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ZNS SSD의 Zone Reclaiming Overhead 완화를 위한 부분-존 회수 기법

        송인호,이원진,이재동,유시환,최종무 한국정보과학회 2024 정보과학회논문지 Vol.51 No.2

        Solid State Drive (SSD) suffers unpredictable IO latency and space amplification due to the traditional block interface. Zoned Namespace, which is a more flash friendly interface, replaced the block interface bringing reliable IO latency and increasing both the capacity and lifespan of SSDs. The benefit of the zone interface is not free. A Zoned Namespace (ZNS) SSD delegates the garbage collection and data placement responsibility to the host, which requires host-level garbage collection called 'zone reclaiming'. At the same time, ZNS SSD exposes a larger zone to the host to exploit the device parallelism. The increased number of blocks to a zone gives high parallelism; however, the overhead of the zone reclaiming process becomes high with the increased size of the zone. Eventually, the host neither expects predictable latency nor optimal performance due to the background process. This paper tackles the overhead of the zone reclaiming process by introducing 'Partial Zone Reclaiming' method. Partial zone reclaiming delays the ongoing reclaiming process and handles the host request that is on the fly. In our experiment, partial zone reclaiming not only improved the host request latency by up to 8% on average, but also reduced zone reclaiming time by up to 41%.

      • KCI등재후보

        남북 에너지 분야 법제 협력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송인호,박소영 법무부 2021 統一과 法律 Vol. No.

        The system of Energy Demand/Supply of DPRK seems difficult to recover with its own capabilities. This is because there are problems of closed and rigid energy policies, deepening dependence on oil, and aging energy infra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issue of inter-Korean energy cooperation in terms of change through approach. Particularly, the specificity of the system of Energy Demand/Supply of DPRK and the sustainability, stability, and energy security of cooperation in the energy sector need to be comprehensively reflected in the area of law. The current North Korean law concerning the improvement of the energy shortage situation in the country is not enough to expect an increase in energy efficiency. Therefore, it would be useful to reflect the revised flow of South Korea's energy legislation in the past to present sequential improvement measures for North Korean energy legislatio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sues such a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laying the legal basis for energy trade in the North Korean region. It is also required to review the cost of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such as technology, workforce, and capital that are essential for regional energy support. In addition, a review should be made on whether energy support, which has bee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o far, will be extended to support the vulnerable group. Given that the two Koreas are highly dependent on foreign countries in the energy sector, it is also imperative to consider legal and institutional solutions in various cases and issues of energy exchange and cooperation such as East and West Germany, or South Asian countries, or countries such as Russia and Ukraine. In order to seek legal action in the event of conflicts or disputes that may arise regarding inter-Korean energy exchange and cooperation issues, it would be helpful to look at the energy disputes between other countries that have been resolved by arbitration with the assista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the EU, the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and the (temporary) International Surveillance Commission. Importantly,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uniqueness of the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the need to secure energy security, and to make efforts to ensure that inter-Korean energy legislation cooperation is carried out in a balanced manner. 북한의 에너지 수급체계는 폐쇄적이고 경직된 에너지 정책, 석유의 대외 의존도 심화, 에너지 인프라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북한 자체의 역량으로는 회복되긴 어렵다. 따라서 접근을 통한 변화의 방법으로 남북 에너지 협력 이슈에 대해 대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법적인 측면에서 북한의 에너지 수급체계의 특수성과 에너지 분야 협력의 지속성, 안정성, 에너지 안보 등의 측면의 종합적인 반영이 요구된다. 북한의 에너지 부족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재의 북한법제의 수준만으로 에너지 수급의 효율 증대를 기대하기에는 어렵다. 따라서 과거 남한의 에너지 관련 법제의 개정 흐름을 반영하여 북한의 에너지 관련 법제의 단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북한 지역에 대한 에너지 교역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있어서 개성공단과 같은 남북 경제협력 이슈를 검토하고 지역별 에너지 지원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기술과 인력, 자본 등의 재원 확보에 드는 비용 부담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그 외 지금까지의 남북 경제협력의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진 에너지 지원을 일반 취약계층 지원까지 확대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남북한 모두 에너지 분야의 대외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감안할 때 동서독이나 남아시아 국가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례와 같은 국가 간 에너지 교류협력의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우려되는 쟁점에 대한 법제도적 해결 방안의 모색도 이루어져야 한다. 남북 에너지 교류협력 사안에서 발생 가능한 충돌이나 분쟁 시에 법적 대응을 모색하기 위해서 타 국가 간의 에너지 분쟁이 유엔 국제거래법위원회, EU, 국제중재재판소, (임시)국제감시위원회 등 국제기구의 중재로 해결되었음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에너지 안보 확보의 필요성이라는 한반도 현실의 특수성을 인식하여 남북 에너지 법제 협력이 균형 있게 추진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세대 간 주택시장의 이해와 주거유형 선택의 경제적 함의: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송인호 한국경제학회 2020 한국경제포럼 Vol.13 No.2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real estate assets and the types of residential occupancy between the Bayboom generation and the eco-generation caus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generational housing market, and analyzed the changes in net assets and residential occupancy types on consumption expenditur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1% decrease in net assets for homeowners and tenants in their 30s reduced their living expenses to 0.14% and 0.04%, and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decreased 0.22% and 0.06%, respectively. This confirms that the older becomes the more sensitive spending in net asset decline than other age groups, suggesting that the baby boomers need to actively seek real estate securitization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housing pension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ructure of a variety of high-quality rental markets with low deposit burdens, since the eco-generation households have a large burden of housing costs in rental markets. 본 연구는 베이붐 세대와 에코 세대 간 주택시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세대 간 주택시장의 만족도 차이는 세대 간 부동산자산 분포및 주거점유 유형의 차이에 근거함을 보여준다. 본고는 세대 간 자산의 변화와 주거점유 유형의 차이가 세대 간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30대 이하 자가 및 차가 가구주의 경우 순자산 1% 감소는 생활비 지출을0.14%, 0.04%로 각각 감소시키고 60대 이상 자가 및 차가 가구주는 0.22%,0.06% 를 각각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자산 감소에 대해 자가 점유의 고령층은 다른연령층에 비해 소비 지출을 더욱 줄인다는 점에서 베이비붐 세대에게는 주택연금의활성화를 통하여 부동산의 유동화를 적극 모색해줄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에코세대에게는 전․월세 주거비부담이 크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보증금 부담이적은 양질의 다양한 임대차시장의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미국 대북제재법의최근 동향 및 전망

        송인호,박민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43 No.4

        After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it has appeared that international sanctions,including the United Nations (UN), against North Korea have strengthened. Especially, in the U.S Congress, enactment of the North Korea Sanctions and PolicyEnhancement Act of 2016, which for the first time was meant to exclusively targetNorth Korea, was a representative one. Indeed, there have been attentions on an issueof what will be a position Trump administration would take, as entering a phase ofsteps toward the denuclearization. Given a point that U.S. sanctions regime isgrounded in the legislations enacted by the Congress, however, this paper would liketo raise a necessity of understanding a stance of the Congress on North Koreasanctions, which has been somewhat inactively dealt with, by contemplatinglegislative flows within the enacted legislations and bills that have been issued inrecent years. As looking into the part, it is found that not only North Korea’sdenuclearization but a promotion of human rights situations have been furtheremphasized as a requirement of sanction relief or its termination. In addition, thereappears a trend of which an extent of the Congress’s engagement appears to haveexpanded to regulating the reporting obligations by the Administration before it. Also,it is found that in order to prevent North Korea’s sanction evasions an extent towhich financial sanctions may be applicable and level of imposition of the sanctionsagainst North Korea’s enablers have consolidated and that a bipartisan consensus onNorth Korea sanctions-related issues appears to have been formed, not solely in termsof North Korea policy-perspective but also in light of the aspect of ‘value’, so called‘human rights and democracy’ expressed in the U.S. foreign policy, for it isintertwined with the foreign policy in adversaries, Asia as well as Indo-Pacific reg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promoting unification policy, the government ofthe Republic of Korea needs to pay more attention and research on the legislativestream arisen in the U.S. Congress, in which the foreign policies are determined atlegislative level, rather than to solely put a focus on the moves in the U.S. administration.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강화되어왔으며 미국 의회에서 최초로 북한만을 대상으로 하는 『2016 대북제재 및 정책강화법 (North Korea Sanctions and Policy Enhancement Act of 2016, H.R.757)』이제정된 바 있다. 그동안 북한 비핵화 국면에서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에 주목해 왔으나 실제로 최근 핵심적인 미국의 대북제재는 의회가 제정한 법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다소 간과되어 온 미국 의회의 입장을그동안 제정된 대북제재 관련법 및 최근 발의되고 있는 대북제재 관련 법안들의 흐름을 통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살펴보면 대북제재 유예 및 해제요건으로 북한 비핵화뿐만 아니라 북한 인권 개선 여부가 점점 더 강조되고있었으며, 행정부의 의회에 대한 보고의무 등 의회의 관여가 확대되는 경향을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북제재의 회피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제재적용 범위 및 조력자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고 있다. 그리고 단순히 대북 정책적 관점에서 만이 아니라 미국이 대외적인 외교정책에서 표명하는 ‘인권과 민주주의’라는 ‘가치’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었으며, 특히 아시아, 인도⋅태평양지역에 대한 외교 정책과 연결되어 있어 대북제재 관련 이슈에 있어서는 미의회 내에서 초당파적인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렇게미 의회에서 비핵화 외에 보편적 인권과 민주주의 등 ‘가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 헌법 제4조에서 몰가치(沒價値)적 ‘평화통일’이 아니라‘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이라고 규정하여, ‘가치’적 측면을역시 강조하고 있는 우리 헌법 정신과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우리 정부의 대북, 통일 정책 추진과정에서 단지 미 행정부의 움직임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미국의 대외정책을 입법적으로 결정하는 미 의회의입법 흐름에 대하여 더욱 주목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North Korean Economy: An In-depth Study on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s Economic Clauses and the Economic Reality

        송인호,조혜신,Euna Lee 통일연구원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 Vol.25 No.1

        During the founding of the two Koreas in 1948, the na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diverged politically. The former adopted a liberal democratic political system, while its northern counterpart adopted a communist political system. Despite this dichotomy, each nation’s Constitutions contained clauses that made provisions for similar economic systems, although their later implementations would look dramatically different. From the mid-1990s, with the exception of Pyongyang and a few privileged classes, the distribution system began to collapse in North Korea. As a result, in the last 20 years, a people-powered internal market economy has emerged. Although North Korea’s central power is maintaining a strong, unprecedented successive dictatorship, as long as widespread marketization and privatization are practiced among the people, even amidst government oppression, change in North Korea is simply a matter of time.

      • KCI등재

        고령자를 위한 개인교통수단 디자인 개발연구

        송인호,노재승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2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ersonal mobility for elderly.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gradual decrease of birth rate and the improvement of medical has directly affected to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most countries are currently entering the ageing society. In this regards, a rise of a silver marker and relevant issues such as welfare of senior citizens are emerging research topics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ctively. The sense of mobility for elderly does not just lie in the meaning of freedom in mobility but encompasses the independence, identity and inter-generation via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which the sense of mobility bestow the role as a member of society. In this paper, firstly the literature reviews of the ageing society and its context have been conducted. Secondly, the various types of personal mobility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or case study research. In this process, the various aspects of existing personal mobility have been analysed in order to find key themes for design development. Third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design guide line was provided to propose a personal mobility for elderly. Through the design reviews, the most preferred design proposal has been revised and proposed the final design proposal. In conclusion, in the age of ageing society and mobility is an emerging issue in automotive industry, the demand of personal mobility for elderly will be more rising than ever before and the value of this research that design development of a personal mobility for a specific target user will contribute to further mobility design research for a specific user group including physically impaired pers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고령자를 위한 개인교통수단 디자인 개발에 관한 것이다. 출산율의 저하와 의료기술의 발달 으로 인한 기대수명의 증가로, 전 세계는 빠르게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버산업의성장과 고령자의 복지 등 사회경제문화에 걸쳐 다양한관련분야들의 다학제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령자에게 이동수단의 의미는 단순한 목적지로의이동을 넘어서서 독립성과 정체성 그리고 적극적인소통을 통한 세대 간의 융합을 의미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존재의미를 부여한다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위한 개인교통수단 개발을위하여, 첫째, 문헌분석을 통하여 급격한 고령화 사회를 맞고 있는 배경과, 고령자의 신체적 능력 및 이동성과 사회성의 의미 등을 고찰하였으며, 둘째, 날로 다양하여지고 있는 개인교통 수단을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디자인 발전방향을고찰하였다. 셋째, 앞서 진행한 문헌분석과 사례분석및 디자인 발전방향을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디자인 모델 품평을 거쳐 건강한 고령자를 위한 개인교통수단의 최종디자인 안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급격한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는 가운데모빌리티가 자동차산업의 주요화두로 떠오르고 있는현 상황에서, 고령자를 위한 개인교통수단은 앞으로도시장의 지속적인 요구와 성장이 예상되며, 특정사용자를 고려한 교통수단의 디자인 연구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장애인등 기타 특정사용자를 위한 특화된 모빌리티 디자인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북한 급변사태 발생과 남한의 책임 : 보호책임(R2P) 논의를 중심으로

        송인호,김강석,조훈희 기독교학문연구회 2016 신앙과 학문 Vol.21 No.1

        Since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f 1948, in the light of the growing trend of respecting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and human dignity, and the biblical perspective on the responsibility of international community,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R2P) is an international law principle which is consistent with Christianity. Additionally, having examined the development in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ory, when a sudden change and widespread and gross violation of human rights occurs in North Korea, an urgent interventio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justified in the basis on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ory. Giving comprehensive consideration to the theory of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principle of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it would be safely said that South Korea is primarily charged with the protection of North Korean residents’ freedom, human rights and life. In this regard, in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ory is necessary to be widely accepted and developed in its theory. 1948년 세계인권선언 이래 인권의 보편성과 인간의 존엄성 존중 정신의 확대 흐름, 공동체의 책임에 대한 성경적 관점 등에 비추어볼 때 보호책임은 기독교 정신에 부합하는 국제법적 원칙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책임 이론의 발전과 전개 과정을 살펴볼 때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하고 북한주민의 인권에 대한 극심한 침해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보호책임이론에 근거한 국제사회의 긴급한 개입이 정당화된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며, 특히 남북한 특수관계론, 민족자결의 원칙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남한이 북한주민들의 자유와 인권, 생명을 보호할 1차적인 권한과 책임이 있다고 해석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국제사회에서 논의되는 보호책임이론을 통일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론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통일 후 북한 국유재산 사유화 방안에 대한 법적 고찰

        송인호 대한변호사협회 201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3

        The privatization policy in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way of unification. However, we must have obvious position about the problem in the point of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state or rule of law. The privatization can be classified in two type. One is the privatization of illegally nationalized property and the other is privatization of general national property. The nationalizations acted by Soviet military government and North Korea government were illegal confiscation because they violated the jus cogens and the spirit of the first constitution of South Korea. In the concrete, however, considering the stabilization of livelihood of people in North Korea and to promote investment by company, it will be better not to restore the true ownership but to renationalize the property and give compensation to the true owners. In case of privatization of general national property, since the level of de facto privatization of North Korea is roughly similar that of the former Eastern Europe in the early period of their transition, we need to implement privatization policy as soon as possible, especially in the small daily life areas. The true purpose of unification should not based on just nationalism but to restore the freedom and the human right of north korean and enhance the south korean’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reedom and human right. Therefore, by privatization policy, we should try to correct the unlawfulness and actualize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laim the constitutional value of the United Korea. 통일 후 북한 국유재산 사유화 정책은 통일의 방식과 통일 당시의 남북 간의 정치적 협상에따라 결정될 것이나, 통일의 방식과 상관없이 통일 협상 과정에서 우리가 취할 입장을 미리 분명히 하고 있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법적‧정책적으로 준비하고 있어야 하며, 그 기준은 법치국가 원칙이어야한다. 먼저 재사유화 문제의 경우, 사실상 소련군정에 의해 행해진 무상몰수조치와 이후 북한정권에 의해 행해진 국유화조치는 국제법상 강행규정, 대한민국 제헌 헌법의 법치국가 정신에 반하며, 반국가단체로의 성격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북한정권의 행위라는 점에서 위법·무효이며, 이에 대한 권리자는월남자 뿐만 아니라 북한주민들도 포함됨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구체적인 재사유화 방법에 있어서는 북한 주민들의 기존 사실 상태를 존중하고 통일 후 북한 지역에 대한 투자 장애를 방지하고 경제발전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차원에서 반환보다는 이를 재국유화한 후 보상하는 것이 법치국가적 정의실현과 통일 후 사회 안정 및 경제적 효율성의 요청을 조화하는 길이라고 할 것이다. 협의의 사유화의경우, 비록 형식적·법적으로는 북한이 생산수단을 국유화하고 있으나, 최근 이미 북한의 사실상의 사유화 진행정도가 과거 동구권 체제전환기 무렵의 수준과 유사한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여 일상생활의 측면에서는 북한 주민들의 생활안정의 측면에서 기존상태를 최대한 존중하는 내용으로 신속히 사유화를하여야 할 것이며, 대규모기업의 경우에는 일정한 비율로 특히 북한에서 사회적 약자였던 이른바 ‘적대계층’에 대한 대중적 사유화 방식을 도입하여 분배적 정의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비록 사유화 문제가현실적으로 경제적·행정적인 번잡함과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통일의 목적이 단순히 부강한 국가 건설이라는 국가주의, 민족주의의 발현이 아니라 ‘북한주민들의 자유와 인권의 회복’, ‘남한주민들의 자유와 인권의식의 제고(提高)’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법치국가적 차원에서 재사유화 같은 불법청산의 의의를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신중하면서도 적극적인 협의의 사유화 정책을 통해과거의 불법을 시정하고 분배적 정의를 적극적으로 실현하여 통일 한국이 지향하는 헌법적 가치가 ‘인권과 정의’, ‘법치국가의 원칙’임을 분명히 선포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