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민영,이강웅,신재영,김기현,Kim, Min-Young,Lee, Gang-Woong,Shin, Jae-Young,Kim, Ki-Hyun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5
대규모 면오염원으로 간주되는 난지도지역을 중심으로 2000년 봄 기간중 대기-지표간 수은의 교환율을 측정하고, 측정자료를 기초로 수은의 교환현상을 분석하였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난지도지역은 대규모 면오염원으로 대량의 수은을 배출할 뿐아니라 동시에 대규모의 침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기별로 농도, 농도구배, 플럭스의 절대치를 분석한 결과 대규모 배출과 침적은 오후시간대에 왕성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발생빈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배출이 새벽 또는 저녁에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비해, 침적은 주로 오후시간대에 집중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풍향대별로 발생빈도와 교환율을 비교한 바에 따르면, 대규모 침적을 유도하는 외부배출원이 동쪽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특정 풍향에서 침적이 집중된 점을 감안하여, 침적이 집중된 방향의 자료군과 배출이 지배적으로 발견된 전체자료를 이용하여 조건별 환경인자의 변화동향을 배출/침적비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오염인자들의 농도는 외부여건에 따라 규칙적인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상관분석의 결과는 이들의 거동이 교환현상의 수직적인 방향-침적 또는 배출-의영향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의 결과는 배출시에 기온과 같은 요인에 의해 유도되는 부분이 그리고 침적시에는 기온, 오존, 비메탄계 탄화수소와 같이 외부인자의 영향을 반영하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난지도지역을 중심으로 한 수은의 자료를 추정한 결과 연간규모로 약 6kg의 수은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exchange rates of mercury(Hg) across soil-air boundary, we undertook the measurements of Hg flux using gradient technique from a major waste reclamation site, Nan-Ji-Do. Based on these measurement data, we attempted to provide insights into various aspects of Hg exchange in a strongly polluted soil environment.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study site turned out to be not only a major emission source area but also a major sink area. When these data were compared on hourly basis over a full day scale, large fluxes of emission and deposition centered on daytime periods relative to nighttime periods. However, when comparison of frequency with which emission or deposition occurs was made, there emerged a very contrasting pattern. While emission was dominant during nighttime periods, deposition was most favored during daytime periods. When similar comparison was made as a function of wind direction, it was noticed that there may be a major Hg source at easterly direction to bring out significant deposition of Hg in the study area. To account fo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ontrolling the vertical direction of Hg exchange, we compare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both the whole data group and those observed from the wind direction of strong deposition events.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 species varied sensitively enough to reflec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ach direction of exchange. When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our data, results indicated that windspeed and ozone concentrations best reflected changes in the magnitudes of emission/deposition fluxe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lso indicated the possibility that Hg emission of study area is temperature-driven process, while that of deposition is affected by a mixed effect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ozone, and non-methane HCs. If the computed emission rate is extrapolated to the whole study area we estimate that annual emission of Hg from the study area can amount to approximately 6kg.
2001년 봄철 황사기간 중 서해안지역에서 관측한 대기 중 수은의 환경유동특성 연구
김민영,신재영,조석주,김준,이강웅,김기현,Kim, Min-Young,Shin, Jae-Young,Cho, Suk-Choo,Kim, Joon,Lee, Gang-Woong,Kim, Ki-Hyun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6
2001년 3월말 기간을 중심으로 강화도 하리지점에서 대기 중 수은의 토양-대기간 교환율의 측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은의 농도구배를 측정하고 이를 미기상학적 인자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은의 플럭스값을 산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강화지역의 수은 농도는 일반적으로 도심환경에서 발견되는 수준보다는 현저하게 낮은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측정된 플럭스값은 200ng/m$^2$/h에 근접하여 일반적으로 청정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수준을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동안 관측된 주요 환경변수들의 분포경향을 비교해 보면, NOx와 PM등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변수들은 배출시의 농도가 침적시의 농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기상학적 요인들은 이러한 경향성이 고온 또는 저습도에서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상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배출시에 대부분의 오염인자들이 수은과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지만, 침적시에는 그러한 경향이 역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흥미로운 사실은 침적시에 수은관련 변수들은 미세입자와 어느 정도 연계성을 띠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The soil-air exchange processes of Hg were investigated from the Hari area of Kang Hwa Island during the late March 2001. In the course of our study, we determined the concentration gradients of Hg and combined these gradient data with micrometeorological components to derive its fluxes.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the concentration levels of Hg in the study area are notably lower than those typically found in urbanized areas of Korea. However, the computed fluxes were seen to be significantly larger for relatively remote areas, reaching over 200 ng/m$^2$/hr. Comparis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shows that the concentrations of most pollutant species including NO$_X$ and PM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emission, while meteorological conditions were characterized by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lso indicate that such pollutants as hydrocarbons, nitrogen oxides, and PM generally exhibit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Hg-related parameters during emission events, while such relationships were reversed during dry deposition events. The results of our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concentrations and fluxes of total gaseous Hg observed during deposition events can be influenced by the processes that are also important for the fine, rather than coarse, size fraction of particles.
장유운(Jang, Yu-Woon),이강웅(Lee, Gang-Wo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2
멕시코 정부는 2011년 PROAIRE IV와 2015년 자발적기여방안(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INDC)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2030년까지 332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시간별·공간별 대기오염 측정 자료와 배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도시내 이산화탄소의 감축 정책이 대기질 특히 오존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대기 오염물질은 중·북부 지역에서 고농도로 분포하지만 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존은 환경기준을 측정일 기준 연 평균 21% 초과하여서 지속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오존이 빈번한 남부지역은 풍상지역인 중·북부 지역의 질소산화물 감축으로 개선할 수 있지만, 중·북부 지역은 오히려 오존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도시내 이산화탄소 감축 정책으로 멕시코시티의 대기질 개선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Mexico’s INDC(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commits the country to reduce its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2 percent(8.32 Mton CO2e) and its black carbon (soot) by 51 percent by 2030, relative to business-as-usual level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 mexico’s INDC using the air quality monitoring data. In Mexico city, air pollutants except ozone and particle matters did not exceed the national standards. The level of ozone exceeded the national standard over 21% a year. The highest levels are found most often in Southern area. Reductions in anthropogenic emissions for the mitigation of the climate change could increase ozone levels in the Northern and Central region in Mexico city.
한국 황해지역의 DMS 분포특성에 대한 연구 - 덕적도를 중심으로
김기현,김지영,송기범,김나영,이강웅,배귀남,Kim, Ki-Hyun,Kim, Ji-Young,Song, Ki-Bum,Kim, Na-Young,Lee, Gang-Woong,Bae, Gwi-Nam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1
황해지역에서 생성 및 배출되는 자연황화합물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구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진은 황해에 위치한 덕적도를 주 측정점으로 설정하고 대기 중에 존재하는 DMS의 농도분포를 1999년 4월과 9월 2차례의 집중측정기간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 1999년 6월에는 청도-인천간 해상실험을 통해 황해상의 DMS 농도를 측정하였다. 덕적도를 중심으로 시행한 양 측정기간 중 DMS의 농도값은 4월 측정의 경우 평균과 표준오차가 $24.0{\pm}40.5$ pptv(n=40)인데 반해 9월 측정의 경우 $61.1{\pm}37.9$ pptv(n=35)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상실험에서 측정한 DMS 값은 대체로 배경농도에 가까운 낮은 농도범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DMS의 농도분포는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지만, 주변 기상인자의 변화경향과 유사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 등을 연계하여 잠정적인 연간 배출량규모를 4Gg 대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배출규모는 과거 제주지역 등을 중심으로 측정한 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인데,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대표성이 강한 보다 객관적인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측정 자료의 축적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cumulate database for natural sulfur emissions in the Yellow Sea region of Korea.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dimethylsulfide(DMS) were measured during two intensive field experiments (April and September 1999) from Duk-Juk Island located in the Yellow Sea. Ship-measurement of DMS was made additionally between Chungdo(China) and Inchun(Korea) across the Yellow Sea during June 1999. The mean(and ISD) of DMS concentrations in Duk-Juk Island during two field campaigns was $24.0{\pm}40.5$(n=40, April) and $61.1{\pm}37.9$ pptv(n=35, September), respectively. The atmospheric DMS measured from ship experiments was generally low and close to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in the open sea area. The temporal distributions of DMS concentration were complicated in some sense but comparable to those of ambient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the basis of our measurements of atmospheric DMS(and evidence found from previous studies), the sea-to-air flux of DMS in the Yellow Sea is estimated to be about 4Gg S/yr. This amount of natural S emissions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estimates derived for Cheju Island. Therefore, additional experiments may be desperate to derive more reliable figures for natural sulfur emissions in the Yellow Sea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