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천리(天理)’ 관념

        임부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This dissertation seeks to illuminate the idea of Heavenly Principle (天理) in Dasan (茶山) Jeong Yag-yong (丁若鏞, 1762-1836)’s thought. First, he proposed the natural and necessary relation between mind as spiritual body and heavenly principle by defining the human nature as the ethical appetite for the good of mind. He rejected the Neo-Confucian view that human nature was the immanence of heavenly principle as cosmic substance and inherited the Mencius tradition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good action in the mind. Second, Dasan regarded the dualistic conflict between tao mind and human mind, heavenly principle and human desire as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In this existential condition, the task of following the heavenly principle was based on his spiritual awareness that tao mind is the Heaven’s mandate with transcendent authority. Third, he defined the benevolent responsibility (仁) as subjective practice of exhausting one’s duty in mutual human relation and presented the natural murmuring against others who did not do his ethical duty as the heavenly principle. Thus he added the new meaning of the otherness of human ethics to the heavenly principle. In conclusion, the heavenly principle in Dasan’s thought, losing the status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metaphysical substance of the mind, maintained its position as the highest moral principle and the ground of moral order under the Lord on High as the ultimate reality. 본 논문에서는 궁극 실재를 ‘이치[理]’에서 ‘상제(上帝)’로 전환시킨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천리(天理)’ 관념을 분석하였다. 우선, 다산은 선을 좋아하는 윤리적 욕구로 본성을 정의함으로써 영체(靈體)의 마음과 천리 사이에 자연적이고필연적인 욕구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그는 우주적 본체인 천리나 덕이 형이상학적 본성, 곧 성리(性理)로 내재한다는 도학-성리학의 관점을 거부하면서 동시에 선행(善行)의가능성을 심성(心性)에서 찾는 맹자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둘째, 인심(人心)과 도심(道 心), 천리(天理)와 인욕(人欲)의 대립을 인간 실존의 기본 조건으로 인식한 정약용은 도심을 ‘천명(天命)’으로 자각하였으며 격물(格物)과 궁리(窮理)를 인륜적 실천의 문제로 귀결시켰다. 특히 다산에게 천리에 순응하는 공부의 과제는 순선(純善)한 성리(性理)의발현이 아니라 ‘도심이 곧 천명’이라는 영성적 자각(spiritual awareness)에 기초한다. 다산에게 선을 좋아하는 본성의 발현인 도심은 초월적인 권위를 수반하는 상제의천명이기 때문이다. 셋째, 다산은 인(仁)을 인륜적 본분을 다하는 주체적인 실천으로새롭게 정의하고, 자신의 본분을 다해도 타인의 인륜적 호응을 얻지 못해서 생기는‘원망[怨]’을 천리로 제시함으로써 인륜의 타자성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약용의 사상 속에서 천리는 우주 만물의 근원이나 마음의 본체라는 지위를 상실하였지만 궁극 실재인 상제 아래에서 최고의 도덕 원칙이자 도덕적 인륜 질서의 근거로서 지속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아뜰리에 교사의 미술재료에 대한 사례연구

        임부연,김은희,최남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4

        Art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by using of a variety of materials to represent human mind. The educational quality of art activity in the art classes indeed depends on the materials brought into the classroom. Thus,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select and prepare materials for art activities need to understand the value of material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innate pleasure, instead of merely choosing formal and structured materials suggested in the art textbooks.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objectives of the materials used for art education by observing and interviewing a teacher in a child care center. Specific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gather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exploring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value of materials used for art activities and the accumulation process of the knowledge of material us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teacher has gained the knowledge of the materials through her daily life and memory and through special occasions such as experiences in nature, events held in the day care center,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raveling. The teacher has realized the value of the materials from her previous knowledge, from peer group's advice, and from her new perspectives on the quality of the materials that she already knew.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need: (a) to recognize materials as the center of art activities; (b) to realize that they can find materials everywhere around themselves; and (c)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to identify the value of the materials for the art activities.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hild care center including art specialists will be able to find meaningful materials while they share their ideas with peer group, and at the same time the materials should serve as a catalyst for build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유아미술에서 재료는 표상과 창작의 모티브가 되며 호기심과 복잡성을 더해주어 자칫 지루한 활동으로 빠지기 쉬운 미술활동에 생명력을 부여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아교사의 미술재료에 대한 열정과 복잡성의 이해는 미술재료를 수집하고 활용하여 의미화 하는데 근원적 동기를 부여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질 높은 미술활동으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풍부한 미술재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 한 어린이집 아뜰리에 미술교사가 재료를 어디서 수집하고, 어떻게 의미화하여 활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미술교육에서 재료의 위상과 미술교사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미술재료에 대한 독특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 A어린이집 아뜰리에 미술교사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주의 깊은 관찰과, 심층면담을 하고 이에 대한 연구자 일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미술교사는 미술재료에 대한 독특한 심미감과 열정을 가지고 있고, 일상적인 삶이나 기억, 자연, 여행이나 연수 등을 통해서 재료를 수집하고 있었으며, 재료를 이미 알고 있는 대로, 자연 그대로, 버려진 것을 살려서, 낯익은 재료를 낯설함으로써, 놀이감으로 활용하여 심미적 미술공간을 만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의식과 이해에 따라 미술재료의 의미가 재해석되며 이는 미술활동의 즐거움이 증폭시키는 근원적 힘이 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유아미술에서 재료가 가지는 교육적 힘을 다시 돌아 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레지오 에밀리아 조형환경에 대한 의미 탐색

        임부연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8

        학교교육에서 ‘미술’은 가장 생명력 있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미술이 타 교과목과 구분되는 몇 가지 뚜렷한 이유 중의 하나는 먼저 글자와 숫자를 다루지 않고 이미지와 상징적 표상을 다룬다는 점이고 또 무엇보다 학습자의 ‘몸’과 감각에 직접적으로 호소함으로써 사고하는 방식과 유형에 근원적 차이를 가져온다는 점이다(Jalongo & Stamp, 1997; Schirrmacher, 2002). 오늘날 미술교육은 그 용어상 ‘조형’의 의미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미술이 그리거나 색칠하는 단순한 활동을 넘어서서 다양한 재료를 선택, 구별하고, 또 만들고 다듬는 복잡한 예술 활동을 포함하는 과정임을 더 강조하고자 함에 있다(류지후, 유혜숙, 양경희, 박정선, 2001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art environment in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undermined in traditional art education. The trends of art education on today more likely tend to put an emphasis on academic aspect of art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social bias on art education which has mainly focused on sense and practice rather than on knowledge and cognition. However, this study insists on the fact that the vitality of art education can only be accomplished thorough doing art and practicing art. And art environment should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support ‘doing art’. Reggio Emilia school, known for internationally, considers ‘environment’ as the most critical element to influence the ‘quality’ on children's knowledge construction in art. Many scholars agree on that environment of Reggio Emilia school gives us a breathtaking feeling of beauty, and a sense of admiration because of the Reggio teachers' consistent efforts to make it the best con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rt environment of the Reggio Emili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space for art, art material, and children's art works which are called a ‘symbolic language’. Based on this explora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al meanings derived from Reggio art environment, insisting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concept of traditional art environment. Namely, it suggests to integrate art environment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overcome social bias of art education and to make art education more meaningful and academic.

      • KCI등재

        Deleuze의 행동학 관점에서 바라 본교실공간 속 유아 신체-자리의 의미 탐구

        임부연,손연주,박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body-sea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body-seat with Deleuze's Ethologie perspectiv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for four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the body-seat for the children revealed desire as the meaning. Second, the body-seat gave existence to a sense of belonging in the classroom, and the existence gave the place its own space and freedom. Third, the body-seat for the children had positive outcomes and children had power to change it into a place to create play. Fourth, the children's body-seat was operated with its own intrinsic ethics that required responsibility for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discussion about body-seat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in more depth and was focused on the 'seat'. In addition, this study wa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 body-seat was examined as it related to Ethologie theory of ethics with life.

      • KCI등재

        전래 동화에 나타난 원형적 상상력과 유아교육의 미학

        임부연,유혜령,류미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전래 동화가 담고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분석심리학적 시각에서 조명함으로써, 인류 보편의 자기완성적 신화와 무의식의 원형적 상징들을 드러내고 그 유아교육적 의의를 제시한다. 신화와 민담을 포함하는 전래 동화의 원형적 상징들은 액면적 텍스트 차원을 넘어서 인간의 삶 및 존재의 본질적 과제와 세계에 대한 근원적인 관계를 담고 있으며, 의식의 발달사인인격완성의 개성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인류 보편의 열망인 자기실현을 향한 근원에의탐구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콩쥐팥쥐>와 <신데렐라>의 분석을 통해 서사 구조와 심층심리적 의미를 예시적으로 드러내었다. 유아교육의 의의로, 전래 동화에 담긴 상징의중층적 의미 층위와 원형적 상상력의 미적 성격은 창조적 힘과 생명력을 제공하는 이미지중심교육의 원천이 됨을 논의하였다. 전래 동화가 지닌 교육적 힘은 바로 전래 동화의 내용이 유아에게 세계경이와 자기형성의 길을 암시하는 잠재진리로서 강력하고도 풍부한 신비적 상상력을제공한다는 데 있다.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는 다양한 울림과 여운의 연행적 체험들로 전래 동화 활동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explore aesthetic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illuminating the imaginative powers of the unconscious archetypes in fairy tales. Archetypalimagination in Marchen, myths, and folktales represent “individuation process of human psyche”,which is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human consciousness, as Carl G. Jung discussed in his analyticpsychology. This includes an inquiry into human origin, that is, the universal aspiration toward theultimate goal of self-realization. In this study, theories of archetypes and unconsciousness imagination are explained in relation tothe motifs and narrative structures in Marchen. The individuation process of human beings isconcretely exemplifi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Korean fairy tale “Kongjipatji” and the European“Cinderella”. These fairy tale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multiple layers of meaning, thesignificance of archetypal symbols, and the creative ambiguity which produce the powerful andemotional visions of unconscious origins. Some practical approaches to classroom teaching aresuggested such as incorporating performative activities. Examples include role-play, movement,painting, and chanting activities that show collective understanding and emotional ties to thearchetypes which can, in turn, serve as poetic metaphors amongst the teachers and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경력 유아교사의 ‘심미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관한 인식연구

        임부연,류미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aesthetic education as well as their difficulties and demands in practicing aesthetic education in the classroom.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general beliefs and practices (with regard to aesthetic sensibility, aesthetic vocabulary, aesthetic sensibility expressed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practices of aesthetic education, teacher efficacy beliefs about practicing aesthetic education) and their broader beliefs about aesthetic education (with regard to aesthetic man and beautiful world)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ince reasons and emotions are separated and unbalanced in the current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because we need to put more attentions into the cultural art education and aesthetic education as alternative ways of educating children. In this study, most of the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mportance and values of aesthetic sensibility and education. However, they expressed difficulty in practicing aesthetic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eir lack of training and knowledge about aesthetic education from their teacher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and the kindergarten curriculum might be the reason for their difficulties. Differences and gaps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concerning aesthetic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two possible reasons: (1) a disconnection between art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aesthetic education and; (2) the need of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aesthetic education for providing more direct experiences and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오늘날 이성과 감성의 불균형적 교육에 대한 대안적 모색으로 문화예술교육과 심미교육에 대한 환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예술 활동을 일상적으로 지도하는 경력 유아교사들이 유아를 위한 ‘심미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어려움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심미감과 심미적 용어, 교육과정과 연계된 심미감, 교수효능감 등의 교육적 요소와 관련된 심미교육의 일반적 인식과 미적인간과 아름다운 세상 등 보다 확장된 의미를 가지는 심미교육의 포괄적 인식과의 관계성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 경력유아교사들은 일반적 심미감과 심미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심미교육을 실천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름다운 세상을 향한 포괄적 관점에서 심미교육에 대한 높은 이해에도 불구하고 이를 직접적 실천으로 적용하는 교수방법에 대한 어려움은 유아교사양성이나 연수, 교육과정 등에서 심미교육에 관한 경험과 기회의 부족을 지적하는 목소리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인식과 실천의 거리감이 일관적이었다. 이러한 거리감과 차이와 관련하여 유아교실에서 ‘예술 활동’이 ‘아름다움의 초월적 기의’로 연결되는 심미교육과 풍부한 연결점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유아교사교육에서 심미교육의 구체적 경험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