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 청년의 이동과 성장의 임계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와 우줘류의 『아시아의 고아』 비교연구

        오태영 ( Tae Young 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이 글은 제국-식민지 체제기 식민지인의 자기 구축의 논리와 존재 방식을 구명하기 위해 동아시아 비교문학연구의 관점에서 식민지 조선과 타이완 청년의 이동과 성장의 과정을 서사화하고 있는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와 우줘류의 『아시아의 고아』를 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두 작품은 모두 식민지 청년의 자기 주조의 드라마로, 이 드라마의 플롯을 추동하는 원동력은 그들의 ‘이동’에 있다. 『사상의 월야』에서 이송빈의 입신출세를 위한 이동은 야만에서 문명으로, 무지에서 계몽으로의 진화의 과정이자, 식민지 조선의 지방에서 경성을 거쳐 제국 일본의 도쿄로 入社하는 과정이었다. 그것은 식민지 조선 청년의 단선적 이동의 양상과 회로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아시아의 고아』에서 후타이밍의 일본 유학과 중국 대륙으로의 진출 또한 입신출세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의 이동은 입신출세의 욕망이라는 환상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마주하기를 거부했던 식민지 타이완인으로서의 자기와 대면하게 되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았다. 한편, 『사상의 월야』에서 부채의식과 애정결핍에 휩싸인 ‘식민지 고아 청년’ 이송빈의 욕망의 기제로서 ‘과학’ 이 등장하고, 그러한 과학만이 성공을 약속할 수 있다는 확신 속에 자기를 재구축하는 동력으로 작동한다. 문학을 통한 낭만적 사랑에 휩싸였던 청년은 과학을 통해 이성적인 주체로 자기를 갱신하게 된다. 하지만 문학에서 과학으로의 전환이 그의 성장을 달성 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식민지 조선인 남성 청년의 성장은 언제나 제한적이거나, 미완의 상태로 남아 있게 마련이었다. 『아시아의 고아』에서 후타이밍은 결여의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욕망하고 있었지만, 그러한 욕망의 좌절 속에서 다시금 결여의 상태에 직면하였다. 그는 입신출세를 위해 일본과 중국으로 이동하였지만 결국 타이완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고, 일본인으로서도 중국인 으로서도 새로운 자기를 구축할 수 없었다. 결국 그가 자기 회의와 자기 혐오의 상태에서 광란에 휩싸였던 것은 모두 ‘식민지 타이완 청년’의 성장이 처음부터 불가능한 것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처럼 제국-식민지 체제의 새로운 질서와 가치는 식민지 청년들로 하여금 자기 계발과 성장을 통한 새로운 자기 구축이 가능하다는 환상을 증폭시켰지만, 결국 그들의 성장은 미완이나 불가능의 상태로 남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들 이동서사=성장소설은 20세기 전반 동아시아 근대의 상징적 형식으로, 식민지적 불안을 증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ogic of self-establishment and existence method of colonized people during the period of empire-colony system. Accordingly, discussion was unfolded for Lee Tae-jun``s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and Wu, Zhuo-Liu``s Orphan of Asia narrating the process of mobility and growth of young man of colonized Josen and Taiwan from a perspective of East Asian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The two novels are a drama of self-establishment of colonized young man the driving force of the plot of the dram is their mobility.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Lee, Song-bin``s mobility for success in life was a process of evolution from barbarism to civilization and from ignorance to enlightenment, as well as a process of entering Tokyo of Japan Empire from rural area of colonized Joseon through Keijo. It compressively shows the aspect and circuit of unilinear mobility of a young man of colonized Joseon. In Orphan of Asia, Hu, Tai-ming``s study abroad in Japan and entering the mainland China was also a mobility of realization the desire of success in life. However, their mobility brought paradoxical result of facing oneself as a Taiwanese of colonized Taiwan that he refused to unconsciously face in his fantasy of the desire of success in life.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science appears as a mechanism of desire of Lee, Song-bin, ``a young orphan man of colony`` cloaked in sense of debt and lack of affection, and it functions as the driving force of re-establishing himself based on a conviction that only science can promise him his success. The young man who was cloaked in romantic love through literature is renewing himself as a rational being through science. However, transition from literature to science is not making his growth possible. It is inevitable that the growth of a young man in colonized Joseon was always limited or remained incomplete. In Orphan of Asia, Hu, Tai-ming who continuously desired to overcome his state of deficiency ended up once again facing a state of deficiency in the midst of frustration of such desire. Although he migrated to Japan and China to pursue success in life, he had no choice but to return to Taiwan in the end and he was not able to newly establish himself neither as a Japanese nor a Chinese. The fact that he was ultimately cloaked in madness from the state of self-doubt and self-hatred shows that the growth of a Taiwanese young man of colonized Taiwan was impossible to begin with. The new order and value of empire-colony system amplified a fantasy among colonized young man that their new self-establishment would be possible through self-improvement and growth. However, their growth remained incomplete or in an impossible state. In this sense, mobile narratives=bildungsroman are clearly expressing colonial uneasiness in a symbolic form of modernity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참여 특성과 어깨 통증 및 장애 척도의 상관관계 연구

        오태영,하진영,이은지,김슬비,김부영,이해정,Oh, Tae Young,Ha, Jin Young,Lee, En Ji,Kim, Seol Bi,Kim, Bu Young,Lee, Hae Jung 대한물리치료학회 201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with participation in badminton and to find the effects of badminton on the shoulder joint.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143 people with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 badminton clubs located in Busan, Gyeongsangnam-do. Out of the 143 subjects (91 males, 52 females), about half (72 people) were over 40 years old, with 71 people over 50 years ol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27 questions involving demographic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playing characteristics, and SPADI.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th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badminton career, frequency of play, and SPAD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PADI scores for players over 40 years old. The over 40 year old group with less than 5 years of badminton had a significantly increase in SPADI score. The over 50 year ol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PADI score compared with the over 40 group. Conclusion: We suggest that beginner badminton players learn correct posture and badminton skills from professionals, participate regularly, and maintain an appropriate intensity/frequency of badminton.

      • KCI등재

        보행 방향 전환 시 입각기 하지 및 체간의 운동형상학적 분석

        오태영,Oh, Tae-Young 대한물리치료학회 201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analysis of kinematics of lower extremities and trunk in stance phase of walking according to turning direction. Methods: Ten university students (five male, five female) who were in their 20s (mean age was 20.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did not have participants did not have any problem with skeletal muscular system. We used the "Qualisys motion capture system" for analysis of trunk and lower extremity movement in stance phase of walking according to turning direction. We collected data while subjects walked a distance of 10 m, and at the 6 m line, subjects were required to turn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leg was positioned in stance phase and the left leg was positioned in swing. For data analysis, the SPSS for Windows ver. 20.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in performance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turning direction.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 of trunk and lower extremities was observed for turning direction according to walking cycle (p<0.05). Upper trunk movement showed a greater increase at three dimensions than lower trunk, and in heel off phase, pelvic movement showed a greater increase than lower trunk (p<0.05). In 45 degree and 90 degrees of turning direction, all movements of trunk and lower extrem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events of stance phase (p<0.05).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ree-dimensional movement analysis of trunk and lower extremities during turning movement was very important in order to indicate increasing balance or walking ability for people with impaired movement or walking.

      • KCI등재

        조작된 간첩, 파레시아의 글쓰기

        오태영(Oh, Tae Young)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3 No.-

        한국전쟁 이후 전 세계적인 냉전 질서와 남북한 분단 체제하 통치성의 구조가 변동해오는 가운데 남한은 반공국가로서 자신의 위상을 공고히 해왔다. 적대적 공생관계에 놓여 있던 남북한 분단 상황에서 남한의 통치성은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반공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과정 속에서 발현되었다. 그리고 이때 간첩은 핵심적인 이데올로기 장치로서 기능했다. 박정희 유신독재정권과 그 뒤를 이은 전두환 군부독재정권에서는 공안 기관을 동원해 재일조선인을 간첩으로 조작하였다. 해방 이후 남한 사회에서 재일조선인은 기민정책의 대상으로 배제되어 왔는데, 독재정권 하 체제의 실정성을 유지․강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간첩 만들기의 최적화된 대상으로 호명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간첩 조작 과정에서 법 기술에 기초한 간첩 서사가 만들어져 미디어를 통해 유포되었다. 하지만 간첩으로 조작되었던 재일조선인들의 자기 고백과 증언의 글쓰기가 사후에 수행되면서 당시 간첩 조작 사건들이 폭로되었다. 그리고 이때 재일조선인의 자기 서사는 위험을 감수하고 진실을 말하는 용기, 파레시아의 글쓰기로서 윤리성을 보여준다. After the Korean War, the structure of the Cold War order and the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en changing, and South Korea has maintained its position as an anti-communist nation. In the situation of division of the two Koreas in hostile symbiosis, South Korea’s sovereignty was demonstrated in the process of regulating North Korea as enemy and reproducing anti-communism ideology. And at this time the spies functioned as a key ideological device. In Park Chung-hee’s dictatorship regime and then Chun Doo-Hwan’s military dictatorship regime,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manipulated as a spy by public security agencies. After liberation,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been excluded as targets of policy of abandoning people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hey have been called as an optimized object of the dictatorial regime’s spy. And in the course of such spy manipulation, a spy narrative based on the law was created. However, the spy manipulation cases were revealed at the time when the self-confessions and testimony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were manipulated by espionage were carried out. And at this time, the writing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shows the writing of Parrêsia as a courage to take risks and tell the truth.

      • KCI등재

        경기지역 학교 단체급식소 식품 및 환경 중 식중독균 분석

        오태영(Tae Young Oh),백승엽(Seung-Youb Baek),구민선(Minseon Koo),이종경(Jong-Kyung Lee),김승민(Seung Min Kim),박경민(Kyung-Min Park),황대근(Daekeun Hwang),김현정(Hyun 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건당 환자수가 높아 식품안전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단체급식소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에서 식중독균을 분석하고 이들 미생물의 병원성 인자 및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여 미생물 위험분석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총 8개(농촌 3, 도시 4 및 벽지 1) 학교급식소에서 식품 시료(n=66), 조리도구(n=44) 및 환경 시료(n=56) 등 총 179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세균 및 식중독균을 분석하였다. 식품 시료에서 총균수는 평균 4.7 log CFU/g, 최대 8.1 log CFU/g으로 대장균군의 평균 오염도 3.1 log CFU/g, 최대 오염도 4.0 log CFU/g으로 높았다. 선반 및 개수대 등 환경 시료의 총균수는 평균 2.7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대장균의 경우 평균 4.0 log CFU/g, 최대 5.4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오염 수준이 높아 환경으로부터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병원성 미생물중 Bacillus cereus의 정량분석 결과 식품(원료, 조리단계 및 조리식품 포함) 시료에서 평균 2.1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중 조리된 식품의 오염도는 10,000 CFU/g 이하로 식품공전의 기준 이하로 오염되어 있었다. Escherichia coli는 식품 중 조리 전 시료(n=14)에서만 검출율 35.7%로 분석되었으며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조리 전 식품 원료(n=14)의 21.4%에서 검출되었으며 환경 시료(냉장고 손잡이)에서 1건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외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는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모두 음성이었다.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hblACD, nheABC, entFM, cytK enterotoxin gene)를 분석한 결과 구토 유발 독소인 ces는 모두 음성이었으나 분석된 86주 모두 적어도 1종 이상의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66.2%의 균주는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를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식품과 환경에서 분리한 S. aureus(n=16)의 장독소 생성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1종 이상의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전형적인 장독소유전자 중에서는 sea만 검출되었으며, 독소충격증후군 toxin(tst) 유전자는 모든 분리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집단 식중독 발생 시 초기 진료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항생제 내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E. coli(n=41)의 92.7%는 분석한 항생제 16종에 대해 내성을 보이지 않았고 cefazolin에 대한 내성률이 4.9%로 가장 높았으며, 1개 균주에서만 2개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을 보여 국내외 항생제 내성률보다 낮았다. S. aureus(n=16)는 시험한 19종 항생제 중 gentamicin에 대한 내성률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일부 균주에서 2주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단체급식소 2개소의 조리도구와 환경 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특정균이 도구와 환경에서 중복 검출되어 도구와 환경중 교차오염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단체급식소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중 위생지표균과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패턴을 분석하고 분리된 균주의 독성인자와 항생제 내성 정보를 분석하였다. 관련 정보는 단체급식소 미생물 위험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사전적, 정량적 안전관리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식중독 유발의 다른 원인인 바이러스류와 기타 원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oodborne illness associated with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s an important food safety issue in Korea. In this study, foodborne pathogen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pathogenic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nd hygiene indicator organisms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were analyzed for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Virulence factor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detected foodborne pathogens were also characterized. A total of 179 samples, including food (n=66), utensil (n=68), and environmental samples (n=45), were collected from eight food 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TVC for foods (including raw materials) and environmental samples were 4.7 and 4.0 log CFU/g, respectively.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coliforms were 2.7 and 4.0 log CFU/g for foods and environmental swab samples, respectively. B. cereus contamination was detected in food samples with an average of 2.1 log CFU/g. E. coli was detected only in raw materials, and S. aureus was positive in raw materials as well as environmental swab samples. Other foodborne pathogen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entire B. cereus isolates possessed at least one of the diarrheal toxin genes (hblACD, nheABC, entFM, and cytK enterotoxin gene). However, ces gene encoding emetic toxin was not detected in B. cereus isolates. S. aureus isolates (n=16) containe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ested enterotoxin genes, except for tst gene. For E. coli and S. aureus, 92.7% and 37.5% of the isolates were susceptible against 16 and 19 antimicrobials, respectively. The analyzed microbial hazard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an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foodborne illness outbreaks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 KCI등재

        어린잎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 중 식중독 미생물 분석

        오태영 ( Tae Young Oh ),백승엽 ( Seung Youb Baek ),최정희 ( Jeong Hee Choi ),정문철 ( Moon Cheol Jeong ),구옥경 ( Ok Kyung Koo ),김승민 ( Seung Min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1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토양 및 용수 등 환경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생산단계 어린잎 채소와 환경 시료의 일반 세균수는 모두 6.8 log CFU/g 이상 분석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어린잎 채소와 토양에서 각각 3.2 log CFU/g 및 3.5 log CFU/g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가공공정 단계에서는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세척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최종제품 단계에서는 오염수준이 감소되었다. B. cereus의 경우 생산단계에서는 어린잎 채소와 토양 또는 지지토에서 오염도가 높았으며, 가공공정에서는 원료 대비 최종 제품에서 약 1.4 log CFU/g 정도 감소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정성분석 결과 생산단계에서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이 음성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B. cereus를 이용하여 rep-PCR에 의한 유전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생산단계의 경우 지지토와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이 높아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지지토에 오염된 균주가 어린잎 채소로 이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 반면 가공공정에서 분리된 균주의 경우 유전적 상동성이 낮아 공정 중 재 오염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essing step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Enterobacteriace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Listeria mon℃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Bacillus cereus, and Staphyl℃℃cus aureus. The total viable counts of microgreen (whole leaves) and environment samples from harvesting steps were higher than 6.8 log CFU/g and the contamination level of coliforms in the samples were 3.2 log CFU/g and 3.5 log CFU/g of microgreen and soil, respectively. In case of microgreen samples collected from pr℃essing steps, the contamination level of TVC and coliforms were higher in raw materials than samples obtained from later stages of pr℃essing, i.e. washing, drain, and final product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B. cereus in raw materials and environments decreased approximately 1.4 log CFU/g in final products. S. aureus was detected in soil samples but Salmonella spp., Listeria mon℃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pathogenic E. coli was not dete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sources of contamination for microgreen, the genetic similarity of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harvesting and pr℃essing steps were compared using the repetitive-sequence-based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harvesting environments and microgreen were clustered with a similarity greater than 95%. In case of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microgreen and environmental samples at pr℃essing steps showed low genetic similarity.

      • KCI등재

        식민지 문학자와 이동의 정치학 -식민지 후반기 이석훈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오태영 ( Tae Young 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2 No.-

        조선문인협회 가담 이후 이석훈은 문예동원의 일환으로 지방 문인순회강연, 부여신궁 조영 근로봉사, 내지 성지순례, 만주 개척촌 시찰 등 조선, 일본, 만주 지역을 이동하는 한편, 그러한 이동의 체험을 문학작품화하면서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자장 안에서 새로운 ``자기``를 구축하기 위한 지난한 과정을 겪었다. 그의 이러한 이동은 단순히 제국의 권역 내 지리적 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국-식민지 체제 내 지방에서 중앙으로, 식민지 조선인에서 제국 일본인으로의 정치적·사회적 이동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전시총동원체제기 ``국민문학``으로 재편된 조선문단 내 식민지 문학자라는 제한적·폐쇄적 지위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위상을 구축하려는 욕망 표출의 이동 과정이기도 하였다. 물론 이석훈은 그러한 이동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자기``를 구축하는 데 실패했고, 그로 인해 불안과 우울에 빠지게 된다. 무엇보다 그것은 자신의 문학적 행보에 대한 타자의 시선을 끊임없이 의식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1940년대 전반기를 식민지 문학자로 살아간다는 것, 그것은 단순히 동화와 이화, 저항과 협력으로 수렴되지 않는 문학자 개인의 분열증적인 욕망에 이끌리는 삶이었다. Lee Seok-Hoon, after joining the Joseon Literary Men`s Association, moved around Joseon, Japan and Manchu as mobile literature activities for local literary men`s lecture, voluntary work for construction of new building of Buyeo Palace, Japanese pilgrimage and visiting pioneers` village in Manchu, attempted to build a new ``ego`` in the ideology of imperialism by creating his experiences in literary works. His such moves does not only mean geographical move within the empire boundary, but also implies political and social moves from Joseon man to Japanese and from the local to the center in the empire-colony system. In addition, the moves also were the course of expressing the desire to build a new status by getting out of limited and isolated position as the litterateur in colonial system within the Joseon literary world which was reorganized as ``national literature`` in the term of all-out mobilization for wartime. Definitely, Lee Seok-Hoon failed at building a new ``ego`` through the course of moves, and entered a long hall of depression, because he was conscious of the way other people are looking at his steps in literature. Living as the literati in the colonial period at the early 1940s was the one led by schizophrenic desire of a literati which is not reflected by assimilation and dissimilation, and resistance and co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인 청년의 이동과 시선

        오태영(Oh, Tae Yo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1 No.-

        이광수의 무정 에서 식민지 조선인 청년 이형식의 이동은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과정 그 자체를 보여준다. 그는 계몽적 주체로 자기를 새롭게 구축하기 위해서 전근대적인 질서와 결별해야 했고, 평양으로의 이동이라는 공간적 실천 행위를 통해 이를 수행한다. 또한, 삼랑진 수해 현장에서 조선인들의 참상을 목도한 뒤 그들에게 과학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면서 입신출세를 위한 자신의 이동이 식민지 조선의 문명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라고 의미부여한다. 한편, 염상섭의 만세전 에서 식민지 조선인 청년 이인화는 일본에서 조선으로의 이동 과정 속에서 식민지 조선인으로서의 자기와 조우하고, 조선의 식민지적 현실을 목도한다. 제국의 수도 도쿄에서 자기를 유폐했던 그는 감시의 시선 속에서 망각하고 있었던 식민지 조선인으로서 자기를 자각하였고, 묘지와도 같은 조선의 식민지적 현실에 환멸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그러한 환멸의 시선은 되돌아와 자기 자신을 향하게 되면서 그는 자기 파탄에 직면하게 된다. 이처럼 무정 과 만세전 은 식민지 조선인 청년의 이동 과정을 서사화하고 있는데, 전자는 식민지 나르시시스트의 자기 구축 과정을, 후자는 자기 파탄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각 주체의 (몰)윤리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나르시시즘적인 욕망을 추동한 것이 제국-식민지 체제의 질서와 문법이라는 점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식민지 조선인 청년이라는 제한적 폐쇄적 위상을 극복하고 자기를 구축하기에 여념이 없었던 그들이 자신들을 둘러싼 세계 속에서 또 다른 자기를 발견하고 동일시하려고 했던 욕망은, 비록 그것이 강화되거나 부인되는 방식으로 나타났지만, 제국-식민지 체제가 마련한 이동과 시선의 장치들에 의한 것이었다. The movement of the colonial Joseon youth in Lee, Kwang-su’s Mujeong shows the process of newly establishing his identity. He had to break up with pre-modern values and order in order to establish himself as an enlightened subject.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a spatial practice of moving to Pyongyang. In addition, he witness the disasters of the Koreans in the flood disaster and demand that they need science. In the meantime, it means that his movement for coming to the top is to fulfill the mission of civilization of the colonial Joseon. On the other hand, the colonial Joseon youth in Yeom, Sang-seop’s Mansejeon encountered himself as a colonial Jose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from Japan to Joseon and witnessed the colonial reality of Joseon in the process of movement from Japan to Joseon. He, who had defeated himself in the imperial capital Tokyo, could not help but notice himself as a colonial Joseon who had been forgotten in the gaze of surveillance. And He could not help but feel disillusioned with the colonial reality of Joseon like the cemetery. But as the eyes of such disillusionment goes back to himself, he is confronted with his own destruction. As such, Mujeong refers to the self-building process of the colonial Narcissist, while Mansejeon represents the ethics of the visual subject in that it shows the self-corruption process. Despite these differences, however,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driving of their narcissistic desires is the order and grammar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They had no desire to overcome the restricted or closed status of the colonial Joseon youth and build themselves, and they desire to discover and identify another self in the world around them. Although it did appear in a way that was reinforced or denied, it was due to the devices of movement and eyes provided by the empire-colonial regime.

      • KCI등재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오태영(Oh Tae Young)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이 글은 1940년대 전반 발간된「신시대」라는 대중 지향 미디어 내부의 일본어/조선어의 공간 분할과 통합, 국어/조선어 강좌 병행 연재의 정치성을 고찰하는 것을 통해 당시 일본어와 조선어의 이중언어(diglossia)적 위계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국어로서의 일본어 위상 강화 메커니즘의 일단을 구명했다. 「신시대」라는 미디어가 국어로서의 일본어의 권위와 위상을 강화하면 할수록 그 독자로 상정된 조선인들은 사회적?성적으로 위계화되어갔고, 그 과정 속에서 1940년대 전반 대다수 조선인들을 ‘언어적 예외상태’에 놓인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역설이 존재했다. 1940년대 전반 일본어/조선어의 이중언어적 상황은 이러한 언어적 예외상태에 놓인 존재들을 끊임없이 부인하는 동시에 양산하는 전략 속에서 유지될 수 있었다. 그리고 당시 국어로서의 일본어의 권위 확보와 위상 강화 메커니즘의 핵심에는 바로 이 언어적 예외상태의 결정권의 문제가 놓여 있었다. This paper reviews hierarchical relationships as diglossia between Japanese language and Joseon language at the time by considering the space partition and integration of Japanese language/Joseon language and politics of simultaneous serialization of the lecture of National language/Joseon language inside public -oriented media called Shinsidae(New Ag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1940s and further, examined an aspect of phase strengthening mechanism of Japanese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The more the media called Shinsidae(New Age) strengthen the authority and phase of Japanese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the more Joseon people supposed as its readers became hierarchical socially? sexually, and there existed a paradox that it made most Joseon people who would live in the first half of 1940s in the process become existences located in a domain of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The diglossia situations between Japanese language/Joseon language in the first half of 1940s could be maintained amid the strategy that continuously denies existences located in this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as well as mass-produces. And the issue on who rightly decides this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was located in the core of a mechanism of securing of authority and strengthening of a phase of Japanese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