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흥미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전공 교과목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준규 ( Jun-kyu Chang ),이준기 ( Jun-ki Lee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8 No.1

        이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 4명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이루어 졌다. 이 연구 대상자들이 어떠한 부분에서 과학에 대한 흥미를 경험했고, 무엇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었는지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확인하고 분석하고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깊이 있는 면담을 진행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를 잃게 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 학생들은 초 · 중학교시기에 연구 참여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특성화 고등학교에 입학 후 잃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이 과학교과에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했다. 결론을 종합하면 연구 참여 학생들은 과학교과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교과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해 수업에 집중할 수 없었다. 또한 연구 참여학생들의 과학교과는 일관적인 이론수업으로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이해도는 고려되지 않았다. 결국 학생들은 과학교과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고 흥미를 잃게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four students who entered a vocational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cause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lose interest in science, by examining and analyzing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ich parts of science they experienced an interest in and what caused them to lose interes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d some interest in science during thei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but lost it after enteri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the environment that allows students to develop an interest in science was not provided. In conclusion, although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cience, they could not focus on class because they did not have an interest in science. In addition, their science classes consisted of consistent theoretical lessons, without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s a result, the students found science classes difficult and lost interest.

      • KCI등재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적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접합부의 피로성능 평가

        이준기,Lee, Jun-Ki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UHPFRC)가 적용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접합부의 피로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단순화된 철근 이음상세 및 접합부 형상에 따라 4가지 타입의 대형 실험체가 각각 동일하게 2개씩 제작되었으며 접합부에서의 철근 이음길이는 철근직경의 10배로 배근되었다. 각 실험부재 형식에 대하여 휨하중 재하에 의한 실험체의 파괴 시까지 접합부의 거동을 관찰하였으며, 이후 2백만 회 반복하중 재하를 통하여 접합부의 피로거동을 평가하였다. 휨 실험 시 짧은 이음길이의 적용하였음에도 이음철근은 항복변형률 이상의 인장변형을 나타냈으며 실험부재의 파괴 시까지 철근 이음에 관련된 파괴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피로실험 시 하중재하에 의한 초기균열 외에 추가적인 손상의 진행이 없었으며 반복 하중에 의한 철근의 발생응력 변화량은 피로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실험부재가 만족할만한 피로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채움재를 UHPFRC로 사용할 경우 초고성능 재료의 우수한 역학성능에 의하여 철근이음 상세의 단순화 및 접합부 폭 감소가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This experimental study presents the fatigue evaluation of a precast deck connect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UHPFRC). Four types of two identical large-scale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simplified splice rebar details which had a short splice length of ten times rebar diameter. The flexural behavior of each type of specimens until failure was investigated and fatigue behavior of the same type of specimens was then evaluated using two-million cyclic loading. In the flexural tests, tensile rebars exhibited the deformation exceeding yielding strain but failure mode related to the splice details was not observed in spite of such a short splice length. In the fatigue tests, damage was not appreciably accumulated by the cyclic loading except initial flexural cracks and the stress variations in tensile rebars was less than the allowable stress range. The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all types of specimens exhibited acceptable fatigue performance and indicate that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high performance material permits to use a simplified splice details along with short joint width.

      • KCI등재

        남성 알코올 의존 환자 대뇌의 휴지기 네트워크별 피질 두께

        이준기,김시경,Lee, Jun-Ki,Kim, Siekye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7 생물정신의학 Vol.24 No.2

        Objectives It is well known that problem drinking is associated with alterations of brain structures and functions. Brain functions related to alcohol consump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in various resting state networks (RSNs).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alcohol effect on the structures forming predetermined RSNs by assessing their cortical thickness. Methods Twenty-six abstinent mal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same number of age-matched healthy control were recruited from an inpatient mental hospital and community. All participants underwent a 3T MRI scan. Averaged cortical thickness of areas constituting 7 RSNs were determined by using FreeSurfer with Yeo atlas derived from cortical parcellation estimated by intrinsic functional connectivit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f mean cortical thicknesses (Cohen's d, corrected p) in ventral attention (1.01, < 0.01), dorsal attention (0.93, 0.01), somatomotor (0.90, 0.01), and visual (0.88, 0.02) networks.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default mode network. There were als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f gray matter volumes corrected by head size across the all networks. However,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of surface area in each network. Conclusions There are differences in degree and pattern of structural recovery after abstinence across areas forming RSNs. Considering the previous observation that group differences of functional connectivity were significant only in networks related to task-positive networks such as dorsal attention and cognitive control networks, we can explain recovery pattern of cognition and emotion related to the default mode network and the mechanisms for craving and relapse associated with task-positive networks.

      • KCI등재

        으름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이준기,이강주,조현주,김경임,윤진아,정강현,송병춘,안정희,Lee, Jun-Ki,Lee, Kang-Ju,Jo, Hyeon-Ju,Kim, Kyung-Im,Yoon, Jin-A,Chung, Kang-Hyun,Song, Byeong Chun,An, Jeung 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4

        이 연구는 으름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을 연구하였다. 머핀의 함량은 0%, 2%, 4%, 6% 그리고 8%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무게, 높이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으름잎 첨가 머핀이 낮게 나왔고, 무게에서는 대조군과 으름잎 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색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으름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감소하였다. 으름잎을 첨가한 머핀의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경도, 응집성, 검성 그리고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으름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과 부착성도 증가하였다. 머핀의 관능검사 결과, 색, 단맛, 부드러움, 그리고 기호도에서 샘플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관능적 특성결과 으름잎 첨가 4%가 가장 좋은 관능검사 결과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kebia leaves powder. Muffins are prepared by additions of 0%, 2%, 4%, 6% and 8% powder to the flour for basic formulation. Heights decrease significantly when the amount of Akebia leaves powder increases. When the weight is being measured,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s. As a result from measuring the colors,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muffins decrease as the concentrations of the powder increase. When measuring the texture of akebia leaves muffins, the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decrease, but the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increase as the concentrations of Akebia leaves powder increase. When the sensual qualities of the muffins are measured, the color, sweetness, softness and overall quality of all of the samples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muffins containing 4% of Akebia leaves powder reveal the highest sensual quality indexes.

      • KCI등재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 “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이준기 ( Jun Ki Lee ),이태경 ( Tae Kyong Lee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on and evolution patterns of a trading zone an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 in the trading zone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experience. Seven teachers involved in the ``STEAM Teacher Community``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nd reflective essay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successfully fanned a trading zone to share their expertise when they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for the convergence of different subject matters. Moreover, such a trading zone evolved in the order of pre-trading zone, trading zone under elite control, trading zone with boundary object, and trading zone of shared mental model. The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d in the trading zone were categorized under the difference of culture and opinion across subject matters, the lack of motivation for convergence, the hegemony of convergence and far-fetched factors for convergence, and difficulty of communication due to jargons. Also teachers in this study experienced perceptual changes in the trading zone. The trading zone model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bring forth implications for volu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ctivity for the convergence of different subject matters.

      • KCI등재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구조 비교

        이준기 ( Jun Ki Lee ),신세인 ( Sein Shin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실험에 대한 메타적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와 과학의 본성에대한 이해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190명의 중학생과 200명의고등학생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과학에서의 ‘실험’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두 문항에 서술형으로 응답하였다. 수집된 응답을 바탕으로 총 4개의 언어 네트워크가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과학에서의 ‘실험’에 대하여 중학생들은 ‘우리’, ‘직접’, ‘원리’ 등의단어를 중심으로 활동적 측면에서의 실험을 인식하였다. 반면 고등학생은 ‘이론’, ‘사실’, ‘내용’ 등의 단어를 중심으로 지식을 생성하는탐구과정으로서의 실험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생물에서의 ‘실험’에 대하여 중학생은 ‘해부’, ‘몸’을 중심으로, 고등학생은 ‘생명’, ‘관찰’이중심으로 인식하여 생명체를 다루는 관찰활동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과학 교과 및 생물 교과에서 실험을 지도하는데있어서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erception of the experi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meaning of ``experiment`` in the biological sciences.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was especially used to visualize students` perception structure in this study. One hundred and ninety middle school students and 20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udents responded to two questions on the meaning of ``experiment`` in science and biology. This study constructed four semantic networks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 As a result,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experiment`` in science are ``we``, ``direct``, ``principle`` of such words was aware of the experiments from the center to the active side. The high school students` ``theory``, ``true``, ``information`` were recognized as an experiment that explores the process of creating a knowledge center including the word. In addition, middle school students relative to ``experiment`` of the creature around the ‘dissection’, ‘body’,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ognized as ``life``, ``observation`` observation activities dealing with the living organisms and recognized as a 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important evidence in the future to map out an experiment in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복잡한 문제해결에서 중등 예비교사들의 복잡도, 난이도, 재미, 문제해결의지 인식 : 실생활 맥락 사례를 중심으로

        이준기(Lee, Jun-Ki),신세인(Shin, Sein),하민수(Ha, Min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들의 실생활 관련 복잡한 문제해결 과제들에 대한 복잡도, 난이도, 재미, 문제해결의지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특히 문제의 복잡도 증가에 따라 중등 예비교사들의 반응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는 409명의 중등 예비교사들이 참여하였다. 가정에서 벌어지는 냉방과 관련된 실생활 문제해결과제를 통해 교사입장과 학생입장에서 복잡도를 1∼6단계까지 증가시키며 중등 예비교사들의 반응을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 맥락에 대한 친숙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하는 문제상황의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에게 뜻하지 않은 인지부하를 통해 문제해결의지를 꺾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둘째, 문항을 제작할 때 교사입장의 경우와 학생입장일 경우 문항의 복잡도나 재미를 보는 시선은 다를 수 있다. 셋째, 복잡한 문제해결 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대하는 다양한 집단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gree of complexity, difficulty, fun, and willingness to solve problem-solving problems for prospective teachers in real life. In particular, as the complexity of the problem increased, the responses of prospective teachers were explored. 40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increasing the complexity from 1st to 6th in teacher and student positions through real-world problem solving tasks using episodes related to cooling in the home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telling of the problem situation added to form familiarity with the real-life context can be a factor that breaks the will to solve problems through unexpected cognitive loads on students. Second, when creating a question, in the case of a teacher s admission and a student s admission, the complexity of the question or the gaze for fun may be different. Third, in a complex problem-solving process, various groups that deal with problem-solving may be mixed.

      • KCI등재

        중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 유형 탐색

        이준기 ( Jun Ki Lee ),이태경 ( Tae Kyong Lee ),신세인 ( Se In Shin ),정덕호 ( Duk Ho Chung ),오상욱 ( Sang Wook 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7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의 융합인재에 대한이미지는 어떤 유형으로 형성되어있는지 알아보고, 융합인재교육(STEAM)을 경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간에 융합인재 이미지 유형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중등학생 187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로 하여금 자신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해 그림을 그리고 간략한 설명을 적도록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중등학생들의”융합” 및 “융합인재”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인식은 크게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산물로서의 융합”으로 크게 범주화되었다.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는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유형으로 “두뇌수준 사고융합형”, “누구나 아는 유명 인사형”, “생활의 달인형”, “다양한 직업인형”, “문제해결자형”, “창조적 개발자형”, “실존하지 않는 이상적 인간형”이 있었으며,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로는 ”전문가 집단형”과 “학생 집단형”이 있었고, “산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에는 “단순 융합체형”이 나타났다. 중등학생들은 융합인재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유형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age typ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in drawing images of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among the students who have taken STEAM class and the ones who haven`t. One hundred and eighty seven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draw a picture of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with a brief explanation. Based on students` pictures, researchers categorized their perception about convergence and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by using an inductive method. The result indicated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were categorized into convergence as individual cognitive processing and collective cognitive processing and convergence as outcomes. The image of the convergence in a talented person leaning toward individual cognitive processing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even types: idea banker type, various talented celebrity type, multi-tasking master type, multi-talented career type, active problem-solver type, creative developer type, and unrealistic ideal man type. Another image of collective cognitive processing was split into expert group type and interactive-mates group type. The other image was transformer type which is the subcategory of convergence as outcomes. From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express the various images of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depending on experiencing STEAM or not.

      • KCI등재

        광합성 문제 해결에 대한 과잉 효능감과 과잉확신: 선다형과 서답형의 비교 연구

        이준기 ( Jun Ki Lee ),하민수 ( Min 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1

        이 연구는 과잉효능감과 과잉확신이 선다형과 서답형 평가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204명의 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선다형과 서답형으로 된 광합성 개념에 대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마다 자신의 효능감과 확신을 척도로 나타나게 하였다. 연구결과 선다형과 서답형의 상관관계는0.5가 채 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효능감)과 실제 능력 간의 상관관계 역시 0.45가 되지 않았다. 학생들은 선다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지식에 대한 확신을 높이는 경향을 보였다. 선다형 문항을 먼저 수행한 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과잉 효능감과 과잉확신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서답형의 사용을 늘릴 것을 제언한다. 또한 두 형태의 검사도구를 동시에 사용하게 될 경우 선다형검사도구를 사후에 사용하여 학생들이 적절한 수준의 효능감과 확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over-efficacy in problem solving and overconfidence of knowledge of students performing assessments in two different test formats: multiple-choice and supply-type. Two hundred and fou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choice and supply-type formats of tests on photosynthesis were used, and each item contained scales indicating one`s self-efficacy on problem-solving and confidence of knowled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performa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assessment formats were less than 0.5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fficacy/confidence and actual performance were less than 0.45. Moreover, students tended to exhibit more over-efficacy and overconfidence in multiple-choice formats. The percentage of over-efficacy and overconfidence was higher in the group that completed the multiple-choice test first followed by the supply-type assessment than in the group that started with the supply-type followed by the multiple-choice assessment. From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more use of supply-type assessment is required in science education. If test administrators require the combination of both multiple-choice and supply-type in an assessment, the supply-type assessment format should come first so that students can maintain the appropriate level of efficacy and confidence. In addition, science educators need to develop new learning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self-monitoring skills of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and knowledge.

      • KCI등재

        누룩과 입국을 달리한 막걸리에서 항균활성을 가진 미생물의 분리동정

        이준기(Jun-Ki Lee),조현주(Hyeon-Ju Jo),윤진아(Jin-A Yoon),정강현(Kang-Hyun Chung),송병춘(Byeong Chun Song),김경임(Kyoung Im Kim),안정희(Jeung Hee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누룩군과 입국군을 달리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을 조사하였고 발효 과정 중 항균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발효 3일째 pH 결과는 누룩군이 입국군에 비해서 낮았다. 그러나 산도와 알코올의 함량은 발효 15일째에서 누룩군이 입국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과 총균수는 입국으로 만든 막걸리가 누룩으로 만든 막걸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평가 결과, 색, 단맛, 향, 목넘김, 전반적 기호도는 입국군(DKB)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항균활성 결과 누룩 샘플 GND, ANF에서 Salmonella enterica,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에서 항균력이 나타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균주 ST-1은 GND에서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동정한 결과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RCP6과 99%의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P. polymyxa ST-1은 항진균활성과 항세균활성을 가진 bacteriocin-like substances를 생산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항미생물 물질은 천연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체 의약품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향후 이 물질들의 보다 정확한 구조 및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 with antimicrobial activity in makgeolli made from various kinds of koji and nuruk during fermentation. The pH of nuruk groups decreased compared to the koji groups after 3 days of fermentation. Acidity and alcohol contents of nuruk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koji groups. The total sugar contents of the koji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uruk groups after 15 days of fermentation. Sensory scores of koji groups (DKB)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uruk group (GND and ANF) against Salmonella enterica,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koji group. ST-1, isolated from (Geumjeonggu nuruk D),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nd was identified as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RCP6 based on 16S rRNA sequencing. Our result suggest that Paenibacillus polymyxa from nuruk group produces a bacteriocin-like substrate with antimicrobial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