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돌연변이 T7 RNA 증합효소의 머리핀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는 인자독립형 전사종결 부위에서의 전사종결에 관한 연구

        신지영,김동희,이상수,Shin, Ji-Young,Kim, Dong-Hui,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自然科學論文集 Vol.14 No.1

        T7 RNA 중합효소는 두 종류의 인자 독립형 전사 종결신호를 인지하여 전사연장을 종결하게 되는데 이 중 머리핀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는 PHT와 CJ 전사종결 부위는 ‘ATCTGTT' non-template 염기서열 다음에 T염기가 많은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잇다. 이와 같은 전사종결을 민감하게 인지하는 돌연변이 T7 RNA 중합효소인 X4, X19, BG8과 이와 반대로 둔감하게 인지하는 R173C를 제조하여 전사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결과 야생형 T7 RNA 중합효소에 비해 X4는 8%, X19는 33%, BG8은 34%의 전사활성도를 보여 전사활성도가 상당히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R173C는 야생형에 비해 112%의 전사활성도를 보여 야생형과 거의 유사한 전사활성도를 보였다. 또한 PTH 및 CJ 전사종결 부위를 전사주형으로 이용하여 전사하였을 때 X4, X19, BG8은 야생형 RNA중합효소에 비해 종결 부위에서의 종결이 증가하였으나 R173C는 거의 PTH 및 CJ 전사종결부위에서 전사종결이 일어나지 않고 전사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7 RNA polymerase also recognize intrinsic, hairpin-independent termination signal, a conserved 7-base pair sequence (ATCTGTT in the non-template stand) and U-rich sequence downstream of it. These intrinsic, hairpin-independent termination signal were commonly found in PTH and CJ termination sequences. There are two types of mutant T7 RNA polymerases recognizing sensitively(X3, X19, BG8) of insensitively (R173C) the intrinsic termination signals. We determined the T7 transcription activities of these mutants. Compared to wild-type, mutants X4, 19 and BG8 show highly reduced transcription activities (8%, 33%, 34%). On the other hand mutant R173C shows comparable transcription activity of wild-type (112%). Also transcription termination efficiencies at the PTH or CJ termination signals were determined by using mutant RNA polymerases. Temination of mutnats X4, X19 and BG8 are increased compared to wild-type. On the other hadn mutant R173C proceeds through PTH and CJ termination signals.

      • 염기서열 특이적 전사종결부위에서 T7 RNA 중합효소 전사연장복합체 특성에 관한 연구

        신지영,이상수,Shin, Ji-Young,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自然科學論文集 Vol.14 No.1

        박테리오 파아지 T7 RNA 중합효소는 다른 RNA 중합효소와 비교하여 볼 때 보조인자 없이 전사를 진행하는 하나의 subunit로 구성된 RNA 중합효소이다. 전사 진행 단계 중에서 T7 RNA 중합효소의 전사연장을 연구하기 위해 biotin이 결합된 DNA 주형을 streptavidin bead로 고정시킴으로서 T7 RNA 중합효소의 진행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러한 기작을 이용하여 일련의 활성을 가지는 가장 안정한 전사연장복합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전사 연장체들은 16번 염기 위치로부터 18번 염기의 위치까지 방사선 동위원소가 표지되어 있으며 이들 표지된 전사연장복합체들은 단계별로 합성하여 22-40개 핵산잔기들이 합성된 전사연장복합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전사연장복합체들을 PTH 전사종결 부위가 있는 주형으로 사용하여 야생형 및 R173C 돌연변이 R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전사연장복합체를 제조하여 비교한 결과 PTH 전사종결에 둔감한 R173C 돌연변이 중합효소의 경우 야생형에 비해 PTH 전사종결부위를 지난 위치에서도 전사연장복합체가 생성되었다. T7 RNA polymerase is a single subunit RNA polymerase able to accomplish whole transcription process without auxiliary factors. In order to study transcription elongation mechanism of phage T7 RNA polymerse, stepwise walking of RNA polymerase was established by immobilizing biotinylated DNA template with streptavidin bead, series of active and stable elongation complexes were obtained, Transcripts were radio isotope labeled at the 16thm 17th and 18th nucleotide residues so stable elongation transcription complex of T7 RNA polymerase containing 22-40 nucleotide residues could be identified. We identified the positions of stablely formed transcription elongation complexes of termination site in intrinsic hairpin-independent PTH terminator sequence through the established stepwise walking of wild-type of mutant R173C T7 RNA polymer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stable elongation transcription complexes were at the site of passing PTH terminator signal by mutant R173C RNA polymerase.

      • KCI등재

        두 가지 장비를 이용한 각막곡률 및 각막고위수차의 비교

        신지영,이민영,정소향,Ji Young Shin,Min Young Lee,So Hya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12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keratometry and corneal high order aberrations (HOAs) between the Keratron Scout videokeratoscope and the Pentacam HR Scheimpflug camera. Methods: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keratometry and corneal HOAs were determined using the Keratron Scout videokeratoscope and Pentacam HR Scheimpflug camera in 23 healthy individuals (46 eyes). Results: Average keratometry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95% confidence interval -0.155 ± 0.37 between the Keratron Scout and Pentacam HR. When comparing HOAs of the Keratron Scout and total corneal HOAs of Pentacam HR, total root-meansquare (RMS), and spherical aberr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between the 2 devices (r = 0.67, <EM>p </EM>< 0.001 and r = 0.74, <EM>p</EM> < 0.001, respectively). When comparing HOAs of Keratron Scout and anterior corneal HOAs of Pentacam HR, total RMS, spherical aberration and coma were positively correlated between the 2 devices (r = 0.62, <EM>p </EM>< 0.001, r = 0.81, <EM>p </EM>< 0.001, and r = 0.52, <EM>p</EM> = 0.047,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the 2 devices are based upon different principles, the Keratron Scout videokeratoscope and Pentacam HR Scheimpflug camera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keratometry, total RMS, spherical aberration, and coma. Both devices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1758-1764

      • 약강구조를 포함하는 영어단어에 대한 영어학습자의 약음절 지각과 반응시간(I)

        신지영,김기호,김희성,Shin Ji-Young,Kim Kee-Ho,Kim Hee-Sung 대한음성학회 2006 말소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an English weak syllable in words containing WS syllable pattern. According to the automated discrimination task using E-Prime, the ratio of correct answer(%) and reaction time of the stimuli with same syllable patterns were respectively higher and faster than those with different syllable patterns. Specifically, in the stimuli with different syllable patterns, the frequency(familiarity) of stressed word succeeding weak syllable and whether the weak syllable had coda in it were two important factors in distinguishing between a word with and without weak syllable. Even though the high English proficiency Koreans had faster reaction time than the low English proficiency Koreans, all Korean learners had a difficulty in perceiving the weak syllable at the beginning of a word.

      • SCOPUSKCI등재

        인삼 조사포닌의 새로운 분리 방법

        신지영,최언호,위재준,Shin, Ji-Young,Choi, Eon-Ho,Wee, Jae-Joon 한국식품과학회 200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3 No.2

        인삼의 약리활성 성분인 사포닌 성분의 추출분획 중 ginsenoside 함량을 높이거나 화학적 성분 변화를 줄이거나 또는 추출과정을 간편화하기 위한 새로운 추출 분획 방법을 정립하고 기존의 방법과 화학적 조성을 비교하였다. 인삼사포닌의 분획분리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고온 MeOH/n-BuOH추출법(BuOH법) 및 고온 MeOH/Diaion HP-20법(HP-20법) 이외에도 새로운 3가지 방법, 즉 고온 MeOH 추출/cation AG 50W 흡착/$H_2O$ 용출/n-BuOH 추출법(AG 50W법), 상온 MeOH/Diaion HP-20법(상온추출법), EtOAc/n-BuOH 직접추출법으로 조사포닌을 분리하였다. AG 50W법에 의한 조사포닌 중 총 ginsenoside 함량은 61.5%로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단백질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0.93과 0.19%로 다른 방법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의 함량은 HP-20법에 의한 분리가 14.18%로 가장 높았고, 유리당은 BuOH법이 13.5%로서 HP-20법 및 AG 50W법에 비해 $20{\sim}4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리당이 BuOH법에 의한 조사포닌 중 순수사포닌 함유 비율을 낮추는 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정립한 AG 50W법의 경우 prosapogenin의 생성이 많았다. 그 밖에, 사포닌 분석시료의 신속한 조제를 위하여 추출과정을 단축하여 EtOAc/n-BuOH 혼합용매로 직접 환류추출할 경우, ginsenoside $Rg_1$과 Re의 조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조사포닌의 조제 방법에 따라 ginsenoside, 유리당 및 조단백질 등 화학성분의 조성이 현저히 다르며 실험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order to increase ginsenoside content, to reduce chemical change, to shorten extracting procedure, new methods of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 were established and compar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Those are hot MeOH extraction/n-BuOH fractionation (BuOH method) and hot MeOH extraction/Diaion HP-20 adsorption/MeOH elution (HP-20 method), which are already known methods, and additional three new methods: hot MeOH extraction/cation AG 50W $adsorption/H_2O$ elution/n-BuOH extraction (AG 50W method), cool MeOH extraction/Diaion HP-20 adsorption/MeOH elution (cool extraction method) and direct extraction with EtOAc/n-BuOH (direct extraction method). AG 50W method provided a crude saponin showing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s of 61.5% and the lowest contents of protein and free amino acids of 0.93% and 0.19%, respectively. Th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as 14.18% in the crude saponin by HP-20 method, while fre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as 13.5% by BuOH method, indicating that these are factors that lower the rate of ginsenoside in crude saponins by those methods.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AG 50W method produced large amount of prosapogenins during the pass through the cation exchange resin (AG 50W) column being strongly acidic. Crude saponin from direct extraction method showed relatively higher composition of ginsenoside $Rg_1$ and Re.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ents and composition of ginsenosides and other chemical components in crude ginseng saponin greatly depend on the condition of the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 KCI등재

        철학사에서 사라져버린 나머지 반쪽의 형이상학

        신지영(Ji-Young Shin)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1 No.-

        들뢰즈는 베르그송이 현대과학에 결핍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반쪽의] 형이상학에 대하여도 결핍되어 있는 나머지 반쪽의 형이상학을 부여하려 하였다고 평가한다. 들뢰즈의 문체가 언제나 여러 목소리를 동시에 공존시키는 자유간접화법임을 고려해볼 때, 이는 곧 들뢰즈 스스로의 문제이기도 하다. 사실상 현대과학은 우리로 하여금 내재성에 대하여, 생성과 사건에 대하여, 그리고 차이에 대하여 사유하도록 강요한다. 그러므로 문제는 영원이나 초월이 아닌, 차이에 관련한 형이상학을 정초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들뢰즈-니체에 공통된 플라톤주의의 전복이라는 테제로부터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플라톤주의가 형이상학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는 점을 상기해볼 때, 나머지 반쪽의 형이상학을 위하여 플라톤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해 보이기 때문이다. 우선 플라톤의 실체와 일자의 형이상학이 어떻게 사건과 다수성의 형이상학으로 전복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와 아울러 플라톤주의의 전복을 현대철학의 임무로 규정한 니체를 과연 들뢰즈가 어떻게 읽어내는지를 점검하고자 한다. 푸코와 들뢰즈가 현대의 니체-르네상스를 일으킨 장본인으로 여겨지고, 또한 현대에 니체는 들뢰즈처럼 사유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지만, 지금껏 니체는 이와는 다르게 읽혀오기 일쑤였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허무주의와 영원회귀는 비극적이며 염세적인 것으로 독해되어 왔으며, 심지어 종족 우월주의나 여성 혐오주의로 읽히기도 했다. 들뢰즈는 이러한 독해의 어떤 지점을 수정하고 있는가? 이러한 수정이 플라톤주의의 전복과, 그리고 현대과학에 걸맞는 형이상학과 어떤 관련을 가지는가? 우리는 마지막으로 들뢰즈의 형이상학이 사건과 다수성을〈원리〉로 하는 철학이라고 말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지적할 것이다. 이 원리는 기존에 비판받던 독단적 원리에 대한 새로운 원리가 아니며, 모든 원리를 집어삼키는 와해이자 탈기초라는 점을 분명히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의 모더니즘 담론과 추상미술의 성별 정치학

        신지영(Shin Ji-Young)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4

        이 논문은 지난 반세기 한국 현대미술사의 지배담론으로 위치하였던 ‘모더니즘 미술사’와 추상미술을 여성주의적으로 성찰하여 본 글이다. 우리의 현대 미술사는1970년대 생산되기 시작되었는데 서구에서 지배담론으로 구축되어 있던 모더니즘 담론이 우리의 20세기를 조명하는 패러다임으로 사용되었다. 이 때문에 한국의 현대 미술사도 서구와 같은 형식 운동으로 전개되는데 인상주의, 입체주의 순으로 전개된 형식 운동이 추상표현주의에 있어 그 진보의 정점에 이르기는 서구나 한국이나 매한가지이다. 문제는 이 모더니즘 계보에서 여성작가들을 발견할 수 없는데 이 글에서 추상과 모더니즘 담론이 어떤 성별적 함의로 여성을 타자화시키는지 성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상 모더니즘 담론과 추상표현주의는 이차대전 이후 뉴욕에서 급부상한 냉전의 담론이다. 이 글은 탈식민 논문이기도 한데 한국의 경우, 추상표현주의는 1957년 한국전쟁 직후 수입되었고 이후 한국 현대미술에서 ‘현대화’란 곧 ‘추상화’를 뜻하게 되었다. 서구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이지만 추상미술은 가장 ‘한국적’인 미술로 인식되었는데 추상열풍이 한국 현대미술의 ‘문인화’ 부활로 연결되어 현대미술의 ‘전통담론’을 구축하였기 때문이다. ‘서화일체’의 개념에 있는 문인화는 사실주의적 그림에 반해 관념을 전달하는 그립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한국의 전통의 ‘추상’으로 읽혀졌다. 그러나 이 ‘한국적 추상’은 여성주의 입장에서는 문제적인데, 문인화는 양반 남성의 예술로 계별적 성별적 함의가 있는 미술이기 때문이다. 문인화 부활에는 ‘일본색’ 문제도 개입되는데 세필 사실주의적인 ‘채색화’가 일제 잔재로 인식되면서 조선의 문인화는 더욱 ‘한국적’ 미술로 얽혀졌다. 그러나 ‘일본색’ 문제는 20세기 한국의 여성미술가의 조명을 어렵게 한다. 한국 여성예술가들의 탄생은 여성의 교육과 사회적 활동에 부정적이었던 유교적 전통이 와해되는 20세기 초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나혜석 천경자는 일본 유학에서 ‘양화’와 ‘채색화’를 배우면서 미술가가 되지만 추상이 정점을 이루는 민족주의 담론 속에서 이들의 평가가 긍정적일 수 없다. 이 글은 기호학적인 입장에서 모더니즘 담론을 해체하는데 ‘추상과 구상’, ‘수묵과 채색’ 등의 이항대립으로 미술의 준거를 마련하는 모더니즘 담론이 어떻게 여성 작가들을 타자로 위치시키는지 추적하였다. This essay stems from the author's feminist political intention to deconstruct the dominant 'modernist' mode of South Korean modern art history. Korean Modern Art History began to be produced in the 1970s, when Western Modernist Art History, based in Formalism, was introduced as a matrix to map the "evolution" of 20th century Korean Art. Korean modern art history echoes that of the West, and is based in the same paradigm as the latter, beginning with Impressionism, but "ending" with Abstract Expressionism. Abstract Expressionism was first introduced to the country in 1957,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Though its origin lies in the West, South Korean Abstract Expressionism is also viewed as an art form rooted in Korean soil as well. This is mostly because Korean Abstract Expressionism made a successful transformation into a new, "native" painting style, a modernized form of Korean Scholarly Painting (muninhwa), entailing a full revival of traditional artistic concepts. The problem is that Scholarly Painting was a gender and class specific art born from the culture of pre-modern Korea, and thus its revival as an 'ultimate modern' and 'Korean' form has the consequence of locating traditionally-gendered notions of art and artist at the core of the South's modern art. This essay uses a Semiotic approach to deconstruct this gendered modernist rhetoric by tracing the emergence of the sign 'Koreaness' in South Korean modern art, showing how it is defined within Korean Abstract Painting as an 'ultimate Korean sign'. The essay shows that the sign of 'Koreaness' has been constructed with a view to full assimilation of the West while aiming to eliminate Japanese influence of the early 20th century. The essay argues that this nationalistic art discourse makes Korean women artists in the early 20th century such as Rah Hye-sok Rha and Kyung-ja Chun invisible in the horizon of Korean modern art. Traditional Confucianism has a rigid gender ideology confining women's role to the family, which was challenged in modern times as Korea witnessed the emergence of female artists. These artists became artists as a result of their modern education in Japan, a fact which, in the post-war nationalist climate, has led to the stigmatization of their paintings as 'Pro-Japanese' art.

      • KCI등재

        과학이라는 인종주의와 복수의 지방화

        신지영(Shin, Ji Young)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1 No.-

        본 논문은 근대 초기 조선인이 참여했거나 조선에서 열린 세 번의 박람회를 대상으로, 조선인이 박람회에서 ‘타자’와 어떻게 만났으며, 그것이 ‘과학적인 것’의 유입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를 분석했다. 이때 박람회가 ‘과학문명’을 전시함으로써 아시아의 각 민족 및 한 민족 내의 도시민과 지방민을 우등인종 및 열등인종으로 위계화했다는 점을 밝히고, 식민주의 속에서 ‘과학적인 것’이라는 논리를 통해 형성되는 인종주의 문제를 다뤘다. 예를 들어 1903년 제5회 내국 권업 박람회에 개설된 「학술인류관」 의 인종전시에서 만난 중국, 조선, 오키나와 지식인들은 자신들을 전시하는 인종적 위계화에 항의했으나 동시에 자신들 내부에 있는 기생, 선주민, 지방민을 타자화한다. 1915년 조선물산 공진회에는 조선 13도의 물품이 수집/배열/서열화되면서 ‘조선’이 지방화 되는 동시에, 조선 내부의 ‘지방’을 만들어냈다. 1929년 조선 박람회에는 ‘조선관’은 점차 사라지고 식민지관과 일본 지방관이 대다수를 점하게 됨에 따라 이 박람회에 동원된 지방경제는 파탄하고 대량 실업자가 발생한다. 이처럼 제국 일본 속에서 ‘조선’의 지방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조선 속의 ‘지방’은 구성되고 착취당하고 파괴당하게 된다. 그러나 식민지 지식인들은 박람회가 보여주는 ‘과학적인 것’을 욕망하는 한편, 그것이 곧 식민지화의 도구임을 비판하고 있으며 이는 민족과 경계를 넘어 중국, 조선, 오키나와의 식민지 지식인들의 동시적인 항의행동이 되기도 한다. 또한 박람회에 인종으로 전시된 당사자들은 제국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무관심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인종전시의 취지를 무력화시키기도 한다. 한편 1915년 및 1929년 박람회에 동원된 지방민들은 「경성유람기」와 「애아의 출발」이란 소설에서 드러나듯이, 놀람과 당혹과 초조, 침묵 등의 “적극적 수동성을 띤 몸짓”을 통해 일본 제국 박람회에 흠집을 낸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에서 ‘과학적인 것’을 통해 확산되는 인종주의의 문제를 세 번에 걸친 박람회 속에서 분석함으로써, “복수의 지방화-식민지의 지방화 및 식민지 속 지방의 주변화(지방화)-”라는 말로 정의했다. 또한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만났던 피식민자들의 반응양상은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하는 거부”라는 말로 포착했다. There held three fairs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Chosun. This paper deals with the attitudes of the then Korean people toward Othe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cientific”. The fairs ranked Asian peoples and, further, grouped their urban/rural residents into first-and second-rate classes by putting “the scientific civilization” on display. Thus I will discuss racism which came from “the scientific”. The fifth national fair for encouragement of industry(內國 勸業 博覽會) in 1903 opened the academic pavilion for ethnicity(學術 人類?) in which ethnic groups were put on exhibition like general merchandise. Chinese, Korean, and Okinawan intellectuals made strong protests against them, but at the same time, they classified the geishas, aborigines, and rural residents within their own peoples into other racial/ethnic categories. The national product fair(朝鮮物産共進會) held in 1915 collected municipal products and displayed them according to their qualities. In the processes, Chosun was becoming localized in the Japanese empire and, concurrently, its provincials were undergoing recursive localizations. The Chosun fair in 1929 displaced Chosun pavilions with colonial pavilions and Japanese municipal pavilions. By overly and excessively promoting them, local economies collapsed, which resulted in mass unemployment. In short, the localized Chosun and its recursively localized provinces were exploited and devastated. Colonial intellectuals had strong desires for “the scientific” shown in the fairs, and at the same time they recognized them as instruments for colonialization and initiated protest movements against them, regardless of their races and nationalities. Those displayed on race exhibitions themselves didn"t care a bit about their situations, which undermined the colonialist"s intents on stratification. Locals who participated by force made gestures of “positive passivity” by showing surprise, embarrassment, irritation, silence and others as expressed in the novels like Travelogue to Kyoungsung(京城遊覽記) and Ae-Ah"s Departure(愛兒의 出發); thereby, they put a blemish on the colonialist"s propagandic design. In this paper, racial problems which proliferated in colonies thanks to “the scientific” are dealt with by using the conceptual terms of the plurality of localization---“the localization of colonies and the marginalization (or recursive localization) of the locals in the colonies. The responses of the colonized in the context of the plurality of localization are captured in terms of "positive passivity” and “reject-but-desire”.

      • KCI등재

        영화에 있어서 정치적인 것

        신지영(Shin Ji young)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6 No.-

        우리는 영화를 다룬 많은 사상가들 가운데 특히 벤야민과 바디우의 경우를 통해, 영화라는 매체의 정치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다루어보고자 한다. 벤야민은 영화가 사진과 더불어 더욱 철저히 아우라를 붕괴시킨다고 진단한다. 전통이라는 아우라가 예술의 조건이자 예술이 종교적인 기능을 할 수 있는 근거였다면, 아우라의 붕괴는 예술의 종교적 기능을 파괴한다. 벤야민은 영화에서 정치적 기능이 종교적 기능을 대체한다고 보고, 영화가 정치의 도구가 될 가능성을 경계한다. 그러나 벤야민의 분석 한가운데에는 이미 영화 자체에 진보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바디우에게 있어 영화란 특히 현대에 민주적인 기능을 하는 대중 예술이며, 다른 장르의 예술에 비해 동시대적인 사상을 탁월하게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영화는 언제나 반복되는 이야기와 함께 도래하지만 그 이야기로는 전혀 설명할 수 없는 무엇인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우는 이러한 것을 사건이라고 부르는데, 관객은 이 설명할 수 없는 잉여의 것, 혹은 <공백>에 이름붙이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의 존재 방식을 발명해야만 한다. 이것이 주체의 탄생이다. 즉, 영화의 정치성은 그 공백에 의하여 진보적일 수 있으며, 그 통속성으로 인하여 보수적일 수 있다. 또한 영화가 제공하는 사건에 우리가 반응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우리는 영화와의 관계 속에서 주체와 민중으로 탄생할 수도 있고, 아직 아무도 아닌 그런 자로 남을 수도 있다. 영화를 둘러싼 정치성은 이러한 부분들을 모두 포괄적으로 다루는 가운데 드러날 것이다. Among the philosophers considering cinema, Benjamin and Badiou took particular interest in political meaning. It is said that cinema destroys Aura in actors as well as in audience, so it could be a function of politics. But in the examination of Benjamin himself, we find the possibility of progression. On the other hand, Badiou said that cinema was public art as a symbol of democracy in the same age, and presented the contemporary thoughts in the most eminent way among the genres of arts. In which sense is the cinema art, and how could it be considered as a symbol of democracy? Cinema deals with conventional themes and common images but it could leave room behind all possible explanation and comprehension. This unexplainable is called an Event by Badiou, and this make it possible for the audience to be the Subject who invent their own way of being in order to explain it. Cinema could be conservative in its conventional themes and images, but progressive in its inexplicability.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cinema, we could be born as Subject/People, or remain as nobody. The political nature of film should be defined by both, cinema itself and the audience coming face to face.

      • KCI등재

        현대문학 : 포스트모던 시대의 자서전 -펠리시타스 호페의 소설 『호페』(2012)

        신지영 ( Ji Young Shin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4

        Die Autobiographie ist eine moderne Gattung, die auf der Individuation des Subjekts beruht, dessen Krise schon am Anfang des 20. Jahrhunderts mit Freud unwiderrufbar geworden ist. Spatestens mit der Postmoderne scheint sie in ihrer traditionellen Form ein unmogliches Unterfangen geworden zu sein. Dies gilt um so mehr fur die Autobiographie eines Autors literarischer Texte, als die Postmoderne nicht nur den “Tod des Subjekts” (Foucault), sondern auch “den des Autors” (Barthes) proklamiert und den Autor als Quelle des Werkes disqualifiziert hat. Der in den 70er Jahren entstandene Begriff “Autofiktion” (Zipfel) spiegelt sowohl die Unmoglichkeit der traditionellen Autobiographie wider, wie auch die Moglichkeit der Autobiographie unter den Bedingungen der Postmoderne. Er druckt die Akzentverschiebung der Autobiographie von der Faktualitat zur Fiktionalitat und von der Referenz zur Performanz aus. Felicitas Hoppes Roman Hoppe lasst sich mit dem Begriff Autofiktion beschreiben. Einerseits bietet das Werk durch die Identitat von Autor, Erzahler und Figur dem Leser den “autobiographischen Pakt”, andererseits durch die Gattungsbestimmung als “Roman” aber gleichzeitig auch den “romanesken Pakt” (Lejeune) an. Eine echte “Verwirrung” des Lesers zwischen autobiographischem Pakt und Fiktionspakt entsteht aber durch die Konstellation Hoppe als Erzahler gegen Hoppe als Figur. Die Erzahlerin “fh” (=Felicitas Hoppe) dekonstruiert das Autorbild, das die Figur Felicitas Hoppe anbietet, als “erfunden”, und konstruiert ein neues Autorbild, das sie als “wahr” und “real” ausgibt (autobiographischer Pakt). Aber am Ende stellt sich diese Version ebenfalls als eine Fiktion heraus (romanesker Pakt). Diese Konstellation von Hoppe gegen Hoppe legt die Konstruiertheit des Subjekts und des Autors offen und fuhrt damit die postmodernen Konzepte vom Tod des Subjekts und des Autors vor Augen. Trotz dieses Befundes bleibt das Werk jedoch nicht in den Grenzen des postmodernen Paradigmas, sondern sucht unter dessen Voraussetzungen eine Moglichkeit der Gestaltung des Subjekts. Denn innerhalb der Fiktion sind gerade die fur die traditionelle Autobiographie konstitutiven Motive der Selbstfindung, des Lebens als eines Ganzen und dadurch das Telos des Lebens oder Erzahlens zuruckgekehrt. Man konnte deswegen bei Hoppe auch von einem “post-postmodernen” bzw. “transmodernen” Werk (Frank) sprechen. Dass aber die Fiktion nicht bloße Fiktion bleibt, sondern ihren referenziellen Charakter wieder erlangt, liegt an dem Verhaltnis der Autorin zur Fiktion, das in Hoppe autoreflextiv zum Ausdruck kommt. Fur Hoppe ist die Fiktion oder Phantasie “im Rahmen des Realen” und die Aufgabe der Literatur ist, nicht nur die Wirklichkeit zur Literatur zu machen, sondern ebenso die Literatur zur Wirklichkeit. Bei Hoppe wird die Grenze zwischen Faktualem und Fiktivem somit durchlassig. Hoppe zufolge besteht außerdem die Aufgabe eines Autors in der Erfindung des Lebens, was sie performativ in ihrer Autobiographie, also in diesem Werk, auch in die Tat umsetzt. Auf diese Weise kehrt nun das kreative Individuum zuruck und performativ wird die Identitat des Lebens und Werks aufrechterhalten. Insofern ist Hoppe kein autobiographischer ‘Roman’, sondern eine ‘Autobiographie’ in der Postmoder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