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지역 학교 단체급식소 식품 및 환경 중 식중독균 분석

        오태영(Tae Young Oh),백승엽(Seung-Youb Baek),구민선(Minseon Koo),이종경(Jong-Kyung Lee),김승민(Seung Min Kim),박경민(Kyung-Min Park),황대근(Daekeun Hwang),김현정(Hyun 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건당 환자수가 높아 식품안전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단체급식소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에서 식중독균을 분석하고 이들 미생물의 병원성 인자 및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여 미생물 위험분석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총 8개(농촌 3, 도시 4 및 벽지 1) 학교급식소에서 식품 시료(n=66), 조리도구(n=44) 및 환경 시료(n=56) 등 총 179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세균 및 식중독균을 분석하였다. 식품 시료에서 총균수는 평균 4.7 log CFU/g, 최대 8.1 log CFU/g으로 대장균군의 평균 오염도 3.1 log CFU/g, 최대 오염도 4.0 log CFU/g으로 높았다. 선반 및 개수대 등 환경 시료의 총균수는 평균 2.7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대장균의 경우 평균 4.0 log CFU/g, 최대 5.4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오염 수준이 높아 환경으로부터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병원성 미생물중 Bacillus cereus의 정량분석 결과 식품(원료, 조리단계 및 조리식품 포함) 시료에서 평균 2.1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중 조리된 식품의 오염도는 10,000 CFU/g 이하로 식품공전의 기준 이하로 오염되어 있었다. Escherichia coli는 식품 중 조리 전 시료(n=14)에서만 검출율 35.7%로 분석되었으며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조리 전 식품 원료(n=14)의 21.4%에서 검출되었으며 환경 시료(냉장고 손잡이)에서 1건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외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는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모두 음성이었다.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hblACD, nheABC, entFM, cytK enterotoxin gene)를 분석한 결과 구토 유발 독소인 ces는 모두 음성이었으나 분석된 86주 모두 적어도 1종 이상의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66.2%의 균주는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를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식품과 환경에서 분리한 S. aureus(n=16)의 장독소 생성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1종 이상의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전형적인 장독소유전자 중에서는 sea만 검출되었으며, 독소충격증후군 toxin(tst) 유전자는 모든 분리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집단 식중독 발생 시 초기 진료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항생제 내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E. coli(n=41)의 92.7%는 분석한 항생제 16종에 대해 내성을 보이지 않았고 cefazolin에 대한 내성률이 4.9%로 가장 높았으며, 1개 균주에서만 2개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을 보여 국내외 항생제 내성률보다 낮았다. S. aureus(n=16)는 시험한 19종 항생제 중 gentamicin에 대한 내성률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일부 균주에서 2주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단체급식소 2개소의 조리도구와 환경 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특정균이 도구와 환경에서 중복 검출되어 도구와 환경중 교차오염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단체급식소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중 위생지표균과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패턴을 분석하고 분리된 균주의 독성인자와 항생제 내성 정보를 분석하였다. 관련 정보는 단체급식소 미생물 위험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사전적, 정량적 안전관리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식중독 유발의 다른 원인인 바이러스류와 기타 원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oodborne illness associated with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s an important food safety issue in Korea. In this study, foodborne pathogen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pathogenic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nd hygiene indicator organisms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were analyzed for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Virulence factor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detected foodborne pathogens were also characterized. A total of 179 samples, including food (n=66), utensil (n=68), and environmental samples (n=45), were collected from eight food 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TVC for foods (including raw materials) and environmental samples were 4.7 and 4.0 log CFU/g, respectively.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coliforms were 2.7 and 4.0 log CFU/g for foods and environmental swab samples, respectively. B. cereus contamination was detected in food samples with an average of 2.1 log CFU/g. E. coli was detected only in raw materials, and S. aureus was positive in raw materials as well as environmental swab samples. Other foodborne pathogen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entire B. cereus isolates possessed at least one of the diarrheal toxin genes (hblACD, nheABC, entFM, and cytK enterotoxin gene). However, ces gene encoding emetic toxin was not detected in B. cereus isolates. S. aureus isolates (n=16) containe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ested enterotoxin genes, except for tst gene. For E. coli and S. aureus, 92.7% and 37.5% of the isolates were susceptible against 16 and 19 antimicrobials, respectively. The analyzed microbial hazard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an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foodborne illness outbreaks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 KCI등재

        어린잎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 중 식중독 미생물 분석

        오태영 ( Tae Young Oh ),백승엽 ( Seung Youb Baek ),최정희 ( Jeong Hee Choi ),정문철 ( Moon Cheol Jeong ),구옥경 ( Ok Kyung Koo ),김승민 ( Seung Min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1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토양 및 용수 등 환경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생산단계 어린잎 채소와 환경 시료의 일반 세균수는 모두 6.8 log CFU/g 이상 분석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어린잎 채소와 토양에서 각각 3.2 log CFU/g 및 3.5 log CFU/g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가공공정 단계에서는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세척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최종제품 단계에서는 오염수준이 감소되었다. B. cereus의 경우 생산단계에서는 어린잎 채소와 토양 또는 지지토에서 오염도가 높았으며, 가공공정에서는 원료 대비 최종 제품에서 약 1.4 log CFU/g 정도 감소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정성분석 결과 생산단계에서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이 음성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B. cereus를 이용하여 rep-PCR에 의한 유전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생산단계의 경우 지지토와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이 높아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지지토에 오염된 균주가 어린잎 채소로 이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 반면 가공공정에서 분리된 균주의 경우 유전적 상동성이 낮아 공정 중 재 오염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essing step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Enterobacteriace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Listeria mon℃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Bacillus cereus, and Staphyl℃℃cus aureus. The total viable counts of microgreen (whole leaves) and environment samples from harvesting steps were higher than 6.8 log CFU/g and the contamination level of coliforms in the samples were 3.2 log CFU/g and 3.5 log CFU/g of microgreen and soil, respectively. In case of microgreen samples collected from pr℃essing steps, the contamination level of TVC and coliforms were higher in raw materials than samples obtained from later stages of pr℃essing, i.e. washing, drain, and final product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B. cereus in raw materials and environments decreased approximately 1.4 log CFU/g in final products. S. aureus was detected in soil samples but Salmonella spp., Listeria mon℃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pathogenic E. coli was not dete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sources of contamination for microgreen, the genetic similarity of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harvesting and pr℃essing steps were compared using the repetitive-sequence-based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harvesting environments and microgreen were clustered with a similarity greater than 95%. In case of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microgreen and environmental samples at pr℃essing steps showed low genetic simil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