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일 입시정책사의 관점에서 살펴 본입시 및 선행 학습 문화 비교 연구

        이은송 한국교육개발원 2003 한국교육 Vol.30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Japanese perception of a) preparation study, and 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ducation system and supplementary institutes. Considering Japan has a similar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Korea in several aspects such as education systems and the importance of supplementary institutes, Japanese education has shown significantly less overheated boom of out-of-class lessens than Korean. In this study, I research the perception of preparation study in Korea based on 'A study on effects of preparation study (2002, 5)'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preparation study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two countries have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 opinions on supplementary lessens. Generally, Japanese think that preparation study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Koreans haven't positive perception on preparation study. I conclud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n preparation study in two countries is resulted from a different situation in entrance procedures into university:Unlik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Japan a course of entrance into noted university begins at entrance into noted kindergartens attached to noted university. Finally, I believe that the most important goal for the Korean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s to promote the social agreement of fair competition, which is based on the rational evaluation and diversity.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은 공․사교육 체제에 있어서 유사한 학습환경을 갖추고 학원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사회현상으로서 과열되지 않는 원인을 밝혀보고자 한 논문이다. 한․일 고등교육정책사에 나타난 수월성과 평등의 관점에서 입시와 학원교육을 고찰하였다. 일본에서의 선행학습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경우에는 반짝효과를 제외하고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과가 보고된 반면, 일본에서는 학원에서의 학습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기능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명문대학 코스로 이어지는 선발이 유치원과정부터 시작되어, 대학입시에 직결되는 고교단계에서는 이미 우열체제를 묵인하는 일본의 입시 및 선행 학습 문화와 고교단계까지는 평등원칙에 입각한 평준화체제에서 대학진학을 앞두고 입시에 과열하게 되는 한국의 입시교육의 특징에서 비롯된 것임을 살펴보았다.

      • SRF 열병합발전시설의 수은 대기배출 및 물질수지 산정연구

        이은송,이상엽,조수진,장하나,김성헌,서용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최근 고형연료(SRF) 열병합발전시설의 운영을 통한 폐기물의 감량 및 에너지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기존 및 신규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통합환경관리를 위하여 새로운 인허가 절차가 적용되고 있다. 이 외 고형연료의 품질 등급화 제도가 새로이 시행되어 수은, 저위발열량, 염소 그리고 황에 대한 등급별 기준 강화로 고형연료를 통해 시설로 유입되는 오염원인물질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현행 환경관리제도에 의하여 통합관리법 적용 대상 시설의 주변 대기, 수질, 토양에 관한 환경영향평가가 강조되고 있으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SRF발전시설의 환경안전 검증사례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SRF 발전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수은 및 NOx, SOx 등 미세먼지의 전구물질과 대기 오염물질 대상 배출농도 안정성과 발전시설 최대·최소 및 정격 부하의 운전조건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측정분석을 통해 현행 법적 기준치 만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소각 잔재물 및 폐기물 등 각 매체로의 수은 분배계수와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계별용출법을 적용하였다. 이 외 대기오염방지시설 별 수은의 제어효율 산정을 통해 SRF 발전시설 주변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가용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그래핀 섬유를 이용한 전계 방출 특성 평가

        이은송,엄원식,김영배,정근수,김세훈,한태희 한국섬유공학회 2021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8 No.6

        We fabricated reduced graphene oxide fiber through wet spinning and chemicallyreduction method. We observed th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by using Ramanspectroscopy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of reduced graphene oxide fiber were also measured and both properties wereimproved by reduction of graphene oxide fiber. We applied the reduced graphene oxidefiber to electrode for the electron emission. The emission current was 1.0 mA and the fieldenhancement was 4.97×103. It shows that the reduced graphene oxide fiber would beapplicable as a material for electron emission.

      • SRF 발전소의 환경안전검증 평가 사례 및 시사점

        이은송,이장수,장하나,서용칠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최근 고형연료(SRF)를 이용한 발전시설의 운영을 통해 폐기물 감량 및 에너지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2019년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기존 및 신규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통합환경관리를 위하여 새로운 인허가 절차가 적용되고 있다. 현행 환경관리체계에 따라 관리대상 시설주변 대기, 수질, 토양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가 강조되고 있으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SRF 발전시설의 환경안전검증 사례가 부족한 상황이며 이와 함께 주변지역 거주민들의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SRF 발전시설에서 각 매체별로 배출되는 VOCs, PM, 중금속 등 오염물질로 인한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발전시설 최대, 최소 및 정격 부하의 운전조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 측정을 통해 현행 법적 기준치 만족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연료의 종류 변화에 의한 특정 오염물질의 배출농도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완을 통한 관리가 요구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SRF 발전시설의 에너지 생산효율과 주변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가용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을 제시하고자 한다.

      • 약용작물 재배농가 영농 실태에 관한 분석

        이은송,안태진,김용일,김영국,장재기 한국약용작물학회 2018 한국약용작물학술대회 발표집 Vol.2018 No.10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competitiveness of medicinal cro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R&D needed for domestic medicinal crop farming system. Methods and Results :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and Chi square (× 2) value were used. The survey showed that the cultivated crops of the respondents were medicinal crop.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rming disability by farming career. The 'cultivation method (60%, 42.1%)' was high in farming preparer and beginner (≤ 3 years), but the disability in 'cultivation method' decreased as the farming career was longer. Respondents who had more than 10 years of farming career complained of 'climate problem (24.0%)' followed by 'cultivation method (20.0%)' and 'pest control (20.0%)'.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rming disability by medicinal crops farming career. The 'cultivation method (50.0%)' was the highest of the farmers who had 1 year of medicinal crops farming career, however the respondents with more than 4-ears of career complained of 'climate problems (27.3%)' and 'pest control (23.6%)', but 'cultivation method' was low as 18.2%. Secon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sales disability by farming career, and cross-sectional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 2 = 41.320. The respondents who were preparer for farming had the biggest sales disability at 'shortage of market (44.4%)', and the rates decreased gradually as the farming career increased. Respondents more than 10-ears had the biggest sales disability as ‘uncertain market price (50.0%)’, and 'shortage of market' was low as 12.5%. Cross-sectional analysis of sales disability by medicinal crops farming career showed that × 2 was 49.705,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rmers with no career in cultivating medicinal crops had the biggest sales disability at 'shortage of market (40.0%)' and farmers with more than 4 years of career complained of 'uncertain market price (42.2%)'. La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ultivation performance by medicinal crops farming career. The respondents with a career of less than 1 year had the highest proportion at 'medium (48.5%)', but those with more than 4-ears of career had the highest rate of 'creation of profit (43.1%)'. Conclusion : As farming career and medicinal crops farming career increase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limate and pest problems affected in cultivation stage significantly, further uncertain market price gave a large factor in sales stage.

      • 수은폐기물의 고형화처리 및 장기용출 특성 예측

        이은송,백승기,정법묵,성진호,서용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수은의 배출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제수은협약(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이 2013년도에 채택되었다. Article 11에서는 수은폐기물을 수은 오염, 함유, 구성 폐기물 등 총 3가지 종류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현재 국내법 체계상 수은폐기물은 따로 분류 및 처리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 수은폐기물은 발생원에 따라 넓은 농도범위의 수은을 포함하고 있다. 산업시설에서 발생한 수은폐기물은 지정 폐기물로 분류되어 폐기물관리법에서 지정하고 있는 고형화 처리 후 매립되고 있다. 매립된 고농도 수은 함유 폐기물은 장기간에 걸쳐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시멘트 고화체로부터 고농도 수은 함유 침출수가 유출되어 2차 오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형화 처리를 거쳐 매립된 수은폐기물이 매립지에 장기간 존재하였을 때 환경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수은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써 고형화 처리법이 적절한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해 장기용출 시험법을 적용해보았다. 대상 시료로써 국내 산업시설 발생 폐슬러지 및 원소수은을 사용하였다. 시멘트 고화체 제작을 위해 현재 국내 폐기물관리법에 명시된 고형화물 1 m³ 당 시멘트 150 kg 이상 첨가기준 및 28일의 양생기간을 준수하였다. 또한 장기용출 실험의 용출용매로써 pH 4, 7, 10의 버퍼용액을 사용하였다. 용출용매는 1, 3, 7, 28일 주기로 교체해 주었다. 용출액 수은 함량분석 결과 초기단계에 용출시험 기준치 수은항목 0.005 mg/L 이상의 수은이 용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8일 이후에 용출되는 수은량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으나 여전히 수은이 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로 보아 고농도 수은폐기물을 대상으로 고형화 처리를 진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방법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고농도 수은폐기물은 고형화 처리 이외의 기술을 적용시킬 필요가 있으며 고농도의 수은을 포함하고 있는 수은폐기물의 매립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SLT, TCLP 및 단계별용출법을 이용한 국내 산업시설부산물의 용출특성 평가

        이은송,백승기,성진호,이주찬,김정훈,AHM MOJAMMAL,장하나,서용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수은의 노출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수은협약이 2013년도에 채택되었다. Article 9에서는 토양, 수계 및 폐기물로 배출되는 수은의 관리를 요구하고 있으며, 수은 오염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 폐기물은 용출시험기준치 만족 여부에 따라 지정폐기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매립처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안정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수은화합물은 용매의 pH조건에 따라 용출되며, 매립지 환경으로 유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용출시험기준은 폐기물에 함유된 불안정한 형태의 수은화합물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시설 배출 폐기물을 대상으로 폐기물용 출시험법(KSLT)과 TCLP 및 단계별 용출법(SEP)을 적용하여, 용매의 pH와 시험방법에 따른 수은화합물 용출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산업시설부산물(폐슬러지 (S1), 폐토사 (S2), 비산재 (S3))을 대상으로 3가지 시험법을 적용하였다. 5단계로 구성된 SEP를 적용하였으며, 각각 증류수(1단계), 0.1M CH3COOH+0.01M HCl(2단계), 1M KOH(3단계), 12M HNO3(4단계) 및 Aqua regia(5단계)를 용출용매로 사용한다. EPA Method 7470A를 적용하여 용출시험액의 수은 농도를 분석하였다. 1,2 단계에서 용출되는 수은화합물은 불안정한 형태로써 환경으로 쉽게 유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1의 경우, KSLT 및 TCLP 용출액 수은농도는 각각 0.012 mg-Hg/L 및 0.194 mg-Hg/L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SEP 1단계 0.013 mg-Hg/L, 2단계 0.167 mg-Hg/L로 분석되었다. SEP 1단계와 KSLT(pH 5-6) 그리고, 2단계와 TCLP(pH 2)의 결과값의 비교를 통해 pH가 용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해당시료는 KSLT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지정폐기물로 분류되나, TCLP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용출시간, 교반방법 및 고액비 등의 시험인자가 수은화합물의 용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시험법의 직접적인 비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Production of cloned sei whale (Balaenoptera borealis) embryos by interspecies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using enucleated pig oocytes

        이은송,Mohammad Musharraf Uddin Bhuiyan,Hiroyuki Watanabe,Kohji Matsuoka,Yoshihiro Fujise,Hajime Ishikawa,Yutaka Fukui 대한수의학회 2009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10 No.4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easibility of using subzonal cell injection with electrofusion for interspecies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SCNT) to produce sei whale embryos and to improve their developmental capacity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osmolarity and macromolecules in the culture medium on the in vitro developmental capacity. Hybrid embryos produced by the electrofusion of fetal whale fibroblasts with enucleated porcine oocytes were cultured in modified porcine zygote medium-3 to examine the effects of osmolarity and fetal serum on their in vitro developmental capacity. More than 66% of the whale somatic cells successfully fused with the porcine oocytes following electrofusion. A portion (60∼81%) of the iSCNT whale embryos developed to the two- to four-cell stages, but no embryos were able to reach the blastocyst stage. This developmental arrest was not overcome by increasing the osmolarity of the medium to 360 mOsm or by the addition of fetal bovine or fetal whale serum.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ei whale-porcine hybrid embryos may be produced by SCNT using subzonal injection and electrofusion. The pig oocytes partly supported the remodeling and reprogramming of the sei whale somatic cell nuclei, but they were unabl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iSCNT whale embryos to the blastocyst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