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 학술활동 - International ICFMH Symposium Food Micro 2012 학회 참관 및 터키 발효식품 조사

        구민선,Koo, Minseon 한국식품연구원 2012 食品技術 Vol.25 No.3

        본 내용은 터키 이스탄불에서 2012년 9월 3일부터 7일까지 개최된 "International ICFMH Symposium Food Micro 2012"에서 발표한 연구결과와 현지에서 수집한 발효식품의 최신 연구 동향/정보로서, 된장의 발효 미생물 선정 및 산업화 공정 개발 과제 수행에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Cronobacter sakazakii 분리배지의 성능 비교

        김현정(Hyun-Jung Kim),구민선(Minseon Koo),오세욱(Se-Wook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5

        식품공전에 Cronobacter sakazakii 분리배지로 등재되어 있는 3종의 분리배지에 대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Chromogenic Enterobacter sakazakii agar, Enterobacter sakazakii agar가 VRBG agar에 비하여 뚜렷한 색택과 모양의 집락을 생성하였다. 3종의 분리배지 모두 30종의 Cronobacter sakazakii에 대한 sensitivity가 100%로 측정되었지만 Cronobacter sakazakii 이외의 Enterobacteriaceae 균주를 이용한 specificity 실험에서는 Chromogenic Enterobacter sakazakii agar, Enterobacter sakazakii agar가 100%로 측정되었지만 VRBG agar는 0%로 측정되었다. 인위적으로 접종한 식품에서의 회수율은 실험에 공시된 3종 배지에서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Three different isolation media for Cronobacter sakazakii have been recommend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rom 2007. Performance comparison test was carried out between recommended Cronobacter sakazakii isolation medium. Chromogenic Enterobacter sakazakii agar (CESA) and Enterobacter sakazakii agar (ESA) produce more distinctive colonies having characteristic colors and appearance than Violet red bile glucose agar (VRBGA).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3 different isolation media was checked. All 3 tested media showed 100% sensitivity when tested with 30 different Cronobacter sakazakii. The CESA and ESA showed 100% specificity when tested with Enterobacteriaceae except Cronobacter sakazakii, However, VRBGA did not show any specificity, showing inadequate selectivity compared to applicable Cronobacter sakazakii isolation medium. Artificially inoculated Cronobacter sakazakii to milk powder was easily recovered with 3 different isolation media and they all showed almost the same recovery a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경기지역 학교 단체급식소 식품 및 환경 중 식중독균 분석

        오태영(Tae Young Oh),백승엽(Seung-Youb Baek),구민선(Minseon Koo),이종경(Jong-Kyung Lee),김승민(Seung Min Kim),박경민(Kyung-Min Park),황대근(Daekeun Hwang),김현정(Hyun 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건당 환자수가 높아 식품안전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단체급식소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에서 식중독균을 분석하고 이들 미생물의 병원성 인자 및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여 미생물 위험분석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총 8개(농촌 3, 도시 4 및 벽지 1) 학교급식소에서 식품 시료(n=66), 조리도구(n=44) 및 환경 시료(n=56) 등 총 179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세균 및 식중독균을 분석하였다. 식품 시료에서 총균수는 평균 4.7 log CFU/g, 최대 8.1 log CFU/g으로 대장균군의 평균 오염도 3.1 log CFU/g, 최대 오염도 4.0 log CFU/g으로 높았다. 선반 및 개수대 등 환경 시료의 총균수는 평균 2.7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대장균의 경우 평균 4.0 log CFU/g, 최대 5.4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오염 수준이 높아 환경으로부터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병원성 미생물중 Bacillus cereus의 정량분석 결과 식품(원료, 조리단계 및 조리식품 포함) 시료에서 평균 2.1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중 조리된 식품의 오염도는 10,000 CFU/g 이하로 식품공전의 기준 이하로 오염되어 있었다. Escherichia coli는 식품 중 조리 전 시료(n=14)에서만 검출율 35.7%로 분석되었으며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조리 전 식품 원료(n=14)의 21.4%에서 검출되었으며 환경 시료(냉장고 손잡이)에서 1건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외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는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모두 음성이었다.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hblACD, nheABC, entFM, cytK enterotoxin gene)를 분석한 결과 구토 유발 독소인 ces는 모두 음성이었으나 분석된 86주 모두 적어도 1종 이상의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66.2%의 균주는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를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식품과 환경에서 분리한 S. aureus(n=16)의 장독소 생성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1종 이상의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전형적인 장독소유전자 중에서는 sea만 검출되었으며, 독소충격증후군 toxin(tst) 유전자는 모든 분리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집단 식중독 발생 시 초기 진료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항생제 내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E. coli(n=41)의 92.7%는 분석한 항생제 16종에 대해 내성을 보이지 않았고 cefazolin에 대한 내성률이 4.9%로 가장 높았으며, 1개 균주에서만 2개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을 보여 국내외 항생제 내성률보다 낮았다. S. aureus(n=16)는 시험한 19종 항생제 중 gentamicin에 대한 내성률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일부 균주에서 2주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단체급식소 2개소의 조리도구와 환경 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특정균이 도구와 환경에서 중복 검출되어 도구와 환경중 교차오염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단체급식소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중 위생지표균과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패턴을 분석하고 분리된 균주의 독성인자와 항생제 내성 정보를 분석하였다. 관련 정보는 단체급식소 미생물 위험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사전적, 정량적 안전관리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식중독 유발의 다른 원인인 바이러스류와 기타 원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oodborne illness associated with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s an important food safety issue in Korea. In this study, foodborne pathogen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pathogenic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nd hygiene indicator organisms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were analyzed for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Virulence factor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detected foodborne pathogens were also characterized. A total of 179 samples, including food (n=66), utensil (n=68), and environmental samples (n=45), were collected from eight food 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TVC for foods (including raw materials) and environmental samples were 4.7 and 4.0 log CFU/g, respectively.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coliforms were 2.7 and 4.0 log CFU/g for foods and environmental swab samples, respectively. B. cereus contamination was detected in food samples with an average of 2.1 log CFU/g. E. coli was detected only in raw materials, and S. aureus was positive in raw materials as well as environmental swab samples. Other foodborne pathogen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entire B. cereus isolates possessed at least one of the diarrheal toxin genes (hblACD, nheABC, entFM, and cytK enterotoxin gene). However, ces gene encoding emetic toxin was not detected in B. cereus isolates. S. aureus isolates (n=16) containe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ested enterotoxin genes, except for tst gene. For E. coli and S. aureus, 92.7% and 37.5% of the isolates were susceptible against 16 and 19 antimicrobials, respectively. The analyzed microbial hazard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an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foodborne illness outbreaks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 KCI등재

        전통 된장의 숙성 기간에 따른 감각・화학적 품질특성

        구경형(Kyung-Hyung Ku),박경민(Kyungmin Park),김현정(Hyun Jung Kim),김윤숙(Yoonsook Kim),구민선(Minseon K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5

        본 연구는 장기 숙성된 우리 된장의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숙성 기간이 다양한 된장을 수집하여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특성과 감각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1년 숙성부터 9년 숙성 된장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등의 일반성분과 염도는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숙성 기간에 따른 경향도 없었다. 또한 아플라톡신 생성 곰팡이 등 위해미생물도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아서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년 숙성 된장이 1,052.5 mg%였으며, 2~5년 숙성 된장은 904.0~997.0 mg%였고 5년 이후 숙성된 된장은 1,219.5~1,307.0 mg%였다. 숙성 기간 동안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표면 색도였으며, 숙성 기간에 따라 밝기와 황색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콩에 포함된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함량비는 9년 숙성된 된장에서도 유지되어 전체 지방산의 55% 이상을 차지하였고, 된장의 주요 유리당인 fructose는 1.6~2.2% 범위였다. 이소플라본 조성은 메주에서는 glycoside 형태가 77.1%를 차지하였으나, 숙성 1년 된장부터는 aglycon 형태의 이소플라본만 검출되었고 genistein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숙성 기간별 된장의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색도, 점도, 간장 냄새, 비린 냄새, 메주 냄새, 간장 맛 등의 변화가 있어서, 메주에서 오는 맛과 향은 숙성 기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지만 간장 맛과 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숙성 기간별로 된장의 관능적 특징 유사성을 계층적 군집분석 실시한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1~5년 그룹과 6~9년 된장으로 분류하였으며 5년 이하 숙성된 된장은 1년, 2년, 3~5년 숙성된 된장 그룹으로 나눠져 숙성 기간별 관능적 품질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quality of Doenjang, fermented Korean soybean paste, subjected to long-term aging, this study performed physico-chemical analyse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aging period (from 1 to 9 years). Regarding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Doenjang according to aging period,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salt contents showed little differences among Doenjang samples. Amino-type nitrogen content was 1,046.7 mg% in the 1 year-aged sample, 990.9~996.9 mg% in the 2~5 year-aged samples, and 1,214.1~1,304.8 mg% in the samples fermented more than 5 years. ΔE value, reflecting total color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s, increased according to aging period. Ratio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hich are essential fatty acids in soybeans, constituted 55% of total fatty acids, which was the most abundant among all fatty acids. The major free sugar in Doenjang was fructose at a content of 1.6~2.2% in 1~9 year-aged Doenjang. Glycoside form of isoflavones in Meju constituted 77.1%, and the aglycon form constituted 22.9%. However, the glycoside type of isoflavones in soybeans was converted to aglycon type in Doenjang through fermentation and aging.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Doenjang samples, brown color, salt smell, soy sauce flavor, and viscosity all increased according to aging period, whereas sweet flavor, roast smell, beany flavor, salty taste, and acrid tast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uster analysis of the sensory attributes of Doenjang according to aging period, 1 year-aged Doenja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year- and 3~5 year-aged Doenjang.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SCOPUSKCI등재

        신선편의 샐러드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품질 및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

        조미진(Mi Jin Jo),정아람(A-Ram Jeong),김현정(Hyun Jung Kim),이나리(Nari Lee),오세욱(Se-Wook Oh),김윤지(Yun-Ji Kim),전향숙(Hyang Sook Chun),구민선(Minseon Koo)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여 위생적인 신선편의 제품의 생산을 유도하고,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위해평가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 지역의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과 대장균군, 장내세균, 대장균을 분석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S. aureu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B. cereus 등의 식중독관련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신선편의 샐러드 중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제품은 과일샐러드 제품으로 일반세균수, 장내세균수와 대장균군의 오염 수준이 낮았다. 하지만, 새싹채소는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 등의 오염수준이 다른 신선편의 제품보다 높았으며, 분석 시료의 37.5%에서 B. cereus 가 3 log CFU/g 이상 오염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신선편의 제품에서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등의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S. aureus는 2개의 샐러드 제품에서 검출되었으나, 오염 수준은 기준 이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중에서는 유기농 상추가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의 오염도가 유기농 상추와 깻잎에 비하여 높았으며, 대장균과 S. aureus는 상추와 깻잎에서만 검출되었고, 풋고추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는 분석된 모든 유기농 채소류에서 검출되었고, 오염도는 1.2-4.0 log CFU/g 수준이었다. 병원성 미생물인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농 채소류는 구입 후 대부분 가정에서 간단한 세척 후 바로 섭취하는 것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오염도는 낮았으나, 유기농 상추의 일반세균수가 5 log CFU/g 이상으로 충분한 세척으로 균수를 낮추지 않는다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섭취적 충분한 세척으로 초기 오염도를 낮추고, 저온에서 보관하며, 가능한 빠른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tential health risk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sampled from su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in Korea. A total of 96 samples comprised three types of fresh-cut produce (sprouts, mixed-vegetables, fruit) and three types of organic vegetables (lettuce, perilla leaf, green pepper).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viable cell counts, coliforms, Enterobacteriace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microbiological counts of fruit were very low. Sprouts were highly contaminated by total viable cell counts (8.3±0.57 log CFU/g), Enterobacteriaceae (7.1±0.76 log CFU/g), and coliforms (4.9±0.40 log MPN/g), and showed a high incidence level of B. cereus (2.9±0.48 log CFU/g). Of the fresh-cut produce analyzed, six (13.6%) mixed-vegetable salads were E. coli positive. S. aureus was detected in only one sprout sample and one mixed-vegetable salad, and its contamination levels were under 2 log CFU/g, which is appropriate for Korean standards (<3 log CFU/g) of fresh-cut produce. Of the organic vegetables, lettuces were highly contaminated by total viable cell counts (6.4±0.74 log CFU/g), Enterobacteriaceae (5.7±0.98 log CFU/g), and coliforms (3.7±1.72 log MPN/g). Two (13.6%) organic lettuce and one (7.1%) perillar leaf sample were E. coli positive, and S. aureus was detected in one lettuce and two perilla leaf sample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fresh-cut produce or organic vegetables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