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악에 발생한 백악질골화성섬유종에 대한 증례보고

        이창연,김주원,장창수,임진혁,양병은,김좌영,배현경,Lee, Chang-Youn,Kim, Ju-Won,Jang, Chang-Su,Yim, Jin-Hyuk,Yang, Byoung-Eun,Kim, Jwa-Young,Pai, Hyun-Kyung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2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4 No.3

        Cemento-ossifying fibroma (COF) is a benign fibro-osseous tumor with fibrous tissue, abnormal cement and bone, or a combination of such elements. These are slow-growing lesions and are more frequent in women.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28-year-old Korean woman. The patient having no underlying disease complained about facial swelling and asymmetry. A firm mass with impacted molars and teeth deviation on the right maxilla was observed. A computed tomography scan was taken and an in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Following this, COF was diagnosed. Complete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was carried out. A post-operative follow-up was conducted and 3 months later the patient reported no discomfort or any sign of recurrence in regards to the lesion. Differential diagnosis with fibrous dysplasia and the COF is important because of the treatment choice. We report a case of COF and off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is article.

      • 유전자재조합 B형간염 백신의 기본접종 5년후 추적항체역가에 관한 연구

        김현정,이창연,황광수,Kim, Hyun Jung,Lee, Chang Yeun,Hwang, Kwang Soo 대한소아감염학회 200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7 No.1

        목 적 : 혈장백신의 항체의 지속성에 관한 보고는 다양하지만, 유전자재조합 백신의 추적관찰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아 저자들은 신생아시기에 유전자재조합 백신을 기본접종 후 접종방법에 따른 5년 후 항체의 지속성과 기본접종 후 각각의 항체역가에 따른 5년 후 항체음전율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1993년 4월부터 12월까지 부산 문화병원에서 태어난 신생아 420례중 유전자재조합 백신을 기본접종 후 5년까지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1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접종 후와 5년 후 항체역가의 검사는 RIA로 시행하였다. 결 과 : 1) 2개월 접종을 하였을 경우 5년째 항체음성률은 5%이고, 6개월 접종을 하였을 경우 5년째 항체 음성률은 25.5%이었다(P value <0.05). 2) 2개월접종시 항체역가가 199.9 이하시 5%, 200~499.9시 0%, 500~999.9시 0%, 1,000 이상시 0%가 5년 추적검사시 항체음전이 되었다. 3) 6개월 접종시 항체역가가 199.9 이하시 66.7%, 200~499.9시 40%, 500~999.9시 23.9%, 1,000 이상시 22.5%가 5년 추적검사시 항체음전이 되었다. 결 론 : 이 연구에서는 유전자재조합 백신의 5년후 항체음전율은 5~25.5%였고, 항체가의 지속성은 접종방법과는 통계학저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고, 기본접종 후의 항체역가에 따른 5년 후 항체음전율과도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Purpose : Although there are a lot of the reports about the persistence of anti HBs titer of plasma derives HBV vaccin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follow up studies of the recombinant HBV vaccine. We performed this study to compare the persistence of anti HBs titer by vaccination schedule and the seronegative rate of 5 years later according to Anti HBs titer after basic immunization in neonatal period by recombinant HBV vaccination.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420 neonates at Pusan Moon Hwa Hospital from April to December 1993, followed up for 5 years after basic immunization by recombinant HBV vaccine. The anti HBs titer test was done by radioimmunoassay(RIAAUSAB, Abbott laboratories). The positive anti HBs level that would protect against HBV infection was defined as a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10mIU/mL. Results : In this study the seronegative rate after 5 years was 5% in 2 month schedule group, 25.5% in 6 month schedule group(P>0.05). In 2 month schedule group the seronegative rate was 20% when anti HBs titer is lower than 200mIU/mL, 0% when more than 200mIU/mL(P>0.05). In 6 month schedule group the seronegative rate was 66.7% when anti HBs titer was lower than 200mIU/mL, 40% when 200~499.9mIU/mL, 23.9% when 500~999.9mIU/mL, 22.5% when more than 1000mIU/mL.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seronegative rate after 5 years of recombinant HBV vaccination was 5~25.5%. The persistence of anti HBs titer was statistically irrelevant to schedule. The seronegative rate after 5 years was statistically irrelevant to anti HBs titer after basic immunization.

      • 사무소 건물에 혼합한 태양열 시스템의 성능분석

        윤태균(Tae-Gyun Yun),이현수(hyun-soo Lee),이창연(Chang-hyun Lee),서승직(Seung-Jik Suh) 대한설비공학회 201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7

        Building envelope is the most vulnerable part in the energy loss. In this study,A combined passive solar system of direct-gain(curtain wall) and indirect-gain(Trombe wall) was applied to the envelope of the south facade by means of reducing energy loss through building envelope. To conduct this study, unsteady state of energy balance equations was discretized by Finite-difference method and Temperature and heat flow of each surface in winter were calculated by using numerical simulation program.

      • Teicoplanin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황색포도구균의 분리 현황 및 그 검출 방법의 평가

        이창연,정석훈,황현용,김미향,임학,최병길,문재곤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6

        목 적 : Glycopeptide는 MRSA에 의한 중증감염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 이 항균제에 중간내성인 S. aureus의 분리가 보고되었다. 이 세균의 분리 빈도는 매우 낮지만, 그 존재는 glycopeptide에 고도내성인 S.aureus의 출현 가능성을 암시하기 때문에 매우 위협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세균의 분리 보고가 매우 드물지만 그 존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S. aureus의 glycopeptide에 대한 감수성 현황을 조사하고, 디스크 확산법으로 teicoplanin에 감수성이 저하되거나 중간내성인 세균을 선별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3~5월에 고신의료원 환자 106명에서 분리된 S. aureus의 vancomycin과 teicoplanin에 대한 감수성을 NCCLS 디스크 확산법으로 시험하였고, 이들 항균제의 MIC를 한천희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시험세균 중 74%(78/106)는 methicillin에 내성이었다. Vancomycin의 MIC는 0.5~2μg/ml로 이 항균제에 감수성이 저하된 S.aureus는 없었다. 그러나 teicoplanin의 MIC는 0.25~8 μg/mL로 다양하였으며, 34주 (32%)는 MIC가 4~8 μg/mL이었고, 이들 모두는 MRSA였다. 중환자실 환자에서 분리된 MRSA에 대한 teicoplanin의 ?? , ?? 는 일반병동이나 외래 환자에서 분리된 MRSA 및 MSSA보다 높았다. 한편 teicoplanin 디스크에 의한 억제대의 지름 및 vancomycin과 teicoplanin의 억제대 크기 차이는 teicoplanin의 MIC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Teicoplanin 디스크에 의한 억제대의 지름이 16mm 이하인 균주를 선별한 경우 MIC가 4μg/mL 이상인 균주의 검출 민감도 및 양성 예측도는 각각 100% (34/34) 및 43% (34/79)이었으며, vancomycin과 teicoplanin 디스크의 억제대 크기의 차가 4mm 이상인 균주를 선별한 경우에는 각각 94% (32/34), 70%(32/34)이었다. 결 론 : 부산의 한 대학병원 환자에서 분리된 S. aureus 중 glycopeptide에 중간내성 또는 내성인 균주는 없었지만, teicoplanin에 감수성이 저하된 균주는 이미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teicoplanin 디스크의 억제대 지름이 16mm 이하 또는 vancomycin과 teicoplanin 디스크 억제대 지름의 크기 차이가 4mm 이상인 경우 teicoplanin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세균으로 의심하여 MIC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with decreased susceptibility to glycopeptides in Korea and to evaluate the methods for detection. Methods : From March to May 1998, 106 clinical isolates of S. aureu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of the Kosin Medical Center.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for vancomycin and teicoplanin were determined by NCCLS disc diffusion method and the MICs were determined by agar dilution method. Correlation between both results was evaluated. Results : MICs of vancomycin and teicoplanin against S. aureus isolates were 0.5~2μg/mL and 0.25~8μg/mL. Some S. aureus isolates showed decreased susceptibility to teicoplanin (MIC 4 μg/mL, 33 strains; MIC 8 μg/mL, 1 strain) but none showed decreased susceptibility to vancomycin.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inhibitory zone diameters of teicoplanin disc and the MICs of teicoplanin(P<0.01). Inhibitory zone diameter differences between vancomycin and teicoplanin disc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ICs of teicoplanin(P<0.01). Strains whose inhibitory zone diameters of teicoplanin disc were less than 16mm, the sensitiv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for the detection of strains with MICs more than 4 μg/mL were 100% (34/34) and 43% (34/79), respectively. In strains with inhibitory zone diameter difference of more than 4mm, the sensitiv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detection in MICs of more than 4 μg/mL were 94% (32/34) and 70% (32/46), respectively. Conclusion : Although S. aureus with intermediate or full resistance to glycopeptides was not isolated in this study, few strains had decreased susceptibility to teicoplanin. We conclude that when the inhibitory zone diameters of teicoplanin disc are less than 16mm or inhibitory zon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vancomycin and teicoplanin discs is more than 4mm, the presence of S. aureus isolates with decreased susceptibility to teicoplanin should be suspected.

      • 복수를 동반한 호산구성 장염 2례

        김신,김유리,하승인,이지현,임현정,박무인,박선자,구자영,이창연 고신대학교 의학부 2004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19 No.1

        저자들은 복수가 생긴 다양한 소화기 증상을 나타내는 2명의 환자들에게서 복수와 말초혈액검사에서 호산구증가를 통해서 호산구성 위장관염을 진단하고 스테로이드를 사용 후 호전을 보인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s a rare condition of unknown cause characterized by peripheral eosinophilia. eosinophilic inflammation and various gastrointestinal symptom.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layer of gastrointestinal tract involved(mucosal type, muscularis type, serosal type) and clinical manifestation are related to the site of involved gastrointestinal tract. Especially, serosal type is rarest form of them and occasionaly associate with asictes. We report 2 cases of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with asc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