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하천 환경 평가체계의 분석: 생물분야를 중심으로

        전승훈,김채백,김우람,박상길,채수권,Chun, Seong Hoon,Kim, Chae Baek,Kim, Woo Ram,Park, Sang Gil,Chae, Soo Kwo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problems related to legislative regulations and guidelines concerning some biological assessment systems applied to stream corridor in Korea. We comparatively reviewed the law of stream corridors and the guidelines for master plan concerned, and the law of water quality and health assessment criteria for the aquatic ecosystem concerned. Stream environments were not managed effectively due to the absence of detail regulations and the criteria for stream assessment. A biological assessment system was not equivalently integrated within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process implementation of projects resulting from the dualistic management system for stream corridors in Korea. The current biological assessment system was reflected to mainly physical habitats or only oriented to some aquatic species correlated with water quality. This system was also recognized as part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based on an intensive survey method of most biological taxa. Conclusively rapid and quantitative assessment techniques based on advanced organisms, such as vegetation, fish and birds, etc. should be urgently provided for considering as representative indicators of stream conditions in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수계의 하천환경 관리를 위해 적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평가체계를 법제도적 기준과 실행계획 측면에서 검토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하천법과 하천사업의 계획 설계과정의 관련 지침, 수질 및 수 생태계 보전법과 수 생태계 건강성 평가 기준을 중점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무엇보다 하천환경평가 관련 법제도적 근거가 미흡하고 관련 기준과 지침이 구체적이지 못하여 하천환경 관리의 실효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로 이원화된 하천수계 관리체계를 반영하듯 생물 분야의 평가항목과 기준이 수자원 관리와의 통합적 수준에 이르지 못한 채 두 부서의 사업추진 과정에서 단편적으로 고려되고 있었다. 특히 생물 중심의 평가항목과 기준은 물리구조적 서식환경 또는 수질과 연관된 수생생물에 국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다수 생물에 대한 정밀 조사를 필요로 하는 환경영향평가의 과정으로 고려되는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하천수계를 대표할 수 있고 비교적 변동성이 적은 식생, 어류, 조류 등 고등생물을 지표화한 신속하면서도 공간 정보화된 정량적 평가기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植物園의 野生植物 種子保全 戰略

        田承勳 서울大學校 農業生命科學大學 附屬樹木園 1995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15

        The need for conserving a broad range of genetic diversity(seed) in botanic garden was emphasized.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genetic diversity, it is essential to build up banks of living seeds that are represented by their numbers and method of collection in the field throughout their distribution range. Storage methods were described, in which base(long term) and active(short term)methods were defined. The differences between seeds of orthodox and recalcitrant storage types were explained and testing and storage methods for dormancy type were suggested. General seed banking strategies in botanic gardens including a flow-chart of gene bank activities, problems of large quantities and size of seed and the need for duplicate collections were presented. Botainc gardens could be used very effectively for setting up wild plant seed banks with the aim of preserving rare or threatened plants, and of making available plant material for research and applied purpose. Creation of a seed bank in botanic garden is expected to be neither expensive nor difficult.

      • KCI등재

        종합병원 간호사의 장기기증 의사 영향 요인 조사

        전승훈,백수미 한국보건기초의학회 2023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organ donation intention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The subjects were 186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or one month in September 2023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hi-squared test, the Mann-Whitney U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aving experience of education (odds ratio: OR=2.65, p<0.001) and the higher the knowledge (OR=1.08, p<0.001), belief (OR=1.41, p<0.001), and behavioral intention (OR=1.37, p<0.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rgan donation intention. To ensure effective activation of organ don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ally educate nurses to improve their knowledge, belief,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s organ donation.

      • KCI등재후보

        선형패널자료 분석방법에 관한비교연구

        전승훈,강성호,임병인 통계청 2004 통계연구 Vol.9 No.2

        This study discusses and applies many linear panel estimation methods from the latest literatures to a panelized dataset to see which method might be better. Actually, the panel estimation model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is related effect model and unrelated effect model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invaria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variables. The unrelated effect model estimates the generalized Least Square (GLS) using the covariance matrix of the error term. The related effect model estimates panel estimators with three types-WGE, BGE, panel GMM. We estimates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income in the household whose heads are above 50 years-old with the panelized Urba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The empirical evidences say as follows: first, there seems to be no specific optimal approach for the panel estimation. Second, the best fitted one of the panel estimation methods depends on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data characteristics.

      • KCI등재

        공적연금 개혁과 노후소득 보장수준의 변화

        전승훈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5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28

        본 연구에서는 생애연금 급여 추정을 통해 공적연금제도 변화에 따른 은퇴 후 공적연금 자산 충분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할 경우 평균적인 국민연금자산충족률은 2007년 국민연금법 개정 이전에는 49.4%, 2007년 국민연금법 개정 이후에는 34.5%로 측정되었다. 국민연금법 개정 이후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을 더한 공적연금 자산충족률은 45.8%, 기초연금 도입 이후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더한 공적연금의 자산충족률은 38.1%로 측정되었다. 이는 재정건전성에 초점을 맞춘 공적연금제도의 변화 과정에서 공적연금의 역할이 점진적으로 약화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또한 기초노령연금 폐지 및 기초연금 도입이 공적연금의 노후보장효과를 약화시켰음을 보여준다 국민연금법 개정 이후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을 더한 공적연금의 자산 충족률은 85.1%,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더한 공적연금의 자산충족률은 72.4%로 측정되었다. 이는 공적연금제도가 변화하면서 평균적으로 공적연금으로는 최저생계수준을 유지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응급 협의진료 질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전승훈,한경화,김승환,김현종,이누가,유제성,박유석,정성필,박인철,김민정 대한응급의학회 2013 大韓應急醫學會誌 Vol.24 No.1

        Purpose: Emergency consultation is a common and important aspec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Kessler et al. suggested the five Cs of the emergency medicine (EM)consulting checklist; contact, communication, core question,collaboration, and closing the loop as a tool for evaluation of consultation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is checklist as a tool for assessment of the skill of requesting consultation in the E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ED at an urban training hospital. Three emergency physicians recorded telephone conversations when they contacted consultant physicians for consultation regarding emergency patients. After recording files were collected, eight raters evaluated each conversation using the five Cs of the EM consulting checklist. Results: A total of 58 cases were gathered. The most frequent emergency acuity level of patients was 3, by 72.4%. The mean duration of conversation was 53±30 seconds. The mean total score was 41.9±3.1. When the scores for the five Cs’ categories were evaluated, the score was lowest,at 2.9±1.0 for ‘contact’ and highest, at 4.8±0.5, for ‘communication’. Inter-rater agreement (95%confidence interval) of the total score was 0.819 (0.755-0.875). In the case of acuity level 3, the agreement was high, at 0.859(0.796-0.911), whereas it was 0.691 (0.491-0.874)and 0.426(0.115-0.922) in acuity levels 2 and 4, respectively. Conclusion: EM consultation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ive Cs of the EM consulting checklist showing high inter-rater agreement. This checklist could be used as a tool for monitoring and feedback in EM residency training.

      • KCI등재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탄력성 추정

        전승훈,김진 한국문화경제학회 2015 문화경제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소비지출의 주요 특성을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탄력성 추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론적으로 문화소비의 특성에 대해 논하기 보다는 실증적으로 문화소비지출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가격에 대한 탄력성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소득분위별 문화서비스 지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문화격차에 대한 실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논의를 환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의 소득탄력성은 1.181로 추정되었으며, 관람시설의 소득탄력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의 경우 2~4분위에서 아주 탄력적이었으나, 1분위와 5분위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관람시설 소비지출의 경우 3~5분위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1분위는 유의한 음의 탄력성을, 2분위는 유의한 양의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과 관람시설 소비지출의 가격탄력성은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할 때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볼 때 가계의 문화소비지출이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공연 및 극장 소비지출과 관람시설 소비지출 모두에서 2~3분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1분위와 4,5분위는 아주 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소득분위별로 탄력성이 상이함을 고려할 때 소득 분위별로 상이한 정책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저소득층의 문화서비스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가격 정책보다는 바우처 지급 등을 통한 직접적인 체험 기회 확대 정책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세수 확보를 위한 세제개편 방안

        전승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5

        Based on optimal taxation theory, tax structure in Korea, characteristics of major tax items, and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ax, this study discussed direction of tax revision plan for expanding tax revenu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tax revenue should be the goal of the tax revision. Second, efforts to minimize the economic inefficiencies are required. Third, not only efficiency of taxation but also equity of taxation should be considered. Given tax items, a increase in personal income tax rate and the income deduction system modification should be made carefully. In the case of corporate income tax, tax law needs to be review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tax burden.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le of a valueᐨadded tax, the increase in tax rate may be considered. Finally, the role of specific consumption tax also needs to be properly emphasized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최적조세이론, 한국의 조세구조, 주요 세목의 특징, 조세를 둘러싼환경 등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세수 확대를 위한 세제개편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수증대가 세제개편의 목표가되어야 한다. 둘째, 세수 확대 과정에서 일정정도 경제적 효율성 손실이 발생할 수있다. 따라서 세수 확대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비효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납세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조세의 형평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세목별로 볼 때 소득세의 경우 무엇보다 소득 종류 간 세부담 형평성 개선이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법인세의 경우 세부담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세법개정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기업에 집중되어 있는 법인세 공제제도의 정비, 대기업에 적용되는 최저한세율의 인상, 최근에 신설된 과세표준200억 원 초과 구간을 폐지하여 기존과 같은 2단계 세율구조로 환원시켜 누진성을 약화시키되, 최고세율은 현재와 같이 22%로 유지하는 방안 등이 검토될 수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를 경우 한국의 경우 2∼3%포인트 정도 법인세 최고세율을 인상할 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바, 법인세 세율 인상 역시 신중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소비세제 중에서는 부가가치세의 역할 강화를 위해 세율 인상이 검토될 수 있다. 이때 납세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부가가치세 인상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넓은 면세범위 조정을 통해 부가가치세과세베이스를 넓이기 위해 경감세율을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