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 연구

        정근수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그림책의 타이포그래피 기호 자원 목록(Machin, 2007)에 따라 우리나라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실제 의미 작용 양상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타이포그래피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굵기(weight), 색(color), 크기(size), 기울기(slant), 틀(framing), 형식성(formality), 다양한 표현(flourishes)등의 기호 자원(semiotic resources)을 활용한다. 다양한 기호 자원은 타이포그래피를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하여 독자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책의 타이포그래피는 다양한 양상으로 의미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읽는가는 독자의 의미구성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 자원에 따라 실제 그림책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의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타이포그래피는 등장인물, 배경, 사건 전환 등 이야기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함축한다. 둘째, 타이포그래피는 글과 그림을 통해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단서를 찾아 읽게 하는 작가의 의도를 암시하는 정보를 함축한다. 셋째, 타이포그래피는 실제적인 감각을 동원하여 해석하도록 유도하여 독자가 그림책 읽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연구는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다양한 기호 자원을 인식하고 그림책 읽기 과정에 이를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ography of contemporary picture books according to the inventory of semiotic resources by Machin(2007) which relates typography to picture books using Machin’s inventory (2007). It also explored the actual signification patterns of picture book typography and based on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discussing infant multiliteracy education. Typography uses semiotic resources such as weight, color, size, slant, framing, formality, and flourishes to emphasize meaning. Various semiotic resources are used for readers to read and understand typography easily while utilizing the effect of visualizing typography. Readers read typography by relating to texts, pictures, and paratext, within the context of a picture book. Through titles, particular words, vocabularies, sentences, and paragraphs expressed in typography, readers captu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conversation, characters, background, classification between reality and fantasy, and development of events and use them as clues for interpretation of the picture book. As a result, the ne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a typography reading teaching strategy from an the infant multiliteracy education perspective was raised. A typography reading strategy should be aimed at increasing the ability to accept the meaning delivered by typography critically and utilize it. The contents of the typography reading strategy were based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ypography (Kress & van Leeuwen, 2006), and as a specific educational activity, a language sector activity and literature related activity were proposed.

      • uDEAS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최적 전역 경로 계획

        정근수(Keun-Soo Jung),김조환(Jo-Hwan Kim),박유림(U-Rim Park),김종욱(Jong-Wook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1 No.5

        본 논문에서는 uDEAS(Univariate Dynamic Encoding Algorithm for Searches)를 이용하여 두 가지의 이동 로봇 최적 전역 경로 계획을 제안한다. 이동 로봇의 자율 주행을 위해서는 빠른 시간 내에 작업 공간에서의 최적 경로를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로봇의 실시간 최적 경로 계획을 위해 전역 경로 계획을 도입하여 장애물 지역과 비장애물 지역을 확인하고, 지도상의 노드점과 노트점을 이용하여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의 기본 경로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본 경로를 사용하여 두 가지의 방법으로 경로를 생성하게 된다. 첫 번째 방법은 기본 경로에서 세 개의 노드점을 이용하여 대각선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혼합 다항식의 파라미터를 uDEAS를 이용하여 탐색하고, 곡선 궤적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개의 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wo optimal path planning methods of a mobile robot using uDEAS (univariate Dynamic Encoding Algorithm for Searches). Before start of autonomous traveling, a self-controlled mobile robot must generate an optimal global path as soon as possible. To this end, numerical optimization method is applied to real time path generation of a mobile robot with an obstacle avoidance scheme and the basic path generation method based on the concept of knot and node points between start and goal points. The first improvement in the present work is to generate diagonal paths using three node points in the basic path. The second innovation is to make a smooth path plotted with the blending polynomial using uDEAS.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s are validated for several environments through simulation.

      • KCI등재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정근수 ( Keun Soo Jung ),이차숙 ( Cha Suk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그림책 읽기 교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 원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을 선정하였으며 교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즉 그림 훑어보기-페라텍스트 읽기-글과 그림 읽기-공동 의미 구성하기 단계를 각각 구성하였다. 둘째,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5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는 교수 모형을 적용한 교육계획안을 기반으로 하여 그림책 읽기를 수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일반적 그림책 읽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처치는 그림책 12권을 12주 동안 주 3회 읽어주었으며, 그림책 12권을 읽어주는 순서는 두 집단이 동일하였다. 연구결과 교수 모형에 따른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분석적 반응, 상호 텍스트적 반응, 개인적 반응, 투영적 수행적 반응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아 그림책 읽기 교수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고자 한다. This study developed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s for children’s activation of response to literature and verified the model. First, we set a goal of teaching of reading picture book, and deducted a principle of teaching model. Also, we selected the content and means of education and organized each phase of picture book teaching model-looking through pictures, reading paratext, reading words and pictures, and coconstructing meaning. Second, we verified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 for activation of response to literature. 46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performed picture book reading based on the teaching model, and control group performed normal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Participants were read twelve picture books, three times a week, for twelve weeks. The sequence of the books were same for both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picture book reading following the teaching model is effective for improving children’s analytical response, intertextual response, personal response, transparent response and performative response. We concluded that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s developed by this study has an effect on activation of children’s response to literatu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s for activation of response to literature, and becomes a foundation for follow-up studies of picture book reading teaching f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