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 청년의 이동과 성장의 임계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와 우줘류의 『아시아의 고아』 비교연구

        오태영 ( Tae Young 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이 글은 제국-식민지 체제기 식민지인의 자기 구축의 논리와 존재 방식을 구명하기 위해 동아시아 비교문학연구의 관점에서 식민지 조선과 타이완 청년의 이동과 성장의 과정을 서사화하고 있는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와 우줘류의 『아시아의 고아』를 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두 작품은 모두 식민지 청년의 자기 주조의 드라마로, 이 드라마의 플롯을 추동하는 원동력은 그들의 ‘이동’에 있다. 『사상의 월야』에서 이송빈의 입신출세를 위한 이동은 야만에서 문명으로, 무지에서 계몽으로의 진화의 과정이자, 식민지 조선의 지방에서 경성을 거쳐 제국 일본의 도쿄로 入社하는 과정이었다. 그것은 식민지 조선 청년의 단선적 이동의 양상과 회로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아시아의 고아』에서 후타이밍의 일본 유학과 중국 대륙으로의 진출 또한 입신출세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의 이동은 입신출세의 욕망이라는 환상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마주하기를 거부했던 식민지 타이완인으로서의 자기와 대면하게 되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았다. 한편, 『사상의 월야』에서 부채의식과 애정결핍에 휩싸인 ‘식민지 고아 청년’ 이송빈의 욕망의 기제로서 ‘과학’ 이 등장하고, 그러한 과학만이 성공을 약속할 수 있다는 확신 속에 자기를 재구축하는 동력으로 작동한다. 문학을 통한 낭만적 사랑에 휩싸였던 청년은 과학을 통해 이성적인 주체로 자기를 갱신하게 된다. 하지만 문학에서 과학으로의 전환이 그의 성장을 달성 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식민지 조선인 남성 청년의 성장은 언제나 제한적이거나, 미완의 상태로 남아 있게 마련이었다. 『아시아의 고아』에서 후타이밍은 결여의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욕망하고 있었지만, 그러한 욕망의 좌절 속에서 다시금 결여의 상태에 직면하였다. 그는 입신출세를 위해 일본과 중국으로 이동하였지만 결국 타이완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고, 일본인으로서도 중국인 으로서도 새로운 자기를 구축할 수 없었다. 결국 그가 자기 회의와 자기 혐오의 상태에서 광란에 휩싸였던 것은 모두 ‘식민지 타이완 청년’의 성장이 처음부터 불가능한 것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처럼 제국-식민지 체제의 새로운 질서와 가치는 식민지 청년들로 하여금 자기 계발과 성장을 통한 새로운 자기 구축이 가능하다는 환상을 증폭시켰지만, 결국 그들의 성장은 미완이나 불가능의 상태로 남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들 이동서사=성장소설은 20세기 전반 동아시아 근대의 상징적 형식으로, 식민지적 불안을 증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ogic of self-establishment and existence method of colonized people during the period of empire-colony system. Accordingly, discussion was unfolded for Lee Tae-jun``s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and Wu, Zhuo-Liu``s Orphan of Asia narrating the process of mobility and growth of young man of colonized Josen and Taiwan from a perspective of East Asian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The two novels are a drama of self-establishment of colonized young man the driving force of the plot of the dram is their mobility.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Lee, Song-bin``s mobility for success in life was a process of evolution from barbarism to civilization and from ignorance to enlightenment, as well as a process of entering Tokyo of Japan Empire from rural area of colonized Joseon through Keijo. It compressively shows the aspect and circuit of unilinear mobility of a young man of colonized Joseon. In Orphan of Asia, Hu, Tai-ming``s study abroad in Japan and entering the mainland China was also a mobility of realization the desire of success in life. However, their mobility brought paradoxical result of facing oneself as a Taiwanese of colonized Taiwan that he refused to unconsciously face in his fantasy of the desire of success in life.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science appears as a mechanism of desire of Lee, Song-bin, ``a young orphan man of colony`` cloaked in sense of debt and lack of affection, and it functions as the driving force of re-establishing himself based on a conviction that only science can promise him his success. The young man who was cloaked in romantic love through literature is renewing himself as a rational being through science. However, transition from literature to science is not making his growth possible. It is inevitable that the growth of a young man in colonized Joseon was always limited or remained incomplete. In Orphan of Asia, Hu, Tai-ming who continuously desired to overcome his state of deficiency ended up once again facing a state of deficiency in the midst of frustration of such desire. Although he migrated to Japan and China to pursue success in life, he had no choice but to return to Taiwan in the end and he was not able to newly establish himself neither as a Japanese nor a Chinese. The fact that he was ultimately cloaked in madness from the state of self-doubt and self-hatred shows that the growth of a Taiwanese young man of colonized Taiwan was impossible to begin with. The new order and value of empire-colony system amplified a fantasy among colonized young man that their new self-establishment would be possible through self-improvement and growth. However, their growth remained incomplete or in an impossible state. In this sense, mobile narratives=bildungsroman are clearly expressing colonial uneasiness in a symbolic form of modernity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참여 특성과 어깨 통증 및 장애 척도의 상관관계 연구

        오태영,하진영,이은지,김슬비,김부영,이해정,Oh, Tae Young,Ha, Jin Young,Lee, En Ji,Kim, Seol Bi,Kim, Bu Young,Lee, Hae Jung 대한물리치료학회 201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with participation in badminton and to find the effects of badminton on the shoulder joint.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143 people with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 badminton clubs located in Busan, Gyeongsangnam-do. Out of the 143 subjects (91 males, 52 females), about half (72 people) were over 40 years old, with 71 people over 50 years ol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27 questions involving demographic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playing characteristics, and SPADI.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th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badminton career, frequency of play, and SPAD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PADI scores for players over 40 years old. The over 40 year old group with less than 5 years of badminton had a significantly increase in SPADI score. The over 50 year ol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PADI score compared with the over 40 group. Conclusion: We suggest that beginner badminton players learn correct posture and badminton skills from professionals, participate regularly, and maintain an appropriate intensity/frequency of badminton.

      • KCI등재

        보행 방향 전환 시 입각기 하지 및 체간의 운동형상학적 분석

        오태영,Oh, Tae-Young 대한물리치료학회 201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analysis of kinematics of lower extremities and trunk in stance phase of walking according to turning direction. Methods: Ten university students (five male, five female) who were in their 20s (mean age was 20.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did not have participants did not have any problem with skeletal muscular system. We used the "Qualisys motion capture system" for analysis of trunk and lower extremity movement in stance phase of walking according to turning direction. We collected data while subjects walked a distance of 10 m, and at the 6 m line, subjects were required to turn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leg was positioned in stance phase and the left leg was positioned in swing. For data analysis, the SPSS for Windows ver. 20.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in performance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turning direction.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 of trunk and lower extremities was observed for turning direction according to walking cycle (p<0.05). Upper trunk movement showed a greater increase at three dimensions than lower trunk, and in heel off phase, pelvic movement showed a greater increase than lower trunk (p<0.05). In 45 degree and 90 degrees of turning direction, all movements of trunk and lower extrem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events of stance phase (p<0.05).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ree-dimensional movement analysis of trunk and lower extremities during turning movement was very important in order to indicate increasing balance or walking ability for people with impaired movement or walking.

      • KCI등재

        경기지역 학교 단체급식소 식품 및 환경 중 식중독균 분석

        오태영(Tae Young Oh),백승엽(Seung-Youb Baek),구민선(Minseon Koo),이종경(Jong-Kyung Lee),김승민(Seung Min Kim),박경민(Kyung-Min Park),황대근(Daekeun Hwang),김현정(Hyun 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건당 환자수가 높아 식품안전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단체급식소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에서 식중독균을 분석하고 이들 미생물의 병원성 인자 및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여 미생물 위험분석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총 8개(농촌 3, 도시 4 및 벽지 1) 학교급식소에서 식품 시료(n=66), 조리도구(n=44) 및 환경 시료(n=56) 등 총 179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세균 및 식중독균을 분석하였다. 식품 시료에서 총균수는 평균 4.7 log CFU/g, 최대 8.1 log CFU/g으로 대장균군의 평균 오염도 3.1 log CFU/g, 최대 오염도 4.0 log CFU/g으로 높았다. 선반 및 개수대 등 환경 시료의 총균수는 평균 2.7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대장균의 경우 평균 4.0 log CFU/g, 최대 5.4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오염 수준이 높아 환경으로부터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병원성 미생물중 Bacillus cereus의 정량분석 결과 식품(원료, 조리단계 및 조리식품 포함) 시료에서 평균 2.1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중 조리된 식품의 오염도는 10,000 CFU/g 이하로 식품공전의 기준 이하로 오염되어 있었다. Escherichia coli는 식품 중 조리 전 시료(n=14)에서만 검출율 35.7%로 분석되었으며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조리 전 식품 원료(n=14)의 21.4%에서 검출되었으며 환경 시료(냉장고 손잡이)에서 1건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외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는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모두 음성이었다.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hblACD, nheABC, entFM, cytK enterotoxin gene)를 분석한 결과 구토 유발 독소인 ces는 모두 음성이었으나 분석된 86주 모두 적어도 1종 이상의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66.2%의 균주는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를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식품과 환경에서 분리한 S. aureus(n=16)의 장독소 생성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1종 이상의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전형적인 장독소유전자 중에서는 sea만 검출되었으며, 독소충격증후군 toxin(tst) 유전자는 모든 분리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집단 식중독 발생 시 초기 진료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항생제 내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E. coli(n=41)의 92.7%는 분석한 항생제 16종에 대해 내성을 보이지 않았고 cefazolin에 대한 내성률이 4.9%로 가장 높았으며, 1개 균주에서만 2개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을 보여 국내외 항생제 내성률보다 낮았다. S. aureus(n=16)는 시험한 19종 항생제 중 gentamicin에 대한 내성률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일부 균주에서 2주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단체급식소 2개소의 조리도구와 환경 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특정균이 도구와 환경에서 중복 검출되어 도구와 환경중 교차오염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단체급식소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중 위생지표균과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패턴을 분석하고 분리된 균주의 독성인자와 항생제 내성 정보를 분석하였다. 관련 정보는 단체급식소 미생물 위험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사전적, 정량적 안전관리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식중독 유발의 다른 원인인 바이러스류와 기타 원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oodborne illness associated with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s an important food safety issue in Korea. In this study, foodborne pathogen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pathogenic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nd hygiene indicator organisms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were analyzed for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Virulence factor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detected foodborne pathogens were also characterized. A total of 179 samples, including food (n=66), utensil (n=68), and environmental samples (n=45), were collected from eight food 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TVC for foods (including raw materials) and environmental samples were 4.7 and 4.0 log CFU/g, respectively.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coliforms were 2.7 and 4.0 log CFU/g for foods and environmental swab samples, respectively. B. cereus contamination was detected in food samples with an average of 2.1 log CFU/g. E. coli was detected only in raw materials, and S. aureus was positive in raw materials as well as environmental swab samples. Other foodborne pathogen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entire B. cereus isolates possessed at least one of the diarrheal toxin genes (hblACD, nheABC, entFM, and cytK enterotoxin gene). However, ces gene encoding emetic toxin was not detected in B. cereus isolates. S. aureus isolates (n=16) containe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ested enterotoxin genes, except for tst gene. For E. coli and S. aureus, 92.7% and 37.5% of the isolates were susceptible against 16 and 19 antimicrobials, respectively. The analyzed microbial hazard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an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foodborne illness outbreaks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 KCI등재

        문학관의 공간 조직화와 수행적 신체

        오태영(Oh, Tae-Yo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문학관의 공간 조직화에 응수하는 수용자의 신체적 수행성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21세기 한국의 문화공간 중 문학관과 문학마을을 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문학관은 문학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교양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지자체 주도의 지역 정체성을 구축하는 상징적 재구성의 장으로서 위치한다. 그리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부여 받고 있다. 그러나 문학관은 일차적으로 ‘전시의 공간’이다. 전시의 공간으로서의 문학관은 시각 주체라는 특정 신체를 주조해내고, 개인들의 신체는 보는 행위를 통해 의미를 부여 받는다. 하지만 그러한 신체는 단일하게 통합되지 않고, 개인들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욕망에 의해 분열되고 산포된다. 문학관의 질서와 문법은 문학적 유산을 전시하는 공간 조직화를 통해 나름의 권위를 획득하려고 하지만, 관람객의 신체는 그러한 질서와 문법을 체화하기는 커녕 일탈하고 해체한다. 한편, 지역 문학관은 대체로 그 지역의 대표적인 명소로 관광 상품화되어 공간적 의미를 확장한다. 문학관을 여행/관광하는 이용자들은 바로 그 문학관을 둘러싼 이미지를 소비한다. 또한, 문학관이 위치한 문학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은 문학적으로 재현된 이질적인 시공간 속에서 상실되었다고 여겼던 것을 발견하고, 노스텔지아의 감각을 환기하고 강화한다. 관광상품화된 문학마을은 소비하는 신체를 조직해내면서 문학/관을 소비의 대상으로 자리매김한다. 이처럼 문학관과 그곳을 둘러싼 문학마을의 공간 조직화는 균질적이고 통합적인 신체의 수행성을 요청하지만, 개인들의 신체는 그에 응수해 다양하고 이질적인 수행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문학관과 문학마을은 세대, 계층, 지역, 젠더별 사회 구성원들의 위계화된 관계를 고착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의 혼성적인 상태를 지향하는 카니발적 문화공간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hysical performance of the consumer responding to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literary museum. To this end, this article discusses the literary museum and literary villages in the cultural space of Korea in the 21st century. The literary Museum exhibits literary materials and operates various educational, cultural programs based on this, and is positioned as a symbolic reconstruction site that strengthens the local identity led by local governments. Thus, it is given its status and role as a multi cultural space. However, the literary museum is primarily a "space for exhibition". The literary museum as a space of exhibition forms a specific body called visual subject, and individuals" bodies are given meaning through the act of seeing. But such a body is not united in one piece, but is divided and dispersed by the diverse and heterogeneous desires of individuals. The order and grammar of the literary museum tries to acquire its own authority through spatial organizing which displays literary heritage, but the body of the visitor deviates and dismantles rather than embody such order and grammar. On the other hand, local literary museums are generally tourist attractions as they are representative tourist attractions of the area, thus expanding the spatial meaning. Users who travel / visit the literary museum consume the image that surrounds the literary museum. In addition, tourists who visit the literary village where the literary museum is located discover that they have been lost in a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that has been literally reproduced and evoke and reinforce the nostalgia. Tourism literary villages organize the consuming body and place literary museum as consumption object. In this way,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literary museum and the literary village surrounding it calls for a homogeneous and integrated body performance, but the individual"s body responds to it and exerts a diverse and heterogeneous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literary museum, and literary villages to move to a carnival cultural space aiming at their hybrid state, rather than fix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generation, class, region, and gender.

      • KCI등재

        탈식민-냉전 체제 형성기 지정학적 세계 인식과 조선의 정위-표해운의 『조선지정학개관』을 중심으로-

        오태영 ( Tae Young 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1 No.-

        1945년 8월 15일 제국 일본의 패전에 의한 식민지 조선의 해방은 조선의 위상에 심대한 변화를 가져온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것은 제국-식민지 체제 내 식민지 지방으로부터 벗어나 탈식민-냉전 체제 형성기 국민(민족)국가 수립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때 지정학적 상상은 세계 체제 및 동아시아 지역 질서 내 조선의 위상을 정립, 강화시키기 위한 학문적 원동력이었다. 표해운의 『조선지정학개관』에는 해방 조선을 분할 통치하고 있던 소련과 미국의 민족성 및 국가 정책, 그리고 그에 기초한 신탁통치제도에 관한 세밀한 고찰이 전개되고 있다. 조선을 거점으로 한 소련과 미국 등 열강 세력의 교착과 갈등, 그들의 지리적 팽창주의에 의한 한반도의 분할과 신탁통치, 나아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로 양분된 세계 체제 및 냉전 체제로의 재편 과정에 대한 인식은 모두 지정학적 관점과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또한, 이는 제국 일본의 패전에 의해 타율적으로 주어진 해방 정국을 이해하고, 조선의 독립을 모색하기 위해 지정학이라는 학문적 관점을 적용해 국제정치사의 측면에서 조선을 둘러싼 동아시아 지역 질서 및 세계 체제에 기민하게 반응한 결과이기도 했다. 한편, 표해운의 『조선지정학개관』의 논의는 탈식민 민족국가로서의 조선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그는 지정학적 관점에서의 중앙적.병참적.역적 위치의 성격을 모두 구비한 조선의 관계적 위치를 부각시켰고, 관계적 위치로서의 조선은 ‘대륙 정치성’과 ‘해양 정치성’을 갖는다고 밝혔다. 이러한 관계적 위치에 대한 강조는 강대국 사이의 완충독립국가로서의 조선의 지위를 확보하기 것이었다. 아울러 지리적 환경에 의해 민족성이 형성되고, 다시 민족성에 의해 독립국가로서의 조선의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을 때, 그것은 조선을 통합된 균질적 공간으로 위치시켜 상상하게 한다.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의 조화, 각 지방들의 유기적 통합체로서의 국토에 대한 인식과 감각, 그리고 자연 환경과 민족 심리, 나아가 민족문화를 단선적으로 연결시키는 표해운의 논의는 지리적 민족주의와 문화적 민족주의를 동일시하는 전략적 서술이었다. 이러한 전략적 서술은 민족국가를 상상하게 하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발휘했지만, 해방 직후 다양하고 이질적인 주체들의 조선에 대한 지리적 상상을 단일화시켰다. Liberation on August 15, 1945 was a historic event brought profound changes to the topology of Joseon. Liberation would mean the transition to a establishment of nation-state away from the empire-colonial system in in the formative period of postcolonial-Cold War system. The geopolitical imagination was the driving force for reinforcement topology of Joseon inside the world system and East Asian regional order. Joseonjijeonghakgaekwan by Pyo, Hae-un was discussed ethnicity and national policy, the trusteeship system of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that was having ivide and rule. This is given to understanding the heteronomously ascribed liberation out of the defeat of the Imperial Japanese, and will apply the academic perspective of geopolitics to seek the independence of Joseon.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Joseonjijeonghakgaekwan by Pyo, Hae-un was focused on the topological redefining of Joseon as postcolonial nation-state. He had brought emphasize the relational position of Joseon in the geopolitical point of view, it was to secure the status of Joseon as a buffer state. In addition, the ethnicity by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is formed, when they can obtain the topology of Joseon as an independent state by the ethnicity, it was conceived as a homogeneous space that integrates location line. His discussion bespoken the harmony of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the awareness and sense of territory as an organic unity of the local was a strategic narrative that identify the geographic nationalism with the cultural nationalism.

      • KCI등재

        식민지 문학자와 이동의 정치학 -식민지 후반기 이석훈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오태영 ( Tae Young 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2 No.-

        조선문인협회 가담 이후 이석훈은 문예동원의 일환으로 지방 문인순회강연, 부여신궁 조영 근로봉사, 내지 성지순례, 만주 개척촌 시찰 등 조선, 일본, 만주 지역을 이동하는 한편, 그러한 이동의 체험을 문학작품화하면서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자장 안에서 새로운 ``자기``를 구축하기 위한 지난한 과정을 겪었다. 그의 이러한 이동은 단순히 제국의 권역 내 지리적 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국-식민지 체제 내 지방에서 중앙으로, 식민지 조선인에서 제국 일본인으로의 정치적·사회적 이동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전시총동원체제기 ``국민문학``으로 재편된 조선문단 내 식민지 문학자라는 제한적·폐쇄적 지위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위상을 구축하려는 욕망 표출의 이동 과정이기도 하였다. 물론 이석훈은 그러한 이동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자기``를 구축하는 데 실패했고, 그로 인해 불안과 우울에 빠지게 된다. 무엇보다 그것은 자신의 문학적 행보에 대한 타자의 시선을 끊임없이 의식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1940년대 전반기를 식민지 문학자로 살아간다는 것, 그것은 단순히 동화와 이화, 저항과 협력으로 수렴되지 않는 문학자 개인의 분열증적인 욕망에 이끌리는 삶이었다. Lee Seok-Hoon, after joining the Joseon Literary Men`s Association, moved around Joseon, Japan and Manchu as mobile literature activities for local literary men`s lecture, voluntary work for construction of new building of Buyeo Palace, Japanese pilgrimage and visiting pioneers` village in Manchu, attempted to build a new ``ego`` in the ideology of imperialism by creating his experiences in literary works. His such moves does not only mean geographical move within the empire boundary, but also implies political and social moves from Joseon man to Japanese and from the local to the center in the empire-colony system. In addition, the moves also were the course of expressing the desire to build a new status by getting out of limited and isolated position as the litterateur in colonial system within the Joseon literary world which was reorganized as ``national literature`` in the term of all-out mobilization for wartime. Definitely, Lee Seok-Hoon failed at building a new ``ego`` through the course of moves, and entered a long hall of depression, because he was conscious of the way other people are looking at his steps in literature. Living as the literati in the colonial period at the early 1940s was the one led by schizophrenic desire of a literati which is not reflected by assimilation and dissimilation, and resistance and cooperation.

      • KCI등재

        조작된 간첩, 파레시아의 글쓰기

        오태영(Oh, Tae Young)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3 No.-

        한국전쟁 이후 전 세계적인 냉전 질서와 남북한 분단 체제하 통치성의 구조가 변동해오는 가운데 남한은 반공국가로서 자신의 위상을 공고히 해왔다. 적대적 공생관계에 놓여 있던 남북한 분단 상황에서 남한의 통치성은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반공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과정 속에서 발현되었다. 그리고 이때 간첩은 핵심적인 이데올로기 장치로서 기능했다. 박정희 유신독재정권과 그 뒤를 이은 전두환 군부독재정권에서는 공안 기관을 동원해 재일조선인을 간첩으로 조작하였다. 해방 이후 남한 사회에서 재일조선인은 기민정책의 대상으로 배제되어 왔는데, 독재정권 하 체제의 실정성을 유지․강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간첩 만들기의 최적화된 대상으로 호명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간첩 조작 과정에서 법 기술에 기초한 간첩 서사가 만들어져 미디어를 통해 유포되었다. 하지만 간첩으로 조작되었던 재일조선인들의 자기 고백과 증언의 글쓰기가 사후에 수행되면서 당시 간첩 조작 사건들이 폭로되었다. 그리고 이때 재일조선인의 자기 서사는 위험을 감수하고 진실을 말하는 용기, 파레시아의 글쓰기로서 윤리성을 보여준다. After the Korean War, the structure of the Cold War order and the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en changing, and South Korea has maintained its position as an anti-communist nation. In the situation of division of the two Koreas in hostile symbiosis, South Korea’s sovereignty was demonstrated in the process of regulating North Korea as enemy and reproducing anti-communism ideology. And at this time the spies functioned as a key ideological device. In Park Chung-hee’s dictatorship regime and then Chun Doo-Hwan’s military dictatorship regime,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manipulated as a spy by public security agencies. After liberation,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been excluded as targets of policy of abandoning people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hey have been called as an optimized object of the dictatorial regime’s spy. And in the course of such spy manipulation, a spy narrative based on the law was created. However, the spy manipulation cases were revealed at the time when the self-confessions and testimony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were manipulated by espionage were carried out. And at this time, the writing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shows the writing of Parrêsia as a courage to take risks and tell the truth.

      • KCI등재

        식민지 말 이중 언어 상황과 주체의 분열 - 김사량의 「천마」를 중심으로

        오태영(Oh, Tae-You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5

        In this article, by targeting Kim, Sa-ryang’s “Cheonma”, I looked into the way of existence of colonial Joseon litterateur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the Joseon literature that is being integrated into the Japanese literature and the bilingual situation. The spread of the assimilation ideology for warfare during the period of total mobilization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aroused the desire of the colonists to overcome the restricted and closed status and build a new self. However, the hierarchical and discriminatory structure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persisted. Despite the emphasis on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Joseon literature as a national literature, this was repeated even within the colonial Joseon literature center, which spoke of the subordination of Joseon literature to Japanese literature. Kim, Sa-ryang emphasizes the need for creation in two languages, Korean and Japanese, in a situation where the aboli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use of the Japanese language are advocated. However, the bilingual creation of Japanese and Korean only reproduced the hierarchical and discriminatory structure of the imperial-colonial regime.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way of human existence that exceeds the order and grammar of the regime. This is the point where we can critically think about the regime through the traces of the subject who is seized by madness and is divided like Hyeon-ryong in “Cheonma”.

      • KCI등재

        제국-식민지 체제의 생명정치, 비체(卑體)의 표상들

        오태영(Oh, Tae Young)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1 No.-

        이 글은 김사량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가난하고 궁핍한 자들의 문학적 표상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식민지 후반 전시총동원체제기 제국-식민지 체제의 ‘생명정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김사량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식민지 조선 내 가난하고 척박한 삶을 살아가는 토막민과 화전민은 전시총동원체제기 일하지 않는/일할 수 없는 자들로, 자신의 존재의 이유를 갖지 못한 자들이다. 가치 있는 삶(비오스 bios)을 살지 못하는 생명 그 자체(조에z..)로서의 그들의 존재는 제국-식민지 체제가 인간의 생명을 어떻게 배제하면서 동시에 포섭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한편, 내지 일본 이주 조선인들은 인종적, 언어적 경계 위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인종적, 언어적 경계로부터 내몰린 자들이다. 조선인으로서 자신을 부인 하고 일본인임을 끊임없이 역설하는 혼혈인의 모습이나, 의미를 알 수 없는 말을 중얼거리면서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고 있는 ‘지기미’의 모습 속에는 배제되고 내몰린 존재들의 짙은 그림자가 투영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김사량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인물들은 모두 제국-식민지 체제가 추방한 ‘비체(卑體; abject)’들이다. 신체화된 제국-식민지 체제가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아브젝시옹(abjection)으로 이해했을 때, 그러한 아브젝시옹의 과정 속에서 추방된 아브젝트들은 제국-식민지 체제의 생명정치가 만들어내는 경계를 끊임없이 위협하는 존재이자, 결국 그러한 제국-식민지 체제의 공백과 균열의 지점을 폭로하는 존재들인 것이다. This writing considered the ‘bio-politique’ under the imperial-colonial system of wartime forced mobilization during the late colonial times through examination o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poor and needy shown in Kim Sa ryang"s literary work. Shanty town inhabitants and slash-and-burn farmers who live a poor and barren life in colonized Korea shown in Kim, Sa ryang literary work"s are the people who cannot have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as the ones who do not work/cannot work under the system of wartime forced mobilization. Their existence as a life itself (z??) who are not able to live a valuable life(bios) shows how the imperial-colonial system concurrently excludes and embraces human life. Meanwhile, Korean people who emigrated to the inland of Japan are the people positioned on the racial and linguistic barrier, and are the ones who were forced out of the barrier at the same time. In the appearance of ‘Jigimi’ expunging himself as a Korean and continuously emphasizing that he is a Japanese or seeking the reason for his existence muttering unknowable words, a deep shadow of beings who are excluded and driven. In this sense, characters appeared in Kim Sa ryang’ literary work are all the ‘abjects’ that the imperial-colonial system banished. When understanding the process that embodied the imperial-colonial system establishes its identity, abjects banished out of the process of such abjection are the beings threatening the barrier that bio-politique of the imperial-colonial system creates and the ones who reveal the point of vacuum and crack of such imperial-colonial system system afte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