no difference was checked between two groups at postoperative day 7 (p=0.322). Conclusions: Although the two groups differ by the active ingredients or the presence of preservativ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pithelial healing effect or anterior chamber concentration with short-term dosing for 1 week in this trial.

      • 일본·중국의 개인정보보호 법ㆍ제도 동향

        전은정(Eun-Jung JUN),김학범(Hak-Beom KIM),염흥열(Heung-Youl YOU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情報保護學會誌 Vol.22 No.5

        일본은 2003년 5월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2005년 4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특이사항으로는 각 자치 단체별로 개인정보보호조례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시기에 개인정보보호법 입법을 추진 중이나 아직까지는 통합적인 개인정보보호법은 제정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 개인정보보호법(전문가의견안) 초안이 제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일본과 중국에서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도 추진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과도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

        호산구 위장염 17예의 임상 양상

        전은정 ( Eun Jung Jeon ),이강문 ( Kang Moon Lee ),정대영 ( Dae Young Jung ),김태호 ( Tae Ho Kim ),지정선 ( Jung Sun Ji ),김형근 ( Hyung Kun Kim ),최규용 ( Kyu Yong Choi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6

        목적: 호산구 위장염은 위장관벽의 현저한 호산구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매우 드물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단일 의료원에서 경험한 17예의 호산구 위장염의 임상 양상을 Klein 분류에 따라서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가톨릭 중앙의료원 산하 부속 병원에서 호산구 위장염으로 진단된 17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열람을 통한 후향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령은 2세에서 67세로, 중앙값은 36세였으며, 남자 8명, 여자 9명이었다. 과거력에서 알레르기 병력을 보인 환자는 2명이었고, 알레르기 반응 검사에서는 6명이 양성 반응을 나타냈다. 흔한 증상은 복통, 설사였다. 15예(88.2%)에서 말초혈액 호산구 증가를 보였다. 6예에서 ESR이 10 mm/hr 이상 증가하였으며 모두 점막층 우세형 환자였다. 13명은 내시경 생검을 통하여, 1명은 수술 조직에서 호산구 침윤을 확인하였고, 5명에서 호산구성 복수가 있었다. 호산구 침윤이 한 장기에 국한된 경우가 9예, 여러 장기를 침범한 경우가 8예였다. 점막층 우세형이 11예(64.7%), 근육층 우세형이1예(5.9%), 장막하층 우세형이 5예(29.4%)였다.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에서 대부분 발적과 부종 등 비특이 소견을 보였으나, 위암이 의심된 경우도 있었다. 복부 CT에서는 침범부위 위장관벽의 비후를 나타냈으며, 모든 장막하층 우세형에서 복수를 동반하였다. 13예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만으로 증상이 호전되었다. 1년 이상(12-84개월)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5명 중 1명은 관해되었고, 2명에서 저용량의 스테로이드 유지요법이 필요하였으며, 2명에서 스테로이드 투여 중지 후 재발하였다. 결론: 만성적이고 재발을 반복하는 모호한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는 말초혈액 호산구수와 내시경 소견이 정상이더라도 점막층 또는 근육층 우세형의 호산구 위장염을 감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EG)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prominent eosinophilic infiltration that may involve a variable depth of one or more gastrointestinal organs. We analyzed the largest number of patients with EG among the studies carried out at a single center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laboratory, endoscopic, and radiologic features, management, and clinical outcome in 1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EG from January 1994 to Febuary 2008. Results: Median age was 36 (2-67 years). Two of the 17 patients had a history of allergy.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abdominal pain and diarrhea. Fifteen patients (88.2%) had hypereosinophilia. The ESR was moderately raised in 6 out of 14 patients. Eleven patients (64.7%) had predominant involvement of the mucosa, 1 (5.9%) of muscularis, and 5 (29.4%) of subserosa. EGD revealed non-specific findings such as erythema and edema.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gastrointestinal wall thickenings of the involved organ, and all of 5 cases of the subserosal type had ascites. Thirteen patients (76.5%) were improved by corticosteroid treatment. Among five patients who had been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12-84 months), two experienced relapse after discontinuing corticosteroids. Conclusions: EG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unexplained gastrointestinal symptoms even in the absence of peripheral eosinophilia and in non-specific endoscopic findings.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361-36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