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조일본인 사회의 화류병 인식에 관한 일고찰 1910년대 『조선공론(朝鮮公論)』을 중심으로

        송혜경 ( Hyekyung Song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8 No.0

        ‘화류병’은 질환의 발병지가 화류계에 있다는 당시의 인식은 보여준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도 화류계 여성에 대한 관리·통제에 집중되어 있었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화류병 방지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로서 1916년 전국적으로 공창제가 실시되는 이를 계기로 해서 1910년대 『조선공론』에는 일반 필진들의 화류병에 관한 의견이 다수 개진된다. 계층, 직업, 위치에 따라 찬반을 달리하는 이들 의견은 주로 화류병 검사를 누구를 대상으로, 어떠한 범위에서 실행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여기에는 식민지적 특수성이 잘 드러나 있다. 즉 식민지 본국 일본과 다른 창기와 예기의 위상, 성 관리의 주체가 어디에 있는가, 경제적 이해득실에 따른 예기에 대한 화류병 검사 반대 등의 식민지적 상황을 보여준다. 한편 『조선공론』에는 전문가의 의학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화류병 기사도 연재되었다. 일반 독자가 화류병 검사 현장을 직접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목적으로 쓰인 이 기사는 화류병 발병 증상을 자극적이면서 생생하게 묘사하며, 가정파괴의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화류계에서의 화류병은 거의 언급하지 않고 가정에서 혹은 생활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로써 다루고 있다. 화류병이 화류 세계를 넘어 일반인에게 미칠 수 있는 병독으로 경계하여 지도·계몽되는 것이다. 1910년대 『조선공론』을 보는 한, 가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류병의 폐해는 이러한 전문가의 한정된 공간에서만 언급되고 있다. 화류계 여성과 일반여성을 배타적인 범주로 구분하는 사고 속에서 일본인 주부의 역할 공간인 가정은 식민지지배를 공고히 하고 일본인사회의 안정을 위해 이상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In colonial Joseon, as a practical measure to prevent venereal disease, the national commun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1916. Against this backdrop, in Joseon Gongron in the 1910s public commentators expressed their opinions on venereal disease. These opinions, which differed according to the class, occupation, and location of the writers, were mainly focused on the extent to which inspections of homes for evidence of pyrotechnics such as fireworks would be carried out, and who would be tasked to do them. In addition, the specificity of the colonial milieu was clearly revealed in relation to the status of prostitu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mperial center, Japan, where the policing of sexuality and opposition to the inspection of homes in relation to brisket disease were influenced by consideration of their economic benefits or downsides. Meanwhile, in Joseon Gongron, medical experts also published articles on venereal disease. They also explained to the general public the potential harmful effects,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homes, of pyrotechnics in a stimulating and vivid way. A range of magazines guided and educated the general public about what could happen in this respect. However, in Joseon Gongron, the harmful effects of venereal disease, which could destroy families, were dealt with only to a limited extent by the experts. Finally, in the dichotomous thinking that divided women with schizophrenia from ordinary women, the former were extensively discussed as potential patients.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saffron disease in Japanese households was not sufficiently covered by the experts, and on the surface, such households were not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This is because of the imperative to position the home as an ideal space, which was necessary in order to consolidate colonial rule and to stabilize and strengthen the Japanese presence in Joseon.

      • KCI등재

        ADHD아동의 사회적 관계성 증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송혜경(Song, Hye-Gyoung),최현석(Choi, Hyun-Suk),정수연(Jung, Soo-Yeo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사회적 관계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2학년으로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이다. 본 연구에서의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행은 주 1~2회 45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해 총 20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는 선택이론을 기초로 한 Wubbolding의 현실요법이며, 프로그램 진행의 사전과 사후에 형제 관계 만족도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KFD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고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매 회기 진행에 대하여 회기별 관찰을 통해 대상자의 감정 특성 및 태도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실요법 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사회적 관계성 증진을 통해 형제 관계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real-life therapy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social linguistic enhancement on child with ADHD. Subject to the study was second grades living in D city child with ADHD. In the study,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e or two times a week for 45 minutes, including pre- and post- test, over a total of 20 times. The real-life therapy collective art therapy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y of choice and applied therapy of Wubbolding. This was conducted with sibl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ests for pre- or post- result. After applying the program, it was compared the results. In addition, the KFD inspection was conducted pre- and post- and changes were analyzed. The change in the subject s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was recorded by observing the progress of each session by the session. Research shows that real-life therapy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very of restoration of relationship by promoting the social language on child with ADH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필론의 작품에 나타난 신비주의

        송혜경(Song, Hye Kyo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4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은 다양한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필론의 신비주의와 다른 신비주의 전통과의 관계 또한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다. 필론의 작품 곳곳에 다른 신비주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모티프, 곧 승천과 하느님 직관 개념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필론에 따르면 하느님께서 인간의 영혼에 불어넣어주신 ‘정신’이 승천함으로써 하느님을 바라볼 수 있으며, 이러한 하느님 직관(visio Dei)은 인간에게 참된 행복과 불멸성 그리고 신적 존재로의 변화를 가져다준다. 이러한 필론의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적 입장에서 나온다. 곧 하느님은 본질적으로 알 수 없는 분,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분이시기 때문에 인간이 하느님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것은 이성적 추론이 아니라 신비주의적 체험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느님께 이르는 참된 길은 신비가의 길이라는 것이다. 필론은 예언자들 특히 모세의 체험이 신비가의 체험이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필론의 신비주의를 고대 그리스 신비 종교를 배경으로 해석했으며, 어떤 이는 이집트 종교나 헤르메스주의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사실 이 모든 고대 지중해 종교에서 승천과 하느님 직관 모티프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필론이 태어나고 자란 배경을 감안할 때 이러한 헬레니즘 종교와 사상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방 신비 종교와의 근본적 차이를 고려할 때 필론 신비주의는 초창기 형태의 유다교 신비주의와 관련짓는 것이 더 옳아 보인다. 사실 제2성전기 말 유다교 안에는 필론 뿐 아니라 테라페우테파나 큼란, 묵시주의 집단과 랍비 등 다양한 집단에서 신비주의 경향이 발전하고 있었다. 이러한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가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헤칼롯 문학 등에 스며들어 하느님 직관을 얻기 위해 승천하도록 노력해야한다고 가르쳤던 것이다. 필론과 유다교 신비주의의 관계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필론의 작품도 이러한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와 관련이 있음이 분명하다. 필론을 1세기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의 또 다른 대표자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Philo of Alexandria’s corpus has been the focus of a vast amount of scholarship. Some aspects of the Philo’s mysticism and its relationship to a mystical tradition a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since the Philonic corpus contains several passages which notably focus on the motifs that other mystical texts have. That is the ascent into heaven and the subsequent transforming vision. According to Philo, man, because of ms mind, is similar to God; and through the contemplative life i.e. through the heavenly ascent of the mind, he can in principle attain a state where he can “see” God. And this visio Dei brings him true happiness, immortality and deification. Philo has an objective theology: God in his essence is unknowable. God is beyond human comprehension. God is primarily known for what he is not rather than for what he is. The knowledge of God is thus often understood in mystical terms. The true path to know God is thus the path of the mystic, but understood in the limited sense of one who contemplates that which is ultimately beyond human comprehension and can only be experienced. He attempted, moreover, to show that the experiences of the prophets, especially Moses, were mystical. Some scholars attempted to interpret Philo against the background of Greek mysticism and the mystery cults. Others compared Philo’s mysticism to that of the Egyptian cult, or Hermetism etc. In fact, the heavenly ascent and visio Dei motifs seem to be the common property of ancient Mediterranean religions. In fact, considering his background, we cannot ignore the possibility that Philo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 Hellenistic mystery religions and thoughts. But, giv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opinions, there is a growing opinion among scholars that Philo’s mysticism may be linked to an early form of Jewish mysticism. In fact, it is a fact that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a mystical tendency was developing and manifesting itself within different varieties of Judaism that include the sectarian communities of the Therapeutae and Qumran, the apocalyptic circles, and the rabbinic teachings as well as the Philonic corpus. This early Jewish mysticism filtered into Christianity, Gnosticism, and the Hekhalot literature, teaching that states: after a proper preparations, one can ascend into heaven and gain the transforming vision of God(visio Dei). More investigation needs to be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 and Jewish mysticism. But, based on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on this relationship, it is plausible to conclude that Philo’s writings were indebted to this mystical tendency within Judaism. It seems them that Philo is another representative of the presence of the early Jewish mysticism in the first century.

      • SCIESCOPUSKCI등재

        서행성 변비환자에서 비침습적 천수신경 전기자극치료의 효과

        송혜경 ( Song Hye Gyeong ),명승재 ( Myeong Seung Jae ),양석균 ( Yang Seog Gyun ),이진혁 ( Lee Jin Hyeog ),양동훈 ( Yang Dong Hun ),장혜숙 ( Jang Hye Sug ),정은주 ( Jeong Eun Ju ),윤인자 ( Yun In Ja ),홍원선 ( Hong Won Seon ),김진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3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9 No.2

        목적: 서행성 변비는 치료에 있어 주로 자극성 완하제에 의존하게 되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골반 부교감신경은 대장운동 항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최근 척수손상으로 인한 신경인성장 환자에서 대장운동을 항진시키기 위해 골반 부교감신경이 유래되는 천수신경 전기자극이 이용되었다. 한편 신경인성 장으로 인한 변비환자를 대상으로 한 천수신경 피부분절 전기자극치료 연구에서 비침습적인 표면전극을 통한 전기자극도 천수신경을 자극하여 대장운동이 항진되고 대장통과시간이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slow transit constipation are poorly responsive to medical therapy and sometimes require an invasive surgical procedure, such as a total colectomy.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EST) of the sacral nerve by using an implanted

      • 전통 목조건축의 설계도면 용어표기에 관한 연구

        송혜경 ( Song Hae-kyung ),윤정훈 ( Yoon Jeoung-hoon ),김윤상 ( Kim Yun-sa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문화재급 전통목조건축 보다는 신축하는 목조건축의 설계도면에 용어를 간략하게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전통목조건축이 설계자의 의도를 담은 설계도서보다는 시공자인 도편수의 기법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면의 용어표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구조계산 등 협업을 하는 분야와 소통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완공 후 유지관리에서 보수 부분에 적정한 기술을 적용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건축과 같이 전통목조건축에서도 도면의 용어표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도면과 시방서에 표기해야하는 부재용어의 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 전통 목조건축의 설계도면 용어표기에 관한 연구

        송혜경 ( Song Hae-kyung ),윤정훈 ( Yoon Jeoung-hoon ),김윤상 ( Kim Yun-sa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문화재급 전통목조건축 보다는 신축하는 목조건축의 설계도면에 용어를 간략하게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전통목조건축이 설계자의 의도를 담은 설계도서보다는 시공자인 도편수의 기법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면의 용어표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구조계산 등 협업을 하는 분야와 소통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완공 후 유지관리에서 보수 부분에 적정한 기술을 적용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건축과 같이 전통목조건축에서도 도면의 용어표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도면과 시방서에 표기해야하는 부재용어의 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가나안 정복 이야기(여호 2-12장)에서 드러나는 ‘땅’의 의미

        송혜경(Song, Hye Kyo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11

        본고에서는 이스라엘의 가나안 땅 진입 과정에서 드러나는 땅의 의미를 살피려 한다. 그 과정이 담긴 여호 2-12장은 가나안 진입을 정복과 헤렘으로 요약한다. 그러나 여러 성경 본문과 고고학 데이터 및 성경 바깥의 증거들을 종합하면 그들의 진입이 정복보다는 정착에 가까웠으며 가나안족이 전멸되지도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새 정착민들 중 상당수가 가나안 출신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200년경 지중해 세계의 총붕괴 상황에 직면하여 가나안 내륙 산지에 정착한 가나안 농경민들과 유목민들이 이스라엘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이들에게 이집트 탈출자들과 다른 이국인들, 그 밖에 여러 다양한 집단이 새로 합류했을 것이다. 그 과정에는 전쟁과 헤렘, 이주, 침투, 유목에서 농경 정주로의 이행들이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 집단이 과거 및 주변 이웃들과 결별하면서 이스라엘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중심 역할을 한 것이 야훼 신앙이었다. 이는 가나안 정복이 완료된 뒤 체결된 스켐의 계약이 암시한다(여호 24장 참조). 공통된 새 신앙이 서로 다른 여러 집단을 하나의 백성으로 뭉치게 해 준 셈이다. 결국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무력 정복하고 원주민을 완전 봉헌물(헤렘)로 바쳤다는 이야기는 과장이며 후대의 신학적 재구성의 결과물이다. 전면적 정복 전쟁은 저자에 의해 하느님과 땅과 백성의 관계를 드러내는 도구로서 활용된다. 하느님은 이스라엘의 주님, 이스라엘은 하느님의 백성, 정복된 땅은 이를 드러내는 표징이라는 것이다. 땅은 하느님을 섬기는 조건으로 선사된 것이므로 계약을 잊어버릴 때는 그 땅에서 쫓겨날 것이다. 땅에 들어가려는 이들에게 특별한 결단이 요구되는 이유다. 이 결단은 여호수아기에서 헤렘으로 표현된다. 곧 헤렘은, 새 정착민들이 지금까지와 다른 새로운 삶의 방식과 신앙을 선택한 사실을 부각시킨다. 결국 정복과 헤렘은, 다양한 유형의 정착민들이 야훼 신앙과 땅이라는 토대 위에 이스라엘이라는 새 민족이 되어 가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이는 동시에 ‘땅’과 ‘신앙’이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가 되었음을 암시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Land revealed in the process of Israel’s entry into the land of Canaan. The process of their entry into Canaan as presented in Joshua 2-12 is summarized by ‘conquest’ and ‘Herem’. However, a synthesis of archaeological data and evidences outside the Bible along with the biblical texts reveals that their entry into the Land was more of a settlement than a conquest, and that the Canaanites were not wiped out. It is even believed that many of the new settlers were originally Canaanites. In the face of a total collapse of the Mediterranean world around 1200 BCE, the Canaanite peasants and nomads who moved to the central highlands of Canaan and settled there would have been the beginning of Israel. In the course of settlement process many groups, including Exodus group and other mixed multitude, joined in and became part of them. In the process, there must have been war of conquest, migration, infiltration, and transition from nomadic to agricultural settlement, etc.. This complex group of various elements had then begun to break up with their past and neighbors, forming a new ethnic identity as Israel. It was the faith of Yahweh that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process. This is implied by Schechem’s covenant which is said to have been mad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quest(Joshua 24). The common faith might have brought many different groups together into one people. In the end, the story of Joshua 2-12 that Israel conquered Canaan by military force and offered the indigenous peoples as Herem to God is an exaggeration and the result of later theological reconstruction. The story of Conquest seems to be used by the author as a tool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Land and the people; that is to say, God is the Lord of Israel, Israel is God’s people, and the conquered land is a sign of this; the Land was provided temporarily under the condition of serving God; humans will be cast out of the Land when they mistake the Land for their own and break the covenant. That is why a decision is required for those who want to enter the land. This determination was expressed in Herem in Joshua 2-12. Herem refers to the fact that new settlers have chosen and determined a new way of life, different from the old one, and a new faith that is different from the past one. In the final analysis, ‘Conquest and Herem’ shows that various types of settlers were becoming a new people called Israel on the basis of Yahweh faith and the Land. At the same time, this implies that ‘land’ and ‘faith’ were the main elements of Israel’s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