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이성훈,오광남,김관석,오용석,강경완,황재호,이배익,이원교,한경호,Lee, Sung-Hun,Oh, Gwang-Nam,Kim, Kwan-Seok,Oh, Yong-Seok,Kang, Kyeong-Wan,Hwang, Jae-Ho,Lee, Bae-ik,Lee, Won-Kyo,Han, Kyeong-Ho 한국발생생물학회 2008 발생과 생식 Vol.12 No.3

        이 연구는 2003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율어리 소재의 보성강 중류에서 투망과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된 모래무지 어미들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 사육하면서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모래무지의 수정란은 구형의 침성부착란으로 난경은 $1.98{\pm}0.19mm$(n=50)였고, 반투명하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정 후 164시간부터였고, 이 때 근절수가 31$\sim$32개였으며, 배체의 움직임이 활발하였으며, 머리부터 난막을 뚫고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4.61{\pm}0.83mm$(n=10)로 난황은 아직 흡수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등쪽과 배쪽, 꼬리쪽에 별모양과 점모양의 흑색소포가 산재하였으며, 눈에는 색소포가 진하게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42일째는 전장 $16.22{\pm}0.65mm$(n=10)로 흑색소포가 두부와 등쪽과 체측면에 따라 짙게 산재하였고, 주둥이 양쪽에 수염이 나타났으며,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완전히 닮아 있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 SCOPUSKCI등재

        GaAs 나노입자 크기에 따른 SiO<sub>2</sub> 혼합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

        이성훈,김원목,신동욱,조성훈,정병기,이택성,이경석,Lee, Seong-Hun,Kim, Won-Mok,Sin, Dong-Uk,Jo, Seong-Hun,Jeong, Byeong-Gi,Lee, Taek-Seong,Lee, Gyeong-Seok 한국재료학회 2002 한국재료학회지 Vol.12 No.4

        For potential application to quantum mechanical devices, nano-composite thin films, consisting of GaAs quantum dots dispersed in SiO$_2$ glass matrix, were fabricated and studied in terms of structural, 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In order to form crystalline GaAs quantum dots at room temperature, uniformly dispersed in $SiO_2$matrix, the composite films were made to consist of alternating layers of GaAs and $SiO_2$in the manner of a superlattice using RF magnetron sputter deposition. Among different film samples, nominal thickness of an individual GaAs layer was varied with a total GaAs volume fraction fixed. From images of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the formation of GaAs quantum dots on SiO$_2$was shown to depend on GaAs nominal thickness. GaAs deposits were crystalline and GaAs compound-like chemically according to HRTEM and XPS analysis, respectively. From measurement of optical absorbance using a spectrophotometer, absorption edg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among composite films of varying GaAs nominal thicknesses. A progressively larger shift of absorption edge was noticed toward a blue wavelength with decreasing GaAs nominal thickness, i.e. quantum dots size. Band gaps of the composite films were also determined from Tauc plots as well as from PL measurements, displaying a linear decrease with increasing GaAs nominal thickness.

      • KCI등재

        수면무호흡증 예측을 위한 선별검사 개발

        이성훈,이희상,이정권,김경수,Lee, Sung-Hoon,Lee, Hee-Sang,Lee, Jeung-Gweon,Kim, Kyung-Soo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1

        연구목적 :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한데,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를 검사의뢰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면다원검사와 치료가 필요한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검사 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코골기와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수면 다원검사가 의뢰된 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 밤 동안 1회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은 18개의 문항으로 된 설문지로 평가하였고, 우울증은 Zung's 척도, 졸리움증은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불면증은 이성훈 등(14)이 개발한 불면증척도 등을 이용하였다. 그외 혈압, 키, 체중, 목둘레 등을 측정하였고, 코골기의 가족력, 얼마나 오랫동안 코골기가 있었는지, 술, 담배를 어느 정도 하는지를 조사하였으며, digit symbol test, trail making B test 등의 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 변수들과 호흡장애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SPSS-PC 의 Pearson's correlation 으로 조사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변수들을 가지고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호흡장애지수에 대한 이 변수들의 판별계 수를 구하고, 그것으로 판별식을 만들었다. 또한 판별분석상 호흡장애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변수들에 대해 각각 기준점을 정하고, 호흡장애지수 20을 기준으로 하여 선별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판별분석결과 호흡장애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6가지 변수 즉, 목둘레, 수면전 수축기혈압, 음주정도, 자다가 숨을 멈추는 정도, 잠잘 때 입안이 마르는 정도, 수면무호흡 설문지 점수를 가지고 판별식을 만들어 보았을 때, 호홉장애지수 20이상인 환자를 92.8%의 민감도로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목둘레 40cm이상, 수축기 혈압 125mmHg 이상, 잦은 음주, 수면중 잦은 숨멈춤, 수면중 잦은 구갈증, 코골기 및 수면무호흡증 설문지 총점수 35점 이상 중 3개 이상 해당시 호홉장애지수 20이상인 환자를 87.6%의 민감도로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목둘레 40cm이상, 수축기 혈압 125mmHg이상, 잦은 음주, 체중 80kg이상 중 2가지 이상 해당 시 호흡장애지수 20 이상인 환자를 83.5%의 민감도로 찾을 수 있었다. 결론 :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는 설문지조사와 이학적검사를 이용한 위의 방법으로 호흡장애 지수 20이상인 환자를 높은 민감도로 구별해 낼 수 있었다. Objective : Patients with sleep apnea should be diagnosed with polysomnography(PSG). However, it is not easy to recommend PSG for all patients suspected with sleep apnea in practice. Therefore, we tried to develop the screening test for referral of PSG. Method : 140 patients with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were studied by the PSG. Sleep apnea questionnaire. Zung's scale for depression.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insomnia scale and neuropsychological test were administered. Also, blood pressure, height, weight and neck circumference were measured and some histories were taken. Correlations between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DI) and various parameters mentioned above and discriminant coefficients of the parameters to RDI were computed. And, we investigated sensitivities of screening tests for selection of the patients with RDI above 20. Results : Using six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before sleep, degree of alcohol drinking, frequency of breath-holding during sleep, degree of dry mouth during sleep, sleep apnea score), the patients with RDI above 20 could be discriminated in 92.8% sensitivity. In case of more than two among six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of above 40cm, systolic blood pressure of above 125mmHg, frequent alcohol drinking, frequent breath-holding during sleep, frequent dry mouth during sleep, sleep apnea score of above 35), same patients could be discriminated in 87.6% sensitivity. And, in case of more than one among four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of above 40cm. systolic blood pressure of above 125mmHg, frequent alcohol drinking, body weight of above 80kg), discrimination sensitivity was 83.5%. Conclusions : Patients with RDI above 20 could be discriminated by above parameters with high sensitivity. Therefore, the screening test using above parameters can be applied in selection of the patients with sleep apnea for PSG in practice.

      • KCI등재

        뇌의 기능적 국소화를 위한 전산화 신경심리 검사의 개발

        이성훈,안창범,박혜정,Lee, Sung-Hoon,Ahn, Chang-Bum,Park, Hae-Jung 대한수면의학회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2

        정신과 임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산화 신경심리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뇌의 전반적인 인지 기능과 뇌의 기능적 국재화를 평가할 수 있는 14개의 신경심리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시스템은 멀티미디어와 객체 지향 개념에 의해 설계, 구현되었고, 마이크로 소프트 Windows에 기반을 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채용하여 운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마우스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입력을 손쉽게 받아드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색채 단어 검사, 범주 검사, 그리고 언어 기억 검사, 언어 지각 검사 등은 한글화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시스템을 뇌손상 환자와 정신과 환자에 적용한 결과 그 인지 장애와 뇌의 기능적 국재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A Computerzed Neuropsychological Test(CNT) system using multimedia and object oriented technologies are developed for clinical application in psychiatry. The developed system is composed of 14 neuropsychologial tests which are capable of evaluation of various cognitive functions and functional localization of brain. The system employs Microsoft Window based graphic user interface for easy operation and it has a touch screen and a mouse as input devices from the patient. Speech perception test, color word test, verbal memory test, contingent continuos performance test, and trail making test were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so that usefulness of tests was maximized. Through the results of utilization of this system in the cases of patients with head trauma and psychiatric desorder, this system can be proved to be useful in the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localization of brain.

      • KCI등재

        즉시 하중 임플란트에서 변연골 흡수량에 관한 후향적 연구

        이성훈,정지혜,이진한,조혜원,Lee, Sung-Hoon,Jung, Ji-Hye,Lee, Jin-Han,Cho, Hye-W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2

        목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임플란트 센터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1주일 내에 임시보철물을 수복한 다음, 즉시 하중을 가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골 흡수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임플란트에 대한 즉시 하중의 임상적 근거를 보강하고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 1일부터 2016년 6월 31일 사이에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임플란트 센터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1주일 내에 임시보철물을 수복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진료기록부와 방사선 사진을 조사하였다. 총 임플란트의 수는 70개였으며, 임플란트의 제조회사, 길이, 직경, 체결 방식에 따른 변연골의 흡수량을 측정하였다. 변연골의 흡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6개월 이후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wallis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즉시 하중 임플란트 군에서 임플란트와 지대주의 연결 구조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을 비교한 결과 내부 육각 연결 구조 임플란트에서의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1.24{\pm}0.72mm$, 외부 육각 연결 구조 임플란트에서 $1.73{\pm}1.27mm$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플란트 제조회사, 길이, 직경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즉시 하중 임플란트에서 내부 육각 연결 구조 임플란트에서의 변연골 흡수량은 외부 육각 연결 구조 임플란트에서의 변연골 흡수량보다 적게 나타났으며, 임플란트의 다른 조건들에서는 변연골 흡수량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Patients who treated implant immediate loading within a week after implant placement at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Implant Center were evaluated marginal bone resorption. These retrospective analyses are intended to reinforce the clinical evidence for the implant immediate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history and radiographic data were investigated, which were the patients' who treated implant immediate loading and restoration with provisional prostheses between January 2005 and June 2016, at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Implant Center. Total number of implants was 70, marginal bone resorp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implant length, diameter and connection type. To measure marginal bone resorption,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when the implants were placed and after 6 month.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in Mann-whitney U test and Kruskal-wallis test with SPSS 22.0 software (P<.05). Results: Mean marginal bone resorption around immediately loaded implants according to implant connection type was shown $1.24{\pm}0.72mm$ in internal hexagon connection type and $1.73{\pm}1.27mm$ in external hexagon connection type.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bone resorption with implant length and diameter. Conclusion: Implants with immediated loading in internal hexagon connection type showed less marginal bone resorption significantly than in external hexagon connection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