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꽃’의미의 형성과정 - 중국문자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신세리(Shin, Se-ri) 한국중어중문학회 2020 中語中文學 Vol.- No.81

        The chinese character of meaning ‘flower’ has a complex development. A chinese character could have many meanings, therefore it indicates the character has accidentally or inevitably developed a meaning of metaphor or metonymy.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of meaning ‘flower’ can be analyzed by the shape of the character. At first, I argue a characters like ‘蘤’ is one of original characters of meaning ‘flower’. But ‘蘤’ was shaped in Wei Jin dynasty, so we should analyze a loangraph ‘葩’’s sound system to figure the feature of chinese characters of meaning ‘flower’ in Pre-Qin Deriod in China. Secondly, the charcter ‘□’ was used to mening ‘flower’, and it created a character ‘华’, which is adjective charcter, and has basic meaning of ‘flourishy’. The ‘华’ was expanded it meaning, so I suppose it was needed a noun character of mening all kind of flower, and A character ‘花’ was began to use for meaning of ‘flower’. In this process, Characters was changed by the principle of the chinese character formation, such as Ideogram, loangraph, Phonogram. Therefore, the change of the Chinese character of meaning ‘flower’ is a change of a character from iconicity to Phonogram, and the principle of loangraph was a important link in this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뉴미디어 콘텐츠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이미지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신세인 ( Sein Shin ),하민수 ( Minsu Ha ),이준기 ( Jun-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1

        이 연구는 대표적인 뉴미디어 매체인 유튜브 상에서 재현되고 소비되는 과학 실험의 이미지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이미지의 강력한 지위와 가상과 실재의 경계의 모호함에 대해 논의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과 시뮬라크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유튜브의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 영상 사례를 분석했다. 총 14편의 국내외 과산화 수소 분해 실험 관련 유튜브 영상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뉴미디어 매체 속에서 과산화 수소 분해실험은 전형적으로 과학적 실험을 의미하는 기호들과 함께 재현되고 있었으나, 가장 핵심적인 기호는 실험을 통해 생성되는 거품이었다. 콘텐츠의 더 많은 소비 촉진을 위하여 유튜브 속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거품은 더욱 자극적인 ‘초거대한 거품 폭발’의 이미지로 변화되어갔다. 뿐만 아니라 유튜브의 댓글을 통해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을 수행하는 교실에서도 이 거대한 거품의 이미지는 실재보다 더 실재같은 시뮬라크르이며, 실제 실험의 수행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시뮬라시옹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며 수많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뉴미디어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뉴미디어 속 과학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친밀함과 접근성을 높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즉각적이고 표면적 이미지만을 주로 다루는 뉴미디어의 특성으로 인해 과학실험의 목적이 ‘스펙터클 이미지의 생성’으로만 고착될 위험성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는 뉴미디어의 특성과 한계를 이해를 토대로 그 속에서 재현되고 굳어지는 과학 관련 이미지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학 미디어리터러시가 요구됨을 주장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of scientific experiments represented and consumed on YouTube, a representative of today’s new media.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case studies of YouTube’s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 based on Baudrillard’s theory of Simulation and Simulacra, which discusses the strong status of images and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ity. A total of 14 YouTube videos related to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s were analyzed. In those videos,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s were typically conducted with several signs representing scientific experiments, but the most important sign in the videos were bubbles produced through experiments. For more public consumption of the content, the bubbles resulted from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reproduced in YouTube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more spectacular image as ‘super-huge’ and ‘explosive’ bubbl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new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students anytime and anywhere, it is positive that science experiments in new media enhance students’ intimacy and access to science.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e danger that the purpose of scientific experiments will be limited to only ‘showing specular images’, due to the nature of new media, which mainly deals with immediate and superficial images.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improving students’ science media literacy is required to critically examine the science-related images represented in the new media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new media that deeply affect daily life.

      • KCI등재

        과학적 사고의 걸림돌 동기기반추론 -과학기술 분야 학문후속세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세인 ( Sein Shin ),이준기 ( Jun-ki Lee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동기기반추론은 원하는 특정한 결과나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는 편향된 추론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사고 발달을 저해하는 동기기반추론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도하고, 실제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학문후속세대들이 경험한 동기기반추론의 실제적 맥락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서는 동기기반추론의 심리학적 특성과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과학기술 분야 대학원생 8인과 신진 연구원 1인과의 심층 면담을 토대로 실제 과학기술분야에서 나타나는 동기기반추론의 의미와 맥락을 파악하고자 했다. 문헌 분석 결과 동기기반추론은 개인적 수준에서 과학적 사고의 핵심인 이론과 자료의 적절한 조정 과정을 방해하며 과학적 지식 구성의 고착을 가져올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특정 사회문화적 신념이나 목적에 의해 과학이 이용되는 기작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과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국내의 과학기술분야의 학문후속세대들이 경험했던 동기기반추론 사례를 살펴본 결과, 기존의 신념 보호, 성급한 결론 추구, 사회문화적 신념 보호, 집단의 의사결정을 합리화를 통해 동기기반추론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기술 학문후속세대들의 동기기반추론은 이들이 보다 이론과 증거의 적절한 조정을 통해 타당한 과학기술 지식을 구성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사고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Motivated reasoning refers to biased reasoning that is affected by motivation to achieve a particular result or goal. In this study, we attempted a theoretical study on motivated reasoning that hinder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and empirical study on actual context of motivated reasoning in the research experiences of next-generation Korean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be specific,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motivated reasoning and its negative impact on scientific thinking and science research. To understand the substantial meaning and context of motivated reasoning in the field of re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graduate students and one young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s, we found out that motivated reasoning can interfere with the proper theory and data coordination, which is the core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at the individual level. At the socio-cultural level, it can lead to cessation of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it can act as a mechanism in the process of using science for specific socio-cultural beliefs or purposes, thereby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rationale and objective scientific thinking. Quantitative analysis with in-depth interview data showed that graduate students and the young researcher’s experienced motivated reasoning results in trying to protect prior beliefs, make hasty conclusions, protecting socio-cultural belief or rationalizing decisions made by their community. Their motivated reasoning could become an obstacle in constructing valid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through appropriate theory and evidence coordin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science education for improving scientific thinking.

      • KCI등재

        중고령자 가계의 사망 전 본인부담 의료비 지출에 관한 연구

        신세라(Serah Shin),김정은(Jung Eun Kim) 한국FP학회 201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1 No.3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 사망자의 생애 마지막 3년간 본인부담 의료비(OOP) 규모를 분석하고, 본인부담 의료비가 어떤 항목에서 많이 발생하는지와 본인부담 의료비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함께 살펴보았다. 고령화연구 패널의 사망자 설문(exit interview)에 포함된 대상 가운데 조건에 맞는 1,042명을 최종분석에 포함하였으며, 사망일을 기준으로 거슬러 3년간 해당 대상자를 위해 지출된 본인부담 의료비를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사망 전 3년간 발생하는 본인부담 의료비는 평균 855만원이었으며, 중앙값은 이보다 낮은 448만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26.4%는 1,000만원이 넘는 본인부담 의료비를 지불하였으며, 전체 연구대상의 8% 가량이 사망 전 3년간 당초 보유하고 있던 가계순자산보다 더 많은 의료비를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사망 전 본인부담 의료비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투병기간이었으며, 사망 전 보유한 만성질환의 유형 또한 중요한 영향요인이었는데, 특히 암질환 여부가 본인부담 의료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개인가계의 노후설계 및 관련 교육,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otal out-of-pocket medical expenditures(OOP) in the last three years of life in middle aged and elderly households. Using the KLoSA dataset,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survey focused on middle aged and elderly households, we conducted retrospective analyses of the total OOP over the last 3 years of life. We identified KLoSA decedents between 2009 and 2016, and defined a 3 year study period using each subject’s date of death(n=1,042). The average OOP in the 3 years prior to death was 8.55 million KRW(median: 4.48 million KRW) for each decedent. Overall, 8% of subjects’ expenditures exceeded the baseline total of household assets. Regarding cause of death, decedents that died from cancer spent the highest OOP, with average spending of 12.95 million KRW.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umulative financial risks arising from OOP faced by older adults, particularly near the end of life.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신세인 ( Se In Shin ),하민수 ( Min Su Ha ),이준기 ( Jun Ki Lee ),박현주 ( Hyun Ju Park ),정덕호 ( Duk Ho Chung ),임재근 ( Jae Keun L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의 5가지 구인 (융합에 대한 지식, 개인적 관련성, 사회적 관련성, 흥미, 자아효능감)을 설정하였고, 각 구인들을 측정할 수 있는 예비문항 개발하여 233명의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문항 타당도는 Messick (1995)이 제시한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구조에 기초한 타당도에 기초하였으며, 전문가 검토, 라쉬 분석,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선정된 5개 구인 23개 문항은 타당한 문항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융합에 대한 태도는 과학 동기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모델 역시 구조방정식으로 확인하였고 타당한 모델로 확인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문항은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융합 과학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To do so, we have defined five constructs (i.e. knowledge about convergence, personal relevance, social relevance, interest and self-efficacy) of ``attitude toward convergence` based on literature review, developed items, and collected data from 233 11th grade science track students. The validity of these items have been evaluated by Messick`s framework (1995) (i.e. content, substantive, structural aspects of validity), experts` review, Rasch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ur results have confirmed the five constructs and 23 selected items have met the benchmark of item validity. Moreover, the theoretical model illustrating that the high level of attitude toward convergence increases the level of science motivation has also been supported by the data. The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to measure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and to estimate the effect of learning program for convergence science.

      • KCI등재

        유아들의 목소리에 나타난 바깥놀이터의 의미

        신세니(Shin Se-Ni),안지성(Ahn Ji-Sung),이효원(Lee Hyo-Won),조희숙(Jo Hea-Soo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유아 주도적인 언어생활이 비교적 자유로이 실현되는 바깥놀이터에서 유아들의 담론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유아들의 언어를 통해 발현되는 유아들의 고유한 생활세계를 드러내고 바깥놀이터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 기관의 혼합연령으로 구성된 한 학급의 유아 9명의 바깥놀이를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깥놀이터에서 유아들은 많은 이야기와 노래를 새로 만들거나 개작하면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들려주었고, 둘째, 숨어있던 목소리를 통해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의 경계를 허물고 있었으며, 셋째, 바깥놀이터에서 놀이하는 유아들의 목소리에는 TV 속 대중문화가 그대로 재현되어 담겨있었고, 넷째, 어른의 목소리와 만나고 부딪히면서 어른의 목소리를 뛰어넘고자 시도하고 하였다. 이로써 바깥놀이터는 유아들의 언어가 잉태되고 이어지는 생명 공간이자 유아들이 소리와 몸짓언어로 표현하는 문화 공간이며, 유아와 성인의 목소리가 만나고 부딪히는 접점(接點) 공간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To children the outdoor playground is not merely the site of physical activity, but also a place where unstructured and formless voices are explored.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children's worlds by understanding how they are revealed and represented through language on the playground environment. Our analysis is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of the outdoor play activities of a mixed-age class at a kindergarten where outdoor play takes place on a daily basis. Such observation reveals that within the playground environment children: first, create a variety of stories and songs; second, dismantle the boundaries between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third, reproduce popular culture television shows; and finally, reveal the playground to be an interface between the voices of children and those of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utdoor playground can be viewed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ids young children in representing their daily experiences. Thus the playground becomes a site where representation of everyday life can be freely created and voiced. In conclusion, we argue that outdoor play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y, and that such voices should be listened to more attentively.

      • KCI등재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과학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 연구동향:

        신세인(Shin, Sein),하민수(Ha, Minsu),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이용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국내과학교육영역에서 이루어진 진로교육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 과학교육에서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총 106개 의 국내논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먼저 연도별 논문의 출판빈도와 각 주제어들의 출현빈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과학진로교육 관련 논문은 2014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회 이상 사용된 주제어(key words)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네트워크의 밀도, 각 주제어의 연결정도중심성, 매개중심성을 확인하였으며, 네트워크 내의하위집단을 규명하는 커뮤니티 분석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과학영재’는 가장 높은 빈도의 단어이며, 주제어 네트워크에서 가장 매개중심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과학교육 분야에서는 ‘과학영재’를 중심으로 진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분석 결과 총 10개의 하위 군집이 나타났으며, ‘과학영재’, ‘과학자의 이미지’, ‘과학에 대한 태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종단연구’, ‘진로교육’ 등을 각각 중심으로 하는 하위 군집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관련 진로교육 연구의 향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bout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over past decad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For this, the total of 106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6 were collected from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 First, we investigated frequency of article publications by year and key words in those paper. The result showed that researches related with science career education increased rapidly since 2014. Second, we conducted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65 key words which were used in these articles at least twice. Through SNA, density of network and centrality of each key words were examined. Also using community analysis in SNA sub-groups constructing network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that ‘science gifted studen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and had the highest betweeness centrality, we found tha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science gifted students’ career education. As the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there were ten sub-groups associated with ‘science gifted student’, ‘image of scientist’, ‘attitude toward sc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ongitudinal research’, ‘career education’, etc. Based on the these results, future direction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related with science career were discussed.

      • KCI등재

        `산(?)`, `산(算)`의 이체관계 고찰 -『북경대학장서한죽서(北京大學藏西漢竹書)·창힐편(倉?篇)』18 ` □`자형을 중심으로-

        신세리 ( Seri S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6 中國硏究 Vol.69 No.-

        This study is recognize to character means, shapes and using types that was made to the literature handed down in Zhanguo, Xihan and Donghan priod. we can observe in article "Beijingdaxuecang xihanzhushu" vol.1 `Cangjie18` of a character ` `scribe shape. This study was based on thesis proof what determine of character `□`scribe shape same with character `弄`scribe shape. The first, search for `?` and `算` has a relation in means. interpret of "台灣敎育 部異體字字典", this studying of `?` and `算` has a same in means. This study use another character, we can find that "Beijingdaxuecang xihanzhushu" vol.1 `Cangjie18`character has a proves, `?` or `算` has a each meaning. The second, we can infer meaning that was `美` or `弄` of characters relation. because ` 弄` read to ` ?` or `算`. Finally, debate how `?` or `算` numbers and nearthed literature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