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원격탐사의 지하수 수자원 적용 사례 고찰

        이정호,Lee, Jeongho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본 논문에서는 지하수 수자원의 부존 및 대수층의 역학적 변화를 원격 탐사 방법으로 해석한 연구사례를 고찰하였다. 지질 분포, 지표수 및 지형 고도차, 식생 분포,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법에는 항공 자력 탐사 분석에 의한 지질 선구조 해석, DEM, 엽면적지수, 정규 식생 지수 및 지표면 에너지 밸런스 계산 등이 있으며, 모두 원격 탐사로 수득된 자료에 기반하며, 광역적 차원에서의 지하수 수자원 부존 여부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위성 센서 자료의 직접 이용을 통한 지하수 부존 및 동력학의 정량적 해석은 현재까지 GRACE와 InSAR가 가장 각광받는 탐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GRACE는 미소 중력장 변화를 지구 표면 및 내부 수체의 질량 변화로 전환할 수 있는 센서 보유 위성으로서, 센서 자료의 보정이 필요 없고, 지하수 부존 정량 분석을 위한 보조 자료를 모두 다른 위성 센서 자료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자료처리 알고리즘의 지속적인 개선이 진행되고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위성센서의 검출 한계로 인해 협소한 지역에서의 지하수 질량 변화 정량이 부정확할 수 있고, 현장 조사 자료와 연동할 경우 과대 추정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InSAR는 특정 대수층에서 지표의 수직 변위가 지하수위와 비례한다는 원리를 이용, mm 단위의 지표 수직 변위를 측정하여 대수층 및 대수층 내 지하수의 물리적 특징을 정량화할 수 있다. 그러나, 지표의 토지 피복이 단순한 건조-반건조 기후 지역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지표면과의 긴밀도 값 손실이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적용이 힘들다. 상기 두 위성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하수 수자원의 질량 변화 및 흐름 특징을 광역적으로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지형 및 지질, 자연 조건에 알맞은 자료 전처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Several research cases using remote sensing methods to analyze changes of storage and dynamics of groundwater aquifer were reviewed in this paper. The status of groundwater storage, in an area with regional scale, could be qualitatively inferred from geological feature, surface water altimetry and topography,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difference betwee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These qualitative indicators could be measured by geological lineament analysis, airborne magnetic survey, DEM analysis, LAI and NDVI calculation, and surface energy balance modeling. It is certain that GRACE and InSAR have received remarkable attentions as direct utilization from satellite data for quantification of groundwater storage and dynamics. GRACE, composed of twin satellites having acceleration sensors, could detect global or regional microgravity changes and transform them into mass changes of water on surface and inside of the Earth. Numerous studies in terms of groundwater storage using GRACE sensor data were performed with several merits such that (1) there is no requirement of sensor data, (2) auxiliary data for quantification of groundwater can be entirely obtained from another satellite sensors, and (3) algorithms for processing measured data have continuously progressed from designated data management center. The limitations of GRACE for groundwater storage measurement could be defined as follows: (1) In an area with small scale, mass change quantification of groundwater might be inaccurate due to detection limit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2) the results would be overestimated in case of combination between sensor and field survey data. InSAR can quantif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quifer by measuring vertical micro displacement, using linear proportional relation between groundwater head and vertical surface movement. However, InSAR data might now constrain their application to arid or semi-arid area whose land cover appear to be simple, and are hard to apply to the area with the anticipation of loss of coherence with surface. Development of GRACE and InSAR sensor data preprocessing algorithms optimized to topography, geology, and natural conditions of Korea should be prioritized to regionally quantify the mass change and dynamics of the groundwater resources of Korea.

      • 페닐케톤뇨증의 치료: 현재와 미래

        이정호,Lee, Jeongho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20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20 No.2

        페닐케톤뇨증(PKU)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지고 중요한 유전성 대사질환이다. 1950년대 이후 단백제한을 이용한 식사치료를 처음으로 시도하여 성과가 있었던 질환이며 1960년대 이후 신생아선별검사를 통해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가능하게 된 최초의 유전성대사질환이기 때문이다. 단백제한 식사치료의 효과가 좋지만 학동기, 사춘기 이후 성인시기까지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이 있고 이시기에 조절이 잘 되지 않았을 경우 경련, 여러가지 정신과적인 문제들, 삶의 질의 감소 등이 문제가 되어서 오랜 기간 치료를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더해서 2014년 미국의학유전학회(American Medical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에서 전 연령에서 혈중 페닐알라닌 수치를 120-360 umol/L로 제시를 한 이후 더욱 치료의 중요성이 올라갔다. 2000년대 페닐알라닌수산화 효소(phenylalanine hydroxylase, PAH)의 조효소인 tetrahydrobiopterin (BH4)가 치료 승인되어서 약물반응을 보이는 환자에서 치료가 시작되었으며 4세미만에서도 허가가 되어서 이른 시기부터 약물치료를 병행하여 효과를 보게 되었다. 높은 혈중 페닐알라닌수치가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통하여 뇌로 넘어가서 회백질의 변성을 나타내게 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거대중성아미노산(LNAA)를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오랫동안 연구되었던 페닐알라닌을 trans-cinnamic acid와 암모니아로 변화를 시키는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을 이용한 효소치료는 최근 약제로 개발되어서 2018년 이후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가 시작되었고 잘 조절되지 않는 환자들에게 효과를 보이고 있다. PAL을 경구용으로 개발하는 것이 빠르게 진행 중이며 유전자치료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어 다양한 치료들이 앞으로 기대된다. Phenylketonuria is the most prevalent disorder caused by an inborn error in aminoacid metabolism. It results from mutations in the phenylalanine hydroxylase (PAH) gene. If untreated or late treated, results in profound and irreversible mental disability. Newborn screening test identify patients with phenylketouria. The early initiation of a phenylalanine restricted diet very soon prevents most of the neuropsychiatric complications. However, the diet therapy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compliance is poor, especially in adolescents and adulthood. Since 2015, American Medical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 recommended more strong restrictive diet therapy for target blood level of phenylalanine (<360 umol/L). For over four decades the only treatment was a very restrictive low phenylalanine diet. This changed in 2007 with the approval of cofactor therapy (Tetrahydrobiopterin, BH4) which is effective in up to 30% of patients. Data from controlled clinical trials with sapropterin dihydrochloride indicate a similar occurrence of all-cause adverse events with this treatment and placebo. Large neutral aminoacids (LNAA) competes with phenylalanine for transport across the blood-brain-barrier and have a beneficial effect on executive functioning. A new therapy has just been approved that can be effective in most patients with PAH deficiency regardless of their degree of enzyme deficiency or the severity of their phenotype.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PEG) was approved in the USA by FDA in May of 2018 for adult patients with uncontrolled blood phenylalanine concentrations on current treatment. Nucleic acid therapy (therapeutic mRNA or gene therapy) is likely to provide longer term solutions with few side effects.

      • 고페닐알라닌혈증의 진단 및 평가

        이정호,Lee, Jeongho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5 No.3

        All infants should be screened for phenylketonuria (PKU) within the three days of life, in order to allow timely dietary intervention to protect children with PKU from neurologic damage in Korea. A commonly used cut-off level for diagnosis of PKU is $240{\mu}mol/L$ (4 mg/dL). Up to 2% of cases of hyperphenylalaninemias (HPA) detected by the screening test will account for a disorder of $BH_4$ metabolism. Therefore, analysis of blood or urinary pterins is essential, backed up with measurement of DHPR activity, as this allows differentiation of $BH_4$ disorders. A $BH_4$ loading test and measurement of neurotransmitters in CSF provide further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severity of $BH_4$ deficiency and $BH_4$ loading test can detect patients with $BH_4$ deficiency and $BH_4$ responsive PKU. Several protocols for $BH_4$ loading test have been described, involving treatment with $BH_4$ for periods ranging from 1 day to 1 month, and using doses of $BH_4$ of 10-20 mg/kg.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a reduction on blood phenylalanine of at least 30% in response to $BH_4$ loading indicates a clinically significant effect, although in some tests a lower cut-off value may be defined for individual patients, or no specific cut-off value is proposed. The frequency of $BH_4$ responsiveness is highest in patients with mild HPA and mild to moderate PKU resulting from PAH mutations with residual activity.

      • KCI등재

        SIGMA 큐브위성의 비행 소프트웨어 개발

        이정호(Jeongho Lee),이성환(Seongwhan Lee),이정규(JungKyu Lee),이효정(Hyojeong Lee),신재혁(Jehyuck Shin),정선영(Seonyeong Jeong),오영석(YoungSeok Oh),진호(Ho Jin)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4 No.4

        SIGMA(Scientific cubesat with Instruments for Global Magnetic field and rAdiation) 큐브위성은 근 지구 자기장 세기와 우주 방사선량 측정을 위해 경희대학교에서 개발한 초소형인공위성이다. 우주 임무 수행을 위해 비행 소프트웨어는 위성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SIGMA 큐브위성의 임무 수행을 위해 비행소프트웨어를 구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실시간 운영체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 프로세스 내에서 모든 태스크를 처리하도록 구현하였다. 이는 SIGMA 큐브위성의 임무 수행 절차와 시스템 제어 방법을 고려한 것으로서 소프트웨어의 오버헤드(overhead)를 낮추고 임무 수행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SIGMA(Scientific cubesat with Instruments for Global Magnetic field and rAdiation) CubeSat has been developed for magnetic field measurement of the Earth and space radiation measurement at Kyung Hee university. The flight software plays important roles in controlling the satellite and processing the data in the space mission. In this paper, the Flight Software has been implemented to process all the tasks in the one thread without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 This is an effective mothed not only to concentrate the space mission of CubeSat but also to reduce the overhead of the Flight Software by considering the mission perform procedures and the system control methods.

      • LPG 직분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연료 리턴에 의한 연료 냉각효과 연구

        이정호(Jeongho Lee),이종혁(Jonghyeok Lee),이충근(Chunggeun Lee),이진학(Jinhak Lee),이대엽(Daeyup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5 No.11

        In order to meet the emissions standards for PM and PN, a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LPG SIDI(Spark Ignition Direct Injection) fuel supply system and for its application are necessary. Prevention of a vapor lock with use of LPG fuel leads to begin this work.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vide optimum design methods for preventing the locking of the fuel vapor from the LPG fuel supply system, and contributes to construction of the designed data. An effect of fuel cooling by returning some fuel from the high pressure pump to the fuel tank is identified using a rig system with Butane/propane= 70%/30% fuel, which enables to estimate the increase of temperature to slow down up to max. 1.4 times. As returning amount of fuel increases, an effect of cooling fuel pump varies and thus an excessive use of low pressure pump leads to the durability and fuel economy problems. Therefore, this work suggests the variable control of returning amount of fuel needs to be reviewed and applied. Measured results of temperature change of high pressure pump show that, after heating to high temperature, it is confirmed that a start of return(opening of return valve) lowers(cools) the temperature of high pressure pump. This concludes that low pressure pump(in-tank motor) enables to cool down the high pressure pump and thus reduce the start time at high temperature re-startability.

      • KCI등재

        지역개발영향부담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iebout이론을 적용하여 새로운 가설 만들기

        이정호 ( Jeongho Lee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지방정부가 개발영향부담금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이유를 고찰하는 것이다. 콜로라도 카운티(counties)를 경험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관광수입이 높은 카운티일수록 개발영향부담금제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빈곤율이 높고 재산세 수입이 높은 카운티일수록 개발영향부담금제도를 소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중에서 재산세 수입이 높은 카운티와 개발영향부담금 사용과의 관계가 반비례적 성향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Tiebout이론을 적용하여 재산세 수입과 개발영향부담금 사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가설을 새롭게 만들어 결론부분에서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노력은 앞으로 개발영향부담금제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있어서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을 한다. The main goal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at factors lead local governments to more actively implement development impact fees (DIFs). The empirical results analyzing the Colorado counties case prove that counties with high poverty rate and high property tax revenues are less likely to implement DIFs, while counties with high tourism-generated revenues are more likely to implement DIFs. Among these results,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property tax revenue hypothesis was opposed to the expected result. Based on this result, the author proposes using a new logic in creating the property tax revenue hypothesis, applying Tiebout theory to this hypothesis. Up until now, along with the previous studies’ results, scholars have felt free to use a hypothesis that local governments with high property tax revenues more actively implement DIFs. However, the author shows that the property tax revenue hypothesis can be changed by using the logic of Tiebout theory.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ion will be an academic contribution playing a meaningful role in making a hypothesis on the DIF implementation more elaborate for future studies.

      • 철도건설사업시 터널지하수 유출에 관한 환경영향평가 사례 연구

        이정호(Lee Jeongho),유헌석(Yoo Heonseok),이영수(Lee Young Soo),박창석(Park Chang Sug) 한국철도학회 200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It is recently reported th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bout groundwater outflow problems is beingy raised in the case of tunnel excavation during railroad construction. The EIA about groundwater outflow into railroad tunnel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embodied through groundwater flow modeling program like MODFLOW. The basic data for this modeling include (1) the geological and hydrogeological investigation data along the planned block of tunnel excavation, (2) total amount of outflowed groundwater during tunnel excavation, and (3) the statu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n the water-supply wells distributed in the planned block of tunnel excav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analyzed the cases of the computational modeling about groundwater outflow in three planned blocks of railroad tunnel, and suggest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s and mitigation plan during EIA of tunnel excavation in railroad construction.

      • KCI등재

        ARMA-GARCH-DCC 모형을 이용한 GOP모형 실증분석

        이정호(JeongHo Lee),이용웅(YongWoo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1

        본 연구는 2010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KOSPI200을 구성하는 10개 섹터지수의 수익률 자료를 대상으로 ARMA, GARCH, DCC모형을 이용하여 조건부 평균과 분산-공분산을 예측하고 이를 GOP모형에 적용하여 최적화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RMA, GARCH, DCC모형을 이용한 GOP모형의 수익률은 KOSPI200지수 대비 초과수익률을 나타냈으며 Fama, French(1993)의 3요인과 시장 모멘텀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적인 양의 위험조정 초과 수익률을 나타내었다. 수익률의 자기상관과 조건부 이분산 및 공분산을 반영하지 않은 GOP모형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ARMA, GARCH, DCC모형을 이용한 GOP모형의 수익률은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이 더 크게 나타나고 통계적인 유의성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의 수익률과 변동성에 대한 예측을 통해 구해진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단순한 과거의 평균과 분산에 의한 모수추정 방식보다 우월한 성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개별 금융자산들의 시게열적인 특징을 반영한 ARMA, GARCH, DCC모형을 통해 일별 수익률의 조건부 기대수익률과 분산-공분산을 예측하여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실증 사례를 제공하 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structs growth optimal portfolios(GOP) based on South Korean KOSPI200 sector indices and empirically analyzes its performances using ARMA, GARCH, DCC model during the period July 2010 to March 2019. Main results of ou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we find that the GOP model using ARMA-GARCH-DCC model provides the higher return in excess of KOSI200 index. Secondly, we show that the excess returns of this GOP model is significantly positive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Fama, French (1993) three factors and the market momentum effects. Thirdly, we find that the excess return on the GOP model using ARMA-GARCH-DCC model provides more higher positive return compared to the historical-historical model based on simple historical average and volatility of daily returns. Finally, this paper contributes to providing empirical application of the GOP model for more optimal portfolio by forecasting future expectation and volatility of daily returns using ARMA-GARCH-DCC model.

      • 상수원 관리지역의 기후회복력 강화 방안 연구 : 4대강 수계를 중심으로

        이정호 ( Jeongho Lee Et Al. ),박창희,국중현,박송미,김동현,이명진,윤정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4대강 수계 상수원 관리지역 내 기후회복력 관련 사업의 포함 및 시행을 위한 지역 설정의 정량적 근거 및 관련 법제도 개선 등 정책적 지원의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으며, 연구의 세부 목표 및 추진 방향은 다음과 같다.첫째,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도 및 취약 잠재성이 높은 환경보전지역 중 국내 4대강 수계내 상수원 관리지역에 대한 전국 단위 공간정보 분석 및 기후변화 취약성 정량 분석둘째, 중앙 및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주민지원사업 등 실제 시행 중인 정책과의 연동분석을 통한 기후회복력 강화 사업 발굴넷째, 4대강 수계 상수원 관리지역 내 기후회복력 관련 사업의 포함 및 시행을 위한 법제도 개선 등의 정책적 지원연구 세부 목표 및 추진 방향에 따라 제2장에서는 토지피복지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4대강 수계 상수원 관리지역의 전반적인 환경성 등급과 수질 현황, 상수원 관리지역을 포함하는 시·군·구 단위 행정구역의 물관리 및 가뭄 부문에 대한 지표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미래 토지피복 변화 및 유출량 예측연동 모델링을 통해 4대강 수계 상수원 관리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및 그에 따른 오염 부하유출 잠재량의 변화를 5년 단위로 2050년까지 정량화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기후회복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그 결과 4개 범주에 대한 17개 기후회복력사업 아이템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기후회복력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재원을 검토한 결과 4대강 수계기금이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분석 결과에 따라 구분별 제언 내용은 다음과 같다.(법제도 개선) 기존 수계법 기금의 용도에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후회복력 사업’을 신설하는 것으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상수원 관리지역 내 수자원 문제(수질개선, 수자원 확보 등)에 대한 기후회복력 사업을 추진할 발판 마련이 필요하다.(기후회복력 사업 추진 절차) 기후회복력 사업은 각 수계별 관리청에서 추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각 사업을 추진하기 이전에 수계관리위원회에서 해당 수계 지역을 대상으로 마스터플랜을 마련하는 것을 우선한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구분에 따른 17가지 기후회복력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수계관리위원회는 구분별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각 사업의 추진 단계를 중·단기적으로 설정한다. 기후회복력 사업의 종류 중에서 시행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에 맞추어 소요예산을 설정한다. 이후 각 상수원 관리지역 관리청에 기후회복력 사업 추진 지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계획 수립을 요청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이 완료된 이후 수계관리위원회는 사업의 완료를 확인하고, 사업의 결과물에 대한 유지·보수·관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대상지역의 토지 사용이 필요한 경우 기금을 통한 토지 매수사업으로 이를 해결하여야 한다.(기후회복력 사업 우선 추진 대상지역) 상수원 관리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토지피복지도의 변화와 2050년까지의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모델링 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토지피복의 변화는 한강수계와 금강수계에 설정되어 있는 상수원 관리지역 중 특별대책지역으로 인한 영향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로 특별대책지역의 경우 상수원 관리지역에 포함되어 있으나, 법제도적인 규제 정도가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등 타 상수원 관리지역에 비해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낮은 규제에 따라 도시화의 가속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모델링 분석 결과 역시 이와 같은 맥락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장기적 관점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기후변화 적응임에도 불구하고, 상수원 관리지역의 기후회복력 사업은 특별대책지역에 우선 시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of policy support for climate resilience project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detailed goals and directions of the study, Chapter 2 analyzed the status of the water management area based on the land cover map. Specifically,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water quality was examined and the land cover degree of the water management area was examined.Chapter 3 predicted future land cover changes for the water management area. And assesse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fter confirming the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to water management area, in Chapter 4, we looked for measures to improve climate resilience as a solution. As a result, we presented 17 climate resilience business items in four categories. Chapter 5 reviewed the financial resources to promote climate resilient projects. As a result, the four river system management fund was confirmed to be available.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roposals for each category are as follows.(Improvement of legal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imate Resilience Projec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the purpose of the fund. The new project will be a stepping stone to promote climate resilience projects for water resources problems (water quality improvement, water resources securing, etc.) in the water management area due to future climate change.(Climate resilience business promotion procedure) The climate resilience business is based on the promotion by each water management office. Prior to each project, however, the Water Management Committee prioritizes the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for the water areas. Each Management Office establishes climate resilience project promotion area, and pursues busines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water management committee confirms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and plays a role of maintenance / maintenance / management of the result of the project.(Climate resilience business priority area promotion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hange of land cover map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nd the analysis result of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until 2050 to the water management area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regulation of the special measures area is set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water management areas. With such a low regulation, the acceleration of urbanization is relatively high. And modeling analysis results are also derived from this contex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limate resilience project in the water management area should be implemented first in the special measures area, despite the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where the long term view i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