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

        이숙향,이숙향,송명숙,정정은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10 parents of transition-age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ree years after participation in the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using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study,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participant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emerged as follows: (a) parents have taught their children self-determined behaviors and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 and parenting regarding self-determination led to changes and maintenance regarding self-determined behaviors in their children; (b) parents expressed concerns about going to school and the future, their children’s lack of capabilities, an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s parents faced the demands of the new environment of high school; and (c) support needs for prepa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cluded the improvement of existing program content and operation, as well as education and policies for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to adulthood.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reconsider the outcomes of the program and to provide further support, such as (a) the support for changes and maintenance of self-determined behavior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b) the promotion of self-determination to support a transition to new environments across the life span.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자기결정 경험을 통한 의료서비스 개선 및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홍주희,염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cal service improvement and support needs based on medical service and self-determination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along with their families and facility service providers. Method: For this study, individual in-dep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adults with DD living in their home or facilities and their caregivers(5 family members and 6 facility service providers) who are selected as a pair. Also,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5 family members having a family with D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seven main themes emerged as follows: (a) expression and recognition regarding illness, (b) health care methods and difficulties, (c) difficulties in medical treatments and services, (d) self-determination issues regarding health and medical care, (e) useful medical supports and tips, (f) methods and support need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D, and (g) support needs to improv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people with DD.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의료서비스 불평등을 해소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발달장애인과 가족, 시설 생활지원 담당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자기결정 경험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서비스 접근 및 이용과정에서의 개선요구 및 향후 지원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및 경기지역 내 가정 및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발달장애인 성인(11명)과 그들의 보호자(가족/부모 5명, 시설 생활지원 담당자 6명)를 짝을 이루어 섭외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발달장애 가족구성원을 둔 가족 5명을 추가로 섭외하여 포커스그룹면담(FGI)를 진행하였으며, 모든 면담의 결과는 전사 후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의 질병에 대한 의사표현 및 감지, 건강관리와 진료 및 치료과정에서의 어려움, 의료서비스 이용관련 자기결정 쟁점, 유용한 의료지원과 팁,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증진방안 및 요구,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한 지원요구를 포함한 총 7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접근 및 이용을 위한 개선요구와 지원방안을 다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제언하였다: 1) 의료서비스 접근 및 이용관련 자기결정 기회 증진, 2) 장단기적 접근을 통한 의료서비스 지원체제 구축.

      • KCI우수등재

        치악산국립공원의 시각적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에 관한 연구

        이숙향,Lee, Sook-Hya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치악산국립공원을 형성하는 자연자원 및 인문자원을 대상으로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를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의 경관은 해양경관, 산악경관, 마을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7개 주요 탐방로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총 120개소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탐방로별 경관목록 비율은 구룡-비로봉 31%(37개소), 성남-남대봉 22%(26개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대-남대봉 16%(19개소), 부곡-행구 16%(19개소), 황골-입석사 6%(8개소), 향로봉-남대봉 5%(6개소), 곧은재-원통골 4%(5개소)의 순으로 목록화되었다. 경관평가 항목은 조망성, 고유성, 이용성, 역사문화성, 자연성의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고, 상(4), 중(3), 하(2), 1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각 경관유형별로 평가항목 점수에 따라 1차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경관유형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2차 경관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경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경관유형별로 3개의 경관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산악경관은I등급이 72개소, II등급 26개소, III등급 7개소, 사찰 사적경관은 I등급 4개소, II등급 7개소, III등급 4개소로 평가되었다. 산악경관의 등급은 조망성 및 자연성, 사찰 사적경관은 역사문화성, 자연성, 이용성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악경관에는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된 곳은 등급이 높게 나타나, 이는 조망성과 관련이 있었다. 인벤토리 및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산악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유형별로 등급이 매우 우수한 지역의 보전을 위한 경관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개선방안으로는 구룡-비로봉 구간의 산악 및 사찰경관이 조화로운 대표경관으로 판단되어 중점관리지역으로 보전해야할 것이다. 산악경관의 경우 조망점 유지를 위한 수목 전정 등의 정비 및 경관저해를 최소화한 목재전망대, 경관 해설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사찰 사적경관은 인공 시설물 설치 시 주변 경관과의 조화로운 소재 사용 및 시설 제한의 기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 visual landscape resources inventory and grade assessment on natural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of Chiaksan National Park. Landscapes of National Park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eascape, mountain landscape, village landscape,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Landscape lists were constructed for each district for a total of 120 lists through field research on 7 trails. The landscape list per trail has Guryong~Birobong(31%), Seungnam~Namdaebong(22%), Geumdae~Namdaebong(16%), Bugok~Hanenggu(165), Hwanggol~Ipseoksa(6%), Hyangrobong~Nandaebong(5%) and Godeunjae~Wontonggol(4%). Landscape Assessment items were divided into five characteristics of view, unique, use, history culture, natural reflected by item. Items were divided into three grades of landscape by 4, 3, 2, 1 for each item of the assessment criteria and Delphi survey. Mountain landscapes were assessed in I grade of 72 sites, II grade of 26 sites, III grade of 7 sites.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were assessed in I grade of 4 sites, II grade of 7 sites, III grade of 4 sites.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mountain park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managing the landscape of I grade site. The higher ratings of the Mountain landscapes are related to the view and natural score. Also, the grading of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is related to the history cultural, natural and use score. In addition, the mountain landscape were identified as being included outside landscape resources, the place of landscape resources with outside ratings were higher and the view was related. Landscape management is needed for the conservation of Mountain landscape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type rating as excellent area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inventory and assessment. For future improvement the Guryong-Birobong trail is judged as a harmonious representative landscape of the Mountain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and will require conservation as a focus management area. In the case of Mountain landscape improvements, maintenance such as pruning trees, wood observatory and interpretation sign for a landscape with minimal inhibitory landscaping is needed. When installing artificial facilities in the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the use of materials harmonizing with the surroundings landscape must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standards of facilities limitation.

      • KCI등재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초・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역량과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이효정 한국통합교육학회 2017 통합교육연구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etenci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in order to develop inclusive education manuals. A total of 1,7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inclusiv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had more than one student in the self-contained classroom were a total of 11.3% and those who taught students in full inclusion settings were 54.7%. Second, elementary special teachers scored higher than secondary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special teachers’ roles in inclusion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levels in practices. However, there was the importance-performance gap of special teachers based on their school levels. In addition, all special teacher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levels commonly showed the low performance level of teaching supports in general classrooms. Third, the factors impacting on inclusive classroom supports included the perception on the special teachers’ roles in inclusion and their teaching experiences. Fourth, supports for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sexual education were commonly needed in all school levels to develop capac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fth, the most needed support areas for special teachers were related to the disability-awareness and teaching supports in inclusive classrooms.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related to developing inclusive education manual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해 초·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역량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전자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결측치 및 응답오류를 제외하고 최종 수합된 1,73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중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이 한 명 이상 있는 경우는 전체의 11.3%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54.7%가 완전통합 학생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초등 특수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중등 학교급에 따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할과 실제 실행하고 있는 역할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초·중·고 특수학급 교사가 공통적으로 낮은 실행 정도를 보인 역할은 통합학급에 대한 수업 지원이었다. 셋째, 통합학급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인식 정도와 교육경력이 모든 지원영역의 실행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요구로는 문제행동 대처와 학교폭력 예방 및 성교육에 대한 지원요구가 학교급별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지원은 장애이해/인식개선과 통합학급 수업지원에 대한 요구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등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 고려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자음약화현상과 인접모음의 고저성

        이숙향,Lee Suk-Hyang 대한음성학회 1997 말소리 Vol.33 No.-

        This study examined one of the hypotheses on the consonant reduction in Korean inferred from the Articulatory Phonology framework through phonetic experiments: Degree of consonant reduction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neighboring vowels--the lower the height of the neighboring vowel is, the higher the degree of reduction of stop closure period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general, turned out to support the hypothesis with some cases requiring other phonetic considerations, e.g., rate of some tongue tip movement in the case of dental lenis stop /t/ or the facts that bilabial lenis stop /p/ share its primary articulators, lips, with the neighboring vowel /u/ and that for bilabial closure, the upper lip lowers more for compensation of little movement of lower lip when its raising gets disturbed for some reasons.

      • 녹색식생활 실천을 위한실천적 문제중심 수업과정안 개발 및 적용

        이숙향 한국미래교육학회 2013 미래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생활 속의 녹색식생활 실천의 중요성을 알고 실생활에서 실천하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종래의 영양적 측면에만 한정되어 있던 식생활에서 벗어나 개인, 가족, 사회로 관점을 확대하고 환경, 건강, 배려 등 핵심가치를 통합한 총체적이고 계획적인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조는 생활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도덕적으로 이치에 맞게 판단해서 최선의 결정을 한 후 행동으로 이르게 하는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중심학습’ 위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가정과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 분석 결과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녹색식생활 실천을 위한 다섯 가지 실천적 문제를 추출하였으며, 실천적 문제 해결 방안으로 총 24차시의 녹색식생활 수업과정안이 개발되었다.실생활과 접목된 주제 선정, 다양한 학습자료의 수집, 특별교실 활용 확장, 학생체험 위주의 수업, 가정생활 및 가족에 대한 관심 등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지속가능한 삶의 의미 및 녹색식생활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획기적인 의식 변화가 있었으며 환경, 건강, 배려 면에서 고루 향상된 실천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green dietary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we developed and applied educational programs about green dietary life that integrated core values such as environment, health, consideration etc from individual, family, society point of view.The structure of the program was formed for 'the experience-centered learning' to perform concretely through 'the practical deduction process' which let students make the best decision and behave by judging various problems in life reasonably.First, Developed lesson were based o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and analysis of standard of accomplishment. Second, 5 practical issues for green dietary life were derived from the prior analysis. Third, this developed lesson plan is made up of six parts with practical solutions.Students promoted change of awareness about need and importance of green dietary life and improved in environment, health, consideration by application choosing a topic, collect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extending special subject classroom, experience-centered instruction, interest in family and home life.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건강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과제 고찰

        이숙향,안혜신,정정은,김건화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2

        연구목적: 장애인의 건강은 삶의 질의 주요 지표이자 기본적인 권리로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건강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발달장애인의 건강 관련 논문 총 52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 및 관련 세부 변인에 대해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 결과 관련 연구는 크게 건강 관련 실태 및 관련 요인 간 관계, 건강 관련 쟁점 및 지원 방안, 건강 관련 프로그램 및 중재 효과로 나누어졌다. 각 연구 주제에 따른 세부 변인별 분석 결과 국내 발달장애 연구는 2014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실험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장애인당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건강 관련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 및 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중재가 신체운동 프로그램에 편중되어 있어 전반적인 건강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1) 연구주제의 다양화와 건강교육 및 중재 연구의 활성화, 2)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지원을 위한 연구대상의 확대, 3) 연구결과의 심층적 이해를 위한 연구방법의 다양화, 4) 다각적 중재 효과 검증을 위한 종속변인의 다양화 측면에서 발달장애인 건강 관련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as a major indicator of the quality of life and a basic human r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trends. Method: A total of 52 articles regarding the health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were published since 2000,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 topic and other sub-variabl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topics were divided into (a) current situations regarding health and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other variables, (b) issues and supports regarding health, and (c) health intervention program and effects. In terms of analysis of other variables across the research topics, most of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2014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experimental researches target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lso, most of the health intervention programs focused on promoting physical health and there were relatively a few researches regarding overall health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a) diversifying research topics and activating research regarding health education or intervention, (b) extending research participants for ongoing health care and supports, (c) diversifying research methods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research results, and (d) using various dependent variables for verifying the intervention effects in multiple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